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11A -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 Google Patents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11A
KR20120075711A KR1020100137500A KR20100137500A KR20120075711A KR 20120075711 A KR20120075711 A KR 20120075711A KR 1020100137500 A KR1020100137500 A KR 1020100137500A KR 20100137500 A KR20100137500 A KR 20100137500A KR 20120075711 A KR20120075711 A KR 2012007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der
spinal surgery
pin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최길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운 filed Critical 최길운
Priority to KR1020100137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711A/ko
Publication of KR2012007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1Discectom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를 최소화하고 시술의 효율성을 높혀 환자에게는 주는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척추 시술시 좁은 절개부위를 넓게 벌려서 충분한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도 로드 등의 인공보조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단, 환자의 디스크 상태에 따라 디스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 등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시술부위 절개시 꼭 필요한 만큼만 절개하여 절개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공보조물의 삽입 등과 같은 과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척추 시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등 결국 환자에게 주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빠른 회복과 재활을 보장할 수 있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Minimally operation system for spinal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척추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를 최소화하고 시술의 효율성을 높혀 환자에게는 주는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척추는 대략 24개 정도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관절마디로 연결되어 있고, 각 관절 사이는 디스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척추는 완충작용을 하면서 인간의 자세를 지탱해 줄 뿐만 아니라, 운동의 토대가 되며 내장의 모든 기관을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척추에 있어서 추체를 연결하고 있는 디스크가 변성되거나 파열되어 정상의 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척추 후방의 돌기로 구성된 관절이 손상되거나 변성된 경우, 척추가 정상의 위치로부터 변형 및 전위되는 등의 여러 이유로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압박하는 경우에는 통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척추가 외부의 인위적인 요인, 퇴행성, 또는 비정삭적인 자세가 오랫동안 지속됨에 따라, 척추가 손상되거나 틀어질 경우,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을 압박함으로써, 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는 개인생활에 필요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 되어 통증을 유발한다.
즉,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것은 디스크가 심하게 밀려나와 척추 관절공 사이로 나오는 신경선을 압박할 때이다.
척추 디스크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척추 디스크의 발생 원인 또한 다양하다.
이렇게 다양한 경우에 의해 발생되는 디스크 역시 그 형태도 다양할 수밖에 없고, 증상에 따라서 치유 방법 또한 다양하다.
한편, 최근에는 의술과 수술도구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특히 디스크의 병세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디스크의 양측에 배열된 척추 뼈와 척추 뼈에 나사못을 박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틀어진 척추 뼈와 척추 뼈의 위치를 바로잡는 수술도 하고 있다.
보통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가 그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활동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 되므로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손상된 척추부분이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분을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척추 지지용 인공보조물은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 나사못과,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척추 지지용 인공보조물의 시술은 각각의 척추경에 수직방향으로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 고정시키고,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분에 로드를 삽입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척추경 나사못과 로드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척추경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고, 결국 척추 전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척추 시술의 경우, 나사못이나 로드 등과 같은 인공보조물을 삽입하기 위한 시술기구의 취약성, 시술공간 확보의 곤란성 등으로 인해 대부분 시술부위를 상당부분 절개하거나, 시술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등 정확한 시술작업을 요구하는 척추시술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이러한 장애요인은 환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고, 또 회복하는데에도 많은 회복 및 재활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척추 시술시 좁은 절개부위를 넓게 벌려서 충분한 시술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 한정된 좁은 공간에서도 로드 등의 인공보조물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단, 환자의 디스크 상태에 따라 디스크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 등을 조합한 새로운 형태의 드라이버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시술부위 절개시 꼭 필요한 만큼만 절개하여 절개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공보조물의 삽입 등과 같은 과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척추 시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등 결국 환자에게 주는 부담을 줄일 수 있고, 환자의 빠른 회복과 재활을 보장할 수 있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은 최소한의 절개로 시술공간을 최대한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리트랙터, 