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819A -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819A
KR20160010819A KR1020140091166A KR20140091166A KR20160010819A KR 20160010819 A KR20160010819 A KR 20160010819A KR 1020140091166 A KR1020140091166 A KR 1020140091166A KR 20140091166 A KR20140091166 A KR 20140091166A KR 20160010819 A KR20160010819 A KR 20160010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ariable
adjusting device
bone
tra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645B1 (ko
Inventor
임수빈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4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88Osteosynthesis instruments; Methods or mean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internal or ex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전방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뼈에 지지하여 기준을 잡아주는 기준견인부; 상기 기준견인부에 인접하여 가변한 후 뼈에 지지되는 가변견인부; 및 상기 기준견인부와 가변견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견인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APPARATUS FOR INSERTING RECONSTRUCTION FOR SURGERY OF CERVICAL DISC}
본 발명은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 경추의 수술에 사용되는 보형물 경추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과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위의 목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추, 즉 목뼈에 손상을 입은 환자는 여러가지 증상이 많이 나타나며, 주로 신경을 누르는 경우로 경추를 이루는 각 뼈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각 뼈가 신경을 압박하므로, 통증과 팔저림 등의 증상을 느끼며, 또한 거동을 마음대로 할 수 없는 마비증세가 수반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추 디스크 환자를 시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플레이트 판으로 고정하거나, 환자의 골반뼈를 떼어내어 경추를 이루는 각 뼈 사이에 삽입하여 경추를 이루는 각 뼈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경추의 디스크나 각 뼈들이 신경을 압박하지 않도록 하거나,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나 실린더형의 케이지라는 물체를 경추를 이루는 각 뼈들 사이에 삽입하여 그 각 뼈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케이지를 경추에 삽입할 때, 삽입 부위의 상하에 위치한 뼈에 구멍을 뚫는다. 그리고 구멍에 샤프트를 결합하고 뼈를 상하로 벌린 후 케이지를 삽입하였다. 케이지를 삽입한 후, 샤프트를 뼈에서 제거하였다.
따라서 케이지를 삽입하기 위하여 뼈에 구멍을 뚫으므로, 뼈에 손상을 주었으며, 샤프트가 제거된 뼈에서 출혈이 일어나 환자의 회복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지를 삽입할 때 과도한 힘이 소요되어, 삽입 부위의 상하에 위치한 뼈가 케이지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수술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수술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전방 경추 수술용 보형물을 개발하였으며, 그에 대한 특허출원을 본 출원과 동일자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전방 경추 수수용 보형물을 경추뼈 사이에 삽입하는 기구를 개발하였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955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술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수술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삽입공간과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위의 목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는, 뼈에 지지하여 기준을 잡아주는 기준견인부; 상기 기준견인부에 인접하여 가변한 후 뼈에 지지되는 가변견인부; 및 상기 기준견인부와 가변견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견인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견인부는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에 고정된 제 1헤드부; 제 1헤드부에 연결된 제 1고정대; 제 1힌지에 의해 상기 제 1고정대에 연결된 제 1연결대; 및 상기 제 1연결대에 연결되며 하단 일측에 제 1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견인부는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타단부에 가변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된 제 2헤드부; 제 2헤드부에 연결된 제 2고정대; 제 2힌지에 의해 상기 제 2고정대에 연결된 제 2연결대; 및 상기 제 2연결대에 연결되며 하단 일측에 제 2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대 및 상기 제 2지지대는 각각 한 쌍의 지지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랙; 상기 랙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사이의 폭은, 제 1 및 제 2 연결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에 인접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경추 수술용 보형물에 의하면, 수술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수술시간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형물의 삽입공간과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위의 목뼈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수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인 메쉬케이지를 이용하여 전방 경추 수술을 한 상태를 X선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인 메쉬케이지를 이용하여 전방 경추를 수술하는 것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의해 경추 뼈에 보형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 경추 수술용 보형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에 보형물을 삽입하는 동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는 크게, 뼈에 지지하여 기준을 잡아주는 기준견인부(10), 상기 기준견인부(10)에 인접하여 가변한 후 뼈에 지지되는 가변견인부(20), 및 상기 기준견인부(10)와 가변견인부(20)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견인부(20)를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장치(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리조절장치(30)는 랙(31), 피니언(32) 및 이동부재(33)로 구성되지만, 이는 설명의 편리를 위한 일 예일 뿐이며, 가변견인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라도 무관하다.
