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17A - 프로그래밍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17A
KR20160014117A KR1020167002077A KR20167002077A KR20160014117A KR 20160014117 A KR20160014117 A KR 20160014117A KR 1020167002077 A KR1020167002077 A KR 1020167002077A KR 20167002077 A KR20167002077 A KR 20167002077A KR 20160014117 A KR20160014117 A KR 2016001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bd
terminal
recommendation
ord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063B1 (ko
Inventor
유스케 오사카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1Programming languages or programming paradigms
    • G06F8/311Functional or applicative languages; Rewrite langua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05B19/056Programming the PL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146Process image blocks have a relation to software function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에디터 화면상에서 복수의 FBD 부품을 접속하여 처리를 기술하는 FBD 언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100)로서, FBD 부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와, 에디터 화면상에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에 대해서 새롭게 FBD 부품을 배치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 및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복수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복수의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와,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결정한 추천 우선 순서를, 복수의 영역에 표시하는 에디터부(101)를 가진다.

Description

프로그래밍 장치{PROGRAMMING DEVICE}
본 발명은 FBD(Function Block Diagram) 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장의 제조 라인이나 각각의 장치, 또 플랜트(plant)·오피스 빌딩 등의 현장에 있어서, 피제어기기를 시퀀셜하게(sequentially) 제어하기 위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가 이용되고 있다. 그 프로그래밍에 있어서는, 국제 전기 표준 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에 의해, 표준 규격 IEC61131-3으로서 정의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용 프로그램 언어인 FBD 언어가 이용된다.
FBD 언어의 프로그램은, 펑션(function)이나 펑션 블록이라고 하는 FBD 부품을 배치하고, 그들을 결선(結線)함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기술한다. 각 FBD 부품은, 좌측에 입력 단자, 우측에 출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고, FBD 부품끼리는 입력 단자나 출력 단자를 통해서 결선된다.
FBD 언어의 결선에 있어서는, 하나의 접속선을 복수의 접속으로 나누는 것이나, 단자를 미접속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작성된 프로그램이 컴파일 에러(compilation error)가 되는 경우로서, 결선된 접속원의 단자와 접속처의 단자의 데이터형이 다른 경우나, 결선을 필수로 하는 단자에 대해서 결선하고 있지 않은 경우 등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지정한 부품에 대해서 결선의 공급을 행하면, 미접속인 단자를, 가까운 FBD 부품의 단자에 대해서 최상부(最上部)에서부터 모두 자동 접속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339143호 공보
FBD 언어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FBD 부품을 배치할 때, 유저는 무수한 배치 위치로부터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위치를 고려하여 FBD 부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FBD 부품의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데 시간이 걸려,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 결선에 있어서 접속원(source terminal)의 단자를 선택하는 경우, 모든 단자가 균일하게(uniformly) 표시되기 때문에, 접속의 우선도가 높은 단자를 알기 어렵고, 추가로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 결선에 있어서 접속처(destination terminal)의 단자를 선택하는 경우, 모든 단자가 균일하게 표시되기 때문에, 접속의 우선도가 높은 단자를 알기 어렵고, 추가로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발명은, 하나의 접속선을 복수의 접속선으로 나누는 것이나, 단자를 미접속으로 하는 것, 컴파일 에러를 고려한 접속을 행하는 것 등은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FBD 언어에 의한 프로그래밍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로그래밍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에디터 화면상에서 복수의 FBD 부품을 접속하여 처리를 기술하는 FBD 언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FBD 부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부와, 에디터 화면상에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에 대해서 새롭게 FBD 부품을 배치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 및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복수의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복수의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추천 순서 결정부와, 추천 순서 결정부가 결정한 추천 우선 순서를, 복수의 영역에 표시하는 에디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는, 다음에 배치하는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영역마다 추천 순서를 결정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FBD 부품의 배치 위치를 단시간에 결정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실시 형태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밍 장치(100)는 에디터 화면을 표시하고, 에디터 화면에 대한 FBD 부품의 배치 조작 및 에디터 화면상에서의 FBD 부품끼리의 결선 조작을 접수함으로써, 유저가 에디터 화면상에 FBD 언어에 의한 프로그램을 기술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로그래밍 장치(100)는, 사용시에는 전송로(10)에 의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800)와 접속된다.
프로그래밍 장치(100)는 범용의 컴퓨터에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함으로써 구성된다. 도 2는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4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401), RAM(Random Access Memory)(402), ROM(Read Only Memory)(403), 기억부(404), 입력부(405), 표시부(406) 및 통신 I/F(Interface)(409)를 가진다.
