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51A -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51A
KR20160016151A KR1020140099705A KR20140099705A KR20160016151A KR 20160016151 A KR20160016151 A KR 20160016151A KR 1020140099705 A KR1020140099705 A KR 1020140099705A KR 20140099705 A KR20140099705 A KR 20140099705A KR 20160016151 A KR20160016151 A KR 20160016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connection
connection ic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872B1 (ko
Inventor
이세용
홍교식
Original Assignee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홍교식
이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홍교식, 이세용 filed Critical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72B1/ko
Priority to PCT/KR2015/008134 priority patent/WO2016021909A1/ko
Priority to CN201580041684.2A priority patent/CN106796479B/zh
Priority to US15/501,435 priority patent/US10699032B2/en
Publication of KR2016001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16User authentication by observing the pattern of computer usage, e.g. typical user behavi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1User authentication where a single sign-on provides access to a plurality of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대방에 대한 다수의 통신수단 및 그 통신수단별 식별정보들을 히든값으로 숨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키고,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으로 변환 가능하며 SMS 또는 이메일, MMS 등으로 간단하게 유통 가능한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킴으로써 다수 식별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고, 식별정보의 직관적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통신 접속이 가능한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ACCESS ICON INFORMATION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상대방에 대한 다수의 통신수단 및 그 통신수단별 식별정보들을 히든값으로 숨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키고,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으로 변환 가능하며 SMS 또는 이메일, MMS 등으로 간단하게 유통 가능한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킴으로써 다수 식별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고, 식별정보의 직관적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통신 접속이 가능한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개인 유저는 자신이 기억해야할 수많은 식별정보(예컨대, 아이디) 및 인증정보(예컨대, 패스워드)를 기억해야 하거나 또는 통신 식별정보(예컨대, 핸드폰 번호, 직장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직장 팩스번호 등)를 기억해야 하며, 또한 인터넷 식별번호(예컨대, 홈페이지 주소, 소셜 네트워크 아이디나 URL 주소, 이메일 아이디 등)를 기억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이러한 이종 통신기기들이 난무한 환경에서는 자신의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타인의 다양한 식별정보(아이디나 전화번호)도 역시 기억해야 하고, 심지어 휴대폰의 경우 지인의 전화번호를 잊은 경우, 자주 연락하지 못한 사이 전화번호가 변경되어 연락이 두절되는 경우도 발생된다.
한편, 이러한 식별정보들을 지인들이 일일이 알려준다고 하여도 유저는 해당 지인의 식별정보를 일일이 스마트폰의 주소록이나 이메일의 주소록과 같은 영역에 기록해둬야 하므로 입력 자체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지인에게 자신의 다양한 이종기기 식별정보를 알려주는 것도 역시 매우 귀찮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대방에 대한 다수의 통신수단 및 그 통신수단별 식별정보들을 히든값으로 숨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키고,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으로 변환 가능하며 SMS 또는 이메일, MMS 등으로 간단하게 유통 가능한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킴으로써 다수 식별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고, 식별정보의 직관적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통신 접속이 가능한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a) 유저 단말기(2)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을 SMS 또는 M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b)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 경우, 그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c)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터치 키신호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d)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감지된 터치 횟수에 매칭된 히든상태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추출하는 과정과; e)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대한 클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f)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이전에,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특정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받은 아이디(3)를 포함하는 접속 아이콘(14)과 멀티 접속 아이콘(4)이 저장되고,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의 각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등록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과정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클릭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14)의 내부에 포함된 어플 설치를 설명하는 히든 텍스트(18)를 출력하도록 작동되는 과정과; 상기 히든 텍스트(18)내에 포함된 어플 설치버튼(20)의 클릭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14)이 어플 자동 설치 URL로 접속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b)과정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 자동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접속 아이콘(14)에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해당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과정 내지 f) 과정중,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특정 유저단말기(2)로부터 개별 접속 정보의 갱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대한 정보 갱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의 업데이트 존재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단일의 유저가 고유하게 보유하는 다수 이종 통신수단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사용 가능하게 담고 있으며, 고유한 아이디(3)를 포함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이용하여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접속 정보를 공유하고, 특정 개별 접속 아이콘에 대해 접속 처리를 수행하고,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2)와; SMS나 이메일 또는 MMS를 통해 유통되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를 유도하는 접속 아이콘(14)을 각 유저별로 고유하게 등록하고, 상기 유저별 접속 아이콘(14)과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등록하여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과 통신하여 유저별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유통시키는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3) 및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각각 구분하는 표식문자(1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어플 설치시 특정 유저의 다수 통신수단에 선택적인 접속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히든 텍스트(18)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URL(22)가 