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600A -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 Google Patents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600A
KR20160013600A KR1020140095578A KR20140095578A KR20160013600A KR 20160013600 A KR20160013600 A KR 20160013600A KR 1020140095578 A KR1020140095578 A KR 1020140095578A KR 20140095578 A KR20140095578 A KR 20140095578A KR 20160013600 A KR20160013600 A KR 20160013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elderly
polyvinyl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현
Original Assignee
이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현 filed Critical 이계현
Priority to KR102014009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3600A/ko
Publication of KR20160013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구조를 갖는 바닥재에 관 한건으로 노약자에게 필요한 미끄럼, 전도충돌시 안전성, 복원성, 내오염성을 구비하고 인체와 접촉이 많은 상부층 부분에는 친환경적인 소재인 올레핀 혹은 PLA를 사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폴리염화비닐(PVC)을 사용한 바닥재 제조에 관한 건이다.
본 발명은 위로부터 표면처리층, 미끄럼방지층으로 구성되고, 상부층과 인쇄층, 충격완화복원기재층, 이지층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미끄럼방지층에 그라스비드등을 혼합하여 미끄럼을 방지하고, 상부층은 친환경적인 PLA혹은 올레핀수지를 적용한다. 또한 충격완화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와 가공용 조재고무등을 사용한 충격완화 복원기재층을 구비하여 전도충돌시 및 충격, 복원성을 향상시킨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Functional floor material elderly and infirm}
본 발명은 노약자를 위한 기능성 바닥재 제조방법에 관 한건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럼방지를 위해서 알루미늄옥사이드,규사또는 그라스비드를 사용하여 미끄럼방지층을 제조하고,상부층은 PLA혹은 올레핀수지를 적용하고, 충격완화 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와 가공용 조제고무를 적용하여, 노약자에게 필요한 미끄럼, 전도충돌시 안전성, 복원성, 내오염성, 인체와 접촉이 많은 상부 층에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적용한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제조에 관한건이다.
종래에는 노약자용 시설에 사용되는 바닥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염화비닐(PVC)을 사용하였으며, 노약자는 다리에 힘이 없어 휠체어를 타거나 바닥에 앉아있는 시간이 많아서 인체와 접촉이 많은 부분에 친환경적인 수지가 함유된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가 필요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PVC)등을 이용한 바닥재는 미끄럼을 방지키위해서 기계적으로 제품표면에 요철을부여하여, 미끄럼방지기능을 부여하나, 심한요철은 휠체어 이동이나 보행시 걸려 넘어지거나 진동으로 인해서 뇌의충격등의 부상염려가 있고, 또한 요철의 마모가 심하여 오염이 쉽게 발생하였다. 충격완화를 위해서는 발포층으로 구성된 바닥재를 사용한관계로 발포층으로 인해서 복원력이 떨어져 휠체어 이동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접촉이 많은 상부층이 폴리염화비닐(PVC)로 되어있어, 사용시 유해물질이 발생하여 친환경적인 면이 부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류의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노약자의 보행이나 휠체어 이동시 미끄럼성 및 내오염성을 해결 하고자 미끄럼 방지제와 표면처리재를 이용하고
상부층에는 친환경적인 수지를 사용하고, 충격완화, 복원을 위해서 복원 및 충격완화가 용이한 가공조제용 고무를 사용하여 미끄럼성, 내오염성, 충격완화, 복원성을 확보 할 수 있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시 이형지층만을 제거하여 시공이 가능하므로 누구나 쉽게 시공이 가능한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에 알루미늄 옥사이드, 규사 또는 그라스비드를 10~40% 중량함유하고, 상부층은 열가소성의 올레핀수지, 폴리에틸렌 과 폴리프로필렌, 첨가제를 포함하고 혹은 PLA수지,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재, 응용강도보강제, 가수분해재 가공조재,활재를 포함한다.