CPU(401)는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이다. RAM(402)은 CPU(401)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이용하는 워크 에어리어이다. ROM(403)은 컴퓨터(400)의 기동시에 CPU(4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구체적으로는, Initial Program Loader(IPL) 등)을 불휘발로 기억한다. 기억부(404)는 정보를 불휘발로 기억하는 장치로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등을 적용 가능하다. 입력부(405)는 오퍼레이터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로서,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터치 패널 등)나 키보드 등을 적용 가능하다. 표시부(406)는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적용 가능하다. 통신 I/F(409)는 전송로(10)를 통해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800)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컴퓨터(400)에 인스톨된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는, 기억부(404)에 격납된다. 기억부(404)에 격납된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407)를 CPU(401)가 판독하여실행함으로써, 컴퓨터(400)는 프로그래밍 장치(100)로서 기능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은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 컴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밍 장치(100)는 CPU(401)상에 에디터부(101), 추천 순서 결정부(102) 및 부품 정보 관리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억부(404)에는,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407)가 이용하는 부품 정보(104)가,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407)의 인스톨시에 격납되어 있다. 부품 정보(104)는 각 FBD 부품에 관한 부품 특성 정보로서, 에디터 화면상에서 FBD 부품이 차지하는 크기에 대한 정보(이하, 부품 사이즈 정보라고 표기함.)를 포함하고 있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FBD 부품을 배치할 때, 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을 에디터 화면상에서 검색하여, 배치할 수 있는 장소가 있으면, 추천 순서를 표시한다. 추천 순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기억부(404)로부터 부품 정보(104)를 판독한다.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 완료된 FBD 부품에 대해서, 부품의 종류 및 위치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부품의 위치의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에디터 화면에 있어서의 좌표치이다.
에디터부(101)는, 표시부(406)에 에디터 화면을 표시시키고, 입력부(405)에 대해서 행해진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서, 시퀀스 프로그램을 작성·편집하는 처리를 행한다. 에디터부(101)의 기능은,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장치의 에디터 기능과 같다. 에디터부(101)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가 유지하는 부품의 종류 및 위치의 정보를 참조하여, 에디터 화면상에 FBD 부품을 표시시킨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BD 부품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을 지정한다(스텝 S201). 다음으로,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FBD 부품을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하는 요구를 에디터부(101)에 준다(스텝 S202).
FBD 부품을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하는 요구를 받은 에디터부(101)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FBD 부품을 배치하는 장소의 검출을 요구한다. 에디터부(101)로부터의 요구를 받은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배치 완료된 FBD 부품, 지정된 FBD 부품 및 이제부터 배치하는 FBD 부품(이하, 배치 대상 FBD 부품이라고 표기함.)의 부품 사이즈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103)에 요구한다.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 요구된 각 FBD 부품의 부품 사이즈 정보를 부품 정보(104)로부터 판독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반환한다. 또,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배치 완료된 FBD 부품 및 지정된 FBD 부품의 배치 위치 정보를 에디터부(101)로부터 취득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부품 사이즈 정보와 배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고, 배치 완료된 FBD 부품과 겹치지 않고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한다. 또,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검출한 영역의 최상부의 좌표를 검출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복수의 영역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스텝 S203).
또한, 지정된 FBD 부품으로부터의 일정 거리는, 유저가 변경 가능해도 되고, 미리 설정되는 고정치여도 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결정한 추천 순서 및 각 영역의 최상부의 좌표를 에디터부(101)에 송신한다. 에디터부(101)는, 각 영역의 최상부에 추천 순서 표시란을 마련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의해서 번호 매겨진 추천 순서에 대응하여 서열을 나타내는 수열이나 문자열의 각 항을 에디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화면 표시를 갱신한다(스텝 S204). 추천 순서에 대응하여 서열을 나타내는 수열이나 문자열의 예로서는, 첫항이 1이고 공차(公差)가 1인 등차 수열, 환언하면 자연수의 수열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에디터 화면상에는, 「1」에서부터 시작되는 자연수로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또한, 추천 순서에 대응하여 서열을 나타내는 수열이나 문자열의 다른 예로서, A, B, C, D, … 와 같은 알파벳의 문자열을 들 수 있다. 또, 단순한 수열이나 문자열 외에도, 큰 범위로서의 순서 및 그 중에서의 상세한 순서를 나타내는 수열이나 문자열의 각 항을 추천 순서 표시란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1.1, 1.2, 2.1, 2.2, 2.3, 2.4와 같은 수열을 이용하면, 1의 자리의 값으로 큰 범위로서의 순서를 나타내고, 소수점 1 자리의 값으로 상세한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프로그래밍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FBD 언어에 의한 프로그램은, 위에서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을 향해서 처리가 진행되도록 기술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미 배치되어 있는 FBD 부품의 상측에 새롭게 FBD 부품을 배치하는 조작은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의 알고리즘을, 지정된 FBD 부품의 우측, 좌측 및 하측에 대해서만,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한다. 그리고 위에서 아래, 왼쪽에서 오른쪽이라고 하는 처리의 흐름을 감안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의 알고리즘을, 검출한 각 영역에, 우측, 좌측, 하측의 순으로 높은 우선도로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기도록 설정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지정된 FBD 부품의 우측, 좌측 및 하측에 대해서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에디터 화면으로부터 검출하고, 검출한 각 영역에 우측, 좌측, 하측의 순으로 부품 배치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
