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94A -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94A
KR20160014194A KR1020140095941A KR20140095941A KR20160014194A KR 20160014194 A KR20160014194 A KR 20160014194A KR 1020140095941 A KR1020140095941 A KR 1020140095941A KR 20140095941 A KR20140095941 A KR 20140095941A KR 20160014194 A KR20160014194 A KR 2016001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derground
drain
flow path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717B1 (ko
Inventor
김도훈
강기옥
김형신
윤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40095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7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 및,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계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을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와,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의 구성을 포함하여, 지하외벽으로부터 형성된 결로수를 직접 집수정으로 유도함으로써,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과도한 시공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CONDENSED WATER DISCHARGING STRUCTURE OF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지하구조물 내부의 환경개선과 결로수로 인한 지하구조물의 하자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성하는 벽체나 바닥면의 온도와 이에 접하는 공기의 온도 차이가 심할 경우, 공기중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를 결로라 지칭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추운 동절기 뿐만 아니라 더운 하절기에도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동절기의 결로는 차가운 외기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외벽체의 내측면에 실내 의 더운 공기가 접촉될 경우, 더운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응집되어 결로가 발생하게 되며, 하절기의 결로는 지하주차장이나 지하실 등과 같은 지하부분에 해당하는 외벽의 내측면에 더운 공기가 맞닿을 시, 더운 공기 속의 습기가 차가운 벽면에 응집되어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또는 건축물을 신축하게 되면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필수로 수반되는데, 특히 건축물의 지하층의 경우에는 지하층을 형성하는 지하구조물의 바닥판과 지하외벽과 이에 접하는 공기의 온도차이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결로수의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조를 설치할 필요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제어하기 위해 배수판은 지하구조물에서 생성된 결로수의 처리를 위하여 기초콘크리트의 상면과 누름콘크리트 사이에 설치되어 지하층의 습기, 결로 및 누수를 방지하고, 배수로를 통하여 유도된 결로수를 집수정으로 배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지하구조물의 바닥면을 아무리 정교하게 시공한다고 하더라도 미세한 높이차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고, 상대적으로 낮은 바닥면에 고인 결로수의 경우에는 상기한 배수판에 의해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 역시 지하구조물의 바닥면을 통하여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바닥면에 잔존하게 되는 결로수로 인한 하자를 심화시킬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로수가 집수정으로 배출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바닥층에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일정한 구배를 형성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지하구조물의 넓은 바닥면에서 생성된 결로수를 집수정으로 효과적으로 배출하는데에는 무리가 있고, 전체 바닥에 시공시 시공비가 증가하고 시공기간이 증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하구조물 내부공간의 높은 습도를 낮추기 위해 강제환기장치를 이용하여 결로수의 발생을 저감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강제환기장치를 설치해야하는 점에서 공사비 증가의 우려가 있고, 강제환기장치의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하구조물 내부공간의 높은 습도를 낮추기 위해 강제환기장치를 이용하여 결로수의 발생을 저감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강제환기장치를 설치 및, 가동해야하는 점에서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증가의 우려가 있고, 강제환기장치의 설치를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과도한 시공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배출 및 제거시키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과도한 시공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지하외벽으로부터 형성된 결로수를 직접 집수정으로 유도함으로써, 결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구조물의 바닥면으로 지하외벽의 결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별도의 강제환기장치 등의 설비를 시공할 필요없이 지하외벽의 결로수의 생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 및,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계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을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외벽유로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외벽유로 간의 결로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로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하구조물의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의 배수구와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에서 유도된 결로수를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로 가이드하는 선홈통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과, 측면벽 중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로 상기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배수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로배수판은,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외벽유로의 측면벽에 형성되는 측면배수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배수판과 상기 측면배수판 중 적어도 상기 바닥배수판은 2 이상의 배수판의 겹쳐진 형태의 다중배수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로배수판은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결로수를 상기 배수구로 유도 가능한 흡습성 섬유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도배수관은,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유로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유도배수관; 상기 제1 유도배수관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의 저면에 매립 형성되는 제2 유도배수관; 및, 상기 제2 유도배수관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도배수관에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제3 유도배수관;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 유도배수관은 상기 제2 유도배수관 측에서 상기 집수정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하외벽과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벽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벽에는 복수의 환기창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와,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의 구성을 포함하여, 지하외벽으로부터 형성된 결로수를 직접 집수정으로 유도함으로써,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과도한 시공비용을 들이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하외벽으로부터 형성된 결로수를 직접 집수정으로 유도함으로써, 결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구조물의 바닥면인 기초콘크리트로 지하외벽의 결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외벽유로사이의 결로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로격벽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결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로 지하외벽 등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에서 유도된 결로수를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로 가이드하는 선홈통배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지하층을 구성하는 상층의 지하외벽에서 유도된 외벽유로 상의 결로수를 하층의 외벽유로와 유도배수관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구로 상기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배수판의 구성을 더 포함함으로써, 결로수를 보다 신속하게 배수구로 유도할 수있고, 선홈통배관은 상기 배수구에 인접하게 배치될 경우 선홈통배관에서 유도된 결로수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지하외벽과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벽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벽에는 복수의 환기창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하외벽과 실내공간을 완충하는 이격공간부에 의해 결로수의 발생을 완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환기창을 통해 이격공간부와 지하구조물의 실내공간을 연통시킴으로써, 이격공간부의 내부를 환기시켜 이격공간부 내부의 결로수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B' 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는 외벽유로(100) 및, 유도배수관(2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유로격벽(300), 선홈통배관(400), 유로배수판(500) 및, 공간벽(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는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하외벽(1)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100); 및, 상기 외벽유로(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110)와 연계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100)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5)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도배수관(200)은 외벽유로(100) 측에서 집수정(5) 측으로 결로수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유도배수관(200)은 외벽유로(100) 측에서 집수정(5)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유로(100)는 지하외벽(1)에 인접한 영역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지하외벽(1)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지하외벽(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유도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유로(100)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된 배수구(110)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구(110)와 연계되도록 외벽유로(100)와 기초콘크리트(2)의 하부에는 외벽유로(100)로 유도된 결로수를 집수정(5)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200)이 매립 형성될 수 있다.