충격완화 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 가공조재용고무, 안정제, 가소제, 충진재,충진조재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성형 양생된 층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은 건축장식재의 폴리염화비닐 시트면에 점착층 및 이형지층을 추가로 더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선택된 점착제 층이거나 상하면에 상기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층일 수 있으며, 그 두께 0.05~2.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방법으로 제조되어 위로부터 표면처리층, 미끄럼방지층, 상부층, 인쇄층, 충격완화복원기재층, 치수안정층 및 이지층을 포함하는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방법으로 제조되어 이지층 이면에 점착제층 또는 상하면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층 및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처리층,미끄럼방지층,상부층,인쇄층,충격완화복원기재층, 치수안정층 및 이지층,점착제층 또는 상하면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층 및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이형지층을 제거하여 피착면에 부착시공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노약자는 다리에 힘이 없어 바닥에 앉아있거나, 기어다닐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존의 폴리염화비닐(PVC)바닥재는 중금속 및 프탈레이트등의 환경호르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으나, 인체의 접촉이 많은 상부층만은 친환경적인 PLA혹은 올레핀수지를 사용하여 노약자에게 안전하도록 했다.
노약자는 미끄러워 넘어지거나, 잦은 오물등으로부터 오염이 쉽게 발생하므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에 알루미늄옥사이드,규사 또는 그라스비드를 혼합하여 처리하므로서, 미끄럼을 방지하고 오염성을 개선할 수 있다.
노약자는 잘 넘어지거나, 휠체어에 의한 전도충돌시 충격성이 약하므로, 충격완화복원기재층에 폴리염화비닐(PVC)와 혼합이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가공조제용 고무를 사용함로서 전도충돌시 충격성 및 복원성으로 기할 수 있다.
노약자는 이동이 어렵고, 바깥에 있을시 면역력이 약하므로, 바닥재의 시공시 접착제로 인한 시공시 시간이 필요하고, 접착제로 인한 냄새로 인해서 인체에 해를 끼므로 시공시 이형지층만을 제거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누구나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제조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점착층 및 이형지층이 형성된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단면도이다
통상적으로 바닥재는 미끄럼을 방지키위해서 기계적으로 제품표면에 요철을 부여하여, 미끄럼방지기능을 부여하나, 심한 요철은 휠체어 이동이나, 보행시 걸려 넘어지거나 진동으로 인해서 뇌의충격 등의 부상 염려가 있고, 또한 요철의 마모가 심하여, 오염이 쉽게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 표면처리층(90)은 바닥재의스크래치이나,내마모성등의품질을향상시키고,내오염성을개선하여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기위한 목적등에서 미끄럼방지층(80)과 상부층(70)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표면처리층(90)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왁스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면처리층(90)의 형성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들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을 미끄럼방지층(80)과상부층(70)상에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층(90)은 0.01-0.1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처리층(90)이0.1mm를 초과할 경우 표면처리층형성에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바닥재의 컬링물성등의 품질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끄럼방지층(80)은 내오염 및 미끄럼, 내마모성을 위해서 알루미늄 옥사이드,규사또는 그라스비드등이 이용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층(80)의 형성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예를들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에 알루미늄 옥사이드, 규사 또는 그라스비드등을 10~40% 중량 함유하여 상부층(70)에 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부층에 알루미늄 옥사이드의 미끄럼방지제가 돌출되어 오염이 발생하고 빠지는현상이 있을 경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를 이중코터를 이용하여,1차적으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 규사또는 그라스비드을 도포하고, 경화시킨 후 상기층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만을 도포한후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상부층(70)부분에 알루미늄 옥사사이드등을10-40%중량 혼합하여 코터를 통해서 도포한 후 자외선을 통해서 경화시킨다. 이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만을 0.1-1.0mm도포한 후 경화시킨 결과 내오염성과 내약품성, 미끄럼성이 우수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부층(70)은 열가소성을 올레핀수지, 폴리에틸렌 과 폴리프로필렌, 첨가제를 포함하고 혹은 PLA수지, 비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응용강도보강제, 가수분해제, 가공조제, 활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올레핀수지,PLA수지는 사용 또는 폐기과정에서 CO2등의 환경유해물질의 배출량이 폴리염화비닐(PVC)등의 석유기반 소재에 비해 월등이 적고, 폐기시에는 자연환경하에서 용이하게 분해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진다.
