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283A -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283A
KR20160014283A KR1020140096319A KR20140096319A KR20160014283A KR 20160014283 A KR20160014283 A KR 20160014283A KR 1020140096319 A KR1020140096319 A KR 1020140096319A KR 20140096319 A KR20140096319 A KR 20140096319A KR 20160014283 A KR20160014283 A KR 2016001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ormation
smart
weigh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452B1 (ko
Inventor
송유찬
박영식
박지호
김경호
황유민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45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부패 정도와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 식기의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신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모듈 및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부의 무게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계산된 상기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의 상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신호에 따라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음식물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하며,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A smart tablewar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부패 정도와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생활 용품에 전기, 전자 및 통신 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 그리고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의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사물 인터넷은 물건에 센서 등을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는 모든 사물에 전자태그 등을 부착하여 사물과 환경을 인식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정보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통신망을 뜻한다. 특히, 일상 생활 속에서 편의를 도모하거나 국민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물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개념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상기 사물 인터넷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에 의하면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물건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사소하게는 펜, 칫솔 등도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물건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정보, 물건이 사용되는 패턴 등의 정보들이 생성되고 공유될 수 있다. 건강과 안전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지금, 건강 및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물건들에 대해서도 사물 인터넷 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이어트는 국가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건강 관련 이슈다. 다이어트는 20 ~ 30년 전 처음 주목 받기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도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각종 제품들이 계속해서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이것은 삶의 질과 관련된 것으로 건강 관리를 통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운동을 통한 단순한 체중 조절 보다는, 몸에 좋은 음식물을 다양한 방법으로 섭취하는 ‘건강한 식습관’과 가벼운 운동을 병행하여 건강을 관리하는 각종 방법론이 대두되었다. 사람들은 서적이나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공유되고 있는 각종 건강 관리법들을 참조하거나 헬스장 등에서 제시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운동량이나 식사량을 조절하는데, 아직까지는 이것이 일반적인 건강 관리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IT 기술은 이미 우리의 일상 생활 전반에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만, 유독 건강 관련 분야에서만은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상기 사물 인터넷 또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가 우리 사회에 정착되어있지 않은 탓이다.
최근, 가속도 센서 등 각종 센서를 내장한 헬스케어(health care) 밴드(band) 제품들이 다수 출시되어있는데, 해당 제품은 단순하게 착용자의 운동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인근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방식에 그칠 따름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운동뿐만 아니라 ‘무엇을 얼마나 먹느냐’가 중요시되고 있는데, 아직은 이와 관련된 IT 제품이 없다. 식습관과 관련하여, 사람들은 그릇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양으로부터 대략적으로 섭취량을 판단하거나, 포장된 음식 외부에 표시된 영양 성분을 참조한다. 즉, 어떤 사람이 무엇을 얼마나 먹었는지 객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으며,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거나 관리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이에 더하여, 보관 중이거나 먹기 위해 식탁에 준비한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 있어서, 냄새를 맡거나 외형을 관찰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한다. 하지만 상기 두 가지 방법으로도 음식물이 상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며, 어떤 음식을 얼마나 오랫동안 보관했었는지도 확인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스마트 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 관리에 유용한 스마트 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 식기의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신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모듈; 및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부의 무게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계산된 상기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의 상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신호에 따라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음식물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하며,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종류와 음식물의 무게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물의 무게 정보로부터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을 연산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출력할 수 있으며, 외부의 단말기에게 상기 음식물 부패 정도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의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 통해 출력되는 스마트 식기 관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부패 정도와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스마트 식기(100)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음식물의 상태는 음식물의 부피 및 무게, 음식물의 부패 정도,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소 및 음식물의 염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110)는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부(110)는 무게 측정 모듈(112), 부패 감지 모듈(114), 염도 측정 모듈(116) 및 온도 측정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 측정 모듈(112)은 스마트 식기(100)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 측정 모듈(112)은 스마트 식기(100) 하부에 설치되는 전자식 저울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게 측정 모듈(112)은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어떤 음식물이 스마트 식기(100)에 담겨있는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을 사용자가 섭취함으로써 음식물의 무게가 변화될 수 있는데, 무게 측정 모듈(112)은 초기 상태의 음식물 무게와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후 남은 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음식물의 무게 변화도 별도로 측정 가능하다. 음식물의 무게 변화 정보는 차후 설명할 제어부(130)로 전송되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무게를 분석할 수 있다.