접속 아이콘(14)의 클릭시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든 텍스트(18)에는 어플 설치버튼(2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의 통신으로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자동 변경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미리 다수의 개별 접속아이콘(8a-8n)이 조작 횟수에 따라 순차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터치하는 조작 횟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차에 따라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이 출력되게 처리하고, 각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에 접속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의 자동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을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마다 고유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상기 유저 단말기(2)의 주소록 정보(26)중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부여받은 유저와, 부여받지 않은 유저를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표시로 구분할 수 있게 주소록 정보(26)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 또는 접속 상대방의 유저 단말기(2)와 통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40)과; 회원인증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42)와;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부(44)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조작횟수를 감지하는 키감지부(46)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제공받도록 처리하는 접속 아이콘 변환부(48)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히든정보로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터치 회수에 따라 화면 출력하는 개별 접속 아이콘 출력부(50)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그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횟수를 감지하여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출력시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전화아이콘(8a)의 클릭시 자동 전화연결을 처리하는 통화 회로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문자아이콘(8b)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히든 전화번호 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문자입력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SMS 관리부(5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이메일 아이콘(8n)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이메일 주소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이메일 전송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이메일 작성부(5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SNS 아이콘(8c)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SNS 정보가 선택 가능하게 출력되고, 특정 SNS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URL 주소로 접속되게 처리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 정보를 첨부한 접속 아이콘을 이메일이나, SMS, 웹페이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유통시킬 수 있으며, 그 접속 아이콘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에는 자동으로 접속 아이콘이 유저별로 다양한 식별정보를 첨부하고 있는 멀티 접속 아이콘으로 자동 변경되게 되므로 빠른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킬 수 있고, 그 접속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보급을 급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접속 아이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폰의 주소록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7,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한 개별 접속정보 갱신으로 인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접속 아이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상대방에 대한 다수의 통신수단 및 그 통신수단별 식별정보들을 히든값으로 숨긴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접속 가능하게 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키고,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으로 변환 가능하며 SMS 또는 이메일, MMS 등으로 간단하게 유통 가능한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킴으로써 다수 식별정보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고, 식별정보의 직관적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식별정보가 변경되어도 지속적으로 통신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이종 통신수단을 단일의 고유 아이콘으로 접속 가능하게 제공하고, 그 고유의 아이콘 및 그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통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접속 아이콘(14)과, 그 접속 아이콘(14)과 연결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유통시키고 해당 접속 아이콘(14) 및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과 그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식별정보를 관리한다.
이때,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3) 및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각각 구분하는 표식문자(16)가 더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비록 특정 개인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식별정보 예컨대, 특정 개인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라도, 상기 아이디(3)나 멀티 접속 아이콘(4)은 변경되지 않으므로 지인이 스마트폰에 이미 상기 아이디(3)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저장한 상태이면 별도의 전화번호 변경작업을 유저가 일일이 수행하지 않아도 어플리케이션과 서버의 통신으로 자동 변경 처리가 이루어진다.
전화번호가 변경된 유저의 경우에도 일일이 지인들에게 자신의 전화번호 변경을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유통 및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유저 단말기(2)내에 서버와 통신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필요한 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안내하고 편리하게 자동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접속 아이콘(14)이 SMS나 MMS 또는 이메일, SNS를 통해 쉽게 유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단일의 유저가 고유하게 보유하는 다수 이종 통신수단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사용 가능하게 담고 있으며, 고유한 아이디(3)를 포함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이용하여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접속 정보를 공유하고, 특정 개별 접속 아이콘에 대해 접속 처리를 수행하고,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SMS나 이메일 또는 MMS를 통해 유통되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를 유도하는 접속 아이콘(14)을 각 유저별로 고유하게 등록하고, 상기 유저별 접속 아이콘(14)과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등록하여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과 통신하여 유저별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유통시키는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3) 및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각각 구분하는 표식문자(16)가 더 포함된 바, 상기 아이디(3)은 각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로서, 예컨대 ‘멋쭌’, ‘홍길동’등과 같이 유저가 등록을 희망하는 아이디를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서 검색하여 등록 가능여부를 판단하게 하고, 등록 가능한 경우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구분하는 표식문자(16)는 예컨대, ‘C’,‘M’이며, ‘Communication’과 'Multi'의 약어이다.
