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7763A -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7763A
KR20010067763A KR1020010014499A KR20010014499A KR20010067763A KR 20010067763 A KR20010067763 A KR 20010067763A KR 1020010014499 A KR1020010014499 A KR 1020010014499A KR 20010014499 A KR20010014499 A KR 20010014499A KR 20010067763 A KR20010067763 A KR 20010067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icon
registration
butt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범
Original Assignee
김태범
(주)온넷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범, (주)온넷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김태범
Priority to KR10200100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7763A/ko
Publication of KR20010067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76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an electronic mail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알파벳 순으로 인명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색인버튼(71)이 마련되는 프레임필드(70)와, 상기 색인버튼의 클릭에 따라 수신자의 성명과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에 접속가능한 복수의 접속아이콘(82)으로 구성된 인명 목록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필드(80)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젠테이션; 상기 수신자의 성명별로 상기 접속아이콘(82)과 연관된 수신전화번호 및 전자메일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상기 수신자의 수신전화번호로 통화신호를 전송하여 개통시키는 콜링수단;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전자메일 작성창을 제공하고, 작성된 전자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메일링수단; 및 상기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색인버튼(71)과 연동되어 저장된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목록필드(80)에 제공하는 등록/색인수단;을 포함하는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Graphic user interface to serve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tools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웹투폰(Web to Phone) 또는 웹투웹(Web to Web) 방식의 전화통화와 전자메일(E-mail)과 같은 인터넷 기반의 통신툴을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컴퓨터 사용자가 어떠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과 대화를 하거나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채용되는 것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형적으로 '팝업' 메뉴 또는 '드롭다운' 메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형식과 구조 자체를 지칭하기도 하지만, 넓게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일체의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며 그러한 하드웨어에 의한 프로그램의 동작으로 컴퓨터에 명령 또는 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이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함은 후자와 같은 장치 또는 시스템의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에 나타나는 그래픽의 형식이나 구조 자체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수단으로 커맨드를 할 수 있도록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형식과 구성 자체는 '프레젠테이션'이라고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오늘날, 인터넷의 눈부신 발전은 통신 환경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와 전자 메일은 아주 보편화되고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전화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VoIP게이트웨이를 통해 기존 통신망 예컨대, 공중전화망(PSTN) 또는 이동통신망에 접속을 허용하는 웹폰서버에 접속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마이크와 이어폰을 포함하는 소위 '헤드셋'을 사용하여 음성을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신호는 발신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웹폰서버가 제공하는 인터넷폰 프로그램에 의해 음성 스트리링 제어 등의 과정을 거쳐 음성 데이터 패킷신호로 게이트웨이로 전송되고, 게이트웨이는 이 패킷신호를 해체하고 복원하여 음성신호로 바꾸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해 전화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미리 설치되거나 아니면 웹폰 서비스 제공자의 콜센터 서버가 예컨대, 자바스크립트 형태로 제공하는 인터넷폰 응용 프로그램를 사용하여야만 한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된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이하 PC) 단말기 간에 웹투웹 방식의 전화 통화를 원할 경우에도 웹투웹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발신자와 수신자가 상호 접속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전자 메일은 생활이나 업무상 중요한 통신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이 역시 아웃룩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와 같은 전용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메세지를 작성한 후 수신자에게 메일을 전송하게 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위와 같이 다양한 통신수단들을 이용하게 되는데, 그통신수단에 따라서 각각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이 채용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통신에 앞서 이들 모두를 일일이 실행시켜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업무상 사용되는 단말기는 워드프로세스, 스프레드쉬트와 같은 다수의 업무용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멀티태스킹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위와 같이 각각의 통신 브라우저들을 추가로 동작시켜야 하는 것은 번거로운 부담일 수밖에 없다. 