또한, 이 예에 있어서는, 지정된 FBD 부품으로부터의 일정 거리는, 우측 및 좌측과 하측에서 같아도 되고, 하측의 쪽이 작은 값이어도 된다. 이것은, FBD 부품의 우측이나 좌측에는 입력 단자나 출력 단자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하의 간격보다도 좌우의 간격을 넓게 하는 것이 FBD 언어의 프로그램이 보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 여기에서는 좌우 및 하측의 세방향에 대해서만을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는 예로 하지만, 상측에 대해서도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도록 추천 순서 결정부(102)의 알고리즘을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이미 배치되어 있는 FBD 부품의 상측에 새롭게 FBD 부품을 배치하는 조작은 일반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것을 감안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의 알고리즘은, 상측으로부터 검출된 영역의 우선도를 제일 낮게 하여 각 영역의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기도록 설정하면 된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부(406)에 표시된 에디터 화면(300)은 지정된 FBD 부품(301), 배치 완료된 FBD 부품(302), 추천 순서 표시란(303)을 포함하고 있다. 추천 순서 표시란(303)은,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번호 매긴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추천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 지정된 FBD 부품(301)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우측에 있는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4)에 있어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302)과 겹치지 않고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영역 중에서 최상부의 좌표를 검출한다. 이어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FBD 부품(301)의 좌측에 있는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5)에 있어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302)과 겹치지 않고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영역 중에서 최상부의 좌표를 검출한다. 추가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FBD 부품(301)의 하측에 있는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6)에 있어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302)과 겹치지 않고 배치 대상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영역 중에서 최상부의 좌표를 검출한다. 그리고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4~306)로부터 검출된 각 영역에 대해서, 지정된 FBD 부품(301)의 우측, 좌측, 하측의 순으로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 에디터부(101)는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4~306)로부터 검출된 각 영역의 최상부의 좌표의 부분에 추천 순서 표시란(3031~3033)을 배치하여, 번호 매긴 추천 순서를 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4) 내의 추천 순서 표시란(3031)에는 「1」,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5) 내의 추천 순서 표시란(3032)에는 「2」, 배치 후보 탐색 범위(306) 내의 추천 순서 표시란(3033)에는 「3」이 표시된다.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3031~3033)을 선택하면, 입력된 숫자나 선택된 추천 순서 표시란(3031~3033)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 대상 FBD 부품의 배치가 된다.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3031~3033)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405)에 대한 조작은, 키보드에 의한 추천 순서의 선택이나 마우스에 의한 선택 등 다양하지만,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유저는, 무수한 배치 위치로부터,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위치를 고려하여 FBD 부품의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FBD 부품의 배치 위치를 단시간에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실시 형태 2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만, 부품 정보(104)에는, 각 FBD 부품의 단자에 대한 단자 특성 정보(이하, 단자 정보라고 표기함.)가 포함되어 있고,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각 FBD 부품의 단자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단자 정보는 데이터형에 더하여, FBD 부품 단위로 단자마다 설정되는 접속 우선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BD 부품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에디터 화면에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을 지정한다(스텝 S401). 다음으로,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지정한 FBD 부품에 대한 결선 실시의 요구를 에디터부(101)에 준다(스텝 S402). 결선 실시의 요구를 받은 에디터부(101)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지정된 FBD 부품의 단자를 추출하는 것을 요구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FBD 부품 및 지정된 FBD 부품에 결선 완료된 FBD 부품의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103)에 요구한다.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 요구된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104)로부터 판독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반환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로부터 취득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FBD 부품으로부터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를 추출하고, 부품 정보 관리부(103)로부터 취득한 단자마다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 이어서,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나머지 단자를 추출하고, 부품 정보 관리부(103)로부터 취득한 단자마다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직전에 결정한 추천 순서로부터 연번(連番)이 되도록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스텝 S403).