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735A -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735A
KR20160014735A KR1020160005866A KR20160005866A KR20160014735A KR 20160014735 A KR20160014735 A KR 20160014735A KR 1020160005866 A KR1020160005866 A KR 1020160005866A KR 20160005866 A KR20160005866 A KR 20160005866A KR 20160014735 A KR20160014735 A KR 20160014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group
acrylat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이길성
손호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735A/ko
Publication of KR2016001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20Book-e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5/0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 A47B65/10Book-trough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book-storing, e.g. book-ends adjus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고탄성 성능을 만족하고, 또한 저유전율의 점착제층을 실현할 수 있는 광학 투명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는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Optical Adhesive Composition having High Elastic And Low Dielectric Constant}
본 발명은 고탄성, 저유전율을 실현할 수 있는 점착제 및 당해 점착제로부터 얻어지는 광학 투명 점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광학 용도에 적합하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기나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등의 화상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입력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그 기능성에서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현재, 터치 패널용으로 사용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으로서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 기재나 유리에 투명 도전성 박막(ITO막)이 적층된 것이 많이 알려져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은, 다른 부재에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상기 점착제층으로서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탄성 성능을 만족하고, 또한 저유전율의 점착제층을 실현할 수 있는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점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광학 점착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탄소수 2 내지 24의 분기한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에 있어서, 단량체 성분은,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및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점착제 조성물은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율이 1*105 Pa 이하,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유전율이 3.2 이하의 특징이 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는 폴리올, 헥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점착제 조성물은 광경화성 단량체, 광 개시제, 자외선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의 주성분인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는, 장쇄의 분기한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와 장쇄의 직쇄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함유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제에 의하면, 상기 장쇄가 분기한 알킬기와 장쇄의 직쇄 알킬기의 작용에 의해, 저유전율 특성을 유지한 채 계면에 있어서의 탄성률, 응집력의 균형이 잡혀서 접착력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중대형 사이즈의 디스플레이용 광학점착제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는 광학 점착제 필름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착제층 또는 점착 시트가 사용되고 있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① Cover glass ② 접착제 ③ ITO 필름 및 glass ④ 접착제 ⑤ BLU unit
본 발명의 점착제는 탄소수 2 내지 24의 분기한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탄소수 2 내지 24의 직쇄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또한,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24의 분기한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에 관한 단독 중합체의 Tg는, -8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70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기한 알킬기는, 저유전율과 적당한 탄성률을 만족할 수 있는 점에서 탄소수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8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24의 분기를 갖는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스티릴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이소운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도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펜타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헥사데실아크릴레이트, 이소헵타데실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예시의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쇄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에 관한 단독 중합체의 Tg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독 중합체의 Tg가 -20℃ 이하의 저 Tg의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탄성률, 응집력의 균형이 잡혀서 접착력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또한,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는 응집력의 점에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쇄 알킬기는 탄소수 10 내지 18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10 내지 16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탄소수 10 내지 1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쇄 알킬기를 에스테르 말단에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a2)에 관한 단독 중합체의 Tg가 -30℃ 이하이어도, 탄소수가 7 이하이면 저유전율 특성을 만족하여 점착제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크지 않다.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형성하는 단량체 성분에는, 또한,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및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카르복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고, 특히 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있다. 이들 중에서도 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적합하다.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관능기를 갖고, 또한 에폭시기 또는 옥세탄기 등의 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탄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3-옥세타닐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타닐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틸옥세타닐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가 0℃ 이상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환상구조로서는, 질소 원자를 갖는 환상 구조, 지환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가 0℃ 이상인 단량체의 구체예로서는,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는 질소 원자를 갖는 환상 구조에 있어서의 응집성과 친수성의 작용에 의해, 저유전율화와, 내가습 신뢰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실현하는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 관능기를 갖고, 또한 환상 질소 구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환상 질소 구조는 환상 구조 내에 질소 원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N-비닐피롤리돈, N- 비닐-ε-카프로락탐,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딘, 