부패 감지 모듈(114)은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한다. 음식물은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라서 부패가 진행되는 속도가 다르며 음식물에 가해진 사람의 침 등의 성분 등에 의해서도 부패가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음식물은 별 다른 환경의 변화가 없더라도 공기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부패가 진행되고, 부패가 진행되는 동안 미생물이 급격하게 번식하거나 특정 화학 성분이 생성되거나 소멸되기도 한다.
보통의 경우, 음식물의 겉모양과 색, 그리고 냄새와 맛 등을 통해 음식물의 부패를 감지할 수 있다. 하지면 상기 방법은 부패를 확인하는 사람에게 생리적인 혐오감을 줄 수 있고, 특히, 직접 맛을 보는 경우 부패된 음식물에 포함된 독성에 의해 해를 입을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음식물의 부패가 음식물의 외형에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부패 감지 모듈(114)은 사람을 대신하여 객관적인 측정치로부터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부패 감지 모듈(114)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음식물이 어류나 육류인 경우, 부패가 시작되면 아민(Amine)이 포함된 화학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는데, 상기 아민 성분을 검출하는 검지기가 부패 감지 모듈(114)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부패 감지 모듈(114)의 일 실시예로, 상기 아민 성분의 변화에 따라 생성되는 암모니아를 검출하는 검지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의 부패가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되는데, 상기 미생물을 검출하거나 미생물이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및 독소 등의 성분을 검출하는 부패 감지 모듈(114)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부패 감지 모듈(114)은 전술한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염도 측정 모듈(116)은 스마트 식기(100)에 담긴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염도는 염분량이라고도 하며, 물 1kg에 함유되어있는 염류의 전량을 g(gram)으로 나타낸 것이다. 염분은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섭취해야 할 성분이지만, 염분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고혈압, 신장병 및 심장병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음식을 짜게 먹는 우리 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와 관련된 질병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최근 소금 등의 조미료의 사용을 줄이거나 싱겁게 먹는 방법으로 염분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기 염도 측정 모듈(116)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에 포함됨으로써, 스마트 식기(100)는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섭취한 염분량을 확인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염분은 염분을 포함하는 물체의 전기 전도도와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염도 측정 모듈(116)은 음식물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함으로써 음식물의 염도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온도 측정 모듈은 스마트 식기(100)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음식물은 최상의 맛을 내는 온도가 각기 다르며, 각 음식물을 보관할 때 유지해야 할 온도도 다르다. 또한, 음식물은 온도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빙과류를 상온에 둘 경우 녹아서 액체 상태로 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빙과류가 부패한 것은 아니지만 섭취하기가 곤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도는 음식물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가 온도 측정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음식물의 부패 상태와 음식물의 섭취 가능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측정 모듈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전기 저항값이 변하는 소자를 이용한 전자식 온도계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부패 정도, 염도, 온도 등의 정보는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종류 정보, 음식물의 열량 정보 및 음식물의 영양 성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부(120)가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에서 생성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스마트 식기(100)는 상기 정보를 내부 연산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스마트 식기(100)가 감지부(110)와 통신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사물 인터넷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스마트 식기(100)에서 생성된 정보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될 수 있고, 네트워크 상의 정보가 스마트 식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2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외부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나 PC 등의 디지털 기기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와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지만 유선을 통한 통신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120)는 전력 소모가 적은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등의 방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0)는 스마트 식기(100)의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정보들과 상기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연산 결과에 기초한 각 부의 처리 신호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감지부(110)의 무게 측정 모듈(112)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100)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부(140)를 통해 상기 계산된 상기 열량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에 전송될 수도 있다. 스마트 식기(100) 사용자는 각 스마트 식기(100)에서 출력되는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자신의 식단 및 열량 섭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스마트 식기(100)에서 전송된 음식물 열량 정보로부터 매 식사 때 준비된 음식물의 총 열량을 용이하기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110)는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음식물의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무게 변화와 상기 열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을 계산하고, 출력부(140)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 정보는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각 스마트 식기(100)에서 생성된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섭취 열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100) 사용자는 각 스마트 식기(100)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총 열량과 자신이 섭취한 열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자신의 건강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영양 성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며,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성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게 변화와 상기 영양성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양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섭취한 영양성분의 양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100)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이 섭취한 