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추천 순서는,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가 낮은 번호가 되고,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는,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의 이어지는 번호가 되기 때문에, 결선 작업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번호 매긴 추천 순서를 에디터부(101)에 송신한다. 에디터부(101)는 지정된 FBD 부품의 각 단자에 대응하도록 추천 순서 표시란을 마련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번호 매긴 추천 순서를 에디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화면 표시를 갱신한다(스텝 S404). 즉, 에디터 화면상에는, 「1」에서부터 시작되는 자연수로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실시 형태 2의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디터 화면(500)에는 지정된 FBD 부품(501)이 표시되어 있다. 지정된 FBD 부품(501)은 두 개의 입력 단자(502, 504) 및 두 개의 출력 단자(503, 505)를 가진다. 또, 에디터 화면(500)에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이 표시되어 있다.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은,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결정한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추가로, 에디터 화면(500)에는, 지정된 FBD 부품(501)에 결선 완료된 FBD 부품(507,508, 509)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FBD 부품(507)의 출력 단자(507a)와 입력 단자(502)는 데이터형이 일치하고 있어,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는 생기지 않은 것으로 한다. 또, FBD 부품(508)의 출력 단자(508a)와 입력 단자(504)는 데이터형이 다르기 때문에,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생긴 것으로 한다. 추가로, FBD 부품(509)의 입력 단자(509a)와 출력 단자(503)는 데이터형이 다르기 때문에,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생긴다고 한다. 또한, 출력 단자(505)는 다른 FBD 부품과의 결선을 필수로 하는 단자가 아니고, 컴파일 에러는 생기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 지정된 FBD 부품(501)의 각 단자의 접속 우선도는, 우선도가 높은 쪽에서부터 차례로 입력 단자(502), 출력 단자(503), 입력 단자(504), 출력 단자(505)인 것으로 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추천 순서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를 통해서, 지정된 FBD 부품(501) 및 FBD 부품(507,508, 509)의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104)로부터 취득한다. 단자 정보를 취득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우선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로서, 출력 단자(503) 및 입력 단자(504)를 추출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출력 단자(503) 및 입력 단자(504)에 설정되어 있는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출력 단자(503)의 추천 순서로서 「1」을, 입력 단자(504)의 추천 순서로서 「2」를 번호 매긴다. 이어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나머지 단자로서, 입력 단자(502) 및 출력 단자(505)를 추출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입력 단자(502) 및 출력 단자(505)에 설정되어 있는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직전에 결정한 추천 순서로부터의 연번이 되도록, 입력 단자(502)의 추천 순서로서 「3」을, 출력 단자(505)의 추천 순서로서 「4」를 번호 매긴다. 그 후,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추천 순서를 에디터부(101)에 반환한다.
에디터부(101)는 입력 단자(502, 504) 및 출력 단자(503, 505)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을 에디터 화면(500)상에 마련하여, 그 안에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 취득한 추천 순서를 표시한다. 즉, 입력 단자(502)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1)에는 「3」, 출력 단자(503)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2)에는 「2」, 입력 단자(504)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3)에는 「1」, 출력 단자(505)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4)에는 「4」를 표시한다.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을 선택하면, 입력된 숫자나 선택된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에 대응하는 단자가 결선 대상으로서 선택된다.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405)에 대한 조작은, 키보드에 의한 추천 순서의 선택이나 마우스에 의한 선택등 다양하지만, 특정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단자의 추천 순서와 발생하지 않는 단자의 추천 순서를 구별하여 에디터부(101)에 반환하고, 에디터부(101)는 추천 순서 표시란(5061~5064)에 추천 순서를 표시할 때,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단자의 추천 순서와 발생하지 않는 단자의 추천 순서를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에디터 화면상에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을 지정했을 때, 결선을 다시 하는 것이 좋을 가능성이 높은 단자에서부터 높은 순위로 추천 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결선시에 접속원의 단자를 선택할 때, 단자의 우선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선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FBD 부품의 단자와 지정된 FBD 부품에 결선 완료된 FBD 부품의 단자간의 데이터형의 일치 및 불일치의 양쪽을 검출하여, 데이터형이 불일치인 단자가 결선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번호 매겨지고, 이 번호 매김에 이어서 데이터형이 일치인 단자가 결선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번호 매겨지도록, 지정된 FBD 부품의 단자간에 있어서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했다. 다만, 지정된 FBD 부품의 단자와 지정된 FBD 부품에 결선 완료된 FBD 부품의 단자간의 데이터형의 일치 및 불일치 중 한쪽만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취득한 결선의 접속 우선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FBD 부품의 단자간에 있어서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실시 형태 3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다만, 부품 정보(104)에는, 각 FBD 부품의 단자에 대한 단자 특성 정보(이하, 단자 정보라고 표기함.)가 포함되어 있고,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각 FBD 부품의 단자 정보를 관리하고 있다. 단자 정보는 데이터형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FBD 부품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에디터 화면에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단자를 지정한다. 다음으로, 유저는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지정한 단자의 결선 실시에 대한 요구를 에디터부(101)에 준다(스텝 S601).
