KR20160016306A -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306A
KR20160016306A KR1020140100086A KR20140100086A KR20160016306A KR 20160016306 A KR20160016306 A KR 20160016306A KR 1020140100086 A KR1020140100086 A KR 1020140100086A KR 20140100086 A KR20140100086 A KR 20140100086A KR 20160016306 A KR20160016306 A KR 20160016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eld
present
moving
f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숙
Original Assignee
서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숙 filed Critical 서영숙
Priority to KR102014010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6306A/ko
Publication of KR2016001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3/00Harvest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밭작물의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밭에 형성되어 있는 고랑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빠르게 하고 진드기의 피해를 방지하며 고랑에 쪼그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오랜 작업에도 피로하지 않으며 무릎이나 허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프레임에 상측에 상판을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를 형성한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Working device for field}
본 발명은 밭작물의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밭에 형성되어 있는 고랑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빠르게 하고 진드기의 피해를 방지하며 고랑에 쪼그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오랜 작업에도 피로하지 않으며 무릎이나 허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밭농사는 작물을 재배할 때 경작지의 땅을 돋우어 높낮이를 만들고 종자를 뿌리거나 모종을 심는다.
이렇게 경작지에 줄을 맞춰 흙을 높게 올려서 두둑하게 올린 것을 이랑이라하고 이랑과 이랑 사이를 고랑이라 하며, 이랑에 종자나 모종을 심게 된다.
이러한 이랑에 보온, 보습, 살충의 기능을 하면서 잡초의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을 씌운 후 작물을 재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닐은 이랑에 씌우게 되며 이랑에 씌운 비닐이 바람에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의 양측에 고랑의 흙을 이용하여 복토를 해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밭농사 방법은 비닐의 양측에 복토를 해서 비닐을 고정해야 함으로써 비닐을 씌우는 작업이 번거로웠으며 비닐이 흙에 뭍이게 되어 비닐을 제거할 때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아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랑에는 잡초가 자라지 않으나 경작을 하기 위해 작업자가 다니는 고랑에는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면서 경작이 어려웠으며 작업중 뱀이나 해충에 의한 피해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작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긴 하나 대부분 작업자가 쪼그리고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자의 관절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밭농사의 경작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실용신안등록 제225185호 농작물 수확용 수레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농작물 수확용 수레는 본체프레임에 복수개의 수확용 용기들이 각기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걸림턱들이 형성되고, 본체프레임 양측 하부에 바퀴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량의 용기를 본체프레임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양측 바퀴가 밭이랑의 골을 따라 구름 이동되도록 하므로 수확하는 농작물의 운반거리가 단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확용 수레는 프레임의 높이가 정해진 상태에서 이랑을 하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 고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딸기와 같은 작은 작물에만 작업이 가능하였다.
또한, 고랑의 잡초에 의해 수레의 이동이 불편하였으며 해충의 피해는 방지못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으며 수레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없어 작업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밭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고랑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빠르게 하고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여 작업자를 안전 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으며 이랑에 작업하는 피복비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작물재배 시 고랑에 쪼그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오랜 작업에도 피로하지 않으며 무릎이나 허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수레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한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에 상측에 상판을 형성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를 형성한 이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상측에 형성된 상판의 중앙에 의자를 형성하고 프레임 일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 전방에는 핸들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전방 이동바퀴를 형성하고 프레임부의 프레임 후방에는 모터에 체인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후방 이동바퀴를 형성하며 프레임 중앙과 후방에 상판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의 전후방 이동바퀴의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밭이랑을 덮을 수 있는 깔판을 더 형성하고 상기 전방 이동바퀴와 후방 이동바퀴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프레임에는 차양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밭에서 작물을 재배할 때 고랑에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빠르게 하고 해충의 피해를 방지하여 작업자를 안전사고로 부터 예방할 수 있으며 작물재배 시 고랑에 쪼그린 상태에서 작업을 하지 않고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오랜 작업에도 피로하지 않으며 무릎이나 허리 관절을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수레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는 장치를 형태를 유지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저면에 장착되어 프레임부(10)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2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부(10)는 프레임(11)의 상측에 상판(1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판(12)은 전, 후방으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판으로 형성하여 중앙에 의자(13)를 형성하고 프레임(11)의 일측에 손잡이(14)를 형성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부(20)는 프레임(11)의 저면에 이동바퀴(21,21')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동바퀴(21,21')는 밭이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밭이랑의 폭 만큼 한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전방에는 핸들(15)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전방 이동바퀴(21)를 형성하고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후방에는 모터(16)에 체인(17)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후방 이동바퀴(21')를 형성하며 프레임(11) 중앙과 후방에 상판(12)을 분리하여 형성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20)의 전후방 이동바퀴(21,21')의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밭이랑을 덮을 수 있는 깔판(30)을 더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전방 이동바퀴(21)와 후방 이동바퀴(21')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에는 접었다 펼수 있는 파라솔과 같은 차양막(P)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잡이(14)를 잡거나 모터(16)의 구동으로 이동부(20)를 구동시켜 핸들(15)의 조작으로 작업장치를 밭의 고랑에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장치를 고랑을 따라 이동시켜 이랑에 심어놓은 작물을 수확물을 수확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판에 앉거나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함으로써 작업자의 관절과 같은 건강을 지킬 수 있으며 상판에는 작업에 필요한 공구나 수확물을 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업장치는 수동으로 이동시킬 때는 작업자가 손잡이(14)를 통하여 이동시키거나 모터의 구동으로 후방이동바퀴(21')를 구동하여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고랑(50)에 깔판(30)을 깐다.
상기와 같이 고랑(50)에 깔리는 깔판(30)은 잡초가 자라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랑(40)에 덮히는 피복비닐(60)의 양측에 복토를 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깔판(30)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 : 프레임부 11 : 프레임
12 : 상판 13 : 의자
14 : 손잡이 15 : 핸들
16 : 모터 17 : 체인
20 : 이동부 21 : 전방이동바퀴
21' : 후방이동바퀴 30 : 깔판