소위 아마존의 '원클릭'기술 또한 전자상거래에서 구매자가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운 상호행위(예컨대, 복수회의 클릭으로 물품을 구매하고 이를 확인하는 작업)를 없애고자 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인터넷을 통한 통신매체의 사용에 있어서도 동일한 필요성이 인정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나아가, 사용자는 상대방 수신자의 집전화 번호, 회사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전자 메일 어드레스, PC단말기의 식별주소 등의 식별정보를 모두 별도로 기억하거나 관리하여야 하는데 이들을 통합하여 하나로 간편하게 관리할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식별정보 관리수단이 상기 통신수단들의 통합적인 제어까지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 매체 즉, 웹투폰 전화 통화, 전자 메일, 웹투웹 전화 통화 등의 인터넷 기반 통신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전화 번호, 회사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전자 메일 어드레스, PC단말기 식별주소 등의 식별정보를 한꺼번에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두번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통합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레젠테이션을 제공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통신수단의 통합과 함께 사용자는 어느 매체를 선택하든지 단 한 번의 동작(single action)으로 원하는 상대방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통합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케하는 동시에 한 번의 동작으로 통화연결을 가능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기능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레젠테이션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신규 목록 등록창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집창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목록 검색창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알파벳 순으로 인명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색인버튼이 마련되는 프레임필드와, 상기 색인버튼의 클릭에 따라 수신자의 성명과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에 접속가능한 복수의 접속아이콘으로 구성된 인명 목록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필드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젠테이션; 상기 수신자의 성명별로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관된 수신전화번호 및 전자메일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상기 수신자의 수신전화번호로 통화신호를 전송하여 개통시키는 콜링수단;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전자메일 작성창을 제공하고, 작성된 전자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메일링수단; 및 상기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색인버튼과 연동되어 저장된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목록필드에 제공하는 등록/색인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아이콘은,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집으로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집 아이콘;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회사로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회사 아이콘;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이동전화와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이동전화 아이콘; 상기 메일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전자메일 주소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전송시키는 메일 아이콘; 및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PC단말기와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PC아이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알파벳 순으로 인명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색인버튼이 마련되는 프레임필드와, 상기 색인버튼의 클릭에 따라 수신자의 성명과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에 접속가능한 복수의 접속아이콘으로 구성된 인명 목록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필드로 구성된 프레젠테이션을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를 위한 접속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콜링수단에 의해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통화신호를 전송하여 개통시키는 단계; 발신자가 상기 전자메일전송을 위한 접속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메일링수단에 의해 해당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발신자가 상기 색인버튼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해당하는 인명 목록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목록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가능케하는 것으로서, 그러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0)(11)은 네트워크(20)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게이트웨이를 경유해 인터넷과 공중전화망을 상호 연결하여 인터넷 전화를 가능케하는 웹폰서버(21)와, 전자메일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메일서버(22) 역시 네트워크(2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웹폰서버(21)는 게이트웨이(30)의 주소를 식별하고 발신자가 원하는 수신자로 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송 및 제어하는 동시에 통화 내역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인터넷폰 관리 서버이다. 상기 메일서버(22)는 전자메일 프로그램에 의해 송수신된 메일을 저장하고 제공하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서버와 POP(Post Office Protocol)서버이다.이러한 웹폰서버와 메일서버의 구성과 기능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네트워크(20)는 LAN, WAN, 인터라넷 및 이와 유사한 내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의해 서로 접속되며 인터넷에 대한 억세스를 제공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접속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을 말한다. 후술하는 통신망은 기존의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서비스를 위한 공중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네트워크와 구분하여 서술한다.
또한, 유선전화(40) 및 이동전화(41)와 같은 수신자 단말은 공중전화망(31)이나 이동통신망(32)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30)를 경유하여 상기 네트워크(20)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발신자 단말(10)에 채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발신자 단말(10)이 가지는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발신자 단말(10)은 컴퓨터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와 비디오 콘트롤러(51), 사운드 콘트롤러(52), 네트워크 콘트롤러(53) 및 입력 콘트롤러(54)를 포함한다. 상기 비디오 콘트롤러(51), 사운드 콘트롤러(52), 네트워크 콘트롤러(53) 및 입력 콘트롤러(54)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모니터(12), 마이크와 이어폰을 포함하는 헤드셋(13), 네트워크, 키보드(14) 및 마우스(15)와 같이 시스템 버스에 접속되는 다양한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발신자 단말(10)은 후술하는 인명 목록 정보와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부(60)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콜링부(61), 메일링부(62)와 등록/색인부(63)를 포함한다.
