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99A -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99A
KR20160012799A KR1020140094999A KR20140094999A KR20160012799A KR 20160012799 A KR20160012799 A KR 20160012799A KR 1020140094999 A KR1020140094999 A KR 1020140094999A KR 20140094999 A KR20140094999 A KR 20140094999A KR 20160012799 A KR20160012799 A KR 2016001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ustomer
travel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드
Priority to KR102014009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2799A/ko
Publication of KR2016001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2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making the record carrier wearable, e.g. having the form of a ring, watch, glove or brace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자나 일반적인 시설물 이용자가 길을 잃어버리거나 무리에서 벗어나는 등 지금 있는 위치와 현재나 일정한 기간 내(긴급재난의 경우 포함)에 그 재난의 피해자가 누구인지 신원을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여행이나 어떠한 목적을 가진 모임 및 어떠한 시설물의 이용이 이루어지는 도입시기에 그 입장권을 부여하되, 그 여행자(=고객)의 신원이 새겨진 QR코드를 별도로 생성하여 입장권이나 그를 대신하는 별도의 팔걸이띠에 프린팅하고, 이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여행자(=고객)이 이 건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 시각과 위치를 메인리더를 통과함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여행의 과정 중, 별도로 마련되는 시설물 내측의 SUB리더에 본인의 QR코드가 스캔되면 그 정보와 시간 및 위치가 원거리의 관리서버로 전달되어 응급상황이나 재난의 발생시, 그 재난에 포함되는 고객의 신원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system and method to confirm identity in disaster}
본 발명은 여행자나 일반적인 시설물 이용자가 길을 잃어버리거나 무리에서 벗어나는 등 지금 있는 위치와 현재나 일정한 기간 내(긴급재난의 경우 포함)에 그 재난의 피해자가 누구인지 신원을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여행이나 어떠한 목적을 가진 모임 및 어떠한 시설물의 이용이 이루어지는 도입시기에 그 입장권을 부여하되, 그 여행자(=고객)의 신원이 새겨진 QR코드를 별도로 생성하여 입장권이나 그를 대신하는 팔걸이띠에 프린팅하고, 이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여행자(=고객)가 이 건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 시각과 위치를 메인리더를 통과함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여행의 과정 중, 별도로 마련되는 시설물 내측의 SUB리더에 본인의 QR코드가 스캔되면 그 정보와 시간 및 위치가 원거리의 관리서버로 전달되어 응급상황이나 재난의 발생시, 그 재난에 포함되는 고객의 신원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나 휴가를 즐기기 위해서는 일정한 장소로 이동하고, 그 장소에서 시설을 이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가장 일반화된 여행의 경로를 살펴보면, 먼저 여행의 목적과 그 목적지가 정해지만, 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편이 필요하다. 자동차를 이용할 지, 기차나 배를 이용할 지를 선택하고, 그에 따른 승차권이나 이용권을 구매해야 한다.
이후에는 교통편을 이용하고, 여행지에 도착한 후에는 다시 그 휴양지의 시설을 이용하거나 또 다른 별도의 휴양시설의 이용을 문의해야 한다. 휴양시설의 경우 일정한 지역 일정한 공간으로 구획된 경우가 많은데, 특히 요즘과 같이 대규모 단지로 개발된 휴양시설의 경우 내측에 다수의 휴양시설을 갖추고 있어서, 사실상 먹고, 즐기고, 수면을 취할 수 있는 모든 휴양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와 유아의 경우는 대단위 휴양시설에 진입하게 되면, 부모와 떨어져 길을 잃어버리고, 별도의 미아찾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 위치를 찾아야만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상당히 예외적인 경우지만, 만일 인천에서 제주로 떠나는 여행선이 뒤집어져 많은 사람들이 구조를 요청하고, 희생자가 발생되는 현장이나, 대단위 휴양지에 도착하여 휴양을 즐기던 중 시설 내부의 수영장에 붕괴되어 휴양객 중 일부가 매몰된 상황이 발생된다면 이를 구해내는 일은 긴박감과 걱정을 자아내는 부담스런 작업이다. 더욱이 사고 즉, 응급재난을 당한 이들이 도대체 누구인가, 도대체 몇 명의 피해자가 재난의 현장 속에 빠진 상태인가, 그 파악이 불가능한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우리 민법에 재난을 통해서 실질적으로 사망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사망선고로 간주하는 별도의 제도를 구비한 이유는 사망자에 따른 보상, 보험금의 차이와 법적인 향유의 차이가 발생되기에 생존자와 사망자를 분명히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현대의 삶을 살다보면, 사망자와 실종자를 분명히 구분할 수 없는 상황은 많이 발생된다. 응급재난의 현장에 속한 사람인지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실종이나 사망이 한 인간의 바람과 의도에 따라 악의적으로 행해지는 현장도 발생된다.
바로 이 건 발명은 이러한 문제의 현장에서 지금 현재 발생된 실종자가 도대체 누구인지, 또는 그 현장에 어느 위치에, 어떤 시간에 어떠한 경위를 가지고 존재하고 있었는지 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이다. 물론 정확하게 그들의 동향이나 그 위치에 존재한 이유, 및 동기를 설명할 수는 없지만, 특별히 그 상황을 피하고 벗어나는 의도를 갖추지 않는 응급 재난의 현장이라면 반드시 있었던 실체적인 인간, 또 그와 연관된 상황이나 그 장소에 있게된 목적과 경위 등은 가족은 물론 사건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많은 수고를 거쳐야 하는 관청과 재해대책 본부는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여행자나 일반적인 시설물 이용자가 길을 잃어버리거나 무리에서 벗어나는 등 지금 있는 위치와 현재나 일정한 기간 내(긴급재난의 경우 포함)에 그 재난의 피해자가 누구인지 신원을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 건 발명은 여행이나 어떠한 목적을 가진 모임 및 어떠한 시설물의 이용이 이루어지는 도입시기에 그 입장권을 부여하되, 그 여행자(=고객)의 신원이 새겨진 QR코드를 별도로 생성하여 입장권이나 그를 대신하는 별도의 팔걸이띠에 프린팅하고, 이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여행자(=고객)이 이 건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 시각과 위치를 메인리더를 통과함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여행의 과정 중, 별도로 마련되는 시설물 내측의 SUB리더에 본인의 QR코드가 스캔되면 그 정보와 시간 및 위치가 원거리의 관리서버로 전달되어 응급상황이나 재난의 발생시, 그 재난에 포함되는 고객의 신원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도록 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는, 여행 중에 운송수단이나 특별한 시설물에 입장을 하는 여행자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와; 여행자(=고객)의 신원으로 인증되는 각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1)(20a)와 스캐닝된 정보를 변환시키는 A/D변환기(21a), 변환의 과정이나 변환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마이컴(1)(2a), 마이컴의 제어하에 별도의 SUB코드(AAB)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코딩부(미도시) 및 스캐닝한 데이터를 관리서버(60)의 통신모듈(3)(64)로 전달하는 통신모듈(1)(23a)로 이루어진 메인리더(50); 상기 메인리더(5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내측의 CPU(3)(61)와 관리프로그램(62)으로 제어하여, 여행자(=고객)의 지정된 QR코드(10)가 리딩된 장소, 여행자(=고객)의 신원, 여행자의 이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서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여행중인 여행자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보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에 따른, 여행자(=고객)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는, 코딩장치(30)를 이용하여 코딩을 하되, 좌판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여행자 기본정보(AB)를 입력하는 입력수단(33)과; QR코드(10) 부여를 위한 알고리즘이 형성된 제어프로그램(32)을 통하여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위해서 마련되는 CPU(2)(31)와;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라 CPU(2)(31)의 제어하에 각자의 여행자 QR코드(10)를 프린팅하는 QR코드프린터(34)와; 입력수단(33)에 의해서 입력된 여행자의 기본정보(AB)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35)와;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6)로 이루어진 코딩장치(30)를 비치하여, 고객(=사용자, 여행자)에게는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른 QR코드(10)를 부여하면서, 관리서버(60)에는 상기 기본정보(AB)를 통신으로 원거리 전달하고 : 기본정보(AB)는, 여행자(=고객)를 위한 입장권이나 이용권을 발급 받으면서 입력되는 정보로서, 최소 입력정보로는, 입력하는 코딩장치(30)의 코드인 관할코드(AA)와; 여행자의 성명을 포함하며 : QR코드프린터(34)는, 밑지(44)와 코드용지(44a)로 이루어진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코드용지(44a)의 저면에는 접착제층(11)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하고; 코드용지(44a)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바둑판 형태의 빈 공간(=입력란)을 형성하는 절개선(38)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선(38)의 내측 입력란에 여행자(=고객)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프린팅하여, QR코드스템프(10a)를 생산한다.
