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977A -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977A
KR20160011977A KR1020140093361A KR20140093361A KR20160011977A KR 20160011977 A KR20160011977 A KR 20160011977A KR 1020140093361 A KR1020140093361 A KR 1020140093361A KR 20140093361 A KR20140093361 A KR 20140093361A KR 20160011977 A KR20160011977 A KR 20160011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mixing
functional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주)스피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피어테크 filed Critical (주)스피어테크
Priority to KR102014009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977A/ko
Publication of KR2016001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9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에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습력도 충분히 공급하여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피부에 도포시 화장료의 건조가 빠르고 색상의 지속력이 우수하며 색상의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 알코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점도가 1,000cps을 갖는 베이스혼합물과;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향료로 이루어진 향료혼합물과; 기능성 화장혼합물 및 착색안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easy to protect and to calm the skin and the lip }
본 발명은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에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습력도 충분히 공급하여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피부에 도포시 화장료의 건조가 빠르고 색상의 지속력이 우수하며 색상의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입술용 화장료란 입술에 색채적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보이게 하고 동시에 입술의 보호를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립크림, 립트리트먼트 등의 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입술용 화장료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으로는 첫째, 입술에 대해 무자극, 무해일 것, 둘째, 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없을 것, 셋째, 매끈하게 묻고, 스며 나오지 않고, 필요한 시간 유지될 것, 넷째, 보관 또는 사용중에 잘라지거나 변형, 연화되지 않고 스틱상을 유지할 것, 다섯째, 발한, 발분 등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없을 것, 여섯째, 매력적인 외관을 유지하고, 색조변화가 없을 것 등이다.
또한, 입술용 화장료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 첫째, 색감 표현력을 증대시켜 아름다운 입술을 표현하기 위해 색소 분산기재에 대한 연구와 고순도로 정제된 색소 등을 사용하여 입술을 아름답게 표현하려는 연구이다. 둘째, 외부의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입술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셋째, 입술에서의 화장이 번지거나 뭉치지 않고 그대로 입술선을 유지시켜 아름답게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종 기재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입술용 화장료 제형상의 특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첫째, 경도를 상승시켜 외관 형태를 유지시키는 고형성분의 왁스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왁스로는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등이 사용되어 지는데 이러한 고형성분들의 함량이 많으면 스틱의 경도가 높고 딱딱해지며 사용감이 무거워져 발림성이 떨어지게 되고, 양이 적게 되면 발림성은 좋아지지만 고온 안정성이 떨어지고 쉽게 뭉그러지며 립스틱의 묻어나는 양이 많아져 입술에 균일하게 도포되지 않고 입술의 라인을 따라 번짐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둘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갖고 있는 액상의 유성성분이 있다. 이러한 오일성분으로는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과 합성 에스테르오일, 실리콘 오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유성성분의 선택과 함량에 따라 색소의 분산성 및 사용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라놀린의 경우 보습력과 부착력이 우수하여 립스틱에서 흔히 쓰이는 성분이나, 라놀린 자체가 산화되기 쉬워 변취 및 변색의 우려가 있으며, 입술에 부담감을 주며, 최근에 라놀린 성분에 대한 알러지가 보고된바 있다.
셋째, 색상을 결정하는 색소성분이 있다. 이러한 색소는 크게 유기색소와 무기색소로 구분되어 지는데 유기색소의 경우 일반적으로 용해성을 가진 것들이 많은데 이러한 염료의 경우 입술에 염착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유기 색소의 색상이 다양하고 화사하기 때문에 이러한 염료를 불용성의 레이크로 만든 색소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외에 산화철과 같은 무기 색소들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색소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서도 제형상 많은 물성 차이를 가져온다.
넷째,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 영향성분 등의 각종 첨가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입술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목적과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자외선 방지제와 특수 영향성분이 배합되는 경우도 있다.