유도배수관(200)을 시공시 외벽유로(100)와 기초콘크리트(2) 등의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유도배수관(200)이 연계되는 배수구(11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시 배수구(110)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캡핑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캡핑수단은 PVC캡핑 마개 또는 합판 등을 활용하여 배수구(110)를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 바닥시공과 배수시공을 동시에 만족시켜주기 위하여 누름콘크리트(4)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수판(3)이 활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제어하기 위해 지하구조물의 바닥층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2)의 상부에 배수판(3)을 형성하고, 배수판(3)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4)를 시공하여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1)과 바닥층에 형성된 결로수를 배수판(3)을 통해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된 집수정(5)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배수판(3)은 지하구조물의 바닥층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2)의 상면에서 형성된 결로수를 바닥층의 하측에 매립된 집수정(5)으로 배수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배수판(3)의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블럭이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고, 지지블럭 사이의 공간으로 결로수의 유로가 형성되어 집수정(5)으로 결로수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수판(3)이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2)를 집수정(5)보다 높게 형성하여 기초콘크리트(2) 상부의 결로수가 집수정(5)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는 외벽유로(100)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2)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2)와 상기 외벽유로(100)의 결로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로격벽(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격벽(300)에 의해 지하구조물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기초콘크리트(2)와 외벽유로(100)가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벽(600)은 상기 유로격벽(3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초콘크리트(2)에 형성된 결로수는 배수판(3)에 의해 집수정(5)으로 배수되고, 지하외벽(1)에서 형성되는 결로수는 외벽유로(100)와 유도배수관(20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유로격벽(300)에 의해 지하외벽(1)과, 외벽유로(100)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2)로 유입되지 않고, 유도배수관(200)을 통해 직접 집수정(5)으로 유도되어 배출됨으로써, 결로수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2)로 지하외벽(1) 등에서 형성된 결로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는 지하구조물의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100)의 배수구(110)와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100)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100)에서 유도된 결로수를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100)로 가이드하는 선홈통배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홈통배관(400)의 상단은 상층의 외벽유로(100)의 배수구(110)까지 노출되도록 배수구(110)와 연계되고, 선홈통배관(400)의 하단은 하층의 외벽유로(100)에 형성된 배수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100)에서 유도된 결로수를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100)로 가이드하는 선홈통배관(400)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지하층을 구성하는 각층의 지하외벽(1)에서 생성되는 결로수가 보다 신속하게 집수정(5)으로 유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110)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외벽유로(100)의 바닥면과, 측면벽 중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110)로 상기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배수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배수판(500)은 배수구(110)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외벽유로(100)의 바닥면과, 측면벽 중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로배수판(500)은 배수구(110)로 결로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로배수판(500)은 상기 선홈통배관(400)은 상기 배수구(11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선홈통배관(400)에서 유도된 결로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유로배수판(500)은 상기 외벽유로(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배수판(510)과, 상기 외벽유로(100)의 측면벽에 형성되는 측면배수판(530)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배수판(510)과 상기 측면배수판(530) 중 적어도 상기 바닥배수판(510)은 2 이상의 배수판의 겹쳐진 형태의 다중배수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배수판(510)은 선홈통배관(400)으로부터 낙하하는 결로수의 충격을 고려하여 다중배수판으로 구비되고, 다중배수판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된 후 비산된 물이 접촉하는 측면배수판(530)은 단일의 배수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닥배수판(510)은 상기 외벽유로(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합성수지배수판과, 상기 합성수지배수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단열성소재로 형성되는 단열배수판으로 구비되는 다중배수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유로배수판(500)은 상기 배수구(110)에 인접한 영역의 결로수를 상기 배수구(110)로 유도 가능한 흡습성 섬유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수구(110)로의 결로수의 배출이 보다 원활해 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배수관(200)은 상기 외벽유로(10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110)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유로(100)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유도배수관(210)과, 상기 제1 유도배수관(210)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100)의 저면에 매립 형성되는 제2 유도배수관(230) 및, 상기 제2 유도배수관(230)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도배수관(230)에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집수정(5)으로 유도하는 제3 유도배수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배수관(210)은 외벽유로(100)에 유도되는 결로수를 분산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외벽유로(100)에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배수관(210)은 제2 유도배수관(23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도배수관(210)의 하부에 인접하는 제2 유도배수관(230)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역'T'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도배수관(230)은 외벽유로(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매립되고, 제2 유도배수관(230)에는 제2 유도배수관(230)을 집수정(5)과 연통시키는 제3 유도배수관(250)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유도배수관(250)은 상기 제2 유도배수관(230) 측에서 상기 집수정(5)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외벽(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하외벽(1)과 이격공간부(S)를 형성하는 공간벽(6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격벽(300)의 상측에 설치된 공간벽(600)에는 복수의 환기창(610)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환기창(610)은 이격공간부(S)와 지하구조물의 실내공간을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고, 환기창(610)을 오픈하여 이격공간부(S)의 내부를 환기시킴으로써, 이격공간부(S) 내부의 결로수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다.