상기 콜링부(61)는 사용자인 발신자가 인터넷을 통해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고, 메일링부(62)는 전자메일을 작성하고 이를 송신하거나 수신된 메일을 검색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며, 등록/색인부(6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새로운 인명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하고 그로부터 인명 목록을 검색하여 추출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상기 콜링부, 메일링부, 등록/색인부는 별도의 독립적인 하드웨어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역할에 따른 기능적인 구분을 나타낸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상기 콜링부, 메일링부, 등록 및 색인부 등은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의 상호 동작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콜링부(61)는 인터넷을 통한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폰 프로그램(예를 들어, 보컬텍사의 Internet Phone 4.5, 넷스케이프의 CoolTalk, WebPhone, DigiPhone, TeleVox 등의 기능을 가진 응용 프로그램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과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신호를 압축하거나 제어하여 이를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론, 이러한 기능이나 동작은 콜링부 자체만이 아닌 제어부와 컴퓨터의 기타 제어 및 운용수단의 상호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의미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콜링부는 또한 '콜링수단'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에서는 콜링부, 메일링부 및 등록/색인부가 발신자단말(10)에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것은 물리적 또는 공간적인 구분을 의미하지 않으며 발신자 단말에 의해 상기 콜링부, 메일링부 및 등록/색인부로 억세스가능하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모니터(12)에 표시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리젠테이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프레젠테이션은 크게 프레임필드(70)와 목록필드(8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필드'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된 선이나 색의 경계에 의해 구분되는 2차원적 영역을 가리킨다.
상기 프레임필드(70)는 고정필드로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버튼들이 나열되는 영역이고, 상기 목록필드(80)는 변동필드로서 본 발명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전화 및 전자메일을 보낼 상대방의 인명 목록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명 목록 정보'란 수신자의 성명과 함께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상대방 PC단말기 식별주소 등을 포함하는 단위 정보로서 텍스트와 아이콘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인명 목록의 기본 정보로서 구체적인 예를 들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거나/할 수 있는 통신수단의 식별번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인명 목록별로 색인된 데이터를 보여주는 색인버튼(71)과, 신규 인명 목록을 등록할 수 있는 등록버튼(72)과, 등록된 인명 목록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버튼(73)이 구비된다. 상기 색인버튼(71), 등록버튼(72) 및 검색버튼(73)은 등록/색인부(도 2의 63)의 동작과 연동된다. 이 밖에도,다시 읽기를 하는 다시읽기버튼(74)이나 도움말 버튼(75)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주 통화를 하거나 선호하는 인명 목록은 선호목록에 추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선호목록버튼(7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목록필드(80)에는 상기 색인버튼(71)에서 지정된 색인에 따른 인명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인명 목록의 디스플레이는 성명(81)과 접속아이콘(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아이콘(82)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수단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 집전화번호를 상징하는 아이콘(83)(이하 '집 아이콘'이라 함), 회사전화번호를 상징하는 아이콘(84)(이하 '회사 아이콘'이라 함), 이동전화번호를 상징하는 아이콘(85)(이하 '이동전화 아이콘'이라 함), 전자메일을 상징하는 아이콘(86)(이하 '메일 아이콘'이라 함), PC 대 PC 방식에 의한 전화 통화에 필요한 상대방 단말기 식별주소를 상징하는 아이콘(87)(이하 'PC아이콘'이라 함)을 포함한다.
상기 접속아이콘(82)들은 각각 그 기능별 통신수단을 실행시키기 위한 수단과 연동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집 아이콘(83), 회사 아이콘(84), 이동전화 아이콘(85) 및 PC아이콘(87)은 인터넷을 통해 상호 전화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콜링부(도 2의 61)와 연동하며, 상기 메일 아이콘(86)은 전자메일을 작성하고 송수신하기 위한 메일링부(62)와 연동한다. 또한, 상기 접속 아이콘(82)들과 관련된 인명 목록 정보, 즉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PC식별주소 등은 성명과 함께 수신자별로 색인되어 상기 저장부(60)에 격납된다.