입술 화장료가 적용되는 입술에 대해 설명하면, 입술은 끊임없이 수축 및 팽창 운동을 하여 신체 부위 중 가장 움직임이 많은 부위이며 또한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자외선 및 대기중의 오염물질 건조한 기후 등의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쉽게 자극을 받게 된다. 입술의 피부구조는 일반적인 피부구조와는 달리 피지막이 없으며 각질층이 극히 얇게 형성되어 있어 천연보습인자와 수분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수분 증발속도도 극히 빠르게 진행된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입술은 외부의 자극 요인에 대한 자체적인 방어 능력이 매우 약하여 심한 손상을 입게 된다. 이에 따라 입술용 화장료는 다른 화장료와 달리 보다 철저한 보호작용 및 보습 효과 부여 기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는 입술에 보습효과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되었다. 첫째로 직접 물이나 친수성 성분을 투여하는 것이다. 특히, 물의 배합을 위해서는 공정 중 휘발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히 주의하여야 하며, 물을 보습효과를 위해 단순히 혼합할 경우 반대로 물이 휘발되어 입술의 건조를 촉진시키거나 내용물의 수축을 가져 올 수 있는 단점들이 있다.
둘째, 입술 보호 및 보습을 목적으로 라놀린, 라놀린 유도체, 콜레스테롤 유도체, 알코올기를 포함한 지방산 및 에스테르 계통의 조성물들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라놀린 및 라놀린 유도체에서는 알러지가 보고되고 있어 현재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경우 보습효과를 고려하여 5% 이상 적용하게 될 경우 사용감이 끈적이고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피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입술에서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피부 내적으로 진피 분해, 즉 활성을 상실하게 되는 피부 깊숙한 곳에서의 구조적인 변화 때문이다. 그러므로 주름뿐 아니라 본래의 탄탄함을 잃고 점차 느슨해지게 되어 입술이 쳐지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소비자들의 경우 시판되고 있는 립스틱에 입술을 위한 보호 및 보습 기능과 주름을 개선하는 기능이 더욱 추가되기를 원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입술에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습력도 충분히 공급하여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피부에 도포시 화장료의 건조가 빠르고 색상의 지속력이 우수하며 색상의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알코올, 벤젤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점도가 1,000cps을 갖는 베이스혼합물과;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향료로 이루어진 향료혼합물과; 기능성 화장혼합물 및 착색안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치콘, 마카다미아씨오일, 스쿠알란, 비에이치티, 디메치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 트리세케아레스-4포그페이트, 레시틴 , 포도씨오일, 마치현추출물, 1,2-헥산디올, 카프리리릴글라이콜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혼합물 92%~94.4%, 향료혼합물 0.2%~0.5%, 기능성 화장혼합물 5.2%~6.2%, 착색안료 0.2%~1.3%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마이크로 프루이다이져에 의해 입자가 나노화 되어 혼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혼합물을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글라이콜, 글리세린,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마이크로 프루이다이져에 의해 입자가 나노화 되어 혼합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글라이콜, 글리세린,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은 일정한 점도가 베이스혼합물을 탱크에 넣고 70℃~80℃ 온도로 혼합 가열하는 베이스혼합물생성공정과;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향료를 40℃~60℃에서 가용화하여 향료혼합물을 생성하는 향료혼합물생성공정과; 상기 베이스혼합물과 향료혼합물을 탱크에 넣고 혼합하는 제1혼합공정과; 서브탱크에 넣어 70℃~80℃ 온도로 혼합 가열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생성시키는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과; 상기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에 의해 얻어진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30℃~40℃로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 상기 냉각공정에 의해 냉각된 기능성 화장혼합물의 입자를 나노화시키는 입자나노화공정과; 상기 나노화된 입자의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제1혼합공정에 의해 생성된 혼합물에 공급하여 혼합시키는 제2혼합공정과; 상기 제2혼합공정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에 착색안료를 혼합시키는 안료혼합공정 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입자를 나노화 하여 입술에 색상을 부여함과 동시에 보습력도 충분히 공급하여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피부에 도포시 화장료의 건조가 빠르고 색상의 지속력이 우수하며 색상의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제조공정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베이스혼합물을 탱크에 넣고 일정한 온도로 혼합 가열하는 베이스혼합물생성공정(S100)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혼합물생성공정(S100)에 의해 만들어지는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 알코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메인탱크에 넣어져 70℃~80℃범위에서 가열하면서 60rpm/15min으로 회전하면서 혼합되며 점도가 1,000cps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혼합물의 혼합하기 위한 온도가 70℃이하이면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같은 원재료끼리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80℃ 이상이면 분자 구조의 변형이 일어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혼합물을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글라이콜, 글리세린,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으로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벤질알코올을 사용하는 베이스혼합물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등이 포함되는 베이스혼합물보다 건조속도가 빠르고, 기포생성의 억제 효과가 높으며, 방부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등이 포함되는 베이스혼합물은 보습력이 향상되고 피부 흡수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혼합물의 준비가 완료되면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로 이루어진 향료혼합물을 생성하는 향료혼합물생성공정(S200)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향료는 레몬,오렌지,귤,알로에,메론, 파인애플 등의 천연향료 또는 에스테르, 에테르, 저급유기산, 저급지방산, 알코올, 케톤, 알데히드 등의 합성향료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향료는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향료혼합물는 40℃~60℃의 온도와 60rpm/15min의 속도로 가열 및 회전하면서로 가용화(可溶化, solubilization) 되고 가용화가 완료된 향료혼합물을 베이스혼합물이 저장되어 있는 메인탱크에 투입하여 향료혼합물과 베이스혼합물을 혼합하는 제1혼합공정(S300)을 수행한다.