비프탈레이트 친환경가소제는 PLA수지를 연화하여 열가소성을 증대시킴으로서 고온에서 성형가공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비프탈레이트 친환경가소제로 ATBC(Acetyl tributyl citrate)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가소제로는 PLA수지100중량부에 5-60%중량부의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강도보강제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융압출시 자체로서는 내충격강도 또는 내열성이 좋지 않은 PLA수지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PLA수지에는 용융압출 등에서 침적물이나 가교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서 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제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적인 고급지방산인 스테아르산등을사용할 수 있다.
상기활제의사용량은 PLA수지100중량 대비 0.01-1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PLA수지에는 사슬연장을 통한 분자량을 증가시켜 인장강도,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위해서 사슬연장제(chain extender)가 더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슬연장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카복실산 화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사슬연장제는 PLA수지에서 사슬연장제사용량이 PLA수지 100 중량부대비 0.01-1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PLA수지의 가수분해를 통하여 내충격성등의 기계적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내가수분해제(antilhydrolysis agent)가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내 가수분해제로는 카보디이미드, 옥사졸린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느것이라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내 가수분해제는 PLA수지 100중량부대비 0.01-10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층(70)은 0.1-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0.1mm이하의 두께를 가질 경우 마모에 따른 내구성이부족하며,2mm를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하므로,0.3-0.5mm정도가 가장 좋다.
본 발명에서 인쇄층(60)은 폴리염화비닐(PVC)의 시트상에 그라비아인쇄,스크린인쇄,로타리인쇄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를 형성하므로서 바닥재의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충격완화복원기재층(50)은 충격완화 복원층은 폴리염화비닐(PVC), 가공조제용고무, 안정제, 가소제, 충진제,충진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성형 양생된 층 이다. 통상 충격완화를 위해서는 발포층으로 구성된 바닥재를 사용한관계로, 발포층으로 인해서 복원력이 떨어져 휠체어 이동의 어려움이 발생 한다.
충격완화 복원층은 폴리염화비닐(PVC), 가공조제용고무, 안정제, 가소제, 충진제충진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성형 양생된 층 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충격완화 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100중량부, 가공용 조제고무:10-30중량부, 안정제1-10중량부, 가소제20-35중량부, 충진제:150-600중량부 및 충진조제:5-50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은 건축장식기재 제조용 조서물의 주성분으로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공조제용 고무로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는 조성물 내 고무입자가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하영 상기 폴리염화비닐 입자들 사이의 공극을 충진함으로써 프레스기를 이용한 합판 시에도 성형된 건축장식기재 조각이 늘어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내 부타디엔 함량은 50~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내 부타디엔 함량은 60~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또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내 부타디엔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성형된 기재에 충분한 탄성을 주기 어렵거나, 성형시 기계적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니트릴 부타이엔 고무 또는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Ba-Zn계 무독성 안정제, Pb-Cd계, 하이드로탈사이트계 등과 같은 금속염계 안정제, 제올라이트계 안정제, 에폭시계 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Cd, Pb, Hg등중금속을 함유하지 않은 Ba-Zn계 무독성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등러 디옥틸 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 프탈레이트, 부틸벤질 프탈레이트, 2,2,4-트리메틸-1,3-펜타네디올 디이소부틸레이트(2,2,4-trimethy1-1,3pentanediol diisobutyrate), 1-페닐-1자이에탄과 1-페닐-1-에틸페닐에탕의 혼합물, 폴리에테르 변성 폴리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프탈레이트와 아디페이트를 함유하지 않은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20~3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충진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탄산칼슘, 수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규조토, 석영분, 알루미나,산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 내지 6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충진조제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해포석(sepiolite), 탈크, 석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조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치수안정층(40)은 PLA혹은 올레핀 수지와 폴리염화비닐(PVC) 의 낮은 칫수 안정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바닥에 시공후 온습도 차이에 의해 치수가 변화하고, 그에 따라 수축에 의해 바닥재간 연결부가 벌어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치수안정층(40)은이러한 치수 안정성을 확보하여 상기와 같은 현상을 방지한다.