한편,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어플 설치시 특정 유저의 다수 통신수단에 선택적인 접속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히든 텍스트(18)가 접속 아이콘(14)의 클릭시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첨부된 바, 그 히든 텍스트(18)는 어플 설치를 유도하는 문구가 바람직하며 예컨대, “어플 설치시 ‘멋쭌’님으로 통합 접속이 가능합니다.”라는 문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든 텍스트(18)에는 어플 설치버튼(20)이 더 포함되고, 상기 히든 텍스트(18)에 포함된 상기 어플 설치버튼(20)을 유저가 클릭하면,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의 어플리케이션 오토런 기능이 구비된 저장영역에 자동 접속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URL(22)도 히든 정보로 포함되어져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경 가능한 바,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의 통신으로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자동 변경되는 아이콘이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유저 단말기(2)에 설치되어야 하고, 그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관리하는 지인들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유저 단말기(2)에 저장하도록 유통시킨다.
이때,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각 유저별로 고유한 아이디(3)를 포함하고, 해당 유저의 식별정보와 매칭되어 통신 접속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의 이종 통신을 나타내는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유저가 선택 가능하도록 유저 단말기(2)의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은 전화 아이콘(8a), 문자 아이콘(8b), SNS 접속 아이콘(8c), 이메일 작성 아이콘(8n) 등으로 이루어진 바, 각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은 실제 식별정보 예컨대, 전화번호나 SNS URL, 이메일 주소 등을 히든정보로 갖고 있지만, 화면상에 노출시키지 않으므로 직관적인 정보 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미리 다수의 개별 접속아이콘(8a-8n)이 조작 횟수에 따라 순차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터치하는 조작 횟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차에 따라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이 출력되게 처리하고, 각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에 접속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처리한다.
즉, 유저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터치하는 횟수에 따라 ‘멋쭌’이라는 고유 아이디(3)를 갖는 상대방에게 통화를 할 수도 있고,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해당 상대방의 트위터나 카톡, 또는 페이스북에 접속할 수도 있고, 해당 상대방에게 이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의 자동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을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마다 고유하게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폰의 주소록 출력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상기 유저 단말기(2)의 주소록 정보(26)중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부여받은 유저와, 부여받지 않은 유저를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표시로 구분할 수 있게 주소록 정보(26)를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을 구동시키면 선택 가능한 별도의 주소록 정보(26)가 표시화면(24)에서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져 있고, 그 주소록 정보(26)는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부여받은 유저와, 부여받지 않은 유저를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표시로 구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저는 한번에 어느 지인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을 설치했으며, 어느 지인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을 설치하지 않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유저는 자신의 접속 아이콘(14)을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을 설치하지 않은 지인에게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종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소록 정보(26)상에 표시된 어느 한 지인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클릭하면 상기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이 출력되는 접속 정보 출력영역(28)이 주소록 정보(26)상에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에 포함된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 또는 접속 상대방의 유저 단말기(2)와 통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40)과; 회원인증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42)와;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조작횟수를 감지하는 키감지부(46)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제공받도록 처리하는 접속 아이콘 변환부(48)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히든정보로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터치 회수에 따라 화면 출력하는 개별 접속 아이콘 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그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횟수를 감지하여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출력시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전화아이콘(8a)의 클릭시 자동 전화연결을 처리하는 통화 회로부(52)가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문자아이콘(8b)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히든 전화번호 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문자입력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SMS 관리부(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이메일 아이콘(8n)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이메일 주소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이메일 전송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이메일 작성부(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SNS 아이콘(8c)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SNS 정보가 선택 가능하게 출력되고, 특정 SNS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URL 주소로 접속되게 처리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54)가 더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은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유저별로 고유하게 아이디(3)를 부여하고 관리한다.