또한 본 발명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에 따른, 생산된 QR코드스템프(10a)는, 여행자(=고객)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띠몸체(22)의 상면 일측에 접착제층(11)을 이용하여 접착하고; 띠몸체(2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리접착부(23)를 이용하여 타측의 띠몸체(22)의 일측에 접착층(21)으로 접착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하고 : QR코드프린터(34)는,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프린팅용지(39)의 저면 일측에는 접착제층(42)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한 고리접착부(B)을 형성하고; 프린팅용지(39)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일련의 절개선(38)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여행자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상기 절개선(38)으로 구분되는 띠몸체(22)의 상면에는, 여행자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일측에 프린팅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하며 : 관리서버(60)는, 메인리더(50)와 코딩장치(30)에서 전달하는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전달받고,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정보전달하는 별도의 통신모듈(3)(64)과; 상기 통신모듈(3)(64)을 통해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할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A/D컨버터(63)와; QR코드(10)를 부여받은 여행자(=고객)에게 자신의 메일 주소로 이용정보를 메일링하는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와, 여행을 하는 여행자(=고객)에게 문제가 발생되거나 신원의 문의가 들어올 때 여행자(=고객)의 이동상황과 신원을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서비스(67)와, 관리서버(60)에 종속하는 SUB리더(81)와 보조서버(90)와의 통신을 통해서 리딩된 QR코드(10)의 여행자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추가되는 코드를 통해 여행자의 이동상황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진 관리프로그램(62);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프로그램(62)을 통해서 관계자(코딩자, 감찰서버)와의 소통을 제어하며, 모든 신호의 발생과 제어를 위한 CPU(3)(61); 및, 전술된 구성요소들에게 전달받은 모든 정보와 데이터 및 변환되고 연산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6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에 따른, 관리서버(60)와 연동하는 감찰서버(70)는, 관리서버(60)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달성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위하여 내장되는 상황인지 프로그램(72)을 통해서 여행자의 정보와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프로그램과 관리서버(60)와의 통신을 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CPU(4)(71)와 별도의 통신모듈(4)(73)을 갖추고 : 메인리더(81)는, 입장수속이나 이 건 발명의 서비스를 신청하고 승인하는 형태로 발급받은 사용자 각자의 QR코드(10)를 스캐너(1)(20a)를 통해서 리딩하여, 부여받은 QR코드(10)의 기본정보(AB)와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를 통신모듈(1)(23a)을 통해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고; 입장이 이루어진 후나 서비스의 진행 중에 상기 메인리더(50)에 속하는 다수의 SUB리더(82)는, 사용자가 배, 버스, 건축물과 같은 서비스 시설물을 이용함에 따라 시설물 내측에 설치된 SUB리더(82)의 스캐너(5)(20b)에 리딩된 사용자의 기본정보(AB)를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와 함께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며; 메인리더(50)와 그를 포함하는 코드리더(80)가 일련의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원과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관할코드에 자신의 관할코드를 추가한 SUB코드(AAB)를 코딩부(5)(24b)를 통해서 생성한 후, 이 정보를 관리서버(60)에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직접 전달하여, 코딩된 사용자의 신원과 위치 및 시간을 전송하며 :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그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보조서버(90)에 전달하고; SUB코드(AAB)를 전달받은 보조서버(90)는, 하나 또는 다수의 SUB리더(81)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CPU(6)(91)의 제어하에 내장된 운영프로그램(92)을 통해서 그 코딩부(6)(93)를 통해서 자신의 관할을 더 추가하여 SUB보조코드(AABC)를 생성한 후, A/D컨버터(=A/D변환기; 94)는 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모듈(6)(95)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송한다.
또한 이 건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은, 재난시 재난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신원확인 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코딩장치(30)가 QR코드(10)와 관할코드(AA)를 생성하여 각 이용자의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단계; 제2단계: 고객은 자신의 QR코드(10)를 메인리더(50)에 스케닝함으로 이 시스템의 이용과 도입을 확인시키고 메인리더(50)는 자신의 관할을 추가한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이를 기본정보(AB)와 함께 관리서버(60)로 전달하는 단계; 제3단계: 관리서버(60)는 전달받은 기본정보(AB)와 관할에 관련된 코드를 재갱신과 연산하여 고객의 위치신원을 갱신하며 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재난시나 응급상황 발생시 이용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고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에 따른, 기본정보(AB)는, 최소 여행자(=고객)의 성명을 포함하며,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여행이나 이 시스템 이용의 목적, 이 신원확인 방법을 이용하는 취지를 기재한 것이고, 관할코드(AA)는 이용하는 시설의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도록 하고 : 메인리더(50)에는, 다수의 SUB리더(81)가 연결되어 별도의 코드리더(80) 그룹을 형성하며, 이 코드리더(80)는 스캐닝한 고객의 QR코드(10)와 함께 별도의 관할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고객의 이용시간, 고객의 위치, 고객의 신원을 관리서버(60)에 통지하며 : 관리서버(60)는, 응급상황 발생시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활용하여, 감찰서버(70)의 상황인지프로그램(72)에 고객의 신원과 고객의 위치 및 현 시점의 상황을 연동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에 따른, 관리서버(60)는, 그 내측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를 활용하여, 스캐닝된 QR코드(10)의 기본정보와 관할코드, 위치, 이용시간을 기본사항으로 입력한 메일주소로 전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응급재난이 발생된 경우에, 그 재난 중에 포함된 재난자가 누구인지 누군가를 얼마나 구조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이 건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큰 비용을 발생시켜 시스템을 깔고, 그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잡하게 검토하고 관찰해야 재난자가 누구인지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고,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모든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여행의 경우도 요즘의 경우 여행자 보험의 형태로 많이 개발되어 이를 이용하는 이용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을 그대로 활용하되 이 건 발명의 목적도 동일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코딩장치의 가장 단순한 형태의 조합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QR코드스템프가 활용되어, 팔걸이띠로 실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QR코드스템프가 프린팅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QR코드를 프린팅용지에 직접적으로 프린팅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장치(=시스템)을 이용하면서 고객(=여행자)으로서 입장권을 구매하며 입력해야만 하는 기본정보와 그 관할코드를 기재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이 메인리더와 코드리더를 통해서 그 QR코드를 리딩하는 단계와 특별히 QR코드를 부여하는 코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들을 통해서 관할코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메인리더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SUB리더와 관리서버 및 보조서버와의 연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코딩장치와 관리서버의 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 건 발명의 장치에 감찰서버를 포함하여 감찰서버를 통해서 재난자의 위치와 상태를 파악하는 모습을 도시한 블럭도,
도 12는 본 발명의 코드리더가 보조서버를 필요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관리서버가 별도의 감찰서버의 문의를 받아 그 상황인지프로그램에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이 건 발명을 이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은 현대인이면 다양하게 이용하게 되는 여행의 즐거움에서 보다 안정적이면서 사생활을 보호하는 형태로 신원을 확보하는 장치 및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모습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6 내지 9에서처럼, 여행 중에 운송수단이나 특별한 시설물에 입장을 하는 여행자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와; 여행자(=고객)의 신원으로 인증되는 각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1)(20a)와 스캐닝된 정보를 변환시키는 A/D변환기(21a), 변환의 과정이나 변환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마이컴(1)(2a), 마이컴의 제어하에 별도의 SUB코드(AAB)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코딩부(미도시) 및 스캐닝한 데이터를 관리서버(60)의 통신모듈(3)(64)로 전달하는 통신모듈(1)(23a)로 이루어진 메인리더(50); 상기 메인리더(5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내측의 CPU(3)(61)와 관리프로그램(62)으로 제어하여, 여행자(=고객)의 지정된 QR코드(10)가 리딩된 장소, 여행자(=고객)의 신원, 여행자의 이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서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여행중인 여행자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보증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 건 발명은 일정한 상황을 예상함으로 그 필요성을 더욱 확실히 인지할 수 있다. 만일 우리가 여객선을 이용하여 해상으로 여행을 하던 중 재난을 받아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현장의 피해자이거나 그 피해자의 가족일 경우를 가정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 건 발명은 도시된 메인리더(50)를 통해서 QR코드(10)를 스캔한다. QR코드(10)는 여행자 고객의 신원을 담고 있다. 현재 QR코드(10)를 통해서 그 안에 담을 수 있는 문자는 약 250자 정도이다. 이 정도의 문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함, 주소, 주민등록번호, 형액형 및 기타 여행의 목적은 물론 여행자가 단체일 경우에는 그 단체의 표시도 무난하게 담을 수 있다. 이 QR코드(10)는 바코드의 연장으로 바코드는 그 선의 길이와 간격 및 선의 굵기를 이용하여 코드화된 문자를 인지시키지만, QR코드(10)는 2차원적인 확대를 통해서 보다 많은 량의 문자를 인식시킬 수 있다. 이 QR코드(10)의 장점은 정보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전자적인 전자의 움직임이 반드시 필요한 기억소자나 기억장치가 필요없다. 2차원적인 평면상에 명함의 구별을 통해서 다량의 문자가 입력되기에 종래 여행자를 위해서 여행 이용증, 승차권을 발부하던 그 장소에서 별도의 다른 장치의 부가 없이 바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이렇게 여행자는 우선 여행의 시작을 위해서 승차권을 발부받게 될 때, 바로 이 시점에 그 신분에 맞는 그 여행 목적에 맞는, QR코드(10)를 별도로 발부받는다. 여행자가 단체일 경우는 특히 유리하다. 어느 고등학교에서 섬으로 여행을 가는데 있어서, 여객선의 승차권을 단체로 주문하게 될 때, 그 단체의 명단에 맞는 QR코드(10)를 승차권에 프린팅하여 바로 개인별로 발급받을 수 있다. 이렇게 발급받은 QR코드(10)가 프린팅된 승차권(=이하 승차권이라 한다.)은 여객선에 승선할 시점에 별도의 메인리더(50)를 통해서 리딩하게 된다. 기존에 이미 승차권의 승무원을 이용한 확인의 과정이 있기에 이 건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더욱 단순하게 하기 위해서 승선장의 입구에 메인리더(50)를 장착하여, 이 메인리더(50)가 승선하는 승객의 정확한 신원을 파악하며 이를 인지하게 된다.