또한, 상기 접속아이콘(82)의 일측에는 편집아이콘(88)과 선호목록추가 아이콘(8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집아이콘(88)은 인명 목록의 전화번호, 전자메일 주소와 같은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선호목록추가 아이콘(89)은 특히 자주 사용되거나 특별히 관리하고자 하는 인명 목록을 선호목록에 추가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 밖에도, 목록필드(8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인명 목록의 페이지를 전환하는 페이지아이콘(80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발신자가 직접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를 시도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 입력버튼(90), 전화걸기버튼(91), 전화끊기버튼(92)과 함께 전화번호 입력이나 다이얼링 상태를 표시하는 다이얼링 필드(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화>
사용자 또는 발신자가 상대방 수신자를 찾기 위해 프레임필드(70)에 마련된 색인버튼(71)을 클릭한다. 상기 색인버튼(71)은 영문 또는 국문 알파벳 순서에 따라 구분되어 있으며 발신자는 수신자의 성명 이니셜에 해당하는 색인버튼을 클릭할 수 있을 것이다.
발신자가 색인버튼(71)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등록/색인부(63)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인명 목록 정보로부터 해당하는 인명 목록 정보를 추출하여 모니터(12)로 전송하고 이것은 목록필드(8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인명 목록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자 성명과 함께 집 아이콘(83), 회사아이콘(84), 이동전화 아이콘(85), 메일 아이콘(86) 및 PC아이콘(87)의 접속아이콘을 포함한다.
발신자가 수신자의 집으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 위에서 디스플레이된 인명 목록에서 원하는 수신자를 찾아 해당하는 집 아이콘(83)을 클릭한다. 그러면, 집 아이콘(83)과 연동되어 있는 콜링부(61)가 동작하여 저장부(60)에 기억된 해당 수신자의 집전화번호를 추출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통화연결중임을 알리는 별도의 윈도우창이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콜링부(61)는 수신자 호출정보를 네트워크(20)를 통해 웹폰서버(21)로 전송하고 웹폰서버(21)는 해당 수신자의 게이트웨이(30)를 경유해 공중전화망(31)과 연결된 수신자 단말(40)에 호를 전송한다. 이에 대해 수신자가 응신하면 발신자는 헤드셋(13)을 이용해 통화를 하게 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헤드셋을 통해 입력된 발신자의 음성은 사운드 콘트롤러(52) 및 콜링부(61)에서 처리되어 인터넷 통화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다.
만약, 발신자가 수신자의 회사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회사 아이콘(84)을 클릭하게 되고, 이후에 회사전화로 호을 전송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발신자가 수신자의 이동전화로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이동전화 아이콘(85)을 클릭하게 되고, 이와 연동된 콜링부(61)로부터 통화요청정보를 수신한 웹폰서버(21)는 게이트웨이(30)와 이동통신망(32)을 경유하여 수신자 단말(41)에 호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발신자가 수신자와 PC 대 PC 방식의 통화를 원할 경우에는 PC아이콘(87)을 클릭한다. 이에 따라, 콜링부(61)가 저장부(60)에 저장된 해당 수신자의 PC식별주소를 추출하여 그에 따라 수신자의 PC단말(11)로 호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통화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인터넷 통화를 할 경우, 발신자는 단 한 번의 동작으로 수신자와 곧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화번호를 입력한다거나 인터넷폰 프로그램을 별도로 실행시킬 필요가 없다.
이번에는, 발신자가 전자메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메일 아이콘(86)을 클릭한다. 그러면, 이와 연동되는 메일링부(62)가 동작하여 메일 작성 및 송수신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프로그램의 실행은 예컨대, 아웃룩익스프레스(Outlook express)와 같은 메일 작성 윈도우창(미도시)으로 제공된다. 이에 대해 발신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작성한 후 예컨대, '메일보내기' 버튼(미도시)을 클릭하면 메일링부(62)는 메일 데이터를 메일서버(22)의 수신자 주소로 예컨대, SMTP프로토콜로 전송하며, 수신자는 이것을 예컨대, POP3프로토콜 방식으로 수신하여 읽게 된다.
