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148B1 -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148B1
KR102018148B1 KR1020190059201A KR20190059201A KR102018148B1 KR 102018148 B1 KR102018148 B1 KR 102018148B1 KR 1020190059201 A KR1020190059201 A KR 1020190059201A KR 20190059201 A KR20190059201 A KR 20190059201A KR 102018148 B1 KR102018148 B1 KR 10201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raphene
carbon nanotube
undergroun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신
김도형
조형진
Original Assignee
건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진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진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59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1/00Devices without movable or flexible elements, e.g. microcapill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7/00Microstructural systems; Auxiliary parts of 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1/00Specific applications of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 B81B2201/05Microfluid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2203/00Basic microelectromechanical structures
    • B81B2203/03Static structures
    • B81B2203/0323Grooves
    • B81B2203/0338Chan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2Heaters specially designed for de-icing or protection against i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구조물의 외벽(1);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구비되는 음전극; 상기 외벽(1)의 내측에 구비되는 양전극(3)을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Waterproofing/discharge and reinforcement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exterior wall using Graphine or Carbon nanotube}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된 지중구조물의 외벽에 방수구조와 배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지하실, 지하주차장, 옹벽 등 지중에 설치된 지중구조물은 항상 지하수에 노출되어 있고, 콘크리트에는 미세한 공극이 있어 지하수가 지중구조물 내부로 흘러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중구조물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열화에 의해 수밀성이 저하되면서 더욱더 심해지게 된다.
지하수의 침투로 인한 문제 외에도, 지중구조물의 바닥판 및 외벽과 이에 접하는 외부와의 온도 차이에 의해 결로가 발생하게 되어 구조물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지하수의 침투, 결로수의 발생, 우수의 침투 등이 발생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열화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구조물이 노후화되고, 수분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등으로 위생적으로도 문제가 된다.
이러한 침투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지하층을 비롯한 지중구조물을 시공할 때에는 배수, 방수를 위한 시공을 필수적으로 하게 된다.
특허문헌 0001에는,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하외벽에서 생성된 결로수가 유도되는 외벽유로; 및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계되도록 매립 설치되고, 상기 외벽유로로 유도된 상기 결로수를 상기 지하구조물의 하측에 매립 형성된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유도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과, 측면벽 중 적어도 상기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로 상기 결로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로배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배수판은, 상기 결로수를 상기 배수구로 유도하도록, 상기 배수구 측으로 연장되는 홈이 복수 개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홈의 내부 양측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중앙으로 경사지며, 상기 외벽유로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바닥배수판과, 상기 외벽유로의 측면벽에 형성되는 측면배수판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배수판과 상기 측면배수판 중 적어도 상기 바닥배수판은 낙하하는 결로수의 충격을 견디도록 2 이상의 배수판의 겹쳐진 형태의 다중배수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유로배수판은 상기 배수구에 인접한 영역의 결로수를 상기 배수구로 유도 가능한 흡습성 섬유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도 1 참조)가 설명되어 있는데, 결로수의 배출구조가 복잡하여 적용하기가 어렵고, 그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며, 공기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0002는 지하수 및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수시스템에 관한 것(도 2 참조)이나, 이 역시도 배수를 위한 설계가 지하구조물의 전체 구조에 반영되어야 하는 문제로 설계와 시공이 어렵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중구조물의 내부로 침투하는 지하수 뿐만 아니라 결로수에 의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수구조와 방수방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168071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10-1720175호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지하수의 침투를 방지하고 결로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구조 및 배수방법을 제공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방수, 배수뿐만 아니라 지중구조물의 강도와 내진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중구조물의 외벽(1);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구비되는 음전극; 상기 외벽(1)의 내측에 구비되는 양전극(3)을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음전극은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부착되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이고,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는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격자형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전극은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부착되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이고,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는 상기 외벽(1)의 한쪽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전극은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도포되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전극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는,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도포되되,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의 위로 도포된다.