로드의 삽입 및 장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로드 인서터, 좁은 공간에서도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느 어저스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리트랙터는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 내에 삽입되는 익스펜더 파이프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양쪽으로 벌려줌으로써 시술 공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중앙이 비어 있는 보디와, 상기 보디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단의 힌지부를 이용하여 하단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는 한쌍의 익스펜더 파이프와, 상기 보디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의 상단과 걸려지는 동시에 후단은 하기 조정볼트와 접촉되며 조정볼트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한쪽을 이용하여 익스펜더 파이프의 상단을 들어 올려주는 양쪽 2개의 조정링크와, 상기 보디의 상면으로 노출 배치되면서 각 조정링크에 하나씩 배속되며 조정링크의 후단과 접촉하면서 이 조정링크를 움직여주는 조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 인서터는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를 통해 로드를 삽입 및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손으로 눌러 좁히거나 액추에이터에 의해 복원되는 손잡이와 상하 젖힘가능한 레버를 가지는 인서터 본체와, 상기 인서터 본체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램프 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위아래에서 로드를 잡아주는 한쌍의 클램프와, 상기 레버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를 록킹 및 언록킹 상태로 동작시켜주는 수단 및 상기 손잡이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를 90°회전시켜주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저스터는 척추 시술시 척추에 체결되는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선단부에 한쌍의 인서트 핀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를 수 있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어저스트 보디와, 상기 어저스트 보디의 손잡이 부분 내측에 가로걸쳐 결합되며 압축시 압축을 유지하고 해제시킬 수 있는 락 장치와, 상기 어저스트 보디의 인서트 핀에 끼워지는 도구이며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외측을 걸어서 안쪽으로 가압하는 좁혀주는 좁힘용 홀더 및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내측을 걸어서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넓혀주는 넓힘용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절개부위를 안정적으로 넓게 확장할 수 있는 리트랙터를 사용함으로써, 최소한의 절개만으로도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로드나 척추경 나사못 등과 같은 인공보조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삽입 및 설치할 수 있는 로드 인서터를 사용함으로써, 시술시간을 최대한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환자의 상태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어저스터 및 홀더를 사용함으로써, 좁은 통로와 공간에서도 간섭없이 조절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 조절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척추 시술시 시술부위를 최소한의 크기로 절개할 수 있고, 척추경 나사못이나 로드 등의 삽입 및 설치 작업 뿐만 아니라 해체하는 작업 또한 짧은 시간에 안전하게 할 수 있으며, 결국 척추 시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환자의 수술과 치료 및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리트랙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리트랙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리트랙터의 ON/OFF 락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리트랙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어저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좁힘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넓힘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어저스터와 좁힘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어저스터와 넓힘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로드 인서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로드 인서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A" 부 확대 단면도
도 15a,15b는 도 13의 "B" 부 확대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로드 인서터의 클램핑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로드 인서터의 90°회전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a 내지 18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이용하여 척추를 시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은 절개부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리트랙터, 척추경 나사못을 연결하는 로드를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로드 인서터, 좁은 공간에서도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효과적으로 넓히거나 좁히기 위한 어저스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술방식은 리트랙터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양쪽으로 넓게 벌린 다음, 이렇게 확보한 공간을 통해 척추경 나사못을 설치하고, 계속해서 로드 인서터를 이용하여 로드를 절개부위 속으로 삽입한 후에 척추경 나사못을 연결하며, 최종적으로 어저스터를 이용하여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넓히거나 좁혀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시술부위를 꼭 필요한 만큼만 절개하여도 시술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또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나 로드의 연결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 또한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의 리트랙터를 보여준다.
상기 리트랙터(10)는 최소한의 길이로 절개한 시술부위를 넓게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몸체가 되는 보디(12)와, 실질적으로 절개부위를 벌려주는 부분인 익스펜더 파이프(11), 익스펜더 파이프(11)의 넓힘 조작을 위한 조정링크(14) 및 조정볼트(13) 등을 포함한다.
상기 보디(12)는 가운데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의 블록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운데의 비어 있는 부분을 이용하여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수용할 수 있고, 4곳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조정 블록(17)과 캡 블록(18)이 각각 한쌍씩 설치된다.
