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411A -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411A
KR20160011411A KR1020140092453A KR20140092453A KR20160011411A KR 20160011411 A KR20160011411 A KR 20160011411A KR 1020140092453 A KR1020140092453 A KR 1020140092453A KR 20140092453 A KR20140092453 A KR 20140092453A KR 20160011411 A KR20160011411 A KR 2016001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ghting
water
suppl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택
김민승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1411A/ko
Publication of KR2016001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구역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소방배관; 및 상기 소방배관에 상기 구역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를 포함하도록 한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은 화재 케이스를 드릴 플로어(drill floor)와 헬리 데크(heli-deck) 등과 같은 구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구역 각각에서 요구되는 소방수의 유량 및 압력에 맞도록 소방펌프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증가된 소방수 유량, 예컨대 기존 대비 2배의 소방수 유량을 해당 구역으로 각각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개선된 소방 룰에 대한 사항을 만족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방펌프에 대한 전력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소방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Fire-fighting system of vessel and method for supplying fire water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재 케이스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구역 각각에서 요구되는 소방수의 유량 및 압력에 맞도록 소방펌프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해난 사고 시에 인명의 안전을 위한 구명설비, 화재 발생 시에 소방을 위한 소방설비, 기타 방재설비 등이 구비된다. 소방설비로는 열식 또는 연식 화재탐지장치, 소방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오프쇼어 선박(offshore vessel)과 같은 정지 선박에는 해수를 이용하여 소화하는 해수 소방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해수 소방 시스템은 시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를 메인소방펌프가 펌핑하여, 메인소방파이프라인(main fire pipe line)을 통해 이송하고, 메인소방파이프라인의 단부는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소화유닛(미도시)이 설치되며, 이에 메인소방파이프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해수가 소화유닛을 통해 분사되어 소화작용을 한다.
종래의 일 예에 따른 선박용 소방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22380호의 선박용 해수 소방시스템이 있다. 이는 오프쇼어 선박(offshore vessel)에 이용되는 선박용 해수 소방시스템으로, 화재시에 시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를 펌핑하는 메인 소방펌프; 상기 메인 소방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해수가 이송되는 메인 소방파이프라인; 평상시에 상기 메인 소방파이프라인에 담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 소방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담수를 이용하는 유틸리티 시스템; 상기 유틸리티 시스템과 상기 메인 소방파이프라인을 연결하는 압력유지배관; 및 상기 메인 소방파이프라인의 단부에 설치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인 소방파이프라인의 부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며, 그 설비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선박용 소방 시스템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8973호의 선박용 소화 시스템이 있다. 이는 소방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1차 진화에 사용하며, 1차 진화 실패 시, 메인 소방펌프를 작동시켜 해수를 2차 진화에 사용되도록 하되, 메인 소방펌프의 작동 불능 시, 서브 소방펌프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소방탱크에 저장된 청수를 1차 화재 진압에 사용하며, 1차 화재 진압실패 시 메인 소방펌프를 작동시켜 해수를 2차 화재에 사용되도록 하되, 메인 소방펌프의 작동 불능 시, 서브 소방펌프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선박의 소방 시스템들은 2013년 1월 기준으로 클래스 룰(class rule)의 변경으로 인해,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하는데, 예를 들면 드릴 플로어(drill floor)에 요구되는 소방수(fire water)의 유량이 10.2ℓ/㎡/MIN에서 20.4ℓ/㎡/MIN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러한 소화수 유량의 2배 증가로 인해, 기존 드릴쉽(drillship)의 소방펌프(fire pum)가 300%로 설계되어 왔으나, 현재 조건으로는 150%만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펌프를 기존 호선과 동일한 컨셉(300%)으로 진행할 경우, 소방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스타트(softstart)가 없게 된다.