즉, 유저는 유저 단말기(2)를 통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접속하여 특정한 고유 아이디(3)를 부여받기 위한 아이디(3)의 입력과 등록 여부 검색을 통해 아이디(3)를 부여받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한 아이디(3)에 매칭되게 접속 아이콘(14)과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저장하고,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의 각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접속 아이콘(14)과 멀티 접속 아이콘(4)은 유통 가능하고, 상기 접속 아이콘(14)의 경우에는 별도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았더라도 SMS나 이메일, MMS 또는 각종 웹페이지를 통해 유통 가능하다.
따라서, a) 어느 한 특정 유저 단말기(2)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을 SMS 또는 M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라면 아래의 과정이 실행된다.
즉,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클릭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접속 아이콘(14)의 내부에 포함된 어플 설치를 설명하는 히든 텍스트(18)를 출력하도록 작동된다.
예컨대, 유저가 상기 접속 아이콘(14)을 클릭하게 되면, 어플 설치를 유도하는 문구 예컨대, “어플 설치시 ‘멋쭌’님으로 통합 접속이 가능합니다.”라는 문구로 구성된 히든 텍스트(18)가 화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히든 텍스트(18)에는 어플 설치버튼(20)이 더 출력되는 바, 상기 어플 설치버튼(20)을 유저가 클릭하면,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의 어플리케이션 오토런 기능이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URL(22)로 자동 접속되어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이루어진다.
한편, b) 이미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 경우라면, 그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경한다.
즉,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 자동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는 해당 접속 아이콘(14)에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추출하여,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해당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다수 횟수 클릭되어 특정 고유 아이디로 등록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보유한 특정 상대방의 다양한 접속수단(예, 전화, SMS, 이메일, SNS, 홈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c)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대한 터치 키신호를 인가받아 카운트하는 바, d)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감지된 터치 횟수에 매칭된 히든상태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추출한다.
그러면, 유저는 특정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클릭할 수 있는 바, e)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대한 클릭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f)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 접속한다.
즉, 각 유저별로 부여된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에는 다수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이 히든상태로 첨부되어져 있고, 그 개별 접속 아이콘(8a-8n)마다 실제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SNS URL 등)가 히든상태로 첨부되어져 있으므로 최초 1회만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부터 전송받으면 된다.
한편,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특정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의 선택시마다 실제 식별정보(예컨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홈페이지 주소, SNS URL 등)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한 개별 접속정보 갱신으로 인한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7 및 8에 도시된 상기 a) 과정 내지 f) 과정중,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특정 유저단말기(2)로부터 개별 접속 정보의 갱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서의 정보 갱신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즉,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대한 정보 갱신을 수행하고,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의 업데이트 존재 정보를 등록한다.
그러면, 차후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어떤 멀티 접속 아이콘(4)의 정보 갱신이 이루어졌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접속할 때마다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게 할 수도 있고, 일정 주기별로 업데이트 정보를 강제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정 주기별로 업데이트 정보를 확인하게 구성한 경우, 해당 주기 도래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
만약,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한 경우라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저장된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해서만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업데이트를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업데이트 확인 및 업데이트 처리를 수행하는 데는 수십초 정도의 시간만 필요할 뿐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쉽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 정보를 첨부한 접속 아이콘(14)을 이메일이나, SMS, 웹페이지 등을 통해 용이하게 유통시킬 수 있으며, 그 접속 아이콘(14)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후에는 자동으로 접속 아이콘(14)이 유저별로 다양한 식별정보를 첨부하고 있는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자동 변경되게 되므로 빠른 멀티 접속 아이콘을 유통시킬 수 있고, 그 접속 아이콘들을 관리하는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보급을 급속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유저단말기, 3:아이디,
4:멀티 접속 아이콘, 6: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8a-8n:개별 접속 아이콘, 10:접속 아이콘 관리서버.