선택적으로, 발신자는 전화번호 입력버튼(90)을 클릭하여 다이얼링 필드(93)에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한 후 전화걸기(91) 버튼을 눌러 전화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데 이것은 통상적인 방식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명 목록 정보의 등록>
사용자가 새로운 인명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등록버튼(72)을 클릭한다. 그러면, 이와 연동된 등록/색인부(63)가 동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입력창을 모니터(12)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성명, 집전화번호, 회사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와 같은 인명 목록 정보를 입력한 후, 확인버튼(94)을 클릭하고, 이에 따라 등록/색인부(63)는 입력된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인명 목록 정보의 수정 및 삭제>
이미 등록된 인명 등록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목록필드(80)의 해당 인명 목록 측면에 표시된 편집아이콘(88)을 클릭한다. 그러면, 등록/색인부(63)가 모니터(12) 상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집창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를 수정한 후 수정버튼을 클릭하거나 해당 인명 목록 정보의 삭제를 원하면 삭제버튼을 클릭한다. 이에 따라, 등록/색인부(63)는 수정 입력된 내용으로 저장부(60)의 인명 목록 정보를 갱신하거나 해당하는 정보를 삭제하게 된다.
<인명 목록 정보의 검색>
만약, 성명이나 전화번호 또는 메일주소 등의 키워드로 수신자를 검색해야 할 경우, 프레임필드(70)의 검색버튼(73)을 클릭한다. 그러면, 등록/색인부(6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창을 모니터(12)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대해, 사용자가 ID, 성명, 전화번호 등의 연관된 키워드를 입력한 후 검색버튼을 누르면, 등록/색인부(63)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인명 목록 정보를 서치하여 해당하는 인명 목록을 디스플레이 한다. 검색된 인명 목록은 목록필드(80)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선호 목록 등록>
사용자가 자주 통화하거나 특별히 관리해야 할 수신자의 인명 목록은 선호목록으로 특별히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목록필드(80)에 디스플레이된 인명 목록 중에서 선호하는 수신자를 선택하여 그 일측에 표시된 선호목록추가 아이콘(89)을 클릭한다. 그러면, 등록/색인부(63)는 해당 인명 목록 정보를 별도의 선호목록에 추가하여 그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
만약, 발신자가 선호목록에 등록된 수신자와 통화를 원할 경우, 선호목록버튼(76)을 클릭하면, 등록/색인부(63)는 선호목록에 등록된 인명 목록 정보를 목록필드(80)에 나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의 동작들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보기로 한다.
발신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에 대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버튼을 클릭하면(단계 S100), 제어부(50)는 이것이 입력버튼인지 아니면 동작버튼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10).
만약, 입력버튼 신호라면 이것은 발신자가 전화번호 입력버튼(90)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므로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120). 이어서, 전화번호 입력후 발신자가 전화걸기버튼(91)을 클릭하면(단계 S121), 콜링부(61)는 입력된 전화번호의 수신자 단말로 전화를 연결하고(단계 S122) 통화를 가능케한다(단계 S123).
상기 단계 S110에서 입력된 신호가 동작버튼 신호라면, 제어부(50)는 이것이인터넷을 통한 전화를 요청하는 신호인지, 다시 말해 집 아이콘(83), 회사 아이콘(84) 및 이동전화 아이콘(85)를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130), 만약 그렇다면 콜링부(61)에 의해 해당 수신자 단말로 전화를 연결하여(단계 S131)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단계 S132).
만약 단계 S130에서 통화요청 신호가 아니라면, 전자 메일 요청신호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40), 그렇다면 메일링부(62)의 동작에 의해 메세지를 작성하여(단계 S141) 이를 전송한다(단계 S142).
상기 단계에서 만약 전자 메일 요청 신호가 아니라면, PC 대 PC 방식의 전화통화 요청인지를 판단하고(단계 S150), 만약 그렇다면 콜링부(61)의 작동으로 수신자 단말의 PC와 연결되어(단계 S151) 통화를 하게 된다(단계 S152).
상기 단계 S150에서 만약 PC 대 PC 통화 요청이 아니라면, 등록버튼(72)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60), 만약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가 동작하여 등록창을 제공하고(단계 S161), 발신자는 인명 목록 정보를 입력하고(단계 S162), 입력된 정보는 저장부(60)에 저장 등록된다(단계 S163).
