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745A -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745A
KR20160011745A KR1020140092539A KR20140092539A KR20160011745A KR 20160011745 A KR20160011745 A KR 20160011745A KR 1020140092539 A KR1020140092539 A KR 1020140092539A KR 20140092539 A KR20140092539 A KR 20140092539A KR 20160011745 A KR20160011745 A KR 20160011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ptic effect
effect data
moving picture
service server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3676B1 (ko
Inventor
박봉군
Original Assignee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택추얼센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 재생시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한 햅틱 효과를 제공하되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 제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면서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는 새로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햅틱 효과 데이터와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미디어를 감상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시에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lient's terminal with haptic effect based on video contents played back via on-line network}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트 상에서 재생되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매핑하여 저장한 후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변형, 편집, 개조 등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와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만에서 인코딩하도록 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파일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시에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 확산으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는 동영상을 감상하는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동영상의 온라인 상 이용과 관련하여서는 동영상 컨텐츠의 복제, 전송 등이 기술적으로 용이한 문제로 인하여 동영상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에 대한 보호 강화와, 불법 복제, 업로드 및 다운로드에 대한 효과적인 제제 수단의 강구에 대한 논의가 있는 반면에,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 동영상 이용자의 컨텐츠 접근권의 합법적 보장 등을 골자로 하는 디지털 정보의 확산을 도모하는 움직임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 중, 예를 들어 유튜브(YouTube)는 누구든지 자신의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고 일단 업로드한 동영상은 누구든지 무료로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는 무료 동영상 공유 정책을 표방하고 있다.
유튜브가 무료 동영상 서비스를 개시하기 전에는 일반 사용자들이 온라인 상에 동영상을 올려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다. 유튜브는 퍼스널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누구든지 손쉽게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누구든지 간편하게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였고, 동영상 컨텐츠 공유를 인터넷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하였다. 국내에서도 아프리카 TV, 판도라 TV, 다음 TV, 네이버 TV 등이 유튜브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유뷰브와 같은 무료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는 다수의 이용자가 많은 동영상을 업로드하게 하고 이를 다수의 이용자가 무료로 볼 수 있게 하는 대신에, 이용자가 동영상 재생시 광고를 노출시켜 광고 수익을 얻는 수익 사업 모델로 엄청난 수익을 내고 있다.
또한, 유뷰브와 같은 무료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는 저작권 정책에 있어서도 이용자가 업로드한 동영상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하는 것만 허용하고 유뷰브에 업로드된 동영상을 다운로드하여 이를 변형, 편집 및 개조하는 행위는 유뷰트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반하는 행위로 금지하고 있다.
즉, 유뷰트는 다수의 이용자가 다양한 여러 파일 포맷(MPEG, AVI 등)으로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업로드된 동영상 파일들을 H.263의 변종인 FLV(확장자는 .flv)로 변환한 후 이를 이용자들이 스트리밍 방식으로만 온라인 상에서 무료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뷰브는 스트리밍 방식의 동영상 재생시 이용자들이 광고에 노출되도록 하는 광고 수익 모델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동영상의 다른 방식의 이용, 예를 들어 다운로드 후 변형, 편집 및 개조 등은 유뷰브의 광고 수익 모델을 무력화시키는 행위로 보고 이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한편, 햅틱 기술이란 조이스틱,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각종 게임기나 컴퓨터의 입력장치를 조작하면서 사용자가 진동, 운동감, 힘 등을 느낄 수 있게 조작되어 사용자에게 컴퓨터 가상체험 등과 같이 보다 실감나는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기존의 컴퓨터 기술에서는 인간과 컴퓨터가 시각, 청각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았으나, 사용자가 보다 구체적이고 실감나는 정보를 원하게 됨으로써,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촉각 정보를 전달하는 햅틱 기술이 개발되었다.
최근에 햅틱 기술은 컴퓨터 촉각 기술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정보통신 단말기나 비디오 게임 콘솔, 리모트 컨트롤 등의 전자기기가 발달함에 따라 이들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시각, 청각 정보 외에 촉감을 느낄 수 있게 하는 햅틱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광범위한 보급과 함께 스마트폰 내에 햅틱 효과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있을 때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햅틱 기술은 게임 등을 할 때 시각 정보나 청각 정보와 관련된 효과를 사용자에게 진동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벗어나 음원의 재생과 연계하여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사운드를 듣고 있는 사용자에게 사운드와 연계된 진동 효과를 손으로 전달하는 기능으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78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051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644호에서는 햅틱 효과를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시킨 선행기술들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을 포함한 종래기술은 전술한 바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하면서도 동영상 컨텐츠 감상과 햅틱 기술을 효과적이면서 합리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새로운 햅틱 효과의 제공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하는 바가 전혀 없다.