결선 실시의 요구를 받은 에디터부(101)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단자가 지정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단자를 추출하는 것을 요구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단자가 지정된 FBD 부품 및 이것과는 다른 FBD 부품의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103)에 요구한다. 부품 정보 관리부(103)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 요구된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104)로부터 판독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에 반환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로부터 취득한 단자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단자와 결선해도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를 추출하고,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에 따라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 또한, 여기서의 직선 거리란, 지정된 단자의 에디터 화면상에서의 xy좌표와, 지정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단자의 에디터 화면상에서의 xy좌표에 기초하여, 2점 사이의 선분 길이로서 산출 가능하다. 이어서, 지정된 단자와 결선하면 컴파일 에러가 되는 나머지 단자를 추출하고,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에 따라서, 직전에 결정한 추천 순서로부터 연번이 되도록 추천 순서를 번호 매긴다(스텝 S602).
또한,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가 같은 단자가 다수 개 있는 경우에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서 추천 순서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에디터 화면에 상측에 위치하는 단자나, 좌측에 위치하는 단자를 우선하는 등의 규칙에 따라서 추천 순서를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추천 순서는,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가 낮은 번호가 되고, 컴파일 에러가 되는 단자는,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의 이어지는 번호가 되기 때문에, 지정된 단자와의 접속의 우선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번호 매긴 추천 순서를 에디터부(101)에 송신한다. 에디터부(101)는, 단자가 지정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각 단자에 대응하도록 추천 순서 표시란을 마련하여,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결정한 추천 순서 에디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화면 표시를 갱신한다(스텝 S603). 즉, 에디터 화면상에는, 「1」에서부터 시작되는 자연수로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실시 형태 3의 프로그래밍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가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에디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디터 화면(700)에는, FBD 부품(701~705)이 표시되어 있다. FBD 부품(701)은 출력 단자(701a)를 구비하고 있고, FBD 부품(702~705)은 입력 단자(702a~70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에디터 화면(700)에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이 표시되어 있다. 추천 순서 표시란(7061~7064)은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번호 매긴 추천 순서가 표시된다.
여기서, FBD 부품(701)의 출력 단자(701a)와 FBD 부품(702)의 입력 단자(702a)는 데이터형이 달라, 결선했을 경우에는 컴파일 에러가 생기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IEC61131-3에 정의되어 있는 타입이면, 부동 소수점형인 INT, 정수형인 REAL, 조건식에 대응하는 결과를 true 또는 false로 나타내는 BOOL형 등의 데이터형이 있고, 데이터형이 다른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결선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또, FBD 부품(701)의 출력 단자(701a)와 FBD 부품(703)의 입력 단자(703a)는 데이터형이 달라, 결선했을 경우에는 컴파일 에러가 생기는 것으로 한다. 또, FBD 부품(701)의 출력 단자(701a)와 FBD 부품(704)의 입력 단자(704a)는 데이터형이 일치하고 있어,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한다. 추가로, FBD 부품(701)의 출력 단자(701a)와 FBD 부품(705)의 입력 단자(705a)는 데이터형이 일치하고 있어,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가 추천 순서를 결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부품 정보 관리부(103)를 통해서, 출력 단자(701A)가 지정된 FBD 부품(701) 및 FBD 부품(702~705)의 단자 정보를 부품 정보(104)로부터 취득한다. 단자 정보를 취득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먼저 지정된 단자인 출력 단자(701A)와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로서, 입력 단자(704a) 및 입력 단자(705a)를 추출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단자인 출력 단자(701a)와의 직선 거리의 짧음에 따라서, 입력 단자(704a)의 추천 순서로서 「1」을, 입력 단자(705a)의 추천 순서로서 「2」를 번호 매긴다. 이어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단자인 출력 단자(701a)와 결선했을 경우에 컴파일 에러가 되는 나머지 단자로서, 입력 단자(702a) 및 입력 단자(703a)를 추출한다.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지정된 단자인 출력 단자(701a)와의 직선 거리의 짧음에 따라서, 직전에 결정한 추천 순서로부터의 연번이 되도록, 입력 단자(702a)의 추천 순서로서 「3」을, 입력 단자(703A)의 추천 순서로서 「4」를 번호 매긴다. 그 후,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추천 순서를 에디터부(101)에 반환한다.
에디터부(101)는, 입력 단자(702a~705a)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1~7064)을 에디터 화면(700)상에 마련하고, 그 중에 추천 순서 결정부(102)로부터 취득한 추천 순서를 표시한다. 즉, 입력 단자(702a)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1)에는 「3」, 입력 단자(703A)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2)에는 「4」, 입력 단자(704a)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3)에는 「1」, 입력 단자(705a)에 대응하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4)에는 「2」를 표시한다.
