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094A -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 Google Patents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094A
KR20140138094A KR1020140125887A KR20140125887A KR20140138094A KR 20140138094 A KR20140138094 A KR 20140138094A KR 1020140125887 A KR1020140125887 A KR 1020140125887A KR 20140125887 A KR20140125887 A KR 20140125887A KR 20140138094 A KR20140138094 A KR 2014013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air
dot
wall body
indoo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상 권 심
김우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센에스코
Priority to KR102014012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8094A/ko
Publication of KR2014013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지하의 실내 공간에서 습기의 응결 효율이 개선된 제습 시스템(500)을 제공한다.
제습 시스템(500)은 바닥부(150)를 구획하여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체(50)와, 제1 공기통로(70)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체(50)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체(100)와, 바닥부(150)에 제1 공기통로(70) 및 실내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통로(170)와, 바닥부의 제2 공기통로(170)에 돌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재(200)와, 제2 공기통로(170)에 노출되도록 배수재에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250)와, 제1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실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기통로를 거쳐 제1 공기통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에어 휀(26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Dehumidification system and drain boards used in the dehumid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공간 특히, 습기가 많이 발생되는 식품 저장 창고, 지하 주차장 등의,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습기의 응결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배수재의 구조와 제습 효율이 개선되는 제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구조물의 실내 공간은 외벽면 표면 온도와
실내 공기의 온도 차이로 결로가 발생하기 쉽고 그 결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습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한 예로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311601호에는 외벽체에서 저장고의 내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축조된 공간벽체와, 외벽체와, 공간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완충 공간부와, 완충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수단과, 저장고 내부공기를 완충공간부로 유입하고, 내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완충공간부에서 결로수로 응축하여 제습한 후, 저장고 내부로 다시 배출 가능하도록 공간벽체에 형성된 통기수단을 포함하는 저장고 제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426532호에는 외벽체에서 저장고의 내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축조된 공간벽체와, 외벽체와 공간벽체 사이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완충 공간부와, 완충 공간부에 유입된 저장고 내부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적극적으로 결로수화 시키는 결로 유도수단과, 완충공간부 하부에 형성된 배수수단과, 저장고 내부공기를 완충 공간부로 유입하고, 내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완충 공간부에서 결로수로 응축하여 제습한 후 저장고 내부로 재 배출이 가능하도록 공간벽체에 형성된 통기수단을 구성하고 특히, 상기 결로유도수단을 돌부와 홈부를 가지는 콘크리트 표면으로 구성하는 저장고 제습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31160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426532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제습 시스템을 더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설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응결 효율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배수재와, 그 배수재를 이용하는 제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로수의 배출을 원활히 하고 결로수와 실내 공기의 접촉을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제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바닥부를 구획하여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체와,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체와, 상기 바닥부에 상기 제1 공기통로 및 상기 실내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통로와, 상기 바닥부의 제2 공기통로에 돌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재와, 상기 제2 공기통로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수재에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와, 상기 제1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제1 공기통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에어 휀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수재는 다수의 도트형 돌기를 구비하는 판형 단위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로수 유도체는 상기 도트형 돌기에 각각 고정되거나, 상기 도트형 돌기들 사이에 매달리도록 상기 배수재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 공기통로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 공기통로에서 상기 결로수 유도체를 통하여 응결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에어 휀에 의하여 유도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 공간 또는 상기 실내 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는 오목부를 갖는 상면과 다수의 도트형 돌기부가 구성되는 배면과, 상기 배면 또는 상기 돌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결로수 유도체는 상기 도트형 돌기부 중간부에 환형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결로수 유도체는 상기 도트형 돌기들 사이에 매달리도록 상기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부를 구획하여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체와,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체와, 상기 바닥부에 상기 제1 공기통로 및 상기 실내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통로와, 상기 바닥부의 제2 공기통로에 돌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재와, 상기 제2 공기통로에 노출되도록 상기 배수재에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와, 상기 제1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제1 공기통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에어 휀을 포함하는 제습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간단하고 응결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이 구성된 실내 공간의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의 기술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500)은 도 1 및 도 2과 같이 외벽체(50)와, 상기 외벽체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내벽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외벽체(50)와 내벽체(100) 사이의 틈새 공간은 제1 공기통로(70)를 형성한다.