Claims (6)

  1. 프레임(11)에 상측에 상판(12)을 형성한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방 이동바퀴(21,21')를 형성한 이동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상측에 형성된 상판(12)의 중앙에 의자(13)를 형성하고 프레임(11) 일측에는 손잡이(1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전방에는 핸들(15)에 의해 각도 조절되는 전방 이동바퀴(21)를 형성하고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 후방에는 모터(16)에 체인(17)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후방 이동바퀴(21')를 형성하며 프레임(11) 중앙과 후방에 상판(1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20)의 전후방 이동바퀴(21,21')의 이동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밭이랑을 덮을 수 있는 깔판(30)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바퀴(21)와 후방 이동바퀴(21')는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의 프레임(11)에 상측으로는 차양막(P)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KR1020140100086A 2014-08-04 2014-08-04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KR20160016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86A KR20160016306A (ko) 2014-08-04 2014-08-04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86A KR20160016306A (ko) 2014-08-04 2014-08-04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306A true KR20160016306A (ko) 2016-02-15

Family

ID=5535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86A KR20160016306A (ko) 2014-08-04 2014-08-04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6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6919A1 (en) * 2019-12-17 2021-06-17 Stephen P. Hurley Field Car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76919A1 (en) * 2019-12-17 2021-06-17 Stephen P. Hurley Field C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ssain et al. Mechanical weed control
US20190166753A1 (en) Reconfigurable tillage system
KR101471996B1 (ko) 두둑용 이동수단이 구비된 농작물 줄기 절단장치
KR101759069B1 (ko) 고설재배용 쇄토장치
KR102254268B1 (ko) 밭고랑용 제초기
KR101234685B1 (ko) 관리기 부착형 작물 덩굴 처리기
CN210868772U (zh) 一种农业种植用杂草除草工具
KR20200014578A (ko) 모종 이식기
KR102088643B1 (ko) 자동 모종이식기
KR20160016306A (ko) 밭농사를 위한 작업장치
KR101401596B1 (ko) 각도 조절형 입식 북삽
US9301437B1 (en) Hedge separato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JP2018183077A (ja) 防除作業車
JP2001258348A (ja) 残幹切断装置
JP2010239895A (ja) 水田の除草方法
CN108633354A (zh) 联合种植除草机
CN211881089U (zh) 一种农业植物护理用除草设备
CN106258043A (zh) 匍匐式保墒松土不伤苗除草机
SE423173B (sv) Sett och anordning for att odla och skorda vexter
KR101845607B1 (ko) 관리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비닐 수거 장치
Singh Farm mechanization for potato production
JP2004267206A (ja) 地面を、年中草が生えないように、つるつるにする装置
NL1041220B1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van land.
JP2016073212A (ja) 茶畑における整せん枝残さ土壌還元用混和装置と乗用型茶園管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