입력부(405)를 조작하여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7061~7064)을 선택하면, 입력된 숫자나 선택된 추천 순서 표시란(706)에 대응하는 단자가 지정된 단자(701a)와 결선된다. 추천 순서에 대응하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추천 순서 표시란(7061~7064)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405)에 대한 조작은, 키보드에 의한 추천 순서의 선택이나 마우스에 의한 선택 등 다양하지만, 특정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단자의 추천 순서와 발생하지 않는 단자의 추천 순서를 구별하여 에디터부(101)에 반환하고, 에디터부(101)는 추천 순서 표시란(7061~7064)에 추천 순서를 표시할 때,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단자의 추천 순서와 발생하지 않는 단자의 추천 순서를 다른 색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컴파일 에러가 되지 않는 단자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추천 순서 결정부(102)는, 단자가 지정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단자로서, 지정된 단자와 데이터형이 일치하는 단자가,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가 짧은 순으로 번호 매겨지고, 이 번호 매김에 이어서 단자가 지정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단자로서, 지정된 단자와 데이터형이 불일치인 단자가,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가 짧은 순으로 번호 매겨지도록, 지정된 단자와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경우를 예로 했다. 다만, 지정된 단자와 데이터형이 일치하는 단자 및 불일치인 단자의 한쪽만을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와 취득한 결선의 접속 우선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단자와의 사이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에디터 화면상에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단자를 지정했을 때, 결선처로서 추천되는 단자일수록 높은 순위로 추천 순서를 표시할 수 있다. 환언하면, 결선시 접속처의 단자를 선택할 때에, 단자의 우선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선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실시 형태 1~3을 개별로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 형태의 동작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 2, 3의 동작을 일련의 동작으로 하고, 에디터 화면에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을 지정했을 때, 지정한 부품이 가지는 단자에 추천 순서가 표시되고, 어느 단자를 지정했을 때, 지정한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의 단자에 추천 순서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추천 순서나 추천 순서 표시부를 선택함으로써, FBD 부품의 배치나 결선이 가능하고, 그 선택 수단에 대해서는, 키보드에 의한 추천 순서의 선택이나 마우스에 의한 추천 순서 표시부의 선택 등 다양하지만, 특정의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밍 장치는, FBD 언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FBD 부품의 추천 되는 배치 위치나, FBD 부품의 추천 되는 접속 단자를 유저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점에서 유용하고, 특히, 컴파일 에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데 적합하다.
10: 전송로, 100: 프로그래밍 장치,
101: 에디터부, 102: 추천 순서 결정부,
103: 부품 정보 관리부, 104: 부품 정보,
300, 500, 700: 에디터 화면, 301, 501: 지정된 FBD 부품,
302: 배치 완료된 FBD 부품, 303, 506, 706: 추천 순서 표시란,
304, 305, 306: 배치 후보 탐색 범위,
400: 컴퓨터, 401: CPU,
402: RAM, 403: ROM,
404: 기억부, 405: 입력부,
406: 표시부, 407: 프로그래밍 툴 소프트웨어,
409: 통신 I/F,
502, 504, 702a, 703a, 704a, 705a: 입력 단자,
503, 505, 507a, 508a, 509a: 출력 단자,
507, 508, 509, 701, 702, 703, 704, 705: FBD 부품.