특히, 유뷰브와 같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에 햅틱 효과 데이터를 직접 추가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의 변형, 편집 및 개조 등에 해당하여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정책에 위반될 뿐만아니라 동영상 컨텐츠를 별도로 다운로드받아 햅틱 효과 데이터를 추가하고 이를 유통할 경우에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광고 정책을 무력화시켜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광고 정책을 위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 재생시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한 햅틱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1785호 (2012.03.09)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051호 (2010.11.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2644호 (2011.06.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트 상에서 재생되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매핑하여 저장한 후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변형, 편집, 개조 등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와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미디어를 감상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만에서 인코딩하도록 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파일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시에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예의 연구개발을 거듭한 결과,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어 재생되는 동영상을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재생할 수 있도록 동영상 재생시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한 햅틱 효과를 제공하되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 제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면서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는 새로운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이하의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단말 장치"란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스마트 TV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리모콘, 퍼스널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에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마우스 또는 비디오 게임 콘솔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동영상 컨텐츠"란 움직이는 사물이나 인물을 영상 촬영 장비로 촬영한 후 다수의 프레임을 빠른 속도로 연속적으로 재생함으로써 사람이 시각적으로 이를 연속적인 영상으로 인식하는 영상자료로서,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이 모여 하나의 스토리를 형성하고 후술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생성의 기초가 되는 영상자료를 의미한다. "동영상 컨텐츠 파일"이란 이러한 영상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저장, 판독 및 재생할 수 있는 파일로서, MPEG, MOV, RealVideo, AVI, FLV, MKV 등의 형식의 파일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햅틱 효과 데이터"란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기초로 생성되어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다양한 진통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로서, 전기 에너지를 진동 형태의 역학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진동 소자를 구동시켜 동영상 컨텐츠의 생동감 및 박진감 등이 반영된 다양한 진통 패턴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란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서버에서 주관하는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URL은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어떤 특정 정보나 파일 등을 검색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매핑"이란 하나의 값을 다른 값으로 또는 한 데이터 집합을 다른 데이터 집합으로 번역하거나, 2개의 데이터 집합 사이에 1:1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은,
(a)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함께 상기 단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는 수신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수신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e)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 대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g)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h)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는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g) 단계 및 상기 (h) 단계를 동기화시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때,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 및/또는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광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햅틱 효과와 함께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재생할 수 있으면서도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도록 온라인 광고를 함으로써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은,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및 분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및 감정 표현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한 후 햅틱 효과를 테스트하여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재생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평가 댓글이나 평가 점수 등일 수 있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은 재생되지 않고,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만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추가로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시스템은,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하고,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는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와,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수신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수신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 대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는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때,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 및/또는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광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 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및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및 감정 표현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에서는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한 후 햅틱 효과를 테스트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재생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 데이터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평가 댓글이나 평가 점수 등일 수 있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은 재생되지 않고,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만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추가로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네트워크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위성 방송망 등 다양한 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을 반영하여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트 상에서 재생되는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매핑하여 저장한 후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변형, 편집, 개조 등에 따른 저작권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또는 유료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고,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와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함으로써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미디어를 감상하게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은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만에서 인코딩하도록 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파일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고,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시에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부합되도록 하는 동시에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와 결합된 새로운 햅틱 효과를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경험하게 하여 새롭고 신선한 재미와 느낌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시각, 청각 외에 촉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을 미디어에 통합시킨 새로운 파라다임의 미디어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동영상 컨텐츠 파일과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은,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와,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와, 무선전화 통신망 및/또는 유무선 인터넷 망과 같은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로부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 및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업로드되어 전송되고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와,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와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로 상기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에서 수행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00a) 또는 스마트폰(100b)일 수 있는데,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 등으로 수신되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한다.