외면에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부착되어 있는 기둥(5)이 상기 지중구조물의 외벽(1)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5)에 부착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음전극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a)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양전극(3)과 음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전극 및 양전극(3)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음전극 및 양전극(3) 중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음전극과 양전극(3)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단계에서, 사물인터넷(IOT) 시술과 연계하여 최적 습도로 조절되도록 단전과 통전을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중구조물 외벽 방수구조 및 배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방수구조 또는 배수구조에 비해 훨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하수, 결로수로 인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방수구조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종래의 구조에 비해 설계 및 시공에 비용이 절감된다.
셋째,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전도성과 인장강도를 이용하므로, 전기삼투에 의한 방수 및 배수효과에 더하여, 지중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내진성능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전기삼투에 의해 수분을 내벽에서 외벽 밖으로 흐르게 하는 것에 더하여, 전기를 인가하여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에서 열을 발생시키게 되면 지하층의 습기발생을 추가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2는 종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수구조가 적용된 지중구조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격자형태로 배치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를 도포한 것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것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것 또는 외벽 전면에 부착한 것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상하방향으로 배치한 것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 것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둥을 설치한 것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둥을 설치한 것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 및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후 이들을 활용한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구조 및 배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흑연에서 추출한 탄소응집체로, 벌집모양의 육각형 그물형태의 다층구조 섬유로 섬유 형태에 따라 그래핀(Graphene) 또는 탄소나노섬유(CNT)로 구분된다.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구리보다 100배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가지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의 이동성이 빠르다. 또한 강도는 강철의 200배 이상 강하며, 열전도성은 다이아몬드 보다 2배 이상 강한 특성이 있다.
이중 전기 및 전자의 이동성 특성을 이용하여 외벽 전체에 균질한 직류 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내측의 물분자의 이동성을 빠르게 할 수 있어 건물내 수분을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강도가 강철의 200배에 달하므로 건물의 균열방지 및 내진보강 효과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다른 물질과 결합이 쉽고 플라스틱에 1%만 혼합해도 전도체로 바꿀 수 있으므로 무한한 확장성을 지닌다.
일반 탄소섬유는 1%만 변형이 되어도 파단되는 반면,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는 그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15~20% 이상의 변형에도 파단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도전성과 강도적 특성을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와 강도보강에 활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활용하기 위해, 시트형태로 제작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사용한다.
전기전도도가 높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여 제작되므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는 도전체이고,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의 강도에 의해 높은 인장강도를 기대할 수 있다.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의 폭과 길이는 부착하고자 하는 지중구조물(10)의 구조, 위치 및 외벽(1)의 형태, 크기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중구조물 외벽의 방수와 배수는 전기삼투 방식을 이용하여 지중구조물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방식에 의해 실시된다.
전기삼투란, 액체를 머금고 있는 다공질체의 양쪽에 전극을 붙이고, 직류전압을 가하면 액체가 한쪽 극을 향해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미세한 공극 중 고체와 액체의 경계면에 생긴 전기이중층의 전하가 전기장에 의해 이동할 때 액체를 수반하기 때문에 액체가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중구조물의 외벽(다공질체)을 사이에 두고 외벽의 내부 쪽에는 양전극을 설치하고, 외벽의 외부 쪽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음전극) 및/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음전극)를 설치 및/또는 도포하여 전기삼투 구조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전극(양전극과 음전극)에 전기를 통전함으로써 지하 내부에서 발생한 결로수, 공극수, 우수, 지하수 등을 외벽의 바깥쪽으로(양전극에서 음전극 쪽으로) 흐르게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그려져 있는데, 지중구조물(10)의 외벽(1) 안쪽에 양전극(3)이 설치되고, 외벽(1)의 바깥쪽, 지반과 접하는 부분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부착되어 음전극이 된다.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만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고, 플라스틱에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혼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그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 일례로,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제작하고, 띠 형태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부착할 수 있다(도 4 참조).
다른 실시예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제작하고, 띠 형태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도 5 참조)
다른 실시예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제작하고, 띠 형태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격자형태로 부착할 수도 있다(도 6 참조).