영양성분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이 과다 섭취하고 있는 영양성분과 적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성분을 판별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100)를 제조할 때, 스마트 식기(100)의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 또는, 저전력 설계를 위해 제어부(130)의 성능을 낮출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의 연산 능력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고, 외부 단말기는 상기 음식물 무게에 기초한 열량 및 영양 성분을 연산한 뒤 이를 다시 스마트 식기(100)로 보낼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단순한 형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감지부(120)를 통해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음식물이 부패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출력부(140)를 통해 음식물이 부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정보를 통해 부패된 음식물을 구별할 수 있고, 해당 음식물을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냉장고 등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음식물이 스마트 식기(100)에 최초로 담긴 시간과 그때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30)는 감지부(110)의 무게 측정 모듈(112)을 통해 음식 물의 수납으로 인한 무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무게 변화가 발생된 시점을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130)가 시간을 확인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음식물 종류 정보와 상기 경과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음식물이 담긴 시간, 상기 경과된 시간,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어떤 음식물은 오랫동안 보관된 경우 비록 부패되지는 않았으나 섭취하기가 어려운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빵을 스마트 식기(100)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빵의 경우 저온 상태에서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보관할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빵의 수분이 사라져 먹기 힘든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스마트 식기(100)에 담긴 음식물이 빵이고 저장 기간이 15일이 지났음을 판별할 수 있고, 상기 빵의 상태가 이제는 먹기가 곤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처리 신호를 통신부(120)나 출력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빵이 보관된 지 5일이 지나는 시점에서 이를 알리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120) 및 출력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식기(100)의 출력부(140) 또는 자신이 사용하는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전송된 음식물이 담긴 시간과 보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음식물의 상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기 음식물의 저장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감지부(110)를 통해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음식물의 무게가 변화된 시간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음식물 무게의 변화량과 상기 음식물의 무게가 변화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음식물 섭취 패턴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음식물 섭취 패턴 정보를 스마트 식기(100)의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누적된 음식물 섭취 패턴 정보로부터 자신의 식습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관리에 활용할 수도 있다.
감지부(110)가 스마트 식기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110)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와 음식물이 상기 온도 변화에 노출된 시간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상기 음식물이 담긴 시간, 상기 경과된 시간,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은 온도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음식물이 노출된 온도에 따라서 음식물의 상태가 바뀔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음식물에 가해진 온도의 변화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음식물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가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 모듈(116)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음식물 종류 정보, 상기 감지부(110)에서 측정된 음식물 무게 정보 및 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식기(100)에 담긴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의 함량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출력부(140)를 통해 상기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 정보로부터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염분 섭취량을 조절하여 각종 질병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30)의 처리 신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음식물의 무게,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영양성분, 염도, 스마트 식기(100)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음식물의 부패 정도, 음식물 보관 시작 시간 및 음식물 보관 기간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하지만 출력부(140)가 출력할 수 있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출력부(140)는 상기 정보들을 빛, 소리, 동력을 이용한 진동 등의 방식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CD 패널이나 LED 전구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출력부(140)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 식기(100)는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는 빛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 전지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100)는 전술한 각 부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식기(100)의 감지부(110)가 다양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스마트 식기(100)의 목적에 따라서 부패 감지 모듈(114)만 포함하는 감지부(110)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는 무게 측정 모듈(112)만 포함하는 감지부(110), 통신부(120) 및 제어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인 자신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식기(100)의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된 음식물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그와 관련된 열량 및 영양성분 섭취 정보도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스마트 식기(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1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다양한 음식물을 담고 있는 복수의 스마트 식기(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와 상기 복수의 스마트 식기와 통신하는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 사물 인터넷 환경(1000)이 구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마트 식기(100a, 100b, 100c, 100d, 100e, 100f)는 접시, 육면체 형태의 통, 원기둥 물통 형태 등 다양한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에서 좌측의 5 개의 스마트 식기(100a, 100b, 100c, 100d, 100e)는 냉장고 등의 저장 공간(a) 내부에 적재된 상태이고 우측의 한 스마트 식기(100f)는 식탁 등 열린 공간(b)에 놓인 상태이다. 각 스마트 식기들은 고유의 식별 정보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다.