Claims (8)

  1. 에디터 화면상에서 복수의 FBD 부품을 접속하여 처리를 기술(記述)하는 FBD 언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FBD 부품의 크기를 나타내는 사이즈 정보를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부와,
    상기 에디터 화면상에서 배치 완료된 FBD 부품에 대해서 새롭게 FBD 부품을 배치하는 조작이 행해졌을 때,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 및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의 사이즈 정보를 상기 부품 정보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그 취득한 사이즈 정보에 기초하여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복수의 영역을 검출하고, 그 검출한 복수의 영역의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 사이에 있어서의 부품 배치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추천 순서 결정부와,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가 결정한 상기 추천 우선 순서를, 상기 복수의 영역에 표시하는 에디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영역을 검출하여, 상기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의 알고리즘은, 배치 완료된 FBD 부품의 우측, 좌측 및 하측에서부터 새롭게 배치하는 FBD 부품을 배치 가능한 영역을 검출하고, 우측, 좌측, 하측의 순으로 높은 우선도로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4.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FBD 부품을 에디터 화면상에서 접속하여 처리를 기술하는 FBD 언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각 단자에 부속되는 데이터형의 정보 및 복수의 단자의 결선의 접속 우선도의 정보를, FBD 부품마다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부와,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FBD 부품 중 하나를 지정하여 결선 조작이 행해졌을 때, 상기 지정된 제1 FBD 부품에 포함되는 단자의 데이터형의 정보, 상기 제1 FBD 부품에 포함되는 결선의 접속 우선도의 정보, 및 상기 제1 FBD 부품과 결선되어 있는 제2 FBD 부품에 포함되는 단자의 데이터형의 정보를 부품 정보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그 취득한 데이터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BD 부품의 단자와 상기 제2 FBD 부품의 단자간의 데이터형의 비교를 행하고, 이 비교 결과와 상기 취득한 결선의 접속 우선도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FBD 부품의 단자간에 있어서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추천 순서 결정부와,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가 번호 매긴 상기 추천 우선 순서를, 상기 제1 FBD 부품의 각 단자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에디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는, 상기 제1 FBD 부품의 단자와 상기 제2 FBD 부품의 단자간의 데이터형의 일치 및 불일치의 양쪽을 검출하고, 데이터형이 불일치인 단자가 상기 결선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번호 매겨지고, 이 번호 매김에 이어서 데이터형이 일치하는 단자가 상기 결선의 접속 우선도에 따라서 번호 매겨지도록, 상기 제1 FBD 부품의 단자간에 있어서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6.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FBD 부품을 에디터 화면상에서 접속하여 처리를 기술하는 FBD 언어의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프로그래밍 장치로서,
    각 단자에 부속되는 데이터형의 정보를, FBD 부품마다 관리하는 부품 정보 관리부와,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FBD 부품 중 하나의 단자를 지정하여 결선 조작이 행해졌을 때, 지정된 단자의 데이터형의 정보 및 상기 지정된 단자를 가지는 제1 FBD 부품 이외의 FBD 부품으로서 상기 에디터 화면상에 배치 완료된 제2 FBD 부품에 포함되는 단자의 데이터형의 정보를 상기 부품 정보 관리부로부터 취득하고, 그 취득한 데이터형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단자와 상기 제2 FBD 부품의 단자간의 데이터형의 비교를 행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지정된 단자와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추천 순서 결정부와,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가 번호 매긴 상기 추천 우선 순서를, 상기 제2 FBD 부품의 각 단자에 대응시켜 표시하는 에디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추천 순서 결정부는, 상기 제2 FBD 부품의 데이터형이 일치하는 단자가 상기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가 짧은 순으로 번호 매겨지고, 이 번호 매김에 이어서 상기 제2 FBD 부품의 데이터형이 불일치인 단자가 상기 지정된 단자와의 직선 거리가 짧은 순으로 번호 매겨지도록, 상기 지정된 단자와의 결선 작업의 추천 우선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에디터부는, 데이터형이 일치하는 단자의 상기 추천 우선 순서와, 데이터형이 일치하지 않는 단자의 상기 추천 우선 순서를 다른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장치.
KR1020167002077A 2014-03-07 2014-03-07 프로그래밍 장치 KR101634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56050 WO2015132971A1 (ja) 2014-03-07 2014-03-07 プログラミ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17A true KR20160014117A (ko) 2016-02-05
KR101634063B1 KR101634063B1 (ko) 2016-06-27

Family

ID=5405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077A KR101634063B1 (ko) 2014-03-07 2014-03-07 프로그래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06776B2 (ko)
JP (1) JP5829780B1 (ko)
KR (1) KR101634063B1 (ko)
CN (1) CN105431790B (ko)
DE (1) DE112014003151T5 (ko)
TW (1) TWI528122B (ko)
WO (1) WO2015132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9914A1 (de) * 2016-09-26 2018-03-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kontrollflussplanes
WO2019167187A1 (ja) * 2018-02-28 2019-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ミング支援装置、プログラミング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ミング支援プログラム
US10935950B2 (en) * 2018-03-28 2021-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rogramming supporting apparatus, programming suppor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84724B1 (ja) * 2018-10-18 2019-10-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ム照合装置、プログラム照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照合プログラム
JP6950665B2 (ja) * 2018-11-02 2021-10-13 横河電機株式会社 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エンジニアリング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21280B2 (ja) 2019-07-30 2024-01-2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具
US11307554B2 (en) 2019-11-20 2022-04-19 Younes Faraj System and method for keyword-based PLC programm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74A (ko) * 2001-03-29 2003-10-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툴