치수안정층은 유리섬유가 폴리염화비닐(PVC)수지에 함침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리섬유는 30~150g/m₂의 단위면적당 질량을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30g/m₂미만이면, 치수안정성 보강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유리섬유의 단위면적당 질량이 150g/m₂를 초과하면, 충격완화보완층층(50)층과 치수안정층(40) 간의 부착력 혹은 이지층(30)과 치수안정층(40) 간의 부착력이 저하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40)은 사용 목적이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수지에 가소제로서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 , 점도저하제, 원가 절감을 위한 무기질 필러인 탄산칼슘, 백색안료서 이산화티타늄(TiO₂)등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40)에 첨가되는 물질들은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상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40~150중량부로 첨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점도저하제의 경우 30 중량부 이하, 탄산칼슘의 경우 150 중량부 이하,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20 중량부 이하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옥틸 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상기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유리섬유 함침층의 점도가 높아져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15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들과의 상용성 문제로 인하여 치수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점도저하제의 경우 상기 수지 100중량부 대비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과도한 점도 저하로 인하여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탄산칼슘, 이산화티타늄의 경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타 성분들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층(40)은 0.20~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수안정층(40)의 두께가 0.2mm 미만일 경우 치수안정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치수안정층(40)의 두께가1.0mm를 초과할 경우 1.0mm이하의 두께로도 충분한 치수안정 효과를 얻을 수 있음에도 두께가 두꺼워져 전체적인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서 이지층(30)은 시공시 바닥면과의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바닥재 표면에 반대되는 이면을 보호하며,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이지층(30)은 폴리염화비닐(PVC)100중량부,안정제1-10중량부,가소제5-60중량부,충진제:10-20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지층(30)은 0.05~1.0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지층(30)의 두께가0.05mm 미만이면 바닥재의 이면 보호 효과나 습기 방지 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이지층(30)이 1.0mm를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이지층(30)이면에 점착층(20) 및 이형지층(10)을 추가로 더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은 점착제를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에 점착시트를 별도로 제조하여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에 합판하여 부착시킨다.
이러한 점착층(20)은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를 이형지 제거 후 별도의 가공 없이 그대로 피착재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평활한 평면이면 어디든지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며 시공 부위의 재질과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수축, 팽창에 의한 컬링, 휨 현상, 또는 시공 부위로부터의 탈락 등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점착을 이용한 시공이므로 수정 또는 위치변경이 필요한 시공부위를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손상없이 수정할 수 있다.점착층의 두께는 0.05~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으로 점착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점착제를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이면 또는 이형지의 일면에 롤러코팅, 그라비아코팅, 또는 스프레이 코팅하는 것이 좋다. 이형지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는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가 최종 시공될 때 이형지를 제거하면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의 이면에 전사되어 점착성을 부여하게 된다.
점착제층은 시공 부위에 재질을 고려하여 내수성, 내열성, 및 내알카리성 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등을 10~200g/m₂의 양으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시트층으로 점착층을 형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점착시트를 점착제를 사용하여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 의 이면에 합판하는 것으로 별도의 점착시트 이면에 미리 이형지를 부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작업면에 유리하다. 점착시트는 섬유상 부직포, 글라스파이버, 직포, 또는 종이에 아크릴계수지, 우레탄계수지 등을 함침 또는 코팅하여 제조한 시트, 폴리에틸렌테레플탈에이트(PET)필름, 폴리에틸렌(PE)필름,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일 수 있다.