스마트 식기 사용자는 각 스마트 식기(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각 출력부(140a, 140b, 140c, 140d, 140e, 140f)를 통해 파악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는 저장 공간(a) 내부에 보관 중인 음식물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저장 공간(a)에 접근하여 문을 여는 행위를 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단지 외부 단말기(200)를 조작함으로써 원격으로 저장 공간(a) 내부의 음식물의 상태와 보관 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식사 때 스마트 식기(100f)에 음식물을 담음으로써 즉각적으로 해당 음식물의 부패 정도,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하면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정보와 열량 및 영양성분 정보가 자동적으로 외부 단말기(200)로 전송되어 기록된다. 사용자는 언제라도 자신의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서 자신의 식습관과 영양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 관리에 매우 유용하다.
음식물 상태 정보,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 정보는 사용자가 허용하는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족들이 함께 사용하는 웹 사이트나 폐쇄형 SNS 커뮤니티 등에서 상기 정보들이 공유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족 모두의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각 가족 구성원들은 외부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이나 상기 온라인 상의 모임 공간에서 해당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와 외부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설사 서로 같은 장소에 있지 않아도 상호간 통신이 가능하며 각 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자유롭게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부인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200)를 통해 각 스마트 식기(100a, 100b, 100c, 100d, 100e, 100f)의 음식물들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보충이 필요한 음식물을 선별하여 해당 음식물만 구매하는 방식으로 쇼핑을 진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부족한 영양성분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것을 보충할 수 있는 음식물을 저녁 식사로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200)를 통하여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마트 식기들 중에서 자신이 찾길 원하는 음식물을 담고 있는 스마트 식기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200)의 조작을 통해 해당 스마트 식기의 출력부에서 빛을 발하거나 소리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200)를 통한 스마트 식기 작동 제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아직까지는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음식물의 종류를 즉각적으로 구별하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액체의 성분 분석을 통한 음료의 종류 판별을 생각해볼 수 있겠으나, 말 그대로 음식물 전체가 아닌 음료에 한정되며, 구별할 수 있는 음료의 종류 역시 매우 제한적이다. 다른 방식으로, 음식물 데이터 베이스와 영상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영상 패턴 분석을 통한 음식물의 종류 판별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구성을 식기라는 비교적 작고 저렴한 제품에 적용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무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종류 정보를 외부 단말기(200)에 입력하고 상기 음식물 종류 정보를 스마트 식기에 전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음식물의 종류에 따른 모든 열량 및 영양성분 정보를 직접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외부 단말기(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제 3의 단말기 또는 인터넷 서버 등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식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스마트 식기를 정해진 음식물만 수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외부 단말기(200)에서 해당 스마트 식기에 음식물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처음 한 번에 국한되며, 차후 수납할 음식물의 종류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스마트 식기는 추가적인 음식물 관련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스마트 식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100)의 출력부(14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스마트 식기(100)의 출력부(140)가 LCD 패널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부(140)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a)는 출력부(140)가 출력하는 스마트 식기의 기본 정보를 나타내며, 스마트 식기 식별 부호, 음식물 종류, 최초 보관 시간, 음식물 보관 기간, 음식물 부패 정도 및 염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출력부(140)가 출력하는 스마트 식기의 추가 정보를 나타내며, 음식물의 열량, 음식물의 무게 및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출력부(14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부(140)는 음식물의 영양성분, 사용자가 섭취한 영양성분, 스마트 식기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음식물의 섭취 가능 여부 등도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부(140)를 손으로 터치하거나 외부에 구비된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기본 정보 화면(도 3(a))과 추가 정보 화면(도 3(b))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식물의 상태와 음식물의 열량 및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 등의 정보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서도 스마트 식기에 출력된 것과 동일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240) 통해 출력되는 스마트 식기 관련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비되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복수의 스마트 식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각 스마트 식기에 보관되고 있는 음식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외부 단말기에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스마트 식기 정보를 확인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 출력부(240)의 주 화면(242)에서 각 스마트 식기의 식별 부호와 해당 스마트 식기에 보관중인 음식물의 종류, 보관 시작 시간, 보관 기간, 음식물의 부패 정도 및 음식물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240)의 화면 넘김 조작 단추(244)를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여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는 다른 스마트 식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등의 방식을 통해 각 정보의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 등의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240)를 조작함으로써 각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 식기 식별 부호 003에 해당하는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멈추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240)를 조작함으로써 음식물 종류 정보를 변경할 수 있고, 다른 인터넷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된 음식물 열량 및 영양성분 정보 각 스마트 식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스마트 식기 목록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스마트 식기들에 포함된 음식물 정보(248)와 시간별 각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그래프(246)로 나타낸 것이다. 도 4(b)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마트 식기 목록에서 스마트 식기 식별 번호 001, 002, 003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따라 해당 스마트 식기에서 보관중인 김치, 삼겹살, 미역국의 무게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손가락을 외부 단말기의 출력부(240)에 터치한 다음 각 손가락을 펼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그래프(246)의 무게 및 시간이 표시되는 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각 음식물 종류(248)을 터치하여 각 음식물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삼겹살이 부패된 것으로 나타나있는데, 사용자는 도 4(b)의 그래프(246)에서 상기 삼겹살이 언제부터 부패 상태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 상기 음식물의 상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처리 신호에 따라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단계(S120),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단계(S140) 및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들을 통해 음식물의 무게, 부패 정도 및 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는 스마트 식기에서 생성된 음식물 상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외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음식물 종류 정보, 음식물의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 정보를 스마트 식기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신호 생성 단계(S300)는 스마트 식기에서 감지한 음식물 상태 정보와 외부 단말기에서 전송된 음식물의 종류 정보, 음식물의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 정보를 참고하여 음식물의 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음식물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분석 및 처리 신호 생성 단계(S300)는 음식물의 무게에 기초한 음식물의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를 연산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열량, 영양성분 및 염도도 계산 가능하다. 