메인리더(50)는 승차권을 리딩할 때, 도시된 도 8에서처럼, 그 스캐너(1)(20a)를 이용하지만 별도의 마이컴(1)(22a)을 통해서 그 제어를 달성한다. 마이컴(1)(22a)은 내측에 별도의 프로그램 즉 제어프로그램(미도시)이 내장될 수 있는데, QR코드(10)에 새겨진 여행자의 신원, 여행자의 이름, 혈액형 등이 명확하게 리딩되어, 별도의 A/D컨버터(=A/D변환기; 21a)를 통해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신호는 통신모듈(1)(23a)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달된다. 승객의 모든 신원을 관리서버(60)가 보관하고 이를 통해서 원거리에서 승객의 여행 경과와 그들의 신원을 증명하기 위함이다.
이때 중요한 점이 있다. 이 건 발명의 상기 메인리더(5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코딩부(도 8에 미도시)를 갖추어 별도의 코딩작업을 수행한 후, 자신의 SUB코드(AAB)를 전술된 여행자의 신원정보에 추가하여 관리서버(60)에 전달한다. 즉, 메인리더(50)는 여행객이 여행에 동참했는지를 알리고, 현재 여행객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를 선명하게 전달할 수 있는 SUB코드(AAB)를 여행자의 기본정보(AB)에 추가하여 전달한다. 이 건 발명의 여행객은 QR코드를 받으며 이미 여행의 예약이 된다. 여객선에 승선하는 승객으로 예상된 여행자의 QR코드를 메인리더(50)는 여객선의 입구에 장착되어 리딩한다. 즉, 이 건 발명의 메인리더(50)에 QR코드(10)가 스캔된 승객은 이미 여객선의 입구를 지나 여객선에 탑승했다는 위치적, 그 탑승한 시간 등의 정보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만일 이 메인리더(50)가 휴양지 내부의 많은 시설물 중 어느 한 목적물의 내부로 진입하는 입구에 설치된 것이라면, 승객은 여객선에서 이미 하차하여 휴양지의 수영장에 진입한 것이다. 바로 이렇게 메인서버(50)는 자신 만의 고유한 코드를 갖고 있기에 이 코드와 함께 리딩한 QR코드(10)의 사용자 정보 및 그 리딩한 시간을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것으로 여행객의 여행 경위는 설명이 자연스럽다.
이 건 발명은 바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개발되었다. 혹시 발생된 재난, 배가 뒤집혀 많은 사상자가 발생되었을 때 비록 그들을 구할 수는 없지만, 신원이 미확인된 승객이 없도록 재난을 증언한다. 실종자가 존재한다면, 그 미확인된 실종자가 실종자로서 민법상 분명한 선언이 발생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보험관련, 유산의 상속 및 다양한 친족 상속법과 행정법적 사실을 확정하고 처리하는데 아주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여행자(=고객)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는, 코딩장치(30)를 이용하여 코딩을 하되, 좌판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여행자 기본정보(AB)를 입력하는 입력수단(33)과; QR코드(10) 부여를 위한 알고리즘이 형성된 제어프로그램(32)을 통하여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위해서 마련되는 CPU(2)(31)와;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라 CPU(2)(31)의 제어하에 각자의 여행자 QR코드(10)를 프린팅하는 QR코드프린터(34)와; 입력수단(33)에 의해서 입력된 여행자의 기본정보(AB)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35)와;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6)로 이루어진 코딩장치(30)를 비치하여, 고객(=사용자, 여행자)에게는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른 QR코드(10)를 부여하면서, 관리서버(60)에는 상기 기본정보(AB)를 통신으로 원거리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건 발명의 시스템은 도시된 도 6에 그 활용의 기본적인 형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시된 도 6의 (a)에는 전술한 것처럼 메인리더(50)가 고객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것으로 관리서버(60)가 그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6의 (b)에는 메인리더(50)의 활약 이전에 QR코드(10)를 부여하는 코딩장치(30)를 통해서도 이 건 발명을 이용하는 고객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만일 코딩장치(30)를 이용하여 고객의 정보를 입력하고, 이 고객들의 신원 정보에 따른 각기 다른 QR코드(10)를 부여하고 그 QR코드(10)가 새겨진 승차권이나 이용권을 발부할 때, 코딩장치(30)도 그 정보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QR코드(10)를 발급하는 코딩장치(3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일반적인 컴퓨터에 프린터를 연결한 형태가 가장 저렴하고 바람직한 코딩장치(30)이다. QR코드(10)의 발급 형태인 이미 프로그램 형태로 많은 사용이 있어왔다. 도시된 도 1과 10에서처럼, 입력수단(33) 즉, 키보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고객의 신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이는 그 제어프로그램(32)을 통해서 QR코드(10)를 생산한다. QR코드(10)를 생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상태이다. 이 QR코드(10)는 현재 메이저급 토탈사이트 내에서도 홍보가 이루어진 상태이고,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면 그 운영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고객이 작성하면, 어느 장소, 어느 국가에서도 리딩할 수 있는 표준화된 QR코드를 생성한다.
코딩장치(30)는 내측에 내장된 CPU(2)(31)의 제어하에 그 제어프로그램(32)을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QR코드(10)로 생산한다. 생산된 QR코드(10)는 연계된 QR코드프린터(34)를 통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형태로 표출된다. 여기서 이 건 발명의 코딩장치(30)는 또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코딩장치(30)는 자신 고유의 관할코드(AA)를 부여한다. 만일 코딩장치(30)가 여객선의 승차권을 발부하는 코딩장치(30)라면, 그 코딩장치(30)의 목적에 따라 자신 관할의 코드를 생산한다. 제주행의 발급을 위한 것이라면 코딩된 관할코드(AA)는 이러한 내용을 자신이 아는 형태로 코드화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만일 어느 휴양지에서 다수의 휴양시설을 갖춘 휴양지에서 발급하는 코딩장치(30)라면 그 QR코드(10)를 발급하는 코딩장치(30)의 장소, 위치, 및 발급한 이용권의 이용목적을 담을 수 있다. 이를 테면 휴양지의 수영장을 이용하는 이용권에는 그 목적을 담을 수 있고, 스키장을 이용하는 이용권에는 그 목적을 담을 수 있다. 바로 이 건 발명의 코딩장치(30)는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이 건 발명의 휴양을 이용하기 전, 승차권이나 이용권을 구매하는 시기에 벌써, 그 목적에 따라 관할코드(AA)를 QR코드(10)에 신원정보와 함께 담아 생산이 가능하다. 물론 QR코드(10)에 코딩은 않하지만 관할정보는 별도로 생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건 발명에서 아주 중요한 사항이 이 건 발명을 이용하기 위한 고객의 신원정보를 담은 기본정보(AB)와 관리자층의 관할코드(AA)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렇게 휴양지나 이 건 발명의 관리인이 여행객이나 고객을 위해서 발급하는 이용권이나 승차권에는 그 개인별 QR코드(10)가 새겨지는데, 이 QR코드(10)에 담겨진 주요한 정보는 고객의 신원정보 즉, 기본정보(AB)를 포함하고, 발급하는 발급처의 관할코드(AA)가 새겨지거나 별도로 관리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된 상기 코딩장치(30)는 QR코드(10)가 새겨진 즉, 신원정보(≒기본정보)와 관할코드(AA)를 담은 이용권이나 승차권을 발급하여 승객에게 주면서, 그 정보 QR코드(10)의 정보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한다. QR코드에 관할 정보를 담지 않았다면 별도로 관리서버에 전달한다. 관리서버(60)가 승객의 이동상황과 그 여행의 경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럼 여기서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상기 기본정보(AA)를 살펴본다. 이 건 발명은 QR코드(10)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정보를 입력하고 있기에 다량의 정보를 포함하기 힘들다. 그렇다고 여행자를 위한 신원정보를 상세히 입력하는 것도 사실상 그들의 사생활 침해 문제와 연결되기에 어려운 실정이다. 사실 이 건 발명의 이용자는 그 신원을 보증하기 위해서 약 50자 정도의 정보 입력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 건 발명에서 사용하는 QR코드(10)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 건 발명의 QR코드의 기본정보(AB)는, 여행자(=고객)를 위한 입장권이나 이용권을 발급 받으면서 입력되는 정보로서, 최소 입력정보로는, 입력하는 코딩장치(30)의 코드인 관할코드(AA)와; 여행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신원에 관련된 정보를 기본정보(AB)라 칭하고, 관할에 관한 정보를 관할코드(AA)로 칭하고 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기본정보(AB)의 내측에 관할정보(AA)도 포함하여 기본정보(AB)라 칭한다. 이유는 이 기본정보(AB)는 모두 QR코드(10)의 내측에 도안의 형태로 삽입되는 정보이기에 시각적 구분이 불필요하다. 단지 이 건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서 관할코드(AA)와 기본정보(AB)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에는 서로 구분하여 설명을 한다. 그러나 상기 기본정보(AB) 안에는 관할코드(AA)가 포함된 것으로 간주해도 설명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사항은 도시된 도 5에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도시된 도 5의 최 상단에는 관할코드(AA)가 그 부호 "AA"로 기재된 상태인데, 이는 기본정보(AB)에 포함된 상태로 도시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관할코드(AA)를 따로 떼서 설명해도 무방하고, 같이 설명해도 무방하다. 이 건 발명의 설명에서는 꼭 분할이 필요할 때에 기본정보(AB)에서 관할코드(AA)를 뺀 상태로 설명을 하지만, 간혹 기본정보(AB)에 관할코드(AA)가 포함된 상태로 리딩되야 할 부분도 있을 것이다.