비닐피라딘,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질소 함유 단량체 중에서도 락탐계 비닐 단량체가 유전율과 응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독 중합체의 Tg가 0℃ 이상인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탄소수 5 이상의 환상 구조를 갖는 지환구조 함유 단량체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지환 구조 함유 단량체로서는, (메타)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 등의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중합성의관능기를 갖고, 또한 지환 구조를 갖는 것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지환 구조는 환상의 탄화 수소 구조이며, 저유전율화의 관점에서 탄소수 8내지 20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0 내지 18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지환 구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들어 시클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HPMPA, TMA-2, HCPA등의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HPMPA, TMA-2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만 내지 20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만 내지 180만이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우레탄 폴리올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한 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레탄 폴리올은 폴리올,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중합한 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폴리올,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1차 중합하여 우레탄 폴리올을 제조하고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단량체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우레탄 폴리올은 우레탄 결합을 가지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다. 우레탄 폴리올은 과량의 폴리올과 상대적으로 소량의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및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되므로, 우레탄 결합과 함께 히드록시기를 갖는다. 우레탄 폴리올의 히드록시기는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와 중합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히드록시기, 비닐기를 갖게 된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천 - 5만이 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본 발명의 광학 점착제 조성물 중 40-93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우레탄 바인더의 주된 특성인 높은 연신율과 낮은 인장강도, 낮은 수축율의 값을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50-8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제조에서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가 될 수 있다.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는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중 0.4-1.0중량%로 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4-0.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에서, 폴리올,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 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당량 비율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들면, 폴리올: 알킬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기 및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1: 0.02 : 0.76 : 0.20의 당량 비율로 중합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범위 내에서 우레탄 바인더의 주된 특성인 높은 연신율과 낮은 인장강도, 낮은 수축율의 값을 보인다.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프렌계, 헥사메틸렌계 및 톨루엔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키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는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및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것은 아니다.
폴리올,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의 중합 반응은 통상의 중합 방법 예를 들면, 괴상 중합, 유화 중합, 현탁 중합 등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은 없다
중합 반응은 무 촉매 하에 또는 촉매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촉매를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촉매는 예를 들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DL), 트리에틸렌디아민(TEDA) 및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 대비 0.05~2 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이외에 광경화성 단량체, 광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지환족 고리를 갖는 단량체, 알킬기를 갖는 단량체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경화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및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성 단량체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중 5-4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상기 범위 내에서재료의 점도를 조절하여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며, 상기 범위내에서 낮은 수축율의 값을 보임. 바람직하게는,5-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서, 말단 또는 구조내에 히드록시기를 갖고 탄소수 2개 내지 10개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예를들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 (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라이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페인 디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테인 디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세인 디메탄올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광경화성 단량체 중 1-20중량%, 또는 1-1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알킬기를 갖는 단량체는 비환형인 탄소 1개 내지 20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또는 탄소수 C4-C20의 단일환 또는 복소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수 있다. 또는 지환족 고리를 갖는 단량체는 헤테로 원자 예를 들면, 질소, 산소, 황 등을 포함하는 단일환또는 복소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개 내지 20개의 복소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탄소수 C4-C6으로 질소, 산소, 황 등을 포함하는 단일환의 지환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일 모르폴린, 사이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환족 고리를 갖는 단량체는 광경화성 단량체 중 2-25중량%, 또는 2-1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예를 들면, β-카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비닐초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퓨마릭산, 말레인산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1종 이상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는 광경화성 단량체중 1-8중량%, 또는 1-6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광 개시제는 150-500nm의 자외선 파장대에서 우수한 광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있다. 예를 들면, α-히드록시케톤계열 및 페닐글리옥실레이트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페닐 케톤, 옥시페닐아세트산 2-[2-옥소-2-페닐아세톡시에톡시]-에틸 에스테르, 벤조페논, 4-페닐 벤조페논, 히드록시 벤조페논, 아크릴화 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4,6-트리클로로-s-트리아진, 2-페닐-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3', 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벤조인 또는 벤조인 메틸 에테르 등을 사용할수 있다.
광 개시제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중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UV 노광시 경화후 필름이 높은 연신율과 낮은 인장강도, 낮은 수축율의 값을 보인다.