이때,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100)에서는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크리에이터(creator)에 의한 창의적이고 다양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제공할 수 있다. 크리에이터는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감정 표현 등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성할 수 있고, 특히 재생되는 동영상을 볼 때 각자의 느낌 등을 반영한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는 햅틱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주용 자동차가 고속으로 질주하는 동영상이 재생될 때, 운전자가 느끼는 차량의 진동, 핸들의 진동 내지는 부하 등을 햅틱 효과 데이터로 생성하여 동영상과 함께 재생하여 감상하면 보다 생동감 넘치게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 햅틱 효과 생성 소프트웨어 제조 회사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00a)에서 생성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은 스마트폰(100b)으로 전송된 후 스마트폰(100b)에서 이를 실행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할 수 있고, 스마트폰(100b)에서 생성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은 바로 스마트폰(100b)에서 실행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100)에서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예를 들어, 유튜브의 경우 *.flv 형식의 동영상 컨텐츠 파일)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과 함께 메모리(미도시)에 등록·저장한다. 이때, 등록·저장된 동영상 컨텐츠 URL의 관리의 편리를 위해 각 URL 별로 동영상 컨텐츠 ID를 부여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URL을 통해 접근가능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온라인 네트워크(200)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는 예를 들어, 유튜브, 아프리카 TV, 네이버 TV, 다음 TV, 판도라 TV 등의 서버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은 URL을 통해 접근가능하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하는 다양한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로부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과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전송받고,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인코딩하여 바이너리 형식의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예를 들어 .tsb로 변환한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변환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 및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 서버(32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340)에 소스 파일(.tsc), 실행 파일(.tsb),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데이터, 매핑 관계 테이블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 등록 및 관리한다.
또한,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크리에이터와 클라이언트의 회원가입 절차(회원 ID 발급 등)를 진행하고, 회원 ID, 패스워드 등의 크리에이터 및 클라이언트의 회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그 밖에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 등에 관한 정보,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 등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광고 수익 분배와 관련한 정보 등을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네트워크(200)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선택하여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 대해 상기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는 앱 스토어에서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실행하면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상에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대표적인 컷들로 구성된 메뉴에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의 선택과 이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의 요청에 응답하여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선택된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직접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하거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서버(320)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한다.
그 결과,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클라이언트에 의해 선택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과 매핑되는 것으로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상기 선택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온라인 네트워크(200)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로부터의 햅틱 효과와 이와 매핑된 URL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햅틱 효과와 함께 보다 생동감 있고 박진감 있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200)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어떠한 변형, 편집, 개조 등을 하지 않으면서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매핑된 별개의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이에 대응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별개의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와 관련한 저작권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동기화시켜 함께 재생하는 경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 및/또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의 광고를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 상에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동시에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의 저작권 정책 및 광고 정책에 위반되지 않고 부합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 및/또는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의 광고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 사업자와의 동의 없이 노출되도록 할 경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생성의 기초가 된 동영상 컨텐츠의 2차적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 문제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의 광고 수입 이의 제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와 햅틱 효과 데이터가 함께 재생될 때에만 광고를 노출시키면,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및 분배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써 햅틱 효과 데이터의 생성, 사용 및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을 동영상 제공 서비스 업체 및 크리에이터와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되지 않고,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만이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서 인코딩 과정을 거치지 않은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크리에이터에게는 전술한 광고 노출에 따른 광고 수익의 일정 비율의 배분 외에 다양한 햅틱 효과 서비스 이용자들의 크리에이터로서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햅틱 효과 UCC(User Created Contents) 컨테스트를 개최하여 햅틱 효과 서비스 가입자 증가를 유도할 수 있고 우수한 햅틱 효과 데이터 소스 파일의 업로드를 유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온라인 네트워크(200)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에 제공하는 방법을 하나의 예시로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100),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00a) 또는 스마트폰(100b)에서는 온라인 네트워크(200)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예를 들어, 유튜브 서버)의 동영상 컨텐츠 URL을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 파일(예를 들어, *.flv 파일 형식)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한 후(S200), 상기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하고 이를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 형식으로 저장한다(S210). 그리고,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500)에서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생성할 때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함께 메모리(미도시)에 등록·저장한다(S220).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가 스마트폰(100b)인 경우(S230 단계에서 "YES"인 경우), 햅틱 효과 테스트를 스마트폰(100b)에서 바로 실행하고(S232), 상기 단말장치(100)가 퍼스널 컴퓨터(100a)인 경우(S23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스마트폰(100b)으로 전송하여 햅틱 효과를 테스트한다(S234).
S232 단계 및 S234 단계에서 테스트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다시 S210 단계로 복귀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생성 과정을 반복하고, 테스트 결과가 만족스러우면 S240 단계로 진행한다.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100)에서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과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전송하고(S240),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 등을 전송하는 단말장치(100)의 크리에이터가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50).
만약, 회원인 경우(S250 단계에서 "YES"인 경우)에는 회원 인증 절차를 거쳐 바로 S270 단계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S25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크리에이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 후(S260), S270 단계로 진행한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서는 전송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인코딩하여 바이너리 형식의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로 변환한다(S270). 그리고 나서,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 및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tsc)을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다(S280).