Claims (18)

  1. a) 유저 단말기(2)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을 SMS 또는 MMS 또는 이메일을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b) 해당 유저 단말기(2)에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된 경우, 그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경하는 과정과;
    c)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터치 키신호를 카운트하는 과정과;
    d)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감지된 터치 횟수에 매칭된 히든상태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추출하는 과정과;
    e)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대한 클릭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f)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 접속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 이전에,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에 특정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받은 아이디(3)를 포함하는 접속 아이콘(14)과 멀티 접속 아이콘(4)이 저장되고,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의 각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등록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과정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클릭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14)의 내부에 포함된 어플 설치를 설명하는 히든 텍스트(18)를 출력하도록 작동되는 과정과;
    상기 히든 텍스트(18)내에 포함된 어플 설치버튼(20)의 클릭 여부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14)이 어플 자동 설치 URL로 접속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과정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해당 특정 접속 아이콘(14)을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 자동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접속 아이콘(14)에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해당 유저 단말기(2)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과정 내지 f) 과정중,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특정 유저단말기(2)로부터 개별 접속 정보의 갱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대한 정보 갱신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가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의 업데이트 존재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특정 멀티 접속 아이콘(4)들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방법.
  6. 단일의 유저가 고유하게 보유하는 다수 이종 통신수단에 접속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조작 횟수에 따라 사용 가능하게 담고 있으며, 고유한 아이디(3)를 포함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이용하여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접속 정보를 공유하고, 특정 개별 접속 아이콘에 대해 접속 처리를 수행하고,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탑재된 유저 단말기(2)와;
    SMS나 이메일 또는 MMS를 통해 유통되어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를 유도하는 접속 아이콘(14)을 각 유저별로 고유하게 등록하고, 상기 유저별 접속 아이콘(14)과 매칭된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등록하여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과 통신하여 유저별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유통시키는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유저별로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3) 및 상기 접속 아이콘(14) 및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각각 구분하는 표식문자(1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어플 설치시 특정 유저의 다수 통신수단에 선택적인 접속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히든 텍스트(18)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URL(22)가 접속 아이콘(14)의 클릭시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첨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히든 텍스트(18)에는 어플 설치버튼(2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아이콘(14)은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설치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의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의 통신으로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자동 변경되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은 미리 다수의 개별 접속아이콘(8a-8n)이 조작 횟수에 따라 순차 출력되게 히든정보로 저장되고,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터치하는 조작 횟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순차에 따라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이 출력되게 처리하고, 각 개별 접속 아이콘(8a-8n)에 매칭된 실제 식별정보에 접속되게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는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의 자동 다운로드가 가능한 URL을 각 유저별 접속 아이콘(14)마다 고유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상기 유저 단말기(2)의 주소록 정보(26)중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을 부여받은 유저와, 부여받지 않은 유저를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표시로 구분할 수 있게 주소록 정보(26)를 출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 또는 접속 상대방의 유저 단말기(2)와 통신처리를 수행하는 통신모듈(40)과;
    회원인증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 관리부(42)와;
    유통되는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멀티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부(44)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조작횟수를 감지하는 키감지부(46)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을 제공받도록 처리하는 접속 아이콘 변환부(48)와;
    상기 멀티 접속 아이콘(4)에 히든정보로 포함된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터치 회수에 따라 화면 출력하는 개별 접속 아이콘 출력부(50)와;
    특정 유저의 접속 아이콘(14)에 대해 상기 접속 아이콘 관리서버(10)와 통신하여 해당 유저의 멀티 접속 아이콘(4)으로 변환하여 저장 관리하고, 그 멀티 접속 아이콘(4)의 터치 횟수를 감지하여 개별 접속 아이콘(8a-8n)을 출력시켜 접속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전화아이콘(8a)의 클릭시 자동 전화연결을 처리하는 통화 회로부(52)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문자아이콘(8b)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히든 전화번호 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문자입력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SMS 관리부(56)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이메일 아이콘(8n)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이메일 주소정보가 자동 입력되는 이메일 전송창이 출력되게 처리하는 이메일 작성부(58)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6)은 그 내부에, 특정 유저의 개별 접속 아이콘(8a-8n)중 SNS 아이콘(8c)의 클릭시 해당 멀티 접속 아이콘(4)에 내장된 유저의 SNS 정보가 선택 가능하게 출력되고, 특정 SNS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URL 주소로 접속되게 처리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부(54)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KR1020140099705A 2014-08-04 2014-08-04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05A KR101610872B1 (ko) 2014-08-04 2014-08-04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5/008134 WO2016021909A1 (ko) 2014-08-04 2015-08-04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1580041684.2A CN106796479B (zh) 2014-08-04 2015-08-04 访问图标信息管理系统及其方法