외벽체로 둘러싸여 구획되는 실내 공간의 바닥부(150)에는 배수재(200)를 개재하여 제2 공기통로(17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공기통로(170)는 제1 공기통로(70)와 연통되고, 배수재(200)에는 결로수 유도체(250)가 제2 공기통로(170)의 공간부에 노출되도록 고정된다. 또, 내벽체(100) 상단에는 외벽체로 둘러싸인 실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기통로(170)를 거쳐 상기 제1 공기통로(70)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배출하는 에어 휀(260)이 설치된다. 에어 휀(260)은 제1 공기통로(70)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배출하는 단순한 휀으로 구성하여 되고 흡인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추가로 제습하여 배출할 수 있는 공지의 제습장치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수재(200)는 도 4와 같이 판형의 단위체 배면에 다수의 도트형 돌기(240)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수 유도체(250)는 각각의 도트형 돌기(250)의 중간에 링 모양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결로수 유도체(250)는 결로수가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배수재(200)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각각의 도트형 돌기(250)에 대응하여 오목부(251)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51)는 배수재 상면에 소정 두께로 타설되는 상부 콘크리트 층(300)으로 채워진다. 상기 각각의 도트형 돌기(240)는 U자형으로 구성되고, 그 중간부에는 링 모양의 결로수 유도체(25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결로수 유도체 체결 후에는 결로수 유도체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로수 유도체의 결합홈(241)이 구성될 수 있다.
결로수 유도체(250)는 각각의 도트형 돌기마다 1개씩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2~3개씩 고정하여 제2 공기통로(170)의 공간에 노출되는 접촉 면적을 넓게 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로수 유도체(250)는 링 모양의 얇은 금속 박판으로 구성할 수 있고, 습기에 의해 쉽게 부식이 되지 않는 스테인레스나 구리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공기통로(170)는 바닥 지층과 맞닿아 있어 지중의 냉열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실내 공기가 제2 공기통로(17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결로수 유도체(250)의 작용에 의하여 쉽게 결로되어 응축된다. 결과적으로 바닥부에 구성되는 제2 공기통로(170)를 통하여 실내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고, 그 제습된 공기는 제1 공기통로(70)를 거쳐 에어 휀(260)을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어 재순환하거나 실내 공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500)은 제습이 필요한 인접 지하 공간으로부터 별도의 통기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습기가 많이 함유된 공기를 공급받아 그 인접 지하 공간등을 제습하는 제습 룸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배수재에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250)는 도 4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와 같이 도트형 돌기(240)들 사이에 매달리는 형태로 상기 배수재(200)의 배면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결로수 유도체(250)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트형 돌기(240)들 사이의 배수재 배면에 고리(242)를 설치하고, 그 고리에 결로수 유도체(25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500)의 바닥부(150)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부(150)는 지층(450) 상에 하부 콘크리트 층(400)이 타설되고, 하부 콘크리트 층(400) 상에 배수재(200)에 의하여 제2 공기통로(170)가 구성된다. 배수재(200) 상에는 상부 콘크리트 층(300)이 타설된다.
하부 콘크리트 층(400)은 일측(c)을 두껍게 타측(d)을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타설하여 약간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위에 배수재(200)가 세팅되어 제2 공기통로 (17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을 이루는 제2 공기통로(170) 즉, 상부 콘크리트 층(300)과 하부 콘크리트 층(400) 사이의 하부 콘크리트 층(400)의 바닥면을 따라 배수재의 결로수 유도체(250)에 의하여 응축된 결로수가 원활하게 흘러 배출되고 경사면과 반대방향 즉,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흘러 순환하도록 한다.