자외선 흡수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광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및 트리아진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자외선 흡수제는 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벤젠 프로판산의 탄소수 7개-9개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에스테르, 2-(벤조트리아졸-2-일)-4-(2,4,4-트리메틸펜탄-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4-히드록시벤조페논, 2,4-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2,4-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2,4-디페닐-6-(2-히드록시-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에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디페닐-6-(2-히드록시-4-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또는 2,4-디페닐-6-(2-히드록시-4-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중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1-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화후 필름의 표면의 황변을 방지할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여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화합물, 퀴논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및 포스파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스(2,4-디-터트-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중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경화후 필름의 경시를 방지하며,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 될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조예 :1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의 제조
교반 블레이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이소데실메타크릴레이트(ID) 70중량부,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MA) 20중량부, N-비닐-ε-카프로락탐(NVC) 10중량부,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HBA) 10중량부,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중량부를 아세트산 에틸 110중량부와 함께투입하고, 서서히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해서 1시간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2℃ 부근으로 유지해서 15시간 중합 반응을 행하여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의 제조
2L의 4구 플라스크에 폴리프로필렌디올 80g, 1,4-부탄디올 10g을 먼저 투입하고, 한쪽에는 환류 냉각기를, 다른 한쪽에는 온도계를, 또 다른 한쪽에는 드롭핑 펀넬을 설치하였다. 플라스크 용액의 온도를 60℃로 높인 후, 톨루엔에 10% 농도로 희석된 DBTDL(dibutyltin dilaurate) 1.3g을 투입하였다. 순차적으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6g,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릭 트라이머(HDI trimer, DESMODUR N-3300, 바이엘) 0.7g을 투입하고 75℃에서 반응시켰다. IR기로 잔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없어짐을 확인하고, 50℃로 온도를 낮춘 후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MOI) 1g을 투입하였다. 50℃에서 2시간 유지 후 IR기로 잔류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없어짐을 확인함으로써,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광경화성 단량체: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IBXA), 아크릴로일 모폴린(ACMO)
광 개시제: Irgacure 184, Irgacure 754, Irgacure TPO
자외선 흡수제: Tinuvin 384-2
산화 방지제: Irganox 1010
실시예 1-3 :광학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1시간 이상 교반하여 광학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2:광학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으로 각 성분을 혼합하고 1시간 이상 교반하여 광학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 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예1
(ID/LMA/NVC/HBA=
70/20/10/10)
39 52 26 78  
우레탄 (메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예2 39 26 52   78
광경화성 단량체 IBXA 4.2 4.2 4.2 4.2 4.2
ACMO 3 3 3 3 3
2-HEMA 3 3 3   3
4-HBA 9 9 9 9 9
광개시제 Irgacure 184 1 1 1 1 1
Irgacure 754 1 1 1 1 1
IrgacureTPO 0.4 0.4 0.4 0.4 0.4
자외선흡수제 Tinuvin 384-2 0.2 0.2 0.2 0.2 0.2
산화방지제 Irganox 1010 0.2 0.2 0.2 0.2 0.2
실험예: 광학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유전율 : 이형 PET필름위에 두께 150μm로 코팅하여 3000mJ/cm2 으로 경화 후 점착제 층을 형성하였다. 당해 적층 점착제층을, 3oz 동판과 12.1mmΦ, 0.5mm 두께의 알루미늄판 전극의 사이에 끼워 Agilent Technologies 4294A 장치로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JIS K 6911에 준하여 유전율을 측정하였다.
모듈러스 : KS 0000 방법으로 시편제작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형 PET필름위에 두께 150μm로 코팅하여 3000mJ/cm2 으로 경화 후 Instron Series 1X/s Automated materials tester-3343을 사용하여 시편이 파단될 때의 거리로 신율을 측정하였으며, 이때의 모듈러스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경화수축율 :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점착제 조성물의 액상비중을 측정하고, 이형 PET필름위에 두께 150㎛로 코팅하고 3000mJ/cm2으로 경화시켜 고체비중을 측정한다. 측정기기는 디지털 비중계로 MD-300S(MIRAGE사)로
사용하였다. 하기 식 1에 의해 경화수축율을 측정한다.
<식 1>
경화수축율 = [(1/액상비중)-(1/고체 비중)]/(1/액상비중)
접착력 : 유리와 유리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한다. 접착력 측정기인 Dage series 4000PXY로 25℃에서 200kgf의 힘으로 상부 유리를 측면에서 밀어 박리되는 힘을 측정하였다. 하부의 유리는 크기를 2cm x 2cm x 1mm로 하였고, 상부 유리는 크기를 1.5cm x 1.5cm x 1mm로 하였으며, 광학 점착제 조성물의 두께는 150㎛로 하였다.
