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21B1 -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21B1
KR101305221B1 KR1020110043764A KR20110043764A KR101305221B1 KR 101305221 B1 KR101305221 B1 KR 101305221B1 KR 1020110043764 A KR1020110043764 A KR 1020110043764A KR 20110043764 A KR20110043764 A KR 20110043764A KR 101305221 B1 KR101305221 B1 KR 10130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wall
air
delete delet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170A (ko
Inventor
강재식
최경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4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2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8Copp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35Alumin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은 외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간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상기 공간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습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유도 유로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결로 유도 부재와, 상기 결로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된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으로 배출된 결로수를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Condensing In The Underground Space}
본 발명은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에서 결로를 미리 유도함으로써 외벽 등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은 일반적으로 지중에 구조물로 구축된다. 이러한 지하공간을 구성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와 천장 중 적어도 어느 한 부위 이상이 지중에 직접 맞닿게 된다. 지중은 지상과는 달리 계절의 변화와 무관하게 항시 약 10 ∼ 15℃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지중 온도는 그곳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지하구조물의 내부 표면온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하구조물로 구축된 지하공간은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환경을 만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하의 깊이에 따라 온도가 달라지나, 일정깊이 이상일 경우 외부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겨울철에는 지하공간의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훨씬 높아 겨울철 결로발생에 대한 걱정이 별로 없다. 그러나, 여름철에는 30℃ 이상의 고온에서 습기를 많이 포함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지하구조물의 출입구나 틈새를 통하여 지하공간으로 유입되어 결로가 발생한다. 즉, 지하공간으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지상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하는 지하구조물의 내부표면에서 직접적으로 맞닿게 된다.
이 과정에서 지상공기의 절대 수증기량은 변화하지 않으나 지하공간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유입된 지상공기의 온도는 낮아지게 된다. 이때 지하구조물의 내부표면온도가 노점온도보다 낮아질 경우, 결로현상이 유발된다. 이와 같이 지하구조물의 내부표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면 결로에 의해 곰팡이 등이 발생하게 되어 악취가 발생한다. 따라서 지하공간의 환경을 악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결로를 미리 유도함으로써 지하공간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로를 유도할 때 결로를 유도하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은 외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간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상기 공간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습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유도 유로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 상에 설치되는 결로 유도 부재와, 상기 결로 유도 부재에 의해 유도된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으로 배출된 결로수를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벽체는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며, 외부는 결로수가 침투하지 않는 외피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외벽체의 냉기를 상기 결로 유도 부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외벽체와 상기 결로 유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로 유도 부재에는 발수성 코팅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원통 또는 다각형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결로 유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상기 결로 유도 부재의 내부로 떨어뜨리는 결로수 배출통로이다.
한편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금속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벽체에는 금속판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도 유로에는 제습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방법은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도 유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를 통해 습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를 통해 유입된 습한 공기를 결로 유도 부재를 이용하여 응결시켜 결로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로수가 생성되는 면과 다른 통로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로 유도 부재에서 결로수가 생성되는 면에 발수성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에서 습한 공기에 포함된 습기를 미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지하 주차장과 같은 지하공간의 외벽에 결로수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로를 유도하는 결로 유도 부재에서 결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결로 유도 부재에서의 결로발생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결로 유도 부재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방법을 보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은 외벽체(110)와, 상기 외벽체(1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간벽체(120)와, 상기 외벽체(110)와 상기 공간벽체(120) 사이에 형성되어 습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유도 유로(130)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 설치되는 결로 유도 부재(200)를 구비한다.
상기 외벽체(110)는 지중과 맞닿아 있어 지상과는 달리 계절의 변화와 무관하게 항시 약 10 ∼ 15℃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벽체(120)는 내부에 단열재(121)가 채워지며, 외부는 결로수가 침투하지 않는 외피(122)를 구비한다. 공간벽체(120)의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짐으로써 공간벽체(120)에는 결로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공간벽체(120)의 외부에는 결로수가 침투하지 않는 외피(122)가 구비됨으로써 공간벽체(120)에 결로수가 발생하더라도 결로수가 단열재(121)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름철에 30℃ 이상의 고온에서 습기를 많이 포함한 고온 다습한 공기가 공기 유도 유로(130)로 유도되도록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4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송풍팬(140)이 공기 유도 유로(130)의 배출구(132) 측에 설치되는 것을 보였으나, 상기 송풍팬(140)은 공기 유도 유로(130)의 흡입구(131)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140)이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에 설치될 때에는 상기 송풍팬(140)과 외벽체(110) 및 공간벽체(120) 사이의 틈을 모두 막아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 설치된 송풍팬(140)에 의해 습기를 많이 포함한 고온 다습한 공기는 공기 유도 유로(130)의 흡입구(131) 측으로 흡입된 후 배출구(132)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는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를 흐르는 고온 다습한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결로 유도 부재(200)가 설치된다.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는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흐르는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게 유지되어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흐르는 공기 중의 습기를 결로시킨다.