한편 제1혼합공정(S300)의 수행을 하면서 별도의 서브 탱크에 다수의 기능성 화장료를 넣고 혼합하여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생성시키는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S400)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치콘, 마카다미아씨오일, 스쿠알란, 비에이치티, 디메치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 트리세케아레스-4포그페이트, 레시틴 , 포도씨오일, 마치현추출물, 1,2-헥산디올, 카프리리릴글라이콜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기능성 화장혼합물를 서브탱크에 넣고 혼합시 70℃~80℃ 온도와 60rpm/15min의 속도로 가열 및 회전하면서 혼합한다.
상기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S400)에 의해 얻어진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냉각공정(S500)을 수행한다.
상기 냉각공정(S500)의 수행시 냉각온도는 30℃~40℃이다. 상기 냉각온도가 30℃이하이면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같은 원재료 끼리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냉각온도가 40℃이상이면 분자 구조가 유화상태에서 오일과 수분으로 분리가 일어나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냉각공정(S500)의 수행이 완료되어 냉각된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마이크로 프루이다이져(Micro Fluidizer)에 의해 입자가 나노화시키는 입자나노화공정(S600)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의 입자를 나노화 하는 이유는 기능성 화장혼합물이 피부 조직에 침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입자나노화공정(S600) 수행으로 기능성 화장혼합물 입자의 나노화가 완료되면 제1혼합공정(S300)에 의해 베이스와 향료가 혼합되어 있는 메인탱크에 투입하여 혼합시키는 제2혼합공정(S700)을 수행한다.
상기 제2혼합공정(S700)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에 착색안료를 혼합시키는 안료혼합공정(S800) 순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착색안료는 염료를 물에 녹지 않는 금속 화합물 형태로 바꾼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예를 들면 레이크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이크 안료를 함유함에 따라 입술에 선명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발색력이 매우 우수하다. 이때, 레이크 안료의 색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은 상기 베이스혼합물 92%~94.4%, 향료혼합물 0.2%~0.5%, 기능성 화장혼합물 5.2%~6.2%, 착색안료 0.2%~1.3%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S100 : 베이스혼합물생성공정
S200 : 향료혼합물생성공정
S300 : 제1혼합공정
S400 :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
S500 : 냉각공정
S600 : 입자나노화공정
S700 : 제2혼합공정
S800 : 안료혼합공정

Claims (8)

  1.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정제수, 알코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점도가 1,000cps을 갖는 베이스혼합물과;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향료로 이루어진 향료혼합물과;
    기능성 화장혼합물 및 착색안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디소듐이디티에이,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세테아릴알코올, 카프릴릴메치콘, 마카다미아씨오일, 스쿠알란, 비에이치티, 디메치콘,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 트리세케아레스-4포그페이트, 레시틴 , 포도씨오일, 마치현추출물, 1,2-헥산디올, 카프리리릴글라이콜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혼합물 92%~94.4%, 향료혼합물 0.2%~0.5%, 기능성 화장혼합물 5.2%~6.2%, 착색안료 0.2%~1.3%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화장혼합물은 마이크로 프루이다이져에 의해 입자가 나노화 되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혼합물은 정제수,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글라이콜, 글리세린, 벤질알코올,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C13-14 이소피라핀, 라우레스-7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6.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혼합물을 탱크에 넣고 일정한 온도로 혼합 가열하는 베이스혼합물생성공정과;
    에탄올,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향료를 일정한 온도에서 가용화하여 향료혼합물을 생성하는 향료혼합물생성공정과;
    상기 베이스혼합물과 향료혼합물을 탱크에 넣고 혼합하는 제1혼합공정과;
    서브탱크에 넣어 70℃~80℃ 온도로 혼합 가열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생성시키는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과;
    상기 기능성 화장료혼합공정에 의해 얻어진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과;
    상기 냉각공정에 의해 냉각된 기능성 화장혼합물의 입자를 나노화시키는 입자나노화공정과;
    상기 나노화된 입자의 기능성 화장혼합물을 제1혼합공정에 의해 생성된 혼합물에 공급하여 혼합시키는 제2혼합공정과;