아무튼 이 건 발명의 코딩장치(30) 제어프로그램(32)을 사용하게 되면, 도시된 도 5의 기본정보(AB)의 일부는 반드시 입력되야 한다. 즉, 고객, 여행객의 성명과 관할코드(AA)는 반드시 기재해야만 하는 사항이다. 이에 반하여 고객의 주민번호, 주소, 이메일, 전화번호(휴대폰번호 포함), 혈액형, 여행의 목적, 여행이 만일 복수, 단체로 이루어진다면 그 단체명, 기타 관리자가 기재를 요하는 사항이 포함될 수 있다. QR코드(10)의 저장용량을 활용하면 이 모든 것을 가장 간편한 형태로 특히 이 건 발명의 목적에 따라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그가 처해질 응급재난의 상황에서 그를 보증하고 증언할 정보를 모두 수용시킬 수 있다.
참고로 이 건 발명에서 구분된 상기 관할코드(AA)에는 사용자(=고객)가 후술될 코드리더(80)나 서버를 이용한 시간과 장소 등을 포함한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코딩장치(30)를 통해서 QR코드(10)가 새겨진 승차권을 발급한다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 건 발명에서 사용하는 승차권은 고객의 손목에 착용하는 종이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실시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일반적인 승차권을 이용하여 상기 승차권에 생성된 QR코드(10)만을 접착하여 사용하면 그만이지만,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실시함이 이 건 발명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다. 따라서 이 건 발명에서는 QR코드(10)를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도시된 도 3과 같은 QR코드스템프(10a)의 형태와 팔걸이띠(20) 자체에 직접 프린팅하는 도 4의 방식 2가지를 제안한다.
도 3의 QR코드스템프(10a)는 일반적인 승차권이나 이용권의 일측에 그 접착제층(11)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 2에서처럼 별도의 팔걸이띠(20)에 접착하여 전술된 도 4의 실시예의 팔걸이띠(20)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건 발명에서는 양자의 실시예를 모두 설명한다.
먼저 도시된 도 2와 3의 방식을 위한 QR코드스템프(10a)를 설명한다.
이 건 발명의 코딩장치(30)에서 사용하는 QR코드프린터(34)는, 밑지(44)와 코드용지(44a)로 이루어진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코드용지(44a)의 저면에는 접착제층(11)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하고; 코드용지(44a)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바둑판 형태의 빈 공간(=입력란)을 형성하는 절개선(38)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선(38)의 내측 입력란에 여행자(=고객)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프린팅하여, QR코드스템프(10a)를 생산한다.
도시된 도 3에서처럼 이 건 발명에서는 기본정보(AB)를 코딩장치(30)의 웹브라우져나 코딩장치(30)의 제어프로그램(32)의 표시창에 입력한다. 이때 자연적으로 또는 의도적으로 관할코드(AA)의 추가가 이루어진다. 도 5에서 요구하는 정보가 모두 입력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렇게 정보가 입력되면, 프린팅 제어명령에 따라 QR코드(10)가 프린팅되는데, 도시된 도 3과 같은 프린팅용지(39)가 사용된다. 프린팅용지(39)는 2겹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면이 코드용지(44a)이고 하부면이 밑지(44)이다. 밑지(44)는 상면이 합성수지층으로 이루어져 코드용지(44a)인 스템프지가 그 접착제층(11)을 이용하여 강하게 밀착된 상태이다. 이러한 형태로 프린팅되는 코드용지(44a)는 상부면이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한 절개선(38)으로 일정한 간격 공간이 구획된다.
바둑판의 형태로 구분되는 이 건 발명의 공간은 이 부분에 QR코드(10)가 프린팅되어 떼고 붙일 수 있는 QR코드스템프(10a)가 된다. 하나의 고객에게 그의 신원정보인 기본정보(AB)가 새겨진 하나의 QR코드(10)가 스템프의 형태로 프린팅되면, 이 프린팅된 QR코드스템프(10a)는 상부면인 코드용지(44a)만이 떼어져 승차권이나 다른 승객이 소지할 수 있는 물품에 접착된다. 이 건 발명의 이용이 시작되는 순간이다.
물론 이 건 발명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승차권으로 이미 제안한 팔걸이띠(20)를 소개하고 있다. 즉,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QR코드스템프(10a)를 팔걸이띠(20)에 접착하여 사용한다. 이미 이러한 승차권이나 휴양지 이용권은 자유이용권의 형태로 놀이동산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던 이용권이 이 건 발명에서는 단순하고 간단히 QR코드스템프(10a)를 접착하는 형태로 이 건 발명을 시작하고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도 2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생산된 QR코드스템프(10a)는, 여행자(=고객)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띠몸체(22)의 상면 일측에 접착제층(11)을 이용하여 접착하고; 띠몸체(2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리접착부(23)를 이용하여 타측의 띠몸체(22)의 일측에 접착층(21)으로 접착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한다.
띠몸체(22)를 형성하되, 잘 찢어지지 않는 지류나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용자의 팔목을 감을 수 있도록 하고, 그 끝단에 별도의 고리접착부(23)를 형성한다. 고리접착부(23)에 형성된 접착층(21)을 띠몸체(22)의 일측에 접착하면 간단하게 이용자의 손목에 부착된다. 손목에서 발생될 수 있는 땀이나 놀이시설을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수분의 흡입이 차단될 수 있는 형태의 띠몸체(22) 재질은 이 건 발명의 정확한 이용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이 건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이미 프린팅을 유도할 때, 독립적인 팔걸이띠(20)를 생산할 수 있는 형태로 프린팅과 팔걸이띠(20)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시된 도 4에서처럼, 상기 QR코드프린터(34)는,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프린팅용지(39)의 저면 일측에는 접착제층(42)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한 고리접착부(B)을 형성하고; 프린팅용지(39)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일련의 절개선(38)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여행자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상기 절개선(38)으로 구분되는 띠몸체(22)의 상면에는, 여행자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일측에 프린팅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가 이 건 발명의 팔걸이띠(20) 2번째 실시예이다. 즉, 이 실시예는 절개선(38)을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형성하여 일정한 영역을 절개선(38)을 이용하여 절단, 절개할 수 있도록 한다. 절개하여 바로 손목에 감을 수 있도록 띠몸체(22)의 일측에는 별도의 접착제층(42)이 형성된 고리접착부(B)를 가진다. 그리고 고리접착부(B)의 접착제층(42)을 띠몸체(22)의 일측에 결합하여 손목에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상기 띠몸체(22)는 땀이나 물을 흡수하지 않은 코팅층을 가진 지류이거나 합성수지류의 필름으로 제작하기에 사용이 용이하다. 물론 이 띠몸체(22)에는 QR코드(10)가 그 QR코드프린터(34)에 의해서 프린팅되기에 바로 입장권이나 이용권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건 발명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 건 발명의 관리서버(60)는 도시된 도 10에서처럼, 이 건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를 관리하고 제어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관리서버(60)는, 메인리더(50)와 코딩장치(30)에서 전달하는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전달받고,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정보전달하는 별도의 통신모듈(3)(64)과; 상기 통신모듈(3)(64)을 통해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할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A/D컨버터(63)와; QR코드(10)를 부여받은 여행자(=고객)에게 자신의 메일 주소로 이용정보를 메일링하는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와, 여행을 하는 여행자(=고객)에게 문제가 발생되거나 신원의 문의가 들어올 때 여행자(=고객)의 이동상황과 신원을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서비스(67)와, 관리서버(60)에 종속하는 SUB리더(81)와 보조서버(90)와의 통신을 통해서 리딩된 QR코드(10)의 여행자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추가되는 코드를 통해 여행자의 이동상황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진 관리프로그램(62)과;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프로그램(62)을 통해서 관계자(코딩자, 감찰서버)와의 소통을 제어하며, 모든 신호의 발생과 제어를 위한 CPU(3)(61); 및, 전술된 구성요소들에게 전달받은 모든 정보와 데이터 및 변환되고 연산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리서버(60)는 내측에 비치된 통신모듈(3)(64)을 통해서 메인리더(50)와 코딩장치(30)에서 전달하는 기본정보(AB)를 받아들인다. 전달 받는 형태는 다양한 통신 방식이 적용가능하다.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전달 받아도 무방하고, WiFI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실례로 관리서버(60)가 코딩장치(30)와 근접된 위치에 있게 되면, 관리서버(60)와 코딩장치(30)는 WiFI망이나 RF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관리서버(60)와 원거리에 위치하는 메인리더(50)의 경우 이동통신 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국 이 건 발명에서 설명되는 통신모듈(1, 2, 3, 4, 5, 6)(23a, 36, 64, 73, 23b, 95)이란 용어는 각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서 그 통신 방식이 변경될 수 있고, 2개의 통신모듈이 적용되어 서로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달성할 수 있다. 요즘의 경우 통신 방식의 다변화로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기에 이 건 발명에서는 특별히 통신모듈의 통신 방식을 정하지 않았다. 이 건 발명에서 설명되는 통신모듈(1, 2, 3, 4, 5, 6)(23a, 36, 64, 73, 23b, 95)은 대다수가 다양한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기에 특별히 모든 구성요소에 수용된 통신모듈의 한정을 피한 것이다.