정보 분석 및 처리 신호 생성 단계(S300)는 상기 정보들을 출력하거나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처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상기 정보 분석 및 처리 신호 생성 단계(S300)에서 생성된 처리 신호에 따라 스마트 식기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20)와 외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420)는 스마트 식기의 출력부를 통해 음식물의 상태, 열량, 영양성분, 염도,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 사용자가 섭취한 영양성분, 사용자가 섭취한 염도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40)는 스마트 식기의 통신부를 통해 음식물의 상태, 음식물의 무게에 기초한 열량, 영양성분, 염도,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 사용자가 섭취한 영양성분, 사용자가 섭취한 염도 정보 등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는,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에서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하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상기 계산된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에 의해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종류와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와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가 병렬 관계로 연결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 이후에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계산하며,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S400)는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섭취한 음식물의 열량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 유지를 위한 식단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음식물의 부패 정보를 측정하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부패 감지 단계에서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고,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상기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스마트 식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부패한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패한 음식을 즉각적으로 처분함으로써 냉장고 등의 음식물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에서 음식물의 무게 및 염도를 측정하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음식물 종류 정보,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 무게 정보 및 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상기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어 방법에 의하여, 최근 건강 관리를 할 때 중요시 되는 염분의 섭취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염분 섭취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식기의 감지부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무게가 변화된 시간을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00)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무게가 변화된 시간을 연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무게가 변화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분석하고,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S400)는 상기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에게 부족한 영양성분 및 열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속한 사람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 식기
110 : 감지부
120 : 통신부
130 : 제어부
140 : 출력부
200 : 외부 단말기
1000 : 사물 인터넷 환경

Claims (13)

  1.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마트 식기의 각 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처리 신호에 따라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모듈; 및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음식물의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부의 무게 측정 모듈에서 측정된 상기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계산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계산된 상기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무게 변화와 상기 열량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에 포함된 열량을 계산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성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무게 변화와 상기 영양성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양 계산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영양성분의 양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식물이 부패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이 부패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음식물이 스마트 식기에 최초로 담긴 시간과 그때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식물 종류 정보와 상기 경과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식물이 담긴 시간, 상기 경과된 시간,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음식물의 무게가 변화된 시간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음식물 무게의 변화량과 상기 음식물의 무게가 변화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음식물 섭취 패턴을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스마트 식기 내부 및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와 음식물이 상기 온도 변화에 노출된 시간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음식물의 부패 여부 및 섭취 가능 여부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음식물 종류 정보,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음식물 무게 정보 및 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의 함량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9.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식물의 상태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 신호에 따라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음식물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 측정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음식물 종류 정보 및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의 무게 정보와 상기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참조하여 스마트 식기에 담겨있는 음식물의 열량을 계산하며,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된 음식물의 열량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무게 변화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계산하며,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열량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는 부패 감지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의 부패 정보를 측정하며,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부패 감지 단계에서 측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음식물의 부패 여부를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 측정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의 무게 및 염도를 측정하며,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음식물 종류 정보,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측정된 음식물 무게 정보 및 염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분석하고,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염분 함량 정보 및 염분 과다 포함 여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는,
    스마트 식기에 담긴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무게가 변화된 시간을 연속적으로 감지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고 처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적으로 감지된 음식물의 무게 변화와 무게가 변화된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스마트 식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식물 섭취 패턴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식기 제어 방법.