지중은 지상과는 달리 계절의 변화와 무관하게 항시 약 10 ∼ 15℃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지중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외벽체(110)도 여름에 약 10 ∼ 15℃의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결로 유도 부재(200)의 온도를 외벽체(110)와 동일한 온도인 10 ∼ 15℃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외벽체(110)와 결로 유도 부재(2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로 유도 부재(200)는 원통 또는 다각형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로 유도 부재(20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외벽체(110)의 낮은 온도를 전달받기 쉬울 뿐만 아니라 공기 유도 유로(130)를 흐르는 다습한 공기와 열교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여 결로가 잘 유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결로 유도 부재(200)는 여름철에도 10 ∼ 15℃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서 30℃ 이상의 온도를 가지며 다습한 공기 중의 습기를 결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가 연결부재(150)에 의해 외벽체(110)와 연결됨으로써 외벽체(110)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결로 유도 부재(200)의 일측면이 외벽체(110)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지중열이 냉열원으로 작용하여 결로 유도 부재(200)에 냉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는 제습기(135)가 설치된다. 상기 제습기(135)는 공기 유도 유로(130)의 흡입구(131) 또는 배출구(13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135)는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결시킴으로써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습기(135)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응결시키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 설치된 결로 유도 부재(200)가 공기 유도 유로(130) 상을 흐르는 공기 중의 습기를 미리 일정부분 제거하였기 때문에 제습기(135)가 적은 용량을 가지더라도 지하공간의 습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습기(135)를 통해 소비되는 전기 에너지를 1/4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 설치되는 결로 유도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결로를 발생시키는 결로 유도 부재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로 유도 부재(200)에 의해 발생한 결로수가 결로 유도 부재(200)의 표면에 달라 붙어있게 되면 결로수가 결로 유도 부재(200)와 다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에는 유도된 결로수를 공기 유도 유로(130)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160)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의 내부로 떨어뜨리는 결로수 배출통로(210)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로 유도 부재(200)에는 결로 유도 부재(200)의 표면에 발생된 결로수가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발수성 코팅(22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결로 유도 부재(200)의 표면에 형성된 결로수가 결로 유도 부재(200)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 후 결로수 배출통로(210)를 통해 드레인(160)에 모인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에서 결로 유도 부재(300)가 서로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금속박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이와 같이 결로 유도 부재(300)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금속박판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 유도 유로(130)를 흐르는 공기가 결로 유도 부재(300)와 접촉하는 면적을 높일 수 있어 공기 유도 유로(130) 상에서 30℃ 이상의 온도를 가지며 다습한 공기 중의 습기를 결로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외벽체(110)의 온도는 여름철에도 10 ∼ 15℃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흐르는 공기는 결로 유도 부재(300) 뿐만 아니라 외벽체(110)에 의해서도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된다.