상기 점착시트는 쿠션성을 갖고 있어 특히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로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상기 이형지층은 시공 후 제거되는 것으로 얇을수록 유리하며, 점착층과 서로 부착이 잘되면서도 박리가 잘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상기 이형지층으로는 PET, PE, PVC등의 시트 또는 이들 수지를 코팅 도한 함침시킨 종이를 사용하여 상기 점착층이 시공 전에 이물질에 오염되거나 상호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실시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상부층, 인쇄층, 이면층 및 충격완화복원기재층,표면처리층,미끄럼방지층에 대한 구체적 제조예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제조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따라서 여기세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분야에서 수련된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층 제조시 PLA수지를 사용할 경우,PLA 수지로서 2002D 100 중량부, ATBC 20 중량부, 아크릴 공중합체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5 중량부, 카보디이미드 5 중량부를 압출기를 사용하며 1차혼련하고, 반바리 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믹싱 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3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 약 0.5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인쇄층 제조시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 안정제로 Ba-Zn 5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 (DOTP) 25중량부,첨가제 8중량부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1차 혼련하고, 반바리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7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0.2mm인 백색시트를 제조 하였다. 인쇄층은 상기 백색 시트 표면에 그라이버 인쇄 또는 전사 인쇄방법을 통행 무늬를 형성하였다.
충격완화복원 기재층제조시 폴리염화비닐 100 중량부, 가교제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스타이렌 부타디엔 고무가 1:1의 비율로 혼합된 고무 8중량부, 안정제로 Ba-Zn 5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 (DOTP) 30중량부, 충진제로 탄산칼슘(CaCO₃)400중량부 및 충진조제로 해포석(sepiolite) 50중량부로 조성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1차 혼련하고, 반바리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 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7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 약2.0mm인 충격 완화복원층을 제조를 하였다.
이면층 제조시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 안정제로 Ba-Zn 5중량부, 가소제로 디옥틸프탈레이트(DOTP) 20중량부, 충진제로 탄산칼슘(CaCO₃)200중량부,첨가제 10 중량부를 압출기를 사용하여 1차 혼련하고, 반바리믹서로 140℃에서 혼련한 다음, 140℃의 2본롤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믹싱 하였다. 그 후, 제조된 원료를 170℃의 온도에서 카렌더링 가공하여, 두께가 약1.0mm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치수안정층 제조
폴리염화비닐(PVC) 100 중량부, DOTP 60 중량부, 점도저하제 15 중량부, 탄산칼슘 50 중량부및 이산화티타늄 5 중량부를 배합하여, 폴리염화비닐(PVC)졸을 제조하였다. 이후 롤코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염화비닐(PVC)졸에 유리섬유(60g/m₂)를 함침 처리한 다음, 17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0.6mm의 치수안정층을 제조하였다.
표면처리층,미끄럼방지층 제조시 상기 제조된 상부층, 인쇄층, 충격완화복원기재층,유리섬유 함침칫수안정층 및 이면층을 이용하여, 열합판한 후 엠보싱롤을 이용하여 엠보싱한 상부층 표면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를 이중코터를 이용하여,1차적으로는 알루미늄 옥사이드,규사또는 그라스비드가 함유된 UV도료를 0.5mm도포하고,경화시킨후 상기층위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만을 0.05mm도포한 후 자외선 조사를 통해 경화시켜 표면처리층과 미끄럼방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최종 바닥재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미끄럼방지층은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의 중합체인 UV도료와그라스비드,상부층은 PLA수지를 기반으로 충격완화복원층은 폴리염화비닐(PVC)와 가공조제용고무로 제조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할 것이다.