상기 기준견인부(10)는 상기 거리조절장치(30)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30)에 고정된 제 1헤드부(11), 제 1헤드부(11)에 연결된 제 1고정대(12), 제 1힌지(13)에 의해 상기 제 1고정대(12)에 연결된 제 1연결대(14), 및 상기 제 1연결대(14)에 연결된 제 1지지대(1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헤드부(11)는 상기 랙(31)에 고정설치되어 거리조절장치(30)의 동작 시에 기준점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고정대(12)는 상기 제 1헤드부(11)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 1힌지(13)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제 1힌지(13)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 1헤드부(11), 거리조절장치(30) 및 제 1고정대(1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 1연결대(14)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해 길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제 1힌지(13)에 의해 상기 제 1고정대(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연결대(14)의 하단에는 제 1지지대(15)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 1지지대(15)는 한 쌍의 지지대(151, 15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상기 제 1 지지대(15)가 한 쌍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은, 사각 형상 보형물(50)의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보형물(50)의 경사플랜지가 그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지지대(15)의 하단에는 제 1걸림턱(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걸림턱(16)은 하부경추뼈(43)의 일면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변견인부(20)는 상기 거리조절장치(30)의 타단부에 가변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30)의 이동부재(33)에 고정된 제 2헤드부(21), 제 2헤드부(21)에 연결된 제 2고정대(22), 제 2힌지(23)에 의해 상기 제 2고정대(22)에 연결된 제 2연결대(24), 및 상기 제 2연결대(24)에 연결된 제 2지지대(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헤드부(21)는 상기 이동부재(31)에 고정설치되어 거리조절장치(30)의 동작 시에 좌우로 이동하면서 전체 가변견인부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고정대(22)는 상기 제 2헤드부(21)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 2힌지(23)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제 2힌지(23)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에는 제 2헤드부(21), 거리조절장치(30) 및 제 2고정대(2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 2연결대(24)는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해 길게 연장된 것으로 상기 제 2힌지(23)에 의해 상기 제 2고정대(2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연결대(24)의 하단에는 제 2지지대(25)가 결합되는데, 상기 제 2지지대(25)는 한 쌍의 지지대(251, 252)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상기 제 2 지지대(25)가 한 쌍의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은, 사각 형상 보형물(50)의 가이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보형물(50)의 경사플랜지가 그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지지대(25)의 하단에는 제 2걸림턱(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걸림턱(26)은 상부경추뼈(41)의 일면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도 4 참조).
이때, 상기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25) 사이의 폭은 제 1 및 제 2 연결대(14,24)에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16,26)에 인접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형물(50)이 각각의 지지대 사이로 들어가서 어느 정도의 장력을 가지면서 조심스럽게 경추 뼈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25) 사이에 보형물(50)을 위치시키고 경추 뼈 사이로 진입시키게 되면, 보형물(50)의 가압에 에 따라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가 폭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가 지지되어 있던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의 상하 견인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뼈에 구멍을 뚫지 않고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의 상하 견인하므로, 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리조절장치(30)의 이동부재(33)는 상기 제 2헤드부(2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3)에는 피니언(3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3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랙(31)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부재(33)와 가변견인부(2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견인부(10)와 가변견인부(20)를 손상된 경추뼈 주위의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에 위치시키고, 피니언(32)을 회전시켜서 이동부재(33)와 제 2헤드부(2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배치시킨다.
그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어댑터(60)를 보형물(50)의 나사홀 및 위치고정홈에 결합시킨 후에, 상기 제 1 및 제 2헤드부(11, 12) 및 거리조절장치(30)를 제 1 및 제 2힌지(13, 23)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타격작업에 지장을 받지 않을 정도로 뒤로 젖힌다.