    상기 제2혼합공정에 의해 혼합된 혼합물에 착색안료를 혼합시키는 안료혼합공정 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혼합물을 70℃~80℃범위에서 가열하면서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정은 3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40093361A 2014-07-23 2014-07-23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19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61A KR20160011977A (ko) 2014-07-23 2014-07-23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361A KR20160011977A (ko) 2014-07-23 2014-07-23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977A true KR20160011977A (ko) 2016-02-02

Family

ID=5535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361A KR20160011977A (ko) 2014-07-23 2014-07-23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97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40A (ko) * 2000-07-03 2002-01-16 유상옥,송운한 기능성 분체의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KR100801164B1 (ko) * 2006-11-16 2008-02-05 김용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어 화장품 조성물
KR20080106054A (ko) * 2007-05-30 2008-12-04 로레알 금속-산화물 적층된 안료와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적층된안료를 포함하는 화장용 모발 조성물과 그의 사용 방법
KR20100058022A (ko) * 2008-11-24 2010-06-03 이영심 기능성 헤어 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바디 클린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2594A (ko) * 2009-02-13 2010-08-23 구례군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4140A (ko) * 2000-07-03 2002-01-16 유상옥,송운한 기능성 분체의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KR100801164B1 (ko) * 2006-11-16 2008-02-05 김용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어 화장품 조성물
KR20080106054A (ko) * 2007-05-30 2008-12-04 로레알 금속-산화물 적층된 안료와 기능화된 금속-산화물 적층된안료를 포함하는 화장용 모발 조성물과 그의 사용 방법
KR20100058022A (ko) * 2008-11-24 2010-06-03 이영심 기능성 헤어 샴푸, 헤어 트리트먼트, 바디 클린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2594A (ko) * 2009-02-13 2010-08-23 구례군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고서2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821B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sowie d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EP1002514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à phase continue lipophile contenant un pigment vanadate de bismuth
EP1505946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1811849B1 (ko) 보습력 및 지속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7006536A1 (de) Wasserfreie kosmetische zubereitung
FR281467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continue hydrophile comprenant un pigment goniochromatique multicouche et son utilisation en maquillage
EP0953343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ntenant un nouveau pigment
CN102670424A (zh) 护肤组合物
CN105055190A (zh) 化妆品基础组合物及其用途
KR20180036264A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E202005002951U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JP7075926B2 (ja) 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の形態の唇用化粧品およびメーキャップ方法
EP1000604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à phase continue hydrophile contenant du vanadate de bismuth
KR20070081994A (ko)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WI586375B (zh) A resin composition, and a cosmetic material to which the resin composition is added
KR101565495B1 (ko) 입술 색상의 지속 효과를 가지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1977A (ko) 입술 보호 및 피부 침착이 용이한 화장료 조성물
JP2023508343A (ja) メラノイジンを含む化粧品組成物
KR101803403B1 (ko) 아이-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973502A (zh) 一种清透气垫cc霜及其制备方法
Draelos Lip care and cosmetics
DE202006010652U1 (de) Wasserfrei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053811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JP2000128767A (ja) メーキャップ化粧品用ワックス組成物
KR101683833B1 (ko) 입술 색상과 보습성이 개선된 필-오프 타입 입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