상기 단계 S160에서 만약 등록버튼(72)의 클릭이 아니라면, 편집버튼(88)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70), 만약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가 편집창을 제공하고(단계 S171), 발신자가 수정 또는 삭제 요구에 따라 인명 목록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한다(단계 S172).
상기 단계 S170에서 만약 편집버튼(88)의 클릭이 아니라면, 검색버튼(73)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80), 만약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가 검색창을제공하고(단계 S181), 발신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따라서 요구하는 인명 목록을 검색한다(단계 S182).
상기 단계 S180에서 만약 검색버튼(73)의 클릭이 아니라면, 색인버튼(71)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190), 만약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가 저장부(60)로부터 해당하는 인명 목록 정보를 추출하여 목록필드(8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91).
또한, 상기 단계 S190에서 색인버튼(71)의 클릭이 아니라면, 선호목록추가 아이콘(89)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200), 만약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가 해당하는 인명 목록 정보를 선호목록에 추가한다(단계 S201).
만약 상기 단계 S200에서 선호목록추가 아이콘(89)의 클릭이 아니라면, 선호목록버튼(76)을 클릭하였는지를 판단하고(단계 S210), 그렇다면 등록/색인부(63)의 동작에 따라 선호목록이 목록필드(80)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단계 S22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르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툴을 통합하여 제공하며, 사용자는 단지 한 번의 동작에 따라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각각의 통신툴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들을 별도로 실행시키기 위한 번거로운 동작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통합된 통신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알파벳 순으로 인명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색인버튼(71)이 마련되는 프레임필드(70)와, 상기 색인버튼의 클릭에 따라 수신자의 성명과 함께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에 접속가능한 복수의 접속아이콘(82)으로 구성된 인명 목록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필드(80)로 구성되어,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젠테이션;
    상기 수신자의 성명별로상기 접속아이콘(82)과 연관된 수신전화번호 및 전자메일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상기 수신자의 수신전화번호로 통화신호를 전송하여 개통시키는 콜링수단;
    상기 접속아이콘과 연동되어 전자메일 작성창을 제공하고, 작성된 전자메일을 상기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로 전송하는 메일링수단; 및
    상기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색인버튼(71)과 연동되어 저장된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목록필드(80)에 제공하는 등록/색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아이콘(82)은,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집으로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집 아이콘(83);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회사로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회사 아이콘(84);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이동전화와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이동전화 아이콘(85);
    상기 메일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전자메일 주소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전송시키는 메일 아이콘(86); 및
    상기 콜링수단과 연동되어 수신자의 PC단말기와 전화통화를 연결시키는 PC아이콘(8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등록버튼(72)이 구비되고, 상기 등록/색인수단은 등록버튼을 클릭할 경우 이와 연동되어 등록창을 제공하며 입력된 등록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검색버튼(73)이 구비되고, 상기 등록/색인수단은 검색버튼을 클릭할 경우 이와 연동되어 검색창을 제공하며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상기 저장부로부터 인명 목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필드(80)에는 상기 인명 목록별로 편집아이콘(88)이 구비되고, 상기 등록/색인수단은 편집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이와 연동되어 편집창을 제공하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인명 목록 정보를 수정하거나 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필드(80)에는 상기 인명 목록별로 선호목록 추가아이콘(89)이 구비되고, 상기 등록/색인수단은 선호목록추가 아이콘을 클릭할 경우 해당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선호목록에 추가하며,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상기 선호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선호목록버튼(7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버튼(90);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시도하기 위한 전화걸기버튼(91); 및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과 통화상태를 표시하는 다이얼링필드(9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8. 알파벳 순으로 인명 목록을 선택할 수 있는 색인버튼(71)이 마련되는 프레임필드(70)와, 상기 색인버튼의 클릭에 따라 수신자의 성명과 함께 인터넷을 통한 전화통화 및 전자메일을 포함하는 통신수단에 접속가능한 복수의 접속아이콘(82)으로구성된 인명 목록 정보가 표시되는 목록필드(80)로 구성된 프레젠테이션을 사용자 단말의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발신자가 상기 전화통화를 위한 접속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콜링수단에 의해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로 통화신호를 전송하여 개통시키는 단계;
    발신자가 상기 전자메일전송을 위한 접속아이콘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메일링수단에 의해 해당 수신자의 전자메일주소로 전자메일을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및