아무튼 이러한 이 건 발명의 관리서버(60)에도 그 내측에 통신모듈(3)(64)이 내장된다. 통신모듈(3)(64)은 후술될 감찰서버(70)에도 필요한 정보를 전달한다. 전달되는 정보나 데이터는 CPU(3)(61)의 제어를 통해서 내측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전달하는데, 신호의 전달을 위해서 별도의 A/D컨버터(63)로 신호 변환하여 전달한다. A/D컨버터(63)는 디지털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아나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이 건 발명에서 중요한 관리서버(60)의 기능은 그 프로그램을 통해서 달성하는데,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와,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서비스(67)와,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이다.
관리서버(60)는 먼저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를 진행하면서, 이 시스템의 이용자(=고객)에게 코딩장치(30)를 통한 이메일을 전달받는다. 이용권이나 승차권 등을 발급하면서 기본정보(AB)를 입력하고 이 기본정보(AB) 안에 사용자나 고객이 원하면 그의 이메일 주소를 기재한다. 이 이메일 정보는 QR코드(10)로 변형되어, 그 정보는 프린팅되는 각 고객의 승차권에 새겨지고, 정보나 데이터는 관리서버(60)로 전달된다. 이 정보는 관리서버(60)가 그의 데이터베이스(65)에 저장하면서, 그 통신모듈(3)(64)을 통해서 이용자의 기본정보(AB)에 입력된 그의 이메일 주소로 전달된다. 이메일로는 고객이 이 건 발명의 진행을 위해서 여행이나 휴양을 위한 승차권을 어디에서 발급받은 것인지가 통보된다. 또한 그가 기재한 모든 기본정보(AB)가 그의 이메일주소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이메일에는 관할코드(AA)도 전달될 수 있는데, 이 관할코드(AA)는 코딩장치의 위치, 승차권을 구입한 시간 및 관리자가 코딩시킨 또 다른 정보 이를 테면 그 이용권의 종류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에도 이 건 발명의 메일링 서비스는 계속된다. 즉, 메인리더(50)를 통해서 고객이 그의 QR코드(10)가 스캐닝되면, 스캐너(1)(20a)에서 스캐닝된 정보는 그 마이컴(1)(22a)의 제어하에 A/D컨버터(=A/D변환기; 21a)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통신모듈(1)(23a)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달된다. 사실 코딩장치(30)는 입장권이나 승차권 등을 판매하는 장소에 위치할 것이고, 메인리더(50)는 실질적으로 고객이 휴양이나 여행을 시작하는 지점에 설치될 소지가 많다. 여객선을 이용하여 여행을 하는 고객은 여객선에 승선하면서 실질적인 여행이 시작된다. 이에 반하여 휴양지에서 휴양시설을 이용하는 고객은 그 휴양지의 정문을 통과하면서 이루어진다. 즉, 입장권과 이용권, 승차권, 승선권 등을 구입하는 장소와 실질적으로 이 건 발명의 수행, 이행이 시작되는 지점과 시간은 다를 소지가 있다. 우리가 이 건 발명을 통해서 얻고자하는 주요한 이익은 이 건 발명의 이용이 시작됨이 분명한가, 그리고 어떠한 사실을 알려고 하는 시점에 소망하는 고객의 위치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는가 이다. 만일 승선을 달성한 어떤 여객선이 항로를 이동하던 중, 파도를 만나서 뒤집히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 상황에서 많은 승선객들이 구조되고, 또 어떤 이들은 사망자로서 시신으로 구조되는 현장에서 이 현장을 바라보는 많은 시민들은 도대체 저 여객선 안에 내 아이나 내 가족이 승선한 상태인가를 알고싶어하고, 걱정을 한다. 바로 이러한 정보는 승선한 상태를 리딩하고 스캔하는 메인리더(50)를 통해서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 건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메인리더(50)를 통해서도 고객의 팔목에 달린 팔걸이띠(20)의 QR코드(10)를 리딩한 시점에 이미 이메일로 통지를 하고 이를 증언하고 있기에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하다.
나아가 후술될 이 건 발명의 SUB리더(81)와 보조서버(90)도 동일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바로 전술된 내용이 이 건 발명에서 그 관리서버(60)가 수행하는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이다.
이 건 발명의 관리서버(60)는 이 서비스와 함께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서비스(67)를 진행시킨다. 이 서비스는 전술된 응급상황이나 응급재난 즉, 여객선이 바다를 이동하다가 뒤집히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휴양지에서 휴양을 즐기는 과정에서 시설의 일부가 파손되어 이용자들에게 피해나 상해가 발생되는 경우에 유익하게 활용된다. 이러한 현장이 발생되면 우선 정부에서는 재해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응급재난에 대한 대응을 시작하며, 모든 국민에서 알권리의 추구를 위해서 나름 노력을 진행한다. 이러한 작업은 실질적인 피해자를 구해내는 작업만이 필요한 것이 아니고, 그 현장 주변에서 내부의 사정이나 피해대상자가 도대체 누구인지 알기를 소망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주는 것도 반드시 필요하다. 이 건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었을 때, 아주 효과적으로 알권리를 충족시켜준다.
관리서버(60)의 내측에 형성되는 관리프로그램(62)은 그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진행하며, 감찰서버(70)의 상황인지프로그램(72)과 연동하여 모든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감찰서버(70)에 깔린 상황인지프로그램(72)은 관리서버(60)가 제공한 프로그램으로 정보의 공유와 연동을 위해서 필요한 프로그램이다. 각자의 통신모듈을 통해서 서로 정보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지금 현장에서 벌어진 모든 상황은 물론 지금 벌어지는 상황 중에서 발생되는 사실행위도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후술될 보조서버(90)나 SUB리더(81)의 경우에도 고객의 QR코드(10)를 리딩한 상태에서 그 정보를 관리서버(60)로 전달하는데, 이러한 데이터와 정보를 감찰서버(70)와 공유하게 되면, 감찰서버(70)를 관리하는 정부나 재해대책본부는 그 정보를 국민에게 알려 알권리를 충족시키며, 그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례로 만일 이 근래에 발생된 여객선 재난(세월호)의 경우, 여객선의 내측에 다수의 SUB리더(81)가 설치될 소지가 있는데, 사고 대상자가 자신의 QR코드(10)를 리딩시키면 그 위치, 시간 및 기타 기본정보(AB) 등이 실시간으로 전송되기에 생존의 여부는 물론 사고현장에 누가 있는가를 알려줄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서비스를 유지하는 것이 관리서버(60)의 감찰서버(70)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이다.
나아가 이 건 발명의 관리서버(60)는 또 다른 서비스를 유지한다. 전술된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이다. 이 서비스는 큰 휴양지에서 사용이 용이하다. 만일 차량이 탑승에 관한, 서울에서 부산으로 여행을 떠나는 고객의 경우, 이 시스템의 이용이 승차와 하차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코딩장치(30)를 이용하여 승차권을 취득하고, 고속버스를 탑승함으로 메인리더(50)에 자신의 QR코드(10)를 스캔하여 승차여부를 전달한다. 하차시에 재차 리딩하여 하차 여부를 통지함으로 사실상 이 서비스는 종료한다.