다른 실시예로,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긴 형태가 아닌 매트와 같이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제작하여 상기 외벽(1)의 한쪽면 전체 또는 외벽(1) 전체에 일체로 부착할 수도 있다(도 10 참조).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외벽(1)에 부착하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중구조물의 내구성과 내진성능 등을 강화할 수 있는데, 지중구조물의 구조적 특성, 형태 등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부착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방향으로 긴 지중구조물의 경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상하방향으로 부착하여 상하방향의 휨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긴 지중구조물의 경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수평방향으로 부착하여 수평방향의 휨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격자형태 또는 전면 부착하는 형태를 취할 경우 모든 방향으로의 강도와 내진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의 부착방식은 요구되는 강도와 배수성능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양전극을 설치할 때는, 필요로 하는 배수속도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되, 구체적인 설치위치와 개수는, 지중구조물의 형상 및 구조에 맞춰 설치가 용이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외벽 바깥쪽에 부착된 탄소나노튜브 시트의 부착 위치도 감안하여 결정한다.
도 7 및 도 9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양전극(3)이 설치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1 및 도 12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부착된 위치의 사이사이에 양전극(3)이 설치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전극(양전극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전극자재비, 운영비는 증가하는 반면, 전압을 가하는 전극이 많아지므로 전기삼투압이 커지게 되어 배수속도가 증가한다.
전기삼투의 속도는 전기장의 강도, 과잉 전하량, 전해질의 농도, 온도, 점성 등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전기장의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배수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 대신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사용할 수 있다(도 8 참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 내부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기전도성을 가지게 되어,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를 외벽에 도포하고 통전하면 전기삼투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부착하고, 외벽(1)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 위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더 도포할 수도 있다.
지중구조물의 내부에는 적절한 위치에 양전극(3)을 설치하고, 지중구조물의 외부로는, 지중구조물 시공을 위한 거푸집을 탈형한 후, 외벽(1)의 바깥쪽에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를 부착하거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도포하고, 흙을 되메우기 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양전극(3)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 및/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에 전원을 인가하면 외벽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통전하는 방법에 있어, 필요에 따라 단전과 통전을 선택할 수도 있는데,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연계하여 최적의 습도로 조절되도록 단전과 통전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습도양에 따라 평상시에는 복수의 양전극과 복수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 중 적은 수만 통전시키다가, 우천시나 여름철 등에는 보다 많은 수의 양전극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통전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종래의 결로수 배수 구조나 지하수 배수 구조는 구조물에 별도의 배수로를 형성해야 하므로, 배수로 형성을 위한 설계와 시공에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배수로의 유지관리에도 비용이 추가되었으며, 구조물에 공동(배수로)이 발생함으로 인해 구조적 취약부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구조물에 취약부를 만들지 않고도 배수 효과를 확보하면서 오히려 구조물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특별한 상승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는 신설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기존 지중구조물에 적용하는 일실시예로서, 기존 지중구조물의 내벽에 양전극을 설치하고, 기존 지중구조물의 외벽쪽으로는 외벽에 접하도록 음극의 기둥(5)을 설치하여 지중구조물의 외측으로 배수할 수 있다(도 13, 14 참조).