이러한 종래 선박의 소방 시스템은 300% 설계로 인해, 오버 사이징(over sizing)이 되고, 변경된 클래스 룰(class rule) 적용시, 150%로 사이즈가 줄어듬에 따라 주문주의 우려가 커지고, 각 소방펌프가 각기 다른 구역에 위치하고 있어, 100% 유량을 공급하기 위해서 소방펌프 2기가 동시에 구동되어야 하므로, 타임 릴레이(time delay)와 오동작 및 고장의 우려가 있고, 긴급 소방펌프(emergency fire pump)로 지정된 소방펌프는 드릴 플로어 화재시, 소방수 용량을 50% 밖에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방펌프를 50% 용량으로 4개로 구성하여 200%로 설계할 경우, 소방펌프의 구동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 선박의 소방 시스템들은 2013년 1월 기준으로 클래스 룰(class rule)의 변경으로 인해,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많은 개선을 필요로 하는데, 예를 들면 드릴 플로어(drill floor)에 요구되는 소방수(fire water)의 유량이 10.2ℓ/㎡/MIN에서 20.4ℓ/㎡/MIN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러한 소화수 유량의 2배 증가로 인해, 기존 드릴쉽(drillship)의 소방펌프(fire pum)가 300%로 설계되어 왔으나, 현재 조건으로는 150%만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방펌프를 기존 호선과 동일한 컨셉(300%)으로 진행할 경우, 소방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공급장비인 소프트스타트(softstart)의 용량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이러한 종래 선박의 소방 시스템은 300% 설계로 인해, 오버 사이징(over sizing)이 되고, 변경된 클래스 룰(class rule) 적용시, 150%로 사이즈가 줄어듬에 따라 주문주의 우려가 커지고, 각 소방펌프가 각기 다른 구역에 위치하고 있어, 100% 유량을 공급하기 위해서 소방펌프 2기가 동시에 구동되어야 하므로, 타임 릴레이(time delay)와 오동작 및 고장의 우려가 있고, 긴급 소방펌프(emergency fire pump)로 지정된 소방펌프는 드릴 플로어 화재시, 소방수 용량을 50% 밖에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방펌프를 50% 용량으로 4개로 구성하여 200%로 설계할 경우, 소방펌프의 구동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케이스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구역 각각에서 요구되는 소방수의 유량 및 압력에 맞도록 소방펌프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증가된 소방수 유량을 해당 구역으로 각각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개선된 소방 룰에 대한 사항을 만족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방펌프에 대한 전력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소방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구역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소방배관; 및 상기 소방배관에 상기 구역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소방배관은, 드릴 플로어와 헬리 데크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드릴 플로어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 및 상기 헬리 데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2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배관은, 시체스트 각각으로부터 해수를 소방수로서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에 상기 소방펌프가 설치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 각각이 연결되는 메인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구역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공급배관에 다수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 각각에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를 가지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는 다수의 소방펌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구역 중에서 화재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 해당하는 소방펌프의 구동에 의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수 공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수의 소방펌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구역이 드릴 플로어와 헬리 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케이스를 드릴 플로어(drill floor)와 헬리 데크(heli-deck) 등과 같은 구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구역 각각에서 요구되는 소방수의 유량 및 압력에 맞도록 소방펌프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증가된 소방수 유량, 예컨대 기존 대비 2배의 소방수 유량을 해당 구역으로 각각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개선된 소방 룰에 대한 사항을 만족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방펌프에 대한 전력공급이 원활하도록 하여 소방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서 드릴 플로어 화재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서 헬리 데크 화재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100)은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1,2) 각각에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121,122)를 가지는데, 소방펌프(121,122)의 설치 및 소방수의 공급을 위해 소방배관(11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100)은 일례로 드릴쉽(drillship)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드릴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방을 위한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선박에 설치될 수 있는데, 선박에는 해양 구조물, 해양 플랜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방배관(110)은 다수의 구역(1,2)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예컨대 구역(1,2)으로서 드릴 플로어(drill floor; 1)와 헬리 데크(heli-deck; 2)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소방배관(110)은 각 구역(1,2)의 끝단에 단일 또는 다수의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소화유닛(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소방배관(110)은 시체스트(sea chest; 3) 각각으로부터 해수를 소방수로서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에 소방펌프(121,122)가 다수로 설치되는 공급배관(111)과, 공급배관(111) 각각이 연결되는 메인배관(112)과, 메인배관(112)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구역(1,2)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배관(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분기배관(113) 끝단에 스프링쿨러 등과 같은 소화유닛(미도시)이 단일 또는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시체스트(3)는 선체에서 선수와 선미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선체의 다양한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소방배관(110)에는 소방펌프(121,122)의 구동에 의해 공급되는 소방수를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 중 원하는 구역으로 공급하도록 소방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메인배관(112)이나 분기배관(113) 또는 이들의 연결부분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밸브는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 각각에 설치되는 열식 또는 연식의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화재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여, 소방수가 화재가 발생한 드릴 플로어(1) 또는 헬리 데크(2) 측으로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동작하거나,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소방수가 원하는 구역(1,2)으로 공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펌프(121,122)는 소방배관(110)에 구역(1,2)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구역(1,2)이 각각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로 이루어짐을 나타냄으로써 2개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구역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방펌프(121,122)는 예컨대 드릴 플로어(1)에 필요한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121)와, 헬리 데크(2)에 필요한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2 펌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펌프(121,122)는 소방배관(110) 중에서 공급배관(111)에 다수가 병렬로 설치될 수 있다.