배출되는 결로수는 도 3과 같이 경사면 끝에 형성되는 배수용 트렌치(460)에 모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수용 트렌치(460) 상에는 에어 휀(260)의 작용으로 실내 공기가 제2 공기통로(170)를 거쳐 제1 공기통로(70)로 순환할 수 있도록 망 형의 그릴(461)이 설치되고, 그릴(461)의 하부에는 배수용 트렌치(460)에 모인 물이 증발하여 실내 공간 및 제2 공기통로(17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커버(462)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의 일단은 배수용 트렌치(460)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 공기통로(170) 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배수용 트렌치(460)와의 사이에 약간의 틈새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틈새를 통하여 제2 공기통로(170)를 통하여 배수되는 결로수가 배수용 트렌치(460) 내로 유입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습 시스템은 상기 도면에 예시된 구조 및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50: 외벽체
70: 제1 공기통로
100: 내벽체
150: 바닥부
170: 제2 공기통로
200: 배수재
240: 도트형 돌기
241: 결합홈
242: 고리
250: 결로수 유도체
251: 오목부
260: 에어 휀
300: 상부 콘크리트 층
400: 하부 콘크리트 층
450: 지층
461: 그릴
462: 커버
460: 배수용 트렌치
500: 제습 시스템

Claims (7)

  1. 바닥부를 구획하여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체와, 제1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내벽체와, 상기 바닥부에 상기 제1 공기통로 및 상기 실내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공기통로와, 상기 바닥부의 제2 공기통로에 돌출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수재와, 상기 제1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공기통로를 거쳐 상기 제1 공기통로 외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에어 휀을 포함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통로는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재는 다수의 도트형 돌기를 구비하는 판형 단위체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트형 돌기에 각각 고정되거나 상기 도트형 돌기들 사이에 매달리도록 상기 배수재의 배면에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휀에 의하여 유도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 공간 또는 상기 실내 공간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
  5. 오목부를 갖는 상면과 다수의 도트형 돌기부가 구성되는 배면과, 상기 배면 또는 상기 돌기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결로수 유도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 유도체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트형 돌기부 중간부에 환형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수 유도체는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트형 돌기들 사이에 매달리도록 상기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KR1020140125887A 2014-09-22 2014-09-22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KR20140138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87A KR20140138094A (ko) 2014-09-22 2014-09-22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5887A KR20140138094A (ko) 2014-09-22 2014-09-22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094A true KR20140138094A (ko) 2014-12-03

Family

ID=5245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5887A KR20140138094A (ko) 2014-09-22 2014-09-22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80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1180A (zh) * 2018-06-02 2018-11-02 胡春荣 一种智能家居进入安全保护系统
CN113639341A (zh) * 2021-07-13 2021-11-12 清华大学 一种基于三介质换热器的除湿热水机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1180A (zh) * 2018-06-02 2018-11-02 胡春荣 一种智能家居进入安全保护系统
CN113639341A (zh) * 2021-07-13 2021-11-12 清华大学 一种基于三介质换热器的除湿热水机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4114446A (ru) Блок подготовки воздуха на основе принципов умного дома для системы охлаждения пула серверов
HRP20191063T1 (hr) Odvodni sklop, tijelo za odvod za upotrebu u takvom sklopu i sifon za mirise za upotrebu u takvom sklopu
RU2013129938A (ru)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епловым насосом
WO2007086641A3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40138094A (ko) 실내 공간의 제습 시스템 및 그 제습 시스템에 이용되는 배수재
JP2013072625A5 (ko)
KR101556407B1 (ko) 콘크리트 물탱크의 결로 배출장치
KR101656163B1 (ko)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RU2013150736A (ru)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ая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риточного воздуха
KR20130066617A (ko) 덕트 내에서 흐르는 폐수로부터 열을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위한 열교환기
KR101244729B1 (ko) 압축공기 제습장치
JP2009145025A (ja) 空気調和機
US2099009A (en) Humidifying system and apparatus
KR101305221B1 (ko)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028146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562857B1 (ko) 실외기 없는 친환경 에어컨
CN108291781B (zh) 空调塔机
JP6501510B2 (ja) 盤用電子除湿器
JP6234338B2 (ja) 空調換気装置
CN105546656A (zh) 分体立式室内机及空调系统
JP5785359B2 (ja) 空気調和機
KR102225177B1 (ko) 제습기
KR101680717B1 (ko)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ES2171094B1 (es) Deposito de desague de un aparato acondicionador de aire y aparato acondicionador de aire que lo comprende.
RU2014117247A (ru) Необмерзающее приточно-вытяжное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