120: 인쇄층, 충격완화복원기재층, 이지층
110: 상부층
100: 표면처리층, 미끄럼 방지층
90: 표면처리층
80: 미끄럼방지층
70: 상부층
60: 인쇄층
50: 충격완화복원기재층
40: 치수안정층
30: 이지층
20: 점착층
10: 이형지층

Claims (8)

  1. 위로부터 표면처리층, 미끄럼방지층, 상부층, 인쇄층, 충격완화 복원 기재층, 치수안정층,이지층을 포함하고, 미끄럼방지층은 그라스비드등을 함유하고, 상부층은 친환경적인 PLA혹은 올레핀수지로 조성되고, 충격 완화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와 가공조제용 고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
  2. 미끄럼방지층은 알루미늄옥사이드, 규사 또는 그라스비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10-40%중량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3. 상부 층은 친환경적인 올레핀 혹은 PLA수지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바닥재
  4. 충격완화복원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100중량부, 가공용조제고무:10-30중량부, 안정제1-10중량부, 가소제20-35중량부, 충진제:150-600중량부및충진조제:5-50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양생된 층으로 제조하는 노약자용기능성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노약자용 기능성바닥재의 이지층에 점착층 및 이면지층을 추가로 더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점착층은 아크릴계수지, 우레탄계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중 선택된 점착제층 또는 상하면에 상기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층 상, 하면에 점착제를 포함하여,섬유상부직포,글라스파이버또는 종이에 아크릴계수지, 우레탄계수지 및 이들의혼합물중 선택된 점착제가 함침또는 코팅된 시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림,폴리 에틸렌 필림 및 폴리프로필렌필림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점착층은 그 두께가 0.05-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95578A 2014-07-28 2014-07-28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KR20160013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578A KR20160013600A (ko) 2014-07-28 2014-07-28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578A KR20160013600A (ko) 2014-07-28 2014-07-28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600A true KR20160013600A (ko) 2016-02-05

Family

ID=5535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578A KR20160013600A (ko) 2014-07-28 2014-07-28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36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06A (ko) * 2017-07-25 2019-02-07 우태주 논슬립기능과 식별기능을 갖는 스티커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462A (ko) * 2019-04-17 2020-10-28 신경섭 엠보싱(입체무늬)이 구현된 장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406A (ko) * 2017-07-25 2019-02-07 우태주 논슬립기능과 식별기능을 갖는 스티커형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462A (ko) * 2019-04-17 2020-10-28 신경섭 엠보싱(입체무늬)이 구현된 장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56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floor covering
US10737473B2 (en) Transparent film for flooring and flooring comprising same
CA2997577A1 (en) Custom-made covering panels by digital printing of base panels
KR101946987B1 (ko) 친환경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CA3161316A1 (en) Multilayer floor panel based on a pvc plastisol
KR20160013600A (ko) 노약자용 기능성 바닥재
CN113453889B (zh) 修饰膜
CN104861324A (zh) 一种抗静电pvc塑料地板
EP3039067B1 (en) Recyclable synthetic flooring
KR200497538Y1 (ko) 바닥재
JP2007143832A (ja) 浴室成形品及び浴室部材
KR20210034785A (ko) 친환경 pvc 쿠션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0794A (ko) 하이브리드형 마루재
JP5720945B2 (ja) 生分解性床材
KR101493562B1 (ko) Pla 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KR20160037417A (ko) 복합수지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92197A (ja) 壁紙、及び壁紙用表面保護剤
KR20180079679A (ko) 보행안정성의 개선을 위한 단체의 비닐바닥시트
JP2010065101A (ja) 装飾用粘着シート
JP6953138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US20230357472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materials with improved non-slip properties
KR10156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친환경 데코 시트
US20190169382A1 (en) Film based on a composition of polymers and plasticizers having a tg ranging from -35°c to 40°c, element incorporating said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uses thereof
MX2012004944A (es) Loseta sintetica libre de pvc y de ftalatos.
JP2013194434A (ja) 内装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