이때의 조정 블록(17)과 캡 블록(18)은 한쪽을 힌지구조로 하여 보디(12)로부터 개폐가능한 형태, 즉 열려지거나 닫혀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정 블록(17)과 캡 블록(18)의 개폐구조를 이용하여 익스펜더 파이프(11)를 보디(12)로부터 탈거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익스펜더 파이프(11)를 다른 규격으로 교체하는 경우, 조정 블록(17)과 캡 블록(18)을 바깥쪽으로 젖혀서 모두 열게 되면, 익스펜더 파이프(11)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보디(12)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또 새롭게 교체된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장착한 후에 조정 블록(17)과 캡 블록(18)을 모두 닫게 되면, 익스펜더 파이프(1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블록(18)에는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ON/OFF 블록(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ON/OFF 블록(20)은 캡 블록(18)상에서 슬라이드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옆으로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보디(12)측과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ON/OFF 블록(20)을 한쪽으로 밀거나 당기는 조작을 통해 캡 블록(18)을 보디(12)상에 잠금상태로 닫을 수 있고, 또 열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캡 블록(18)의 안쪽면에는 일렬로 나란한 2곳의 슬롯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 슬롯홈(19)에는 후술하는 익스펜더 파이프(11)가 가지는 파이프 힌지핀(54a,54b)이 끼워지게 되고, 좀더 구체적으로는 힌지핀(54a,54b)의 헤드부분이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익스펜더 파이프(11)의 확장시 힌지핀 헤드부분의 수평방향 움직임이 슬롯홈(19)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블록(17)의 경우에는 조정볼트(13)와 조정링크(14) 간의 결착관계에 의해 보디(12)상에 잠금상태로 닫을 수 있고, 또 열 수도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조정볼트(13)를 아래로 잠궈서 조정링크(14)와 걸림상태가 되게 하면 조정블록(17)은 닫힌 상태가 되고, 반대로 위로 풀어서 조정링크(14)와의 걸림을 해제한 상태에서는 조정 블록(17)을 바깥쪽으로 젖혀서 열 수 있다.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는 최소한의 길이로 좁게 절개한 부위를 넓게 벌려주는 수단으로서, 하나의 파이프를 길이방향을 따라 대칭형상으로 분리한 2개의 부재를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익스펜더 파이프(11)는 상단의 힌지부를 이용하여 보디(12)의 내측에 지지되면서 하단부를 벌리거나 좁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서로의 한쪽이 센터핀(15)에 의해 역 V자 형태로 결합되면서 이때의 센터핀(15)을 축으로 벌림 및 좁힘 가능한 한쌍의 링크(16)가 구비되고, 이러한 링크(16)의 각 다른 한쪽에 각 파이프 부재의 상단이 파이프 힌지핀(54a,54b)에 의해 결합되므로서, 익스펜더 파이프(11)는 링크(16)측의 파이프 힌지핀(54a,54b)을 축으로 회동되면서 그 하단부를 벌리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의 상단부 양쪽 측면에는 하향 홈부를 갖는 훅(55)이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훅(55)은 조정링크(14)에 있는 선단의 걸림핀(56)이 걸려지는 부분이 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 힌지핀(54a),(54b)의 헤드부분은 보디(12)상의 캡 블록(18)에 있는 슬롯홈(19) 내에 끼워지게 되고, 또 상기 훅(55)과 걸림핀(56)이 서로 결속되므로서, 익스펜더 파이프(11)는 보디(12)의 내측에 수직자세로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익스펜더 파이프(11)는 다양한 규격, 예를 들면 다양한 길이를 갖는 것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고, 시술형태나 시술부위에 따라서 적절한 것을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의 벌림 및 좁힘 조작을 위한 수단으로서, 조정링크(14)와 조정볼트(13)가 제공된다.
상기 조정링크(14)는 보디(12)의 양쪽 2곳에 위치되고, 그 길이 중간부분을 관통하면서 보디(12)측에 결합되는 지지핀(57)에 의해 회동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조정링크(14)의 선단부는 걸림핀(56)으로 이루어지고, 이때의 걸림핀(56)이 익스펜더 파이프(11)에 있는 훅(55)과 걸림 접촉되므로서, 즉 걸림핀(56)이 훅(55)을 밑에서 위로 걸어주게 되므로서, 조정링크(14)의 회동시 상향 이동하는 걸림핀(56)에 의해 훅(55) 또한 함께 들려지게 되고, 결국 익스펜더 파이프(11)는 이때의 상단부 회전에 의해 그 하단부가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정볼트(13)는 양쪽의 조정링크(14)에 하나씩 배속되는 형태로 위치되고, 보디(12)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블록(17)에 수직 체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조정볼트(13)의 하단부는 조정링크(14)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정볼트(13)를 잠그거나 푸는 조작에 의한 그 위아래 움직임에 의해 조정링크(14)의 후단부가 아래로 밀리거나 또는 위로 올라갈 수 있게 되므로, 조정링크(14)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트랙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리트랙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시술부위를 최소한의 크기로 절개한 후,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좁힌 상태, 즉 2개의 파이프를 닫은 상태로 절개부위에 삽입한다.
이때, 리트랙터(10)의 보디(12)는 절개부위의 피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익스펜더 파이프(11)는 척추 부근까지 근접 삽입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를 닫은 상태로 삽입할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하면 되므로, 절개부위를 최대한 작게 절개할 수 있다.