JP2005339143A (ja) 2004-05-26 2005-12-08 Yamaha Corp 信号経路設定装置および信号経路設定プログラム
JP2008310390A (ja) * 2007-06-12 2008-12-25 Omron Corp 安全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2012159868A (ja) * 2011-01-28 201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0071B2 (ja) 1990-06-07 1999-06-02 富士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DE19880536B4 (de) * 1997-03-11 2004-08-05 Mitsubishi Denki K.K. Visuelles Programmierverfahren und dieses Verfahren anwendendes Pogrammiersystem
DE60045196D1 (de) * 1999-08-31 2010-12-16 Digital Electronics Corp Editierungsvorrichtung und Aufnahmemedium mit darauf aufgezeichnetem Editierungsprogramm
US20020089550A1 (en) 2000-02-14 2002-07-11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hierarchical screens in virtual space
US20020089541A1 (en) 2000-02-14 2002-07-11 Julian Orbanes System for graphically interconnecting operators
US20020080177A1 (en) 2000-02-14 2002-06-27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ata objects to a custom format for viewing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US20020075311A1 (en) 2000-02-14 2002-06-20 Julian Orbanes Method for viewing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US20020075331A1 (en) 2000-02-14 2002-06-20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data objects in virtual space
US20010052110A1 (en) 2000-02-14 2001-12-13 Julian Orbanes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ly programming operators
US20020085035A1 (en) 2000-02-14 2002-07-04 Julian Orbane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ustom formats for viewing information in virtual space
US7257620B2 (en) * 2001-09-24 2007-08-14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ethod for providing engineering tool services
US8086664B2 (en) * 2001-09-24 2011-12-27 Siemens Indust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ming programmable controllers and generating configuration data from a centralized server
US7324856B1 (en) * 2003-09-25 2008-01-2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Autogeneration of code via human-machine interfaces (HMI) and self-building HMI
DE102008002266B4 (de) 2007-06-12 2019-03-28 Omron Corp. Programmentwicklung-Unterstützungsvorrichtung einer Sicherheitssteuerung
US8117424B2 (en) * 2007-09-21 2012-02-14 Siemens Industry, Inc.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anaging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rocessing
US8694959B2 (en) * 2008-09-30 2014-04-08 Ics Triplex Isagraf Inc. Multi language editor
US8327316B2 (en) * 2008-09-30 2012-12-04 Ics Triplex Isagraf Inc. Compilation model
JP5183571B2 (ja) 2009-06-01 2013-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図編集装置および回路図編集プログラム
JP4994522B1 (ja) * 2011-12-07 2012-08-0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表示器用画面データ編集装置
EP2901396A1 (en) * 2012-09-26 2015-08-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Providing a customize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to a custom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874A (ko) * 2001-03-29 2003-10-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램 툴
JP2005339143A (ja) 2004-05-26 2005-12-08 Yamaha Corp 信号経路設定装置および信号経路設定プログラム
JP2008310390A (ja) * 2007-06-12 2008-12-25 Omron Corp 安全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JP2012159868A (ja) * 2011-01-28 201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ミ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31790A (zh) 2016-03-23
US20160196113A1 (en) 2016-07-07
JPWO2015132971A1 (ja) 2017-04-06
JP5829780B1 (ja) 2015-12-09
TWI528122B (zh) 2016-04-01
US9606776B2 (en) 2017-03-28
TW201535078A (zh) 2015-09-16
KR101634063B1 (ko) 2016-06-27
DE112014003151T5 (de) 2016-05-12
WO2015132971A1 (ja) 2015-09-11
CN105431790B (zh)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063B1 (ko) 프로그래밍 장치
US7272825B2 (en) Development aid device
KR101889631B1 (ko) 시퀀스 프로그램 작성 지원 장치
US11960925B2 (en) Program generating device, program generat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4242361B2 (ja) 開発支援装置
US20100235812A1 (en) Input supporting method of variable name in programming of plc
JP2007086831A (ja) 開発支援装置およびアウトライン情報生成プログラムならびにアウトライン情報生成方法
US9229441B2 (en) System construction supporting tool and system construction supporting device
KR101456812B1 (ko) 시스템 설계 장치
JP2014086044A (ja) 設計支援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KR20130039965A (ko) 선박용 배관 모델링 시스템 및 그의 추출 밸브 리스트 타당성 검증 방법
US10733340B2 (en) System configuration creation supporting device
KR101652321B1 (ko) 관계형 db를 이용한 발전소의 루프 와이어링 다이어그램 자동 생성 시스템 및 방법
JP2006146955A (ja) 開発支援装置
CN113711142B (zh) 调试辅助装置、调试辅助方法、记录介质
JP4517302B2 (ja) 開発支援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424198B2 (ja) ファンクションブロックダイアグラムのプログラム装置
CN110377277B (zh) 提示方法及其电脑系统
KR100650840B1 (ko) 검사 장치 및 프로그래밍 툴
CN114036876B (zh) 一种集成电路eda平台
JP6584724B1 (ja) プログラム照合装置、プログラム照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照合プログラム
JP2017151829A (ja) 支援システム、支援方法、および支援プログラム
JP2022130297A (ja)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