이에 반하여 넓은 휴양지, 즉, 휴양지 내측에 스키장, 수영장, 골프장 등 다양한 휴양시설이 갖추어진 곳에서 이 건 발명을 사용하는 방법은 각 스키장, 수영장, 골프장 내측에 매점, 음식점 등 편의시설이 즐비하게 되는데 이들을 이용할 때 자신의 QR코드(10)를 스캔하게 되면 이러한 사실도 관리서버(60)로 전달된다. 이들은 메인리더(50)와 구분하여 SUB리더(81)라 칭하고 있는데,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SUB리더(81) 안에 별도의 통신모듈(5)(23b)을 구비하여, 관리서버(60)로 바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도 있고, 각각의 시설물 내측에 별도의 관리서버(60)와의 통신을 위한 보조서버(90)를 비치하여 다수의 SUB리더(81)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보조서버(90)가 받고, 보조서버(90)가 이 정보에 자신의 관할의 코드를 추가하여 관리서버(60)로 전달할 수도 있도록 한다. 바로 이러한 서비스를 이 건 발명에서는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라 한다.
전술한 내용에서 상기 감찰서버(70)를 설명하였다. 이 감찰서버(70)는 실질적으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또 다른 고객일 경우가 많다. 정부나 여행을 목적으로 한 학교, 어떤 단체일 소지가 있다. 바로 이러한 감찰서버(70)는 도시된 도 13에 도시하고 있다. 즉, 관리서버(60)와 연동하는 감찰서버(70)는, 관리서버(60)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달성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위하여 내장되는 상황인지 프로그램(72)을 통해서 여행자의 정보와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프로그램과 관리서버(60)와의 통신을 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CPU(4)(71)와 별도의 통신모듈(4)(73)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아주 단순하고 간단한 구성만을 도시하였다. 이 서버는 사실상 응급재난에 대응하는 상황인지프로그램(72)이 주가 아닐 경우가 많다. 평상시에는 자신의 업무를 진행하고, 응급재난이 발생될 경우에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할 경우가 많기에 내측의 CPU(4)(71)의 제어를 받은 상황인지프로그램(72)을 가진다. 그리고 관리서버(60)와의 통신을 위한 별도의 통신모듈(4)(73)이 있다. 이 통신모듈(4)(73)은 관리서버(60)와의 통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기존 사용하던 통신장비(=모듈)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통신장비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럼 이 건 발명에서 어느 정도 설명한 관할코드(AA) 부분을 설명한다. 이 관할코드(AA)는 기본정보(AB)와 함께 이 건 발명에서는 아주 중요한 정보나 데이터로 취급된다. 기본정보(AB)는 일단 입력되면 변동하지 않지만, 관할코드(AA)는 그 위치와 시간이 데이터의 형태로 추가되기에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인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리더(50)는, 입장수속이나 이 건 발명의 서비스를 신청하고 승인하는 형태로 발급받은 사용자 각자의 QR코드(10)를 스캐너(1)(20a)를 통해서 리딩하여, 부여받은 QR코드(10)의 기본정보(AB)와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를 통신모듈(1)(23a)을 통해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고; 입장이 이루어진 후나 서비스의 진행 중에 상기 메인리더(50)에 속하는 다수의 SUB리더(82)는, 사용자가 배, 버스, 건축물과 같은 서비스 시설물을 이용함에 따라 시설물 내측에 설치된 SUB리더(82)의 스캐너(5)(20b)에 리딩된 사용자의 기본정보(AB)를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와 함께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며; 메인리더(50)와 그를 포함하는 코드리더(80)가 일련의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원과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도 7에 이러한 내용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도 6(a)에는 메인리더(50)와 관리서버(60)가 연계하여 리딩한 QR코드(10)의 정보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보다 진보한 것이 코딩장치(30)가 QR코드(10)를 코딩하고, 그 코딩된 정보를 관리서버(60)로 전달하며, 다시 메인리더(50)가 리딩한 QR코드(10)의 정보를 자신의 관할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하여 그 데이터를 전달한다(도 6의 (b)에 도시.). 그리고 응급재난시 관리서버(60)는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감찰서버(70)와 연동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킨다.
도시된 도 6의 (c)에는 코딩장치(30)에서 코드리더(80)가 연결되고, 코드리더(80)가 보조서버(90)에 연결되며, 보조서버(90)는 관리서버(60)와 연결되어 감찰서버(70)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리더(80)는 이미 전술된 메인리더(50)와 SUB리더(81)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각 단계를 거치며, 이 건 발명의 데이터는 전체적으로 코딩장치(30)에서 메인리더(50)로, 또 SUB리더(81)이거나 SUB리더(81)와 보조서버(90)가 연결된 상태에서 관리서버(60)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꼭 그 자신의 관할에 관련된 정보를 부여하여 기본정보(AB)와 함께 전달한다.
도시된 도 7에는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창출하는 관할에 관련된 코드에 대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코딩장치(30)는 최초로 그 입장권이나 승차권을 발급하며 QR코드(10)를 같이 발급하여 프린팅을 한다. 바로 이때 자신의 코드를 추가하여 기본정보(AB)와 함께 관할코드(AA)를 데이터의 형태로 관리서버(60)에 전달한다. 이 건 발명에서는 구별의 실익을 위해서 상기 코딩장치(30)가 생성한 관할코드(AA)를 "AA"라 칭하고 있다. 관할코드(AA)는 실질적으로 기본정보(AB)와 구별되며, 코딩장치(30)가 스스로 그 관할코드(AA)를 형성하여 추가한다.
이 관할코드(AA)가 표시하는 내용은 그가 위치하는 장소, 발급한 시간이 될 것이고, 여기에 추가된다면 이용하는 서비스의 내용이 어느 정도 들어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가격이 암묵적으로 코딩될 수 있고, 휴양지 이용의 한계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후 이 건 발명의 이용은 메인리더(50)와 SUB리더(81)로 진행된다. SUB리더(81)의 경우도 QR코드(10)를 리딩하면 그 기본정보(AB)와 함께 자신의 관할에 관련된 코드를 전달하는 데, 이 건 발명에서는 코딩장치(30)에서 부여하는 관할코드(AA)와 구별을 위해서 SUB코드(AAB)라 칭한다. 이 SUB코드(AAB)는 그 내용적인 면에서 차이가 없다. 단지 코딩장치(30)와 그 위치하는 장소가 다르고, 리딩되는 시간이 다르기에 이러한 변동된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내용은 메인리더(50)와 SUB리더(81)의 관계에서도 차이가 난다. 단지 이 건 발명에서는 관할코드(AA)의 분명한 구별을 위해서 상기 메인리더(50)와 SUB리더(81)로 칭해진 코드리더(80)들이 전달하는 자신의 관할에 관련된 정보를 SUB코드(AAB)라 칭하고 그 부호는 "AAB"라 정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상기 SUB리더(81)가 별도의 보조서버(90)를 통해서 그 정보를 관리서버(60)로 전달할 때에는 보조서버(90)에서 상기 SUB리더(81)의 SUB코드(AAB)에 더 추가한 정보를 입혀 전달하는데, 이 관할의 코드는 SUB보조코드(AABC)라 칭한다.
이 건 발명에서는 SUB리더(81)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도시된 도 9에서처럼, 2가지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시된 도 9에서처럼, SUB리더(81) 자체로 관리서버(60)와 통신할 수 있는 방식의 실시예(도 9a)와 SUB리더(81)가 보조서버(90)를 통해서 관리서버(60)와 통신하는 방식의 실시예(도 9b)를 제안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를 순서대로 설명한다.
먼저 전술된 제1실시예의 경우, 상기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관할코드에 자신의 관할코드를 추가한 SUB코드(AAB)를 코딩부(5)(24b)를 통해서 생성한 후, 이 정보를 관리서버(60)에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직접 전달하여, 코딩된 사용자의 신원과 위치 및 시간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B리더(81)는 휴양지의 시설물 내측에서 어떤 지점 어떤 장소에 설치될 소지가 많다. 시설물의 내측 매점이나 판매점 및 이용시설의 일부일 것이다. 고객은 자신의 팔걸이띠(20)에 프린팅된 QR코드(10)를 매점을 이용하면서 스캐너(5)(20b)를 통해서 스캔하면 이 데이터는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A/D컨버터(=AD변환기; 21b)를 통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이 건 발명의 SUB리더(81)는 마이컴(5)(22b)의 제어하의 별도의 코딩부(5)(24b)가 형성되어 있기에 코딩부(5)(24b)를 통해서 자신의 관할의 코드를 추가하여 기본정보(AB)와 함께 관리서버(60)로 직접 전달한다. 별도의 서버를 필요치 않으며, SUB리더(81)가 자신의 코딩부(5)(24b)를 통해서 형성한 관할의 코드인 SUB코드(AAB)를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달한다. 이 건이 제1실시예의 방식이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9의 (b)에 도시된 것처럼,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그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보조서버(90)에 전달하고; SUB코드(AAB)를 전달받은 보조서버(90)는, 하나 또는 다수의 SUB리더(81)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CPU(6)(91)의 제어하에 내장된 운영프로그램(92)을 통해서 그 코딩부(6)(93)를 통해서 자신의 관할을 더 추가하여 SUB보조코드(AABC)를 생성한 후, A/D컨버터(=A/D변환기; 94)는 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모듈(6)(95)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송한다.