US15/501,435 US10699032B2 (en) 2014-08-04 2015-08-04 Connection ic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705A KR101610872B1 (ko) 2014-08-04 2014-08-04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51A true KR20160016151A (ko) 2016-02-15
KR101610872B1 KR101610872B1 (ko) 2016-05-12

Family

ID=5526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705A KR101610872B1 (ko) 2014-08-04 2014-08-04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9032B2 (ko)
KR (1) KR101610872B1 (ko)
CN (1) CN106796479B (ko)
WO (1) WO2016021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1446B (zh) * 2017-05-16 2021-06-08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桌面管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763A (ko) * 2001-03-21 2001-07-13 김태범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US6857104B1 (en) * 2001-10-17 2005-02-15 At&T Corp Organiz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to reveal hidden areas
EP1556768A1 (en) * 2002-10-31 2005-07-27 Nokia Corporation 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method of indicating receipt of an electronic message, and a server, a method and a computer progam product for providing a computerized icon ordering service
US7434169B2 (en) * 2002-11-25 2008-10-07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computer users across a network
US7433920B2 (en) * 2003-10-10 2008-10-07 Microsoft Corporation Contact sidebar tile
US7702728B2 (en) * 2004-01-30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shared group interaction
US7685530B2 (en) * 2005-06-10 2010-03-23 T-Mobile Usa, Inc. Preferred contact group centric interface
US8233885B2 (en) * 2006-09-08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mobile messaging services
US20080132243A1 (en) * 2006-11-30 2008-06-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409895B1 (ko) * 2007-10-09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10095375B2 (en) * 2008-07-09 2018-10-09 Apple Inc. Adding a contact to a home screen
US9313309B2 (en) * 2008-12-11 2016-04-12 Nokia Technologies Oy Access to contacts
US9338197B2 (en) * 2010-11-01 2016-05-10 Google Inc. Social circles in social networks
KR101334116B1 (ko) * 2011-01-31 2013-12-02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통합된 사용자 통합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장치 및 방법
US9310888B2 (en) * 2012-03-16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modal layout and rendering
KR101589545B1 (ko) * 2012-09-14 2016-02-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통신이력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4035707A (zh) * 2013-03-08 2014-09-10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终端及其应用程序的快捷启动方法
KR20130062305A (ko) * 2013-04-29 2013-06-12 주식회사 하마소프트 Cti 기반의 앱 다운로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30797B1 (ko) * 2013-09-17 2020-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367208B2 (en) * 2013-12-31 2016-06-14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Move icon to reveal textual information
KR102223277B1 (ko) * 2014-01-0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28563A1 (en) 2017-08-10
WO2016021909A1 (ko) 2016-02-11
US10699032B2 (en) 2020-06-30
CN106796479B (zh) 2020-06-05
KR101610872B1 (ko) 2016-05-12
CN106796479A (zh)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014B2 (en) Inter-device communic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557516B1 (en) Method for providing human network management service in mobile terminal
JP5553721B2 (ja) 表示装置、開示制御装置、開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191384A (ja) 移動機及びコンテンツ送信方法
CN104242998B (zh) 一种通过磁传感器快捷共享多种信息的方法及系统
KR101844583B1 (ko) 다수개의 메신저에서 수신된 메시지 및 파일을 통합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9146313A (ja) 情報通信装置、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方法
US10826997B2 (en) Device linking method
KR101610872B1 (ko)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635183B (zh) 具备监督功能的社交平台实现装置、方法及系统
JP2012174169A (ja) 情報処理装置
KR20160071128A (ko) 전화번호를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에 접속하여 가족 앨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앨범서비스 제공방법
EP3285542B1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11171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executing multiple messengers
JP5656945B2 (ja) 端末装置、位置登録方法及び位置登録プログラム
JP6427676B2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基盤の通信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226950B1 (ko) 모바일 커뮤니티 시스템
JP2018163702A (ja) サーバ装置
JP5753872B2 (ja) 健康情報管理システムとその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13355B1 (ko) 디바이스로의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EP3046013A1 (en) Dynamically reconfigurable service and status manager
KR101844586B1 (ko) 다수 메신저에서 수행된 대화목록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44584B1 (ko) 통합 메신저 실행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신저의 추가 등록 지원 방법 및 장치
CN110874198B (zh) 一种门户信息展示方法和装置
KR101581807B1 (ko) 명함정보의 등록 및 조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