연신율 : KS 0000 방법으로 시편 제작 및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형 PET 필름 위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광학 점착제 조성물을 150㎛ 두께로 코팅하고 3000mJ/cm2으로 경화시킨 후 Instron series IX/s Automated materials Tester-3343을 사용하여 시편이 파단될 때의 거리를 신율로 측정하였다.
가시광선 투과율 : NDH-5000(Nippon Denshoku) 기기로 측정하였다.
헤이즈 : NDH-5000(Nippon Denshoku) 기기로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유전율(Dielectric Constant) 2.93 2.84 3.32 2.71 3.37
접착력(kgf/cm2) 9.1 7.2 10.5 6.4 14
모듈러스(@25℃, G', Pa) 6*104 2*105 3*104 5*105 8*103
경화수축율(%) 1.1 1.3 1.2 1.4 1.1
연신율(%) 250 260 250 270 230
전광선투과율(%) 92.7 92.6 92.7 92.5 92.7
헤이즈(%) 0.3 0.3 0.3 0.3 0.3
상기 표 2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 접착제 조성물은 저유전율 및 고탄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4)

  1.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와 우레탄 (메타)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고, 경화성 단량체, 광 개시제,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단량체 성분이 히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환상 에테르기 함유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중합체는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를 중합한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광학 부재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로부터 얻어지는 탄성율이 1.0*105 Pa 이하 이고, 주파수 100kHz에 있어서의 유전율이 3.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 지지체의 적어도 편측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시트로 형성된 디스플레이용 장치
KR1020160005866A 2016-01-18 2016-01-18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KR20160014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66A KR20160014735A (ko) 2016-01-18 2016-01-18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866A KR20160014735A (ko) 2016-01-18 2016-01-18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735A true KR20160014735A (ko) 2016-02-11

Family

ID=5535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866A KR20160014735A (ko) 2016-01-18 2016-01-18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73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899A3 (ko) *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조성물
KR102229884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229883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229885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010296A1 (ko) * 2020-07-09 2022-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WO2022124685A1 (ko) * 2020-12-08 2022-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124686A1 (ko) * 2020-12-08 2022-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899A3 (ko) * 2016-04-12 2018-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 조성물
CN108350336A (zh) * 2016-04-12 2018-07-31 株式会社Lg化学 用于光学用途的粘合剂组合物
US10815406B2 (en) 2016-04-12 2020-10-27 Lg Chem, Ltd.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KR102229884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229883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2229885B1 (ko) * 2020-07-01 2021-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005139A1 (ko) * 2020-07-01 2022-01-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005138A1 (ko) * 2020-07-01 2022-01-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010296A1 (ko) * 2020-07-09 2022-01-1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점착 필름
WO2022124685A1 (ko) * 2020-12-08 2022-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WO2022124686A1 (ko) * 2020-12-08 2022-06-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4735A (ko) 고탄성 및 저유전율 특성을 갖는 광학 점착제 조성물
KR20120072163A (ko) Oca 필름용 광학 점착제 조성물
KR101566060B1 (ko)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JP5639448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KR101525997B1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62869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JP5406456B2 (ja) 電離放射線硬化性再剥離用粘着剤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8957156B2 (en) Optical adhesive composition for displays, optical adhesive film prepared from the same, and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US20150232707A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adhesive film, and touch panel
KR101459124B1 (ko) 광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846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시트
KR101411014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점착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TWI506112B (zh) 光可固化黏著劑組成物、包含該組成物之光學黏著劑膜、包含該組成物之顯示元件、以及使用該組成物之模組的組裝方法
CN110093111B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20120077916A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점착제 조성물
KR20190092246A (ko) 점착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67741A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점착제층, 광학 부재 및 화상표시장치
KR20170018828A (ko) 터치 패널용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 및 물품
KR101743499B1 (ko)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필름
KR101397698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17268A (ko) 점착 시트
KR20180036223A (ko)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점착 시트
KR101480177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점착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18808A (zh) 粘合片及其制造方法以及图像显示装置
KR101397695B1 (ko) 광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점착제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