지하외벽(1)과 이격공간부(S)를 형성하는 공간벽(60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벽(600)에는 복수의 환기창(610)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하외벽(1)과 실내공간을 완충하는 이격공간부(S)에 의해 결로수의 발생을 완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환기창(610)을 통해 이격공간부(S)와 지하구조물의 실내공간을 연통시킴으로써, 이격공간부(S)의 내부를 환기시켜 이격공간부(S) 내부의 결로수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지하외벽 2: 기초콘크리트
3: 배수판 4: 누름콘크리트
5: 집수정 100: 외벽유로
110: 배수구 200: 유도배수관
210: 제1 유도배수관 230: 제2 유도배수관
250: 제3 유도배수관 300: 유로격벽
400: 선홈통배관 500: 유로배수판
510: 바닥배수판 530: 측면배수판
600: 공간벽 610: 환기창
S: 이격공간부

Claims (9)

  1.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 및,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계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을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유로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지하구조물의 기초콘크리트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와 상기 외벽유로 간의 결로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유로격벽;을 더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구조물의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의 배수구와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의 사이에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층의 상기 외벽유로에서 유도된 결로수를 하층의 상기 외벽유로로 가이드하는 선홈통배관;을 더 포함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과, 측면벽 중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로 상기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배수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배수판은,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외벽유로의 측면벽에 형성되는 측면배수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배수판과 상기 측면배수판 중 적어도 상기 바닥배수판은 2 이상의 배수판의 겹쳐진 형태의 다중배수판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배수판은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결로수를 상기 배수구로 유도 가능한 흡습성 섬유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배수관은,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벽유로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유도배수관;
    상기 제1 유도배수관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의 저면에 매립 형성되는 제2 유도배수관; 및,
    상기 제2 유도배수관과 연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유도배수관에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제3 유도배수관;을 구비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도배수관은 상기 제2 유도배수관 측에서 상기 집수정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하외벽과 이격공간부를 형성하는 공간벽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벽에는 복수의 환기창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1020140095941A 2014-07-28 2014-07-28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10168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41A KR101680717B1 (ko) 2014-07-28 2014-07-28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41A KR101680717B1 (ko) 2014-07-28 2014-07-28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94A true KR20160014194A (ko) 2016-02-11
KR101680717B1 KR101680717B1 (ko) 2016-11-30

Family

ID=5535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41A KR101680717B1 (ko) 2014-07-28 2014-07-28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148B1 (ko) 2019-05-21 2019-09-04 건진건설 주식회사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15B1 (ko) * 2006-08-11 2007-04-20 김형성 지하벽체 마감부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717B1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47035A (en) Drainage system for basement walls
US20060283113A1 (en) Condensation inhibition system for structural waterproofing
KR101845860B1 (ko) 방습 및 냉해방지를 위한 냉동 저온창고
CA2636413A1 (en) Gutter assembly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KR101680717B1 (ko)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101595860B1 (ko) 옥상 바닥 내부 건조장치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US2157290A (en) Drain for foundation walls
CN201614647U (zh) 设置于地面预制盖板下的隐蔽式雨水收集系统
CN201695582U (zh) 保温屋面双层防水双层排水结构
KR20210058451A (ko) 결로 유도 부재를 구비한 밸브실
KR102449004B1 (ko) 수동적 제습시트를 이용한 벽체 중공층을 갖는 비공조 클린룸의 제습 시스템
KR101595089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방수 시스템
CN203716416U (zh) 横排式双层排水落水装置
RU271759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еновации наружной оболочки здания
KR200381711Y1 (ko) 에어컨의 실외기용 공기 배출커버
CN103774803B (zh) 横排式双层排水落水装置及其安装方法
CN205536362U (zh) 减少热压作用的进风系统
KR20140138094A (ko)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RU150160U1 (ru) Система тепловлажности скатной крыши
CN217480650U (zh) 双排斗
NO127249B (ko)
CN102102377A (zh) 设置于地面预制盖板下的隐蔽式雨水收集系统
JP2001329668A (ja) 換気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