다음으로, S280 단계가 완료되면 도 3의 S300 단계 이후의 절차로 이행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이중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선택한다(S300). 그리고 나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를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 요청한다(S310). 서비스 요청 내용은 선택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과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가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하는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는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말장치(500)의 클라이언트가 회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20).
만약, 회원인 경우(S320 단계에서 "YES"인 경우)에는 회원 인증 절차를 거쳐 바로 S340 단계로 진행하고, 회원이 아닌 경우(S320 단계에서 "NO"인 경우)에는 회원 가입 절차를 진행한 후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클라이언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한 후(S330), S340 단계로 진행한다. 참고로, S320 단계와 S330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의 요청에 따라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한다(S340).
그런 다음,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에서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과 매핑되는 것으로 데이터 베이스(340)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로 전송한다(S350). 이때,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600)로부터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한다(S352).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 파일(.flv)을 동기화시켜 재생한다(S360). 즉,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는 동영상과 햅틱 효과가 동기화되어 재생됨으로써 생동감 있고 박진감 넘치는 동영상 감상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과 동영상 컨텐츠 파일(.flv)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이 도시되어 설명되고 있다.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는 햅틱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진동 소자와 이를 제어하는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가 구비된다. 진동 소자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고,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 스마트폰 제조회사가 제공하는 것,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 제조 회사로부터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제공되는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에서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를 온(ON)으로 실행시키면, 동영상 컨텐츠 파일(.flv)과 이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면서 판독하고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디코딩한다. 그리고 상기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는 디코딩된 햅틱 효과 데이터에 따라 재생되는 햅틱 효과와, 재생되는 동영상을 동기화한다. 즉, 상기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는 선택된 특정 URL의 동영상 컨텐츠와 이러한 URL과 매핑되는 햅틱 효과 패턴을 동기화시켜 함께 재생한다. 이때 사용자는 느낌에 따라 햅틱 효과 패턴의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500)의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재생된 햅틱 효과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피드백 데이터는 사용자 재생 관련 정보, 햅틱 효과에 대한 평가 댓글이나 평가 점수일 수 있고,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와 결합된 새로운 햅틱 효과를 단말 장치 사용자에게 경험하게 하여 새롭고 신선한 재미와 느낌을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시각, 청각 외에 촉각이라는 새로운 감각을 미디어에 통합시킨 새로운 파라다임의 미디어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시스템(1000')이 도시되어 있는데, 햅틱 스트리밍 서버(400)가 추가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0)과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햅틱 스트리밍 서버(400)는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와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를 중개하는 서버로서,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기능,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전송하는 기능,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tsb)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하는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스트리밍 서버(400)가 제공하는 햅틱 효과 재생 소프트웨어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500)에 설치하면 사용자는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로의 POC(Point Of Contact)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인터페이스 제공으로 재생을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손쉽게 선택하고 전송받을 수 있으며, 햅틱 효과 데이터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햅틱 스트리밍 서버(400)는 다국어 지원을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000')을 글로벌 플랫폼(Global Platform)으로서 구축할 수 있게 하고,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별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 햅틱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 예를 들어 댓글들을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도록 관리 및 제어하거나, 이들을 직접 저장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및 상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및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수정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 200: 온라인 네트워크
300: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 320: 데이터 베이스 관리 서버
340: 데이터 베이스 400: 햅틱 스트리밍 서버
500: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 600: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

Claims (12)

  1.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에서,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함께 상기 단말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는 수신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수신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매핑하여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e)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 대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와,
    (f)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g)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h)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g) 단계 및 상기 (h) 단계를 동기화시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때,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 또는 이들 서버 모두로부터의 광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및 분배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및 감정 표현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재생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로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재생 시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평가 댓글 및 평가 점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온라인 네트워크 상의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분리하여 생성하고,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할 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는 크리에이터(creator)의 단말장치와,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수신된 햅틱 효과 데이터의 소스 파일을 인코딩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과 수신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 대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대응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에 매핑되는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된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URL을 통해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 