이 실시예의 휴양지에서 다수의 SUB리더(81)를 비치하되, 이를 관리하는 별도의 보조서버(90)가 필요할 경우이다. 따라서 다수의 SUB리더(81)는 별도의 보조서버(90)와 통신하고, 보조서버(90)가 다수의 SUB리더(81)에서 전달하는 데이터를 자신의 관할의 코드를 추가하여 전달하는 형태로 SUB보조코드(AABC)를 전달한다. 결국 SUB리더(81)는 내측에 스캐너(5)(20b), A/D컨버터(5)(21b), 마이컴(5)(22b), 통신모듈(5)(23b)이 존재하며, 특별히 코딩부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단순하게 QR코드(10)에서 전달한 기본정보(AB)만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건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9의 (b)에는 코딩부(미도시)가 도시되지 않는 별도의 SUB리더(81)를 도시하고 있지만, 코딩부(5)(24b)를 가진 SUB리더(81)를 형성하는 것이 당연하다. SUB리더(81)는 자신의 관할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한 SUB코드(AAB)를 생성하여 기본정보(AB)와 함께 보조서버(90)로 전달하고, 보조서버(90)는 여기에 자신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한 별도의 SUB보조코드(AABC)를 발급하여 관리서버(60)에 기본정보(AB)와 함께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고객의 신원은 실시간으로 관리서버(60)에 전달되어 그 위치와 이용시간 및 신원이 확인될 수 있다.
이 건 발명은 전술된 시스템적인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건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에도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의 운영방법을 도시된 도 14를 통해서 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이 건 발명은 재난시 재난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신원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제1단계: 코딩장치(30)가 QR코드(10)와 관할코드(AA)를 생성하여 각 이용자의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단계를 거치며 시작된다. 어느 정도 그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처럼 코딩장치(30)는 고객에서 QR코드(10)를 발급하면서 그 코드의 정보 즉, 기본정보(AB)에 따른 데이터와 자신의 관할코드(AA)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관리서버(60)에 전달한다.
전달된 정보로 인하여 이 고객이 후일 관리자와 정해진 시간에 서비스 이용이 이미 계약체결되는 것이다. 코딩장치(30)는 기본정보(AB)와 관할코드(AA)를 전달하면서, 고객에게는 승차권이나 이용권을 QR코드(10)가 프린팅된 상태로 전달하기에 따르는 계약은 계속된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에서는 제2단계: 고객은 자신의 QR코드(10)를 메인리더(50)에 스케닝함으로 이 시스템의 이용과 도입을 확인시키고 메인리더(50)는 자신의 관할을 추가한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이를 기본정보(AB)와 함께 관리서버(60)로 전달하는 단계를 거친다. 고객은 이 건 발명을 이용하면서 신원확인에 대한 인지가 있든 없든 관리자의 의도하에 이 서비스를 가입하게 된다. 인지하고 있다면 더욱 바람직한 일이지만, 고객은 자신의 승차권을 메인리더(50)에 스캐닝시킴으로 자신의 신원과 자신의 위치 및 지금의 시간을 관리서버(60)로 전달하게 된다.
고객은 자신의 팔걸이띠(20)에 프린팅된 QR코드(10)를 메인리더(50)를 통해서 스캐닝하면서 계약이 이루어진, 이용료를 지불한 고객임을 확인시키면서, 자신의 기본정보(AB)도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때 메인리더(50)에서 관할에 관련된 정보를 추가하는데, 이는 특별히 SUB코드(AAB)라 칭한다. 스캐닝된 위치, 시간 등의 정보가 관할에 관련된 정보로 코딩되어 관리서버(6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이 건 발명은 제3단계: 관리서버(60)는 전달받은 기본정보(AB)와 관할에 관련된 코드를 재갱신과 연산하여 고객의 위치신원을 갱신하며 이를 저장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후 이 건 발명은 이 시스템 내에 위치하는 다른 SUB리더(81)나 보조서버(90)를 통해서 고객의 위치, 이용시간 및 기타정보를 고객이 자신의 QR코드(10)를 스캐닝한 기본정보(AB)와 함께 전달하여 고객의 상태를 관리서버(60)에 통지한다.
전술한 내용에서 이미 설명하였지만, 이 건 발명에서는 상기 기본정보(AB)는, 최소 여행자(=고객)의 성명을 포함하며,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혈액형, 여행이나 이 시스템 이용의 목적, 이 신원확인 방법을 이용하는 취지를 기재한 것이고, 관할에 관련된 정보는 이용하는 시설의 단계에 따라 추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코딩장치(30)가 부여하는 관할코드(AA)를 관할코드(AA)라 칭하고, 그 외 코드리더(80)인 메인리더(50)와 SUB리더(81)가 부여하는 코드는 SUB코드(AAB)라고 칭하고, 보조서버(90)가 부여하는 코드는 SUB보조코드(AABC)라 칭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모두 동일한 취지와 목적을 가지며, 후단계의 코드부여는 전자의 코드에 자신의 코드를 추가하는 형태로 데이터를 형성한다.
결국 이 건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메인리더(50)에는, 다수의 SUB리더(81)가 연결되어 별도의 코드리더(80) 그룹을 형성하며, 이 코드리더(80)는 스캐닝한 고객의 QR코드(10)와 함께 별도의 관할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고객의 이용시간, 고객의 위치, 고객의 신원을 관리서버(60)에 통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 서비스를 운용하는 상기 관리서버(60)는, 응급상황 발생시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활용하여, 감찰서버(70)의 상황인지프로그램(72)에 고객의 신원과 고객의 위치 및 현 시점의 상황을 연동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 그 구성을 설명하면서, 이 건 발명의 서비스를 설명한 것처럼, 이 건 발명은 응급재난시 관공서나 정부의 의뢰 하에 감찰서버(70)와 통신을 유지하며, 관리서버(60)가 전달받은 모든 정보의 공유와 새롭게 유입되는 정보의 공유를 달성한다. 이는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고, 보다 안전한 여행과 휴양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에 연장되어 이 건 발명에서는 관리서버(60)는, 그 내측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를 활용하여, 스캐닝된 QR코드(10)의 기본정보(AB)와 관할에 관련된 정보(관할코드 등), 위치, 이용시간을 기본사항으로 입력한 메일주소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한다. 여행을 의도한 고객에게는 전술된 기본정보(AB)를 요구하면서, 고객의 메일주소를 기본정보로 입력하게 유도한다. 관리서버(60)가 전달받은 메일주소에는 고객이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서 휴양을 즐기는 경위가 전달되는데,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시키는 형태로 데이터와 정보를 전달한다.