기둥(5)은 원형단면 또는 사각단면의 강봉, 강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둥 외면에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지중구조물의 외벽에 기둥을 부착함으로써 기존 지중구조물의 내진성능, 강도, 안정성을 높이는 동시에 전기삼투압에 의해 방수 및 배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둥과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사용한 배수 및 보강방법은 기존 지중구조물 뿐만 아니라 신설 지중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또한 기존 구조물의 종류, 규모, 위치에 따라 기둥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 지중구조물의 외벽을 굴착하고 외벽에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를 부착하거나,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를 도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외벽
2.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
3. 양전극
4.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
5. 기둥
10. 지중구조물 G. 지반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중구조물의 외벽(1);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구비되는 음전극; 상기 외벽(1)의 내측에 구비되는 양전극(3)을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은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부착되는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이고,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는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외벽(1)의 외측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거나,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격자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음전극은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도료(4)는, 상기 외벽(1)의 외측에 도포되되, 상기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의 위로 도포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
  6. 지중구조물의 외벽(1); 상기 외벽(1)의 외측에 구비되는 음전극; 상기 외벽(1)의 내측에 구비되는 양전극(3)을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에 있어서,
    외면에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부착되어 있는 기둥(5)이 상기 지중구조물의 외벽(1)에 부착되고,
    상기 기둥(5)에 부착된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 시트(2)가 음전극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
  7. a)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양전극(3)과 음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전극 및 양전극(3)은 각각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음전극 및 양전극(3) 중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음전극과 양전극(3)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연계하여 최적 습도로 조절되도록 단전과 통전을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구조물의 외벽 방수 및 배수 방법.

















KR1020190059201A 2019-05-21 2019-05-21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KR10201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01A KR102018148B1 (ko) 2019-05-21 2019-05-21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201A KR102018148B1 (ko) 2019-05-21 2019-05-21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148B1 true KR102018148B1 (ko) 2019-09-04

Family

ID=67950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201A KR102018148B1 (ko) 2019-05-21 2019-05-21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69B1 (ko) 2021-11-30 2022-09-23 주식회사 보정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외장 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21A (ja) * 2003-07-16 2005-02-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地下構造物の漏水防止方法
KR101680717B1 (ko) 2014-07-28 2016-11-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20170025091A (ko) * 2015-08-27 2017-03-08 중소기업은행 멤브레인 전극 복합체를 이용한 유체 이동용 전기 삼투압 펌프
KR101720175B1 (ko) 2015-11-17 2017-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6421A (ja) * 2003-07-16 2005-02-1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地下構造物の漏水防止方法
KR101680717B1 (ko) 2014-07-28 2016-11-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지하구조물의 결로수 배출구조
KR20170025091A (ko) * 2015-08-27 2017-03-08 중소기업은행 멤브레인 전극 복합체를 이용한 유체 이동용 전기 삼투압 펌프
KR101720175B1 (ko) 2015-11-17 2017-03-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배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969B1 (ko) 2021-11-30 2022-09-23 주식회사 보정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외장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148B1 (ko) 그래핀 또는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외벽 방수/배수 및 보강 방법
US76612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secondary water drainage system with street level leak detection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0369416U (zh) 一种装配式建筑外墙防水结构
JP4811688B2 (ja) 路上排水溝装置
KR101895924B1 (ko)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갖는 이격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7104563U (zh) 一种截水沟以及排水体系
CN214302991U (zh) 基于电渗原理的历史建筑砖墙体的除潮养护系统
DE202006014105U1 (de) Gedämmte Bodenplatte für Keller und ein- und mehrgeschossige Gebäude
CN203729510U (zh) 一种钢与混凝土相结合的保温天沟板
CN209538419U (zh) 一种易安装的密封件及防水节点
CN204959763U (zh) 一种桩墙复合结构构造
KR101395281B1 (ko) 단열배수판
KR100932106B1 (ko) 배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배수공법
KR20070106956A (ko) 하천 차수벽용 수직변위 흡수형 널말뚝
CN207537832U (zh) 一种路面用透水砖
CN210713473U (zh) 一种用于大型砖构不可移动文物的排水砖组
KR102116912B1 (ko) 에어 돔
CN220538835U (zh) 一种用于虹吸排水系统的固定结构及其虹吸排水系统
CN111058467A (zh) 一种地下室背水面防水排水结构及施工方法
CN220565288U (zh) 用于地下空间的防水保温结构
CN111254972A (zh) 一种应用于坡地建筑的单侧挡土的挡土墙及其施工方法
CN103306320A (zh) 地下室剪力墙裂缝渗水的处理方法
CN213868155U (zh) 一种有地下室的明沟式散水结构
CN220117610U (zh) 一种近零能耗建筑屋面钢结构设备基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