KR1020140096319A 2014-07-29 2014-07-29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319A KR101687452B1 (ko) 2014-07-29 2014-07-29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319A KR101687452B1 (ko) 2014-07-29 2014-07-29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283A true KR20160014283A (ko) 2016-02-11
KR101687452B1 KR101687452B1 (ko) 2016-12-28

Family

ID=5535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319A KR101687452B1 (ko) 2014-07-29 2014-07-29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4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6407A1 (en) * 2019-05-22 2020-11-26 Mandometer Ab Risk assessment for suicide and treatment based on interaction with virtual clinician, food intake tracking, and/or satiety determination
KR20210051624A (ko) * 2019-10-31 2021-05-10 이은희 염분 섭취량 측정 기능을 가지는 식판
WO2021101093A1 (ko) * 2019-11-21 2021-05-27 삼성전자(주) 서빙플레이트, 그리고 이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462611B1 (ko) * 2021-12-09 2022-11-04 강산해 다기능 음료용기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495A (ko) 2019-10-04 2021-04-14 김준연 영상 기반 열량 측정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813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의 부패 확인 장치
KR20080009085A (ko) * 2005-03-22 2008-01-24 로렌스 케이츠 음식물 감시 시스템
KR20120058294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올바른 식습관과 식사량 조절 유도를 위한 식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813A (ko) * 2004-05-28 2005-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품의 부패 확인 장치
KR20080009085A (ko) * 2005-03-22 2008-01-24 로렌스 케이츠 음식물 감시 시스템
KR20120058294A (ko) * 2010-11-29 2012-06-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올바른 식습관과 식사량 조절 유도를 위한 식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36407A1 (en) * 2019-05-22 2020-11-26 Mandometer Ab Risk assessment for suicide and treatment based on interaction with virtual clinician, food intake tracking, and/or satiety determination
KR20210051624A (ko) * 2019-10-31 2021-05-10 이은희 염분 섭취량 측정 기능을 가지는 식판
WO2021101093A1 (ko) * 2019-11-21 2021-05-27 삼성전자(주) 서빙플레이트, 그리고 이를 원격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장치
KR102462611B1 (ko) * 2021-12-09 2022-11-04 강산해 다기능 음료용기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452B1 (ko)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7054B2 (en) Conditioner with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KR101926764B1 (ko) 영양 물질들을 위한 로컬 저장 및 컨디셔닝 시스템
US10209691B2 (en)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10207859B2 (en)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KR101687452B1 (ko) 스마트 식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215744B2 (en) Dynamic recipe control
US9069340B2 (en) Multi-conditioner control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US9564064B2 (en) Conditioner with weight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528972B2 (en) Dynamic recipe control
US9436170B2 (en) Appliances with weight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080997B2 (en) Local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8851365B2 (en) Adaptive storage and conditioning systems for nutritional substances
KR20160082701A (ko) 영양 물질들을 컨디셔닝하기 위한 다중-컨디셔너 제어
US20160350704A1 (en) Nutrition based food system and method
WO2015069950A1 (en)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WO20161410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od nutritional values
Kadomura et al. Sensing fork: Eating behavior detection utensil and mobile persuasive game
EP3068695A1 (en)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KR20120058294A (ko) 올바른 식습관과 식사량 조절 유도를 위한 식판
TW201618699A (zh) 用於控制脂肪攝取之飲食控制方法
WO2015195575A1 (en) Dynamic recipe control
CN211319727U (zh) 一种智能家庭健康饮食推荐系统
WO2018034800A1 (en) Dynamic recipe control
WO2015195573A1 (en) Multi-conditioner control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JP2020170415A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支援装置及び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