및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동기화시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하는 동시에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을 스트리밍 방식으로 수신하여 재생할 때,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 상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서버, 또는 이들 서버 모두로부터의 광고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및 재생 시간에 따른 광고 비용의 과금 및 분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에이터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사물 및 인물의 움직임, 스피드, 흔들림, 액션 강도 및 감정 표현에 기초하여 햅틱 효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 함께 재생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데이터로서,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 실행 파일의 재생 회수, 재생 시간, 상기 햅틱 효과 데이터에 대한 평가 댓글 및 평가 점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햅틱 효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40092539A 2014-07-22 2014-07-22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3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39A KR101633676B1 (ko) 2014-07-22 2014-07-22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539A KR101633676B1 (ko) 2014-07-22 2014-07-22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45A true KR20160011745A (ko) 2016-02-02
KR101633676B1 KR101633676B1 (ko) 2016-06-27

Family

ID=5535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539A KR101633676B1 (ko) 2014-07-22 2014-07-22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18A1 (ko) * 2016-10-18 2018-04-26 스노우 주식회사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20235749A1 (ko) * 2019-05-17 2020-11-26 전자부품연구원 실시간 몰입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의 햅틱 효과 전송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926A (ko) * 2007-02-12 2008-10-30 김성범 사용자제작컨텐츠의 실시간 평가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및실시간 수익배분 온라인 프로슈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100121051A (ko) 2009-05-08 201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2431A (ko) * 2009-11-11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협업을 통한 실감 방송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실감 방송 시스템
KR20110062644A (ko) 2009-12-03 2011-06-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햅틱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
KR101121785B1 (ko) 2011-10-05 2012-03-0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소리 음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JP5211066B2 (ja) * 2006-12-11 2013-06-12 ソー カン,ミン プレイされている動画内容連動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337229B1 (ko) * 2009-08-31 2013-12-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통화 시 사용자의 감정상태 제공 시스템, 햅틱서버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11066B2 (ja) * 2006-12-11 2013-06-12 ソー カン,ミン プレイされている動画内容連動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80095926A (ko) * 2007-02-12 2008-10-30 김성범 사용자제작컨텐츠의 실시간 평가를 이용한 온라인 광고 및실시간 수익배분 온라인 프로슈머 마케팅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100121051A (ko) 2009-05-08 2010-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337229B1 (ko) * 2009-08-31 2013-12-0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통화 시 사용자의 감정상태 제공 시스템, 햅틱서버 및 방법
KR20110052431A (ko) * 2009-11-11 2011-05-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협업을 통한 실감 방송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실감 방송 시스템
KR20110062644A (ko) 2009-12-03 2011-06-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햅틱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
KR101121785B1 (ko) 2011-10-05 2012-03-09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소리 음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햅틱 효과를 생성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4618A1 (ko) * 2016-10-18 2018-04-26 스노우 주식회사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20149A (ko) * 2016-10-18 2019-02-27 스노우 주식회사 영상을 위한 효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2019537397A (ja) * 2016-10-18 2019-12-19 スノー コーポレーション 映像のための効果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984568B2 (en) 2016-10-18 2021-04-20 Snow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haring image effects
WO2020235749A1 (ko) * 2019-05-17 2020-11-26 전자부품연구원 실시간 몰입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의 햅틱 효과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76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1956B2 (en) System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composing and directing participant experiences
CN102244812A (zh) 视频内容推荐
JP2009193344A (ja) 複合コンテンツ情報作成システム、複合コンテンツ情報作成方法、端末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08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time-sensitive, event-relevant interactive digital content to a user during a separate event being experienced by the user
JP2014082582A (ja) 視聴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視聴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
US20240048785A1 (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distributing, and interacting with layered media
US20220254114A1 (en) Shared mixed reality and platform-agnostic format
JPWO2005117438A1 (ja) ストリーミング映像配信システム
KR101633676B1 (ko)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i et al. Introduction to multimedia
JP2013246384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JP2018156284A (ja) コンテンツ視聴管理システム
KR20200133127A (ko) 실시간 몰입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의 햅틱 효과 전송 방법
KR101644405B1 (ko) Sns 앱 기반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에서 햅틱 효과를 갖는 이모티콘을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8124188B (zh) 一种影音系统运行方法
KR101575677B1 (ko)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햅틱 효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장치에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ppler et al. Improving user engag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of elderly people through a TV and tablet-based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platform
KR20100125996A (ko) 동영상 정보에 구간별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901112B1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유니코드의 전송을 통해 햅틱 효과를 갖는 이모지를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75676B1 (ko)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화자 간 메시지에 햅틱 효과를 부여하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Grandinetti Streaming Locality: Mobile Streaming and the Production of Space and Subjectivity
Zaiets Factors influencing the mass adoption of VR video platforms
KR20130082732A (ko)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JP702730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0977288B1 (ko) 웹을 기반으로 한 객체 기반 ucc 커스터마이징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