소방펌프(121,122)는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 각각에 설치되는 열식이나 연식의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화재의 감지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여, 화재가 발생한 드릴 플로어(1) 또는 헬리 데크(2) 측에 각각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동작하거나, 조작부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해 각각 소방수가 원하는 구역(1,2)으로 공급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드릴 플로어(1) 또는 헬리 데크(2) 각각에 화재시, 이들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121) 또는 제 2 펌프(122) 각각이 다수,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2개씩 구성될 경우, 소방배관(120)을 통해서 화재가 발생한 구역(1,2)에 해당하는 제 1 또는 제 2 펌프(121,122) 각각의 다수개가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구역(1,2)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수 공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수 공급 방법은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1,2)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는 다수의 소방펌프(121,122)를 준비하는 단계(S11)와, 상기한 구역(1,2) 중에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 해당하는 소방펌프(121,122)의 구동에 의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소방펌프를 준비하는 단계(S11)는 시체스트(sea chest; 3)로부터 해수를 소방수로서 다수의 구역(1,2) 각각으로 공급하기 위한 소방배관(110)에 소방펌프(121,122)를 설치할 수 있는데, 소방배관(110) 및 소방펌프(121,122)는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10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다수의 구역(1,2)은 예컨대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를 포함할 수 있다.
소방펌프(121,122)의 구동에 의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단계(S12)는 각 구역(1,2)에 해당하는 소방펌프(121,122)의 구동에 의해 화재 진압에 필요한 소방수가 공급되도록 하는데, 예컨대 도 2에서와 같이 드릴 플로어(1)에 화재가 발생시, 이에 대한 화재의 진압에 필요한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121)의 구동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드릴 플로어(1)에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고, 도 3에서와 같이 헬리 데크(2)에 화재가 발생시, 이에 대한 화재의 진압에 필요한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2 펌프(122)의 구동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헬리 데크(2)에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소방펌프(121,122)는 각 구역(1,2)에 설치된 화재 감지 센서의 동작에 의해 화재가 발생한 구역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소방펌프(121,122)가 작동하도록 하거나, 작업자에 의한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원하는 구역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소방펌프(121,122)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드릴 플로어(1) 또는 헬리 데크(2) 각각에 화재시, 이들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121) 또는 제 2 펌프(122) 각각이 다수,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2개씩 구성될 경우, 소방배관(120)을 통해서 화재가 발생한 구역(1,2)에 해당하는 제 1 또는 제 2 펌프(121,122) 각각의 다수개가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구역(1,2)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클래스 룰(class rule)의 변경이나, 소방에 대한 안전성을 위하여, 기존 대비 소방수 유량을 증가, 예컨대 2배로 해당 구역(1,2)으로 각각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예컨대 기존 드릴쉽(drill ship)과 동일하게 300%로 적용할 경우 1,200㎥/h의 13barg(bar gauge)의 소방펌프가 요구되나, 전기공급장비인 소프트스타터(softstarter)의 용량 한계로 이를 만족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드릴 플로워(1)의 화재 케이스와 헬리 데크(2)의 화재 케이스 등과 같이, 화재 케이스를 분리하여, 해당 화재 케이스에 해당하는 유량 및 압력의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소방펌프(121,122)를 각각 배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례로 드릴 플로어(1)에 대한 제 1 펌프(121)를 1,200㎥/h의 8barg로 하여 2개로 배치함으로써, 드릴 플로어(1)에 대한 기존 대비 소방수 유량의 200% 설계를 가능하도록 하고, 드릴 플로어(1)의 제 1 펌프(121) 당 290kW의 전력공급을 필요로 하게 되고, 헬리 데크(2)에 대한 제 2 펌프(122)를 250㎥/h의 13barg로 하여 2개로 배치함으로써 헬리 데크(2)에 대한 기존 대비 소방수 유량의 200% 설계를 가능하도록 하고, 헬리 데크(2)의 제 2 펌프(122) 당 약 90kW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재 케이스를 드릴 플로어(1)와 헬리 데크(2) 등과 같은 구역별로 구분하여, 해당 구역(1,2) 각각에서 요구되는 소방수의 유량 및 압력에 맞도록 소방펌프(121,122)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기존 대비 증가된 소방수 유량, 예컨대 기존 대비 2배의 소방수 유량을 해당 구역(1,2)으로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소방펌프(1,2)의 구동에 있어서도 100% 용량을 가지고 있는 소방펌프(1,2)로 구동하기 때문에 빠른 유량을 해당 구역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개선된 소방 룰에 대한 사항을 만족시키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방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드릴 플로어 2 : 헬리 데크