10; QR코드 60; 관리서버

Claims (16)

  1. 여행 중에 운송수단이나 특별한 시설물에 입장을 하는 여행자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와;
    여행자(=고객)의 신원으로 인증되는 각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1)(20a)와 스캐닝된 정보를 변환시키는 A/D변환기(21a), 변환의 과정이나 변환된 데이터를 제어하는 마이컴(1)(2a), 마이컴의 제어하에 별도의 SUB코드(AAB)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코딩부(미도시) 및 스캐닝한 데이터를 관리서버(60)의 통신모듈(3)(64)로 전달하는 통신모듈(1)(23a)로 이루어진 메인리더(50);
    상기 메인리더(50)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내측의 CPU(3)(61)와 관리프로그램(62)으로 제어하여, 여행자(=고객)의 지정된 QR코드(10)가 리딩된 장소, 여행자(=고객)의 신원, 여행자의 이름이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서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여행중인 여행자의 이동 위치를 정확하게 보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여행자(=고객)에게 부여하는 QR코드(10)는,
    코딩장치(30)를 이용하여 코딩을 하되, 좌판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여행자 기본정보(AB)를 입력하는 입력수단(33)과;
    QR코드(10) 부여를 위한 알고리즘이 형성된 제어프로그램(32)을 통하여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위해서 마련되는 CPU(2)(31)와;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라 CPU(2)(31)의 제어하에 각자의 여행자 QR코드(10)를 프린팅하는 QR코드프린터(34)와;
    입력수단(33)에 의해서 입력된 여행자의 기본정보(AB)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컨버터(35)와;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로 전송하는 통신모듈(2)(36)로 이루어진 코딩장치(30)를 비치하여, 고객(=사용자, 여행자)에게는 입력된 기본정보(AB)에 따른 QR코드(10)를 부여하면서, 관리서버(60)에는 상기 기본정보(AB)를 통신으로 원거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기본정보(AB)는,
    여행자(=고객)를 위한 입장권이나 이용권을 발급 받으면서 입력되는 정보로서,
    최소 입력정보로는, 입력하는 코딩장치(30)의 코드인 관할코드(AA)와;
    여행자의 성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QR코드프린터(34)는, 밑지(44)와 코드용지(44a)로 이루어진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코드용지(44a)의 저면에는 접착제층(11)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하고;
    코드용지(44a)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바둑판 형태의 빈 공간(=입력란)을 형성하는 절개선(38)을 형성하여;
    상기 절개선(38)의 내측 입력란에 여행자(=고객)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프린팅하여, QR코드스템프(10a)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생산된 QR코드스템프(10a)는, 여행자(=고객)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띠몸체(22)의 상면 일측에 접착제층(11)을 이용하여 접착하고;
    띠몸체(22)의 일측단에 형성되는 고리접착부(23)를 이용하여 타측의 띠몸체(22)의 일측에 접착층(21)으로 접착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QR코드프린터(34)는, 프린팅용지(39)에 프린팅을 하되, 상기 프린팅용지(39)의 저면 일측에는 접착제층(42)이 형성되어 떼서 붙일 수 있도록 한 고리접착부(B)을 형성하고;
    프린팅용지(39)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QR코드(10)를 입력할 수 있는 수평방향으로 연속되는 일련의 절개선(38)으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여행자의 손목에 감길 수 있는 길이의 지류로 생산한 상기 절개선(38)으로 구분되는 띠몸체(22)의 상면에는, 여행자 자신의 기본정보(AB)를 담은 QR코드(10)를 일측에 프린팅하여, 팔걸이띠(20)의 형태로 입장권을 대신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관리서버(60)는,
    메인리더(50)와 코딩장치(30)에서 전달하는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전달받고,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정보전달하는 별도의 통신모듈(3)(64)과;
    상기 통신모듈(3)(64)을 통해서 전달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고, 전송할 데이터를 디지털신호의 형태로 변환하는 A/D컨버터(63)와;
    QR코드(10)를 부여받은 여행자(=고객)에게 자신의 메일 주소로 이용정보를 메일링하는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와, 여행을 하는 여행자(=고객)에게 문제가 발생되거나 신원의 문의가 들어올 때 여행자(=고객)의 이동상황과 신원을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서비스(67)와, 관리서버(60)에 종속하는 SUB리더(81)와 보조서버(90)와의 통신을 통해서 리딩된 QR코드(10)의 여행자 기본정보를 포함하는 추가되는 코드를 통해 여행자의 이동상황을 인지시키도록 하는 보조서버 관리서비스(68)를 위한 알고리즘을 가진 관리프로그램(62);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관리프로그램(62)을 통해서 관계자(코딩자, 감찰서버)와의 소통을 제어하며, 모든 신호의 발생과 제어를 위한 CPU(3)(61);
    및, 전술된 구성요소들에게 전달받은 모든 정보와 데이터 및 변환되고 연산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관리서버(60)와 연동하는 감찰서버(70)는,
    관리서버(60)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달성하는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위하여 내장되는 상황인지 프로그램(72)을 통해서 여행자의 정보와 이동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프로그램과 관리서버(60)와의 통신을 위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CPU(4)(71)와 별도의 통신모듈(4)(73)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9. 제1항 또는 8항에 있어서,
    메인리더(81)는, 입장수속이나 이 건 발명의 서비스를 신청하고 승인하는 형태로 발급받은 사용자 각자의 QR코드(10)를 스캐너(1)(20a)를 통해서 리딩하여, 부여받은 QR코드(10)의 기본정보(AB)와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를 통신모듈(1)(23a)을 통해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고;
    입장이 이루어진 후나 서비스의 진행 중에 상기 메인리더(50)에 속하는 다수의 SUB리더(82)는, 사용자가 배, 버스, 건축물과 같은 서비스 시설물을 이용함에 따라 시설물 내측에 설치된 SUB리더(82)의 스캐너(5)(20b)에 리딩된 사용자의 기본정보(AB)를 자신의 관할 SUB코드(AAB)와 함께 관리서버(60)에 전달하도록 하며; 메인리더(50)와 그를 포함하는 코드리더(80)가 일련의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의 신원과 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관할코드에 자신의 관할코드를 추가한 SUB코드(AAB)를 코딩부(5)(24b)를 통해서 생성한 후, 이 정보를 관리서버(60)에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직접 전달하여, 코딩된 사용자의 신원과 위치 및 시간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11. SUB리더(81)는,
    근접거리에서 사용자의 QR코드(10)를 리딩하는 스캐너(5)(20b)를 가지며, 마이컴(5)(22b)의 제어하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을 통해서 스캐너(5)(20b)가 리딩한 정보를 인지하고, 스캔한 QR코드(10)의 기본정보(AB)를 그 통신모듈(5)(23b)을 통해서 보조서버(90)에 전달하고;
    SUB코드(AAB)를 전달받은 보조서버(90)는, 하나 또는 다수의 SUB리더(81)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CPU(6)(91)의 제어하에 내장된 운영프로그램(92)을 통해서 그 코딩부(6)(93)를 통해서 자신의 관할을 더 추가하여 SUB보조코드(AABC)를 생성한 후, A/D컨버터(=A/D변환기; 94)는 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모듈(6)(95)을 통해서 관리서버(6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
  12. 재난시 재난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한 신원확인 방법에 있어서,
    제1단계: 코딩장치(30)가 QR코드(10)와 관할코드(AA)를 생성하여 각 이용자의 기본정보(AB)를 관리서버(60)에 전달하는 단계;
    제2단계: 고객은 자신의 QR코드(10)를 메인리더(50)에 스케닝함으로 이 시스템의 이용과 도입을 확인시키고 메인리더(50)는 자신의 관할을 추가한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이를 기본정보(AB)와 함께 관리서버(60)로 전달하는 단계;
    제3단계: 관리서버(60)는 전달받은 기본정보(AB)와 관할에 관련된 코드를 재갱신과 연산하여 고객의 위치신원을 갱신하며 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재난시나 응급상황 발생시 이용 고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고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기본정보(AB)는, 최소 여행자(=고객)의 성명을 포함하며, 주민번호, 주소, 전화번호, 여행이나 이 시스템 이용의 목적, 이 신원확인 방법을 이용하는 취지를 기재한 것이고, 관할코드(AA)는 이용하는 시설의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메인리더(50)에는, 다수의 SUB리더(81)가 연결되어 별도의 코드리더(80) 그룹을 형성하며, 이 코드리더(80)는 스캐닝한 고객의 QR코드(10)와 함께 별도의 관할 SUB코드(AAB)를 부여하여, 고객의 이용시간, 고객의 위치, 고객의 신원을 관리서버(60)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관리서버(60)는, 응급상황 발생시 감찰서버 커뮤니케이션 서비스(67)를 활용하여, 감찰서버(70)의 상황인지프로그램(72)에 고객의 신원과 고객의 위치 및 현 시점의 상황을 연동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관리서버(60)는, 그 내측의 관리프로그램(62)으로 코딩자 메일링 서비스(66)를 활용하여, 스캐닝된 QR코드(10)의 기본정보와 관할코드, 위치, 이용시간을 기본사항으로 입력한 메일주소로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방법.
KR1020140094999A 2014-07-25 2014-07-25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KR2016001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99A KR20160012799A (ko) 2014-07-25 2014-07-25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999A KR20160012799A (ko) 2014-07-25 2014-07-25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99A true KR20160012799A (ko) 2016-02-03

Family

ID=5535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999A KR20160012799A (ko) 2014-07-25 2014-07-25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27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7720A (ja) * 2016-12-15 2018-06-21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避難者確認システム
KR102031489B1 (ko) * 2018-04-02 2019-10-11 이승환 재난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97720A (ja) * 2016-12-15 2018-06-21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避難者確認システム
KR102031489B1 (ko) * 2018-04-02 2019-10-11 이승환 재난안전관리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aver A dictionary of travel and tourism terminology
US6473790B1 (en) Network system for serving information to mobile terminal apparatus
World Tourism Organization (Madrid). et al. International tourism: a global perspective
US20100268450A1 (en) Pedestrian navigation systemand method integrat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US6957772B1 (en) Automated fare collection system
WO2015090328A1 (en) System, passenger train, method and software product for assisting a passenger to locate a seat on a train
WO2016059851A1 (ja) ポイント算出装置、船、ポイント算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2799A (ko) 응급재난시 신원확인을 용이하게 하는 신원확인 장치와 신원확인 방법
JP2021179802A (ja) 乗降支援案内システム
KR100737257B1 (ko) 기념 프린트 발행 시스템
US10825035B2 (en) Point calculation device, boat, point calcul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0105478A (ja) 列車ルート検索装置、プラットホーム画像の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054952A1 (en) Remote check-in system
KR20130007054A (ko) 알에프 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크루즈서비스 관리 시스템
Beaver A dictionary of tourism and travel
JP3764747B2 (ja) 列車旅行支援装置
Bradlee The Eastern Railroad: A Historical Account of Early Railroading in Eastern New England
Holmes The stage-coach business in the Hudson Valley
JP3573148B2 (ja) ゲートシステム、該ゲートシステムを用いた情報取得方法、該ゲートシステムを用いて情報提供する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5155573B2 (ja) 交通機関移動支援プログラム、該装置、該システム、及び発券機
Liu Enhancing Mobility around Schiphol Airport for International Passengers
ROBERT AIRMAIL AND THE
JP2004199553A (ja) 情報配信サービス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1307149A (ja) 携帯利用システム、携帯利用システムの料金決済方法、携帯端末およびサーバ
Sobhan et al. An Analysis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Facilities to the Disabled People in Dhak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