또는 외벽체(110)에는 외벽체(110)의 열을 잘 전달할 수 있도록 금속판(115)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금속판(115)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 또는 알루미늄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판(115)이 외벽체(110)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냉열원 역할을 하는 외벽체(110)의 냉열이 지속적으로 금속판(115)에 전달됨으로써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흐르는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로 유도 부재(300)의 표면에 형성된 결로수를 공기 유도 유로(130)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160)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출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결로 유도 부재(300)를 형성하는 금속박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복수개의 금속박판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떨어뜨리는 결로수 배출통로(310)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지하공간 결로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지하공간 결로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공간 결로 방지 방법은 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도 유로(130)를 형성하는 단계(S110)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습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130)를 통해 유입된 습한 공기를 결로 유도 부재(200, 300)를 이용하여 응결시켜 결로수를 형성하는 단계(S130)와, 상기 결로수가 생성되는 면과 다른 통로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시키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결로수가 생성되는 면과 다른 통로를 통해 결로수를 빠르게 배출시킴으로써 결로수가 결로 유도 부재(200, 300)와 다습한 공기와의 열교환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로 유도 부재(200, 300)에서 상기 결로수가 생성되는 면에 발수성 코팅을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결로 유도 부재(200, 300)의 표면에 결로수가 오래 머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결로를 발생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외벽체 120: 공간벽체
130: 공기 유도 유로 200: 결로 유도 부재
210: 결로수 배출통로 220: 발수성 코팅

Claims (12)

  1. 외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공간벽체와,
    상기 외벽체와 상기 공간벽체 사이에 형성되어 습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유도 유로와,
    상기 공기 유도 유로 상에 설치되는 원통 또는 다각형 관 형태의 결로 유도 부재와,
    상기 외벽체의 냉기를 상기 결로 유도 부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외벽체와 상기 결로 유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결로 유도 부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상기 결로 유도 부재의 내부로 떨어뜨리는 결로수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수단으로 배출된 결로수를 모아 배출하는 드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벽체는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며, 외부는 결로수가 침투하지 않는 외피를 구비하고,
    상기 결로 유도 부재에는 발수성 코팅이 되며,
    상기 외벽체에는 금속판이 부착되고,
    상기 공기 유도 유로에는 제습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유도 부재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동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43764A 2011-05-11 2011-05-11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0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64A KR101305221B1 (ko) 2011-05-11 2011-05-11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764A KR101305221B1 (ko) 2011-05-11 2011-05-11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70A KR20120126170A (ko) 2012-11-21
KR101305221B1 true KR101305221B1 (ko) 2013-09-12

Family

ID=4751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764A KR101305221B1 (ko) 2011-05-11 2011-05-11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004B1 (ko) * 2020-11-30 2022-10-07 삼성물산 주식회사 수동적 제습시트를 이용한 벽체 중공층을 갖는 비공조 클린룸의 제습 시스템
KR102523461B1 (ko) * 2021-07-12 2023-04-19 삼영기술주식회사 결로 방지 밸브실
CN114809271B (zh) * 2022-04-18 2024-02-02 浙江博苑建设有限公司 一种地下室防水基坑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492A (ja) * 1996-02-22 1997-09-02 Emoto Kogyo Kk 構造用パネル及び建物の防湿構造
KR100311601B1 (ko) * 1999-06-29 2001-11-02 심상권 저장고 내부 제습 방법 및 그 제습 시스템
KR100516833B1 (ko) 2005-06-10 2005-09-27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KR100606193B1 (ko) * 2006-05-03 2006-07-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결로방지시설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492A (ja) * 1996-02-22 1997-09-02 Emoto Kogyo Kk 構造用パネル及び建物の防湿構造
KR100311601B1 (ko) * 1999-06-29 2001-11-02 심상권 저장고 내부 제습 방법 및 그 제습 시스템
KR100516833B1 (ko) 2005-06-10 2005-09-27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KR100606193B1 (ko) * 2006-05-03 2006-07-31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결로방지시설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17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601B1 (ko) 저장고 내부 제습 방법 및 그 제습 시스템
CN104457316A (zh) 用于湿式冷却塔设备的空气对空气的热交换旁路和方法
KR101305221B1 (ko) 지하공간 결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04967007A (zh) 一种用于环网柜封闭空间的除湿装置
KR20150069873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
KR100523262B1 (ko) 캐비티 결로(結露) 방지 시스템
RU138437U1 (ru) Осушитель газов груздева
RU2012149453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тепла из жидких отходов, циркулирующих в трубопроводе, и теплообменник для такой установки
JP2014191972A5 (ko)
CN206908127U (zh) 一种耐热防潮型配电箱
KR102524737B1 (ko) 스파이럴 구조를 갖는 냉각탑용 물 회수 및 백연저감 장치
KR101292011B1 (ko) 지하공간 환기 및 결로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4105988A (ja) ヒートパイプを用いた住宅の空調装置
CN201772719U (zh) 用冷壁把蒸汽凝结成水排走的新型烘箱
CN101099378A (zh) 除湿设备外罩
KR20090132327A (ko) 백연 제거 장치
KR101292774B1 (ko) 결로방지용 열교환기
JP6434342B2 (ja) 免震構造物における地中熱利用システム
KR100818955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RU2016100458A (ru) Система теплоснабжения
CN102853647A (zh) 一种烘房除湿余热回收系统
CN202853327U (zh) 一种烘房除湿余热回收系统
CN114216259B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地下通道
SU885745A1 (ru)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осушитель газов
SU907353A1 (ru) Орос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шахтного кондиционера дл термовлажной обрабротки воздуха с отрицательными температур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