3 : 시체스트 110 : 소방배관
111 : 공급배관 112 : 메인배관
113 : 분기배관 121,122 : 소방펌프

Claims (7)

  1.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구역으로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소방배관; 및
    상기 소방배관에 상기 구역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
    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은,
    드릴 플로어와 헬리 데크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드릴 플로어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1 펌프; 및
    상기 헬리 데크에 소방수를 공급하는 제 2 펌프;
    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은,
    시체스트 각각으로부터 해수를 소방수로서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고, 각각에 상기 소방펌프가 설치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 각각이 연결되는 메인배관; 및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다수로 분기되어 상기 구역 각각에 소방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분기배관;
    을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방펌프는,
    상기 공급배관에 다수가 병렬로 설치되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
  5. 선박의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 각각에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도록 다수로 설치되는 소방펌프를 가지는 선박의 소방 시스템.
  6. 선박에서 다수의 구역 마다 필요로 하는 유량과 압력의 소방수를 각각 공급하는 다수의 소방펌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구역 중에서 화재시, 화재가 발생된 구역에 해당하는 소방펌프의 구동에 의해 소방수를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수 공급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방펌프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구역이 드릴 플로어와 헬리 데크를 포함하는 선박의 소방수 공급 방법.
KR1020140092453A 2014-07-22 2014-07-22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KR20160011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53A KR20160011411A (ko) 2014-07-22 2014-07-22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53A KR20160011411A (ko) 2014-07-22 2014-07-22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11A true KR20160011411A (ko) 2016-02-01

Family

ID=5535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53A KR20160011411A (ko) 2014-07-22 2014-07-22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1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6650A (zh) * 2020-11-23 2021-03-0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Fpso的消防系统、调速装置及调速方法
KR20220144023A (ko) * 2021-04-16 2022-10-2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차량용 소방펌프 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6650A (zh) * 2020-11-23 2021-03-0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Fpso的消防系统、调速装置及调速方法
KR20220144023A (ko) * 2021-04-16 2022-10-26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방차량용 소방펌프 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380A (ko) 선박용 해수 소방시스템
AU2007215630B2 (en) Combined seawater and firewater system
KR20130128973A (ko) 선박용 소화 시스템
JP2017105449A (ja) 船舶平衡水の処理装置
KR20160011411A (ko)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RU268989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качки груза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открытом море
KR20160007942A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CN211885041U (zh) 纯电力动力推进船舶的水灭火系统
KR102251638B1 (ko) 선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635017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1824476B1 (ko) 소화장치
KR20130003259U (ko) 선박용 소화전 밸브의 소화호스 곡선형 연결장치
KR20130025736A (ko) 해양 구조물의 해수 소방라인의 가압시스템
CN103736227A (zh) 一种保压式消防系统
WO2019208550A1 (ja) 洋上浮体構造物
CN203710576U (zh) 一种保压式消防系统
KR101695886B1 (ko) 소화수 모니터가 구비된 시추선
KR200466639Y1 (ko) 선박용 소화수의 서지 방지 장치
KR20150001166U (ko) 소화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635014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CN108412819B (zh) 一种船舶液压系统
KR102175908B1 (ko) 소화방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50021300A (ko) 주소화설비실 및 이를 가지는 lng fpso
RU2015136938A (ru) Ледокольное судно с подруливающим устройством, выполненным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штатного насоса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аварийных судах
CN115430078B (zh) 一种邮轮主消防系统及邮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