그리고, 수술용 망치와 같은 타격체(70)를 이용하여 상기 타격어댑터(60)를 타격하게 되면 보형물(50)은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25)를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 사이로 진입되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보형물(50)의 진입에 따라 상기 제 1지지대(15)와 제 2지지대(25)가 벌려지면서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가 견인되며, 상기 보형물(50)이 뼈의 손상부위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형물(5)이 제 1지지대(15) 및 제 2지지대(25)를 타고 슬라이딩 되어 진입되므로, 보형물(50)을 타격어댑터(60)로 많이 타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타격량이 감소하여 타격에 의해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형물(50)에는 경사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이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에 걸림으로써 더 이상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경추 신경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수술 자겁을 통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형물이 상부경추뼈(41)와 하부경추뼈(43) 사이에 볼트에 의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10: 기준견인부 11: 제 1헤드부
12: 제 1고정대 13: 제 1힌지
14: 제 1연결대 15: 제 1지지대
16: 제 1걸림턱 20: 가변견인부
21: 제 2헤드부 22: 제 2고정대
23: 제 2힌지 24: 제 2연결대
25: 제 2지지대 26: 제 2걸림턱
30: 거리조절장치 31: 랙
32: 피니언 33: 이동부재

Claims (6)

  1. 뼈에 지지하여 기준을 잡아주는 기준견인부;
    상기 기준견인부에 인접하여 가변한 후 뼈에 지지되는 가변견인부; 및
    상기 기준견인부와 가변견인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견인부를 좌우로 이동시켜 원하는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견인부는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에 고정된 제 1헤드부;
    제 1헤드부에 연결된 제 1고정대;
    제 1힌지에 의해 상기 제 1고정대에 연결된 제 1연결대; 및
    상기 제 1연결대에 연결되며 하단 일측에 제 1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제 1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견인부는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타단부에 가변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리조절장치의 이동부재에 고정된 제 2헤드부;
    제 2헤드부에 연결된 제 2고정대;
    제 2힌지에 의해 상기 제 2고정대에 연결된 제 2연결대; 및
    상기 제 2연결대에 연결되며 하단 일측에 제 2걸림턱이 일체로 형성된 제 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 및 상기 제 2지지대는 각각 한 쌍의 지지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5.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조절장치는,
    랙;
    상기 랙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지지대와 제 2지지대 사이의 폭은,
    제 1 및 제 2 연결대에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제 1 및 제 2 걸림턱에 인접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KR1020140091166A 2014-07-18 2014-07-18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KR10162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66A KR101627645B1 (ko) 2014-07-18 2014-07-18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66A KR101627645B1 (ko) 2014-07-18 2014-07-18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819A true KR20160010819A (ko) 2016-01-28
KR101627645B1 KR101627645B1 (ko) 2016-06-08

Family

ID=5530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166A KR101627645B1 (ko) 2014-07-18 2014-07-18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3495A (zh) * 2019-11-06 2021-05-11 台湾微创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椎体撑开植入物的操作工具及其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86A (ja) * 1993-07-02 1995-05-30 Wesley L Coker 外科用牽引子
KR100989558B1 (ko) 2008-08-18 2010-10-25 (주)태연메디칼 경추 간격 유지기 및 드라이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86A (ja) * 1993-07-02 1995-05-30 Wesley L Coker 外科用牽引子
KR100989558B1 (ko) 2008-08-18 2010-10-25 (주)태연메디칼 경추 간격 유지기 및 드라이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3495A (zh) * 2019-11-06 2021-05-11 台湾微创医疗器材股份有限公司 椎体撑开植入物的操作工具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45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3964B2 (ja) ロッド整復装置
EP2797529B1 (en) Laminoplasty implant and instrumentation
JP2009512520A (ja) 脊椎に前方最小侵襲アプローチすることにより脊椎すべり症を治療する方法及び器具
US9655654B2 (en) Spinal rod support structure with clamp
WO2009083583A1 (en) Percutaneous interspinous process spacer
JP2010508911A (ja) 脊椎への外科的アクセス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20070048712A (ko) 척추 원반 보철물 삽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1519673A (ja) 椎間インプラントを挿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そのための機器
US9289248B2 (en) Assembly with offset allowing vertebral distraction by axial rotation of a concentric member
US11350972B2 (en) Expandable spinal fixation system
JP7025207B2 (ja) 連接ロッド挿入体
US10136926B2 (en) Expandable spinal fixation system
US8048082B1 (en) Non-invasive femoral distractor for use in knee surgery
KR20150087238A (ko) 척추궁성형술 시스템
US20190008656A1 (en) Delivery systems for interspinous, interlaminar stabiliz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101627645B1 (ko)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AU200630424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vertebral augmentation
US11298119B2 (en) Spinal retractor and method of use therefor
KR20120075711A (ko)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RU221286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протеза межпозвонкового диска 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CN112807070A (zh) 椎板撑开装置
CN215534670U (zh) 一种便于更换的脊柱矫形用椎体撑开器械和辅助器械组件
CN215306601U (zh) 椎板撑开装置
RU254182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положений смещенных суставных отростков шейных позвонк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CN105997192A (zh) 一种脊柱胸腰椎后路手术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