    발신자가 상기 색인버튼(71)을 클릭하면 이와 연동되는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해당하는 인명 목록 정보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목록필드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등록/색인수단에 연동되는 등록버튼(72)이 구비되고,
    상기 등록버튼에 연동된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등록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창에 입력된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필드(80)에는 상기 인명 목록별로 편집아이콘(88)이 구비되고,
    상기 편집아이콘에 연동된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편집창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집창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인명 목록 정보를 수정하거나 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필드(80)에는 상기 인명 목록별로 선호목록 추가아이콘(89)이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필드(70)에는 선호목록버튼(76)이 구비되어,
    상기 선호목록 추가아이콘을 클릭하여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해당 인명 목록 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선호목록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호목록버튼을 클릭하여 등록/색인수단에 의해 선호 인명 목록을 상기 목록필드(80)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10014499A 2001-03-21 2001-03-21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KR20010067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99A KR20010067763A (ko) 2001-03-21 2001-03-21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99A KR20010067763A (ko) 2001-03-21 2001-03-21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763A true KR20010067763A (ko) 2001-07-13

Family

ID=1970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99A KR20010067763A (ko) 2001-03-21 2001-03-21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77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909A1 (ko) * 2014-08-04 2016-02-11 티더블유모바일주식회사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33A (ko) * 1996-11-07 1998-08-05 양승택 자바 애플릿을 이용한 인터넷 폰으로 웹 브라우저 내에서 전화를 거는 방법
KR20000030842A (ko) * 2000-03-21 2000-06-05 이호철 통신관련 개인정보의 집중 관리 및 제공 방법과 그 방법을이용한 통합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37083A (ko) * 1999-10-13 2001-05-07 강상훈 다기능 통합 단말 장치
KR20010082789A (ko) * 2000-02-21 2001-08-31 김형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9874A (ko) * 2000-06-03 2001-12-12 구자홍 인터넷 상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533A (ko) * 1996-11-07 1998-08-05 양승택 자바 애플릿을 이용한 인터넷 폰으로 웹 브라우저 내에서 전화를 거는 방법
KR20010037083A (ko) * 1999-10-13 2001-05-07 강상훈 다기능 통합 단말 장치
KR20010082789A (ko) * 2000-02-21 2001-08-31 김형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0842A (ko) * 2000-03-21 2000-06-05 이호철 통신관련 개인정보의 집중 관리 및 제공 방법과 그 방법을이용한 통합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109874A (ko) * 2000-06-03 2001-12-12 구자홍 인터넷 상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1909A1 (ko) * 2014-08-04 2016-02-11 티더블유모바일주식회사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99032B2 (en) 2014-08-04 2020-06-30 Tw Mobile Co., Ltd. Connection ic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196B2 (en) Advanced voice and data operations in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US74505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elephone calls using a computer call assistant
US8184783B2 (en) User interface for integrating diverse methods of communication
US8626862B2 (en) Identifying people and available communication modes
US8606239B2 (en) Advanced voice and data operations in a dual-mode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US7558824B2 (en) Electronic mail (Email) Internet appliance methods and systems
US9100218B2 (en) Enhanced buddy list interface
US8077838B2 (en) Method and voice communicator to provide a voice communication
US8467505B2 (en) Voicemail filtering software
JP5048295B2 (ja)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端末におけるメッセージ表示方法
US20050048958A1 (en) Advanced voice and data operations in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US8635362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39449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媒体
US20070180067A1 (en) Method and computer for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node
KR20010067763A (ko) 인터넷 기반의 통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그 제공 방법
CA2618113C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lephony device
JP2001325186A (ja) 電子情報送信方法及び電子情報送信システム
CA2707734C (en) Advanced voice and data operations in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46086A (ko) 그룹 정보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