다음, 초기 익스펜더 파이프(11)가 좁혀져 있는 상태에서 조정볼트(13)를 체결하여 아래쪽으로 내리게 되면, 조정볼트(13)의 하단부에 의해 조정링크(14)의 후단부가 아래로 밀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조정링크(14)는 지지핀(57)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그 선단부의 걸림핀(56)을 통해 익스펜더 파이프(11)의 훅(55)을 위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익스펜더 파이프(11)의 분리된 2개의 파이프 부재는 링크(16)와 연동되면서 각각의 파이프 힌지핀(54a,54b)을 축으로 회전되고, 결국 익스펜더 파이프(11)는 하단부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절개부위를 넓게 확장시키게 되며, 따라서 시술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어저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좁힘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넓힘용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척추에 고정되는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드라이버를 보여준다.
보통 척추 시술시 척추경 나사못은 디스크의 간격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는데, 시술시 척추경 나사못의 삽입 상태나 환자의 디스크 상태에 따라 디스크 간격을 좁히거나 넓게 조정하여 고정시켜야 한다.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잡고 시술부위 바깥쪽에서 조작하는 수단인 어저스트 보디(37)와, 척추경 나사못에 취부된 상태로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좁혀주는 좁힘용 홀더(39) 및 넓혀주는 넓힘용 홀더(40)가 마련된다.
상기 어저스트 보디(37)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를 수 있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드라이버로서, 선단부에는 홀더측에 걸 수 있는 한짱의 인서트 핀(36)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핀(36)은 홀더측과의 연결을 위한 부품으로서, 드라이버를 벌리거나 오므릴 때, 걸림이 없게 하기 위하여 삽입 부분은 원형 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각 인서트 핀(36)은 힌지로 장착되어 있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인서트 핀(36)의 삽입측 단부는 보디측에 내장되어 있는 프레스 볼 플런저(61)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홀더측과의 연결시 핀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어저스트 보디(37)에는 압축시의 압축을 유지하고, 또 원상태로 복원을 위해 해제시킬 수 있는 락 장치(38)가 구비되며, 이러한 락 장치(38)는 어저스트 보디(37)가 갖는 양쪽 손잡이 부분의 내측에 가로 걸쳐지면서 양단 핀구조로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락 장치(38)는 어저스트 보디(37)의 손잡이 부분을 잡고 누르게 되면, "딱", "딱" 소리를 내면서 좁혀짐과 아울러 이때의 좁혀진 상태를 계속 유지시켜주고, 또 후술하는 누름판(46)을 누르게 되면, 락킹이 해제되면서 스프링 힘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벌어지도록 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락 장치(38)는 서로 한쪽 방향으로는 진행이 가능하지만 반대쪽 방향으로는 진행을 구속하는, 즉 일방향 진행을 단속하는 걸림형태의 랙 기어(41)와 래치(44)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저스트 보디(37)의 한쪽 손잡이 부분 안쪽에는 랙 기어(41)가 핀 구조로 연결되고, 다른 한쪽 손잡이 부분 안쪽에는 랙 하우징(42)이 역시 핀 구조로 연결되며, 상기 랙 하우징(42)의 내부에는 반대쪽에서, 즉 랙 기어(41)의 진행방향을 저지하는 쪽에서 랙 기어(41)의 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랙 스프링(43)이 설치된다.
이때의 랙 기어(41)는 한쪽이 랙 하우징(42)의 내부로 일부 삽입된 상태로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 하우징(42)의 단부, 즉 랙 기어(41)의 단부가 끼워지는 쪽의 단부에는 래치 커버(60)가 결합되고, 이 래치 커버(60)의 내부에는 랙 기어(41)의 치(齒)에 맞물리는 래치(44) 및 이 래치(44)를 항상 하방향으로 눌러주는 래치 스프링(45)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래치 커버(6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래치(44)의 상단부에는 랙 기어(41)와 래치(44) 간의 물림을 강제로 해제할 수 있는 누름판(46)이 결합되며, 이때의 누름판(46)을 눌러주게 되면 래치(44)를 상방향으로 끌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즉, 누름판(46)을 누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래치 스프링(45)의 힘에 의해 래치(44)는 항상 랙 기어(41)측에 물려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의 랙 기어(41)는 손잡이 부분을 좁히는 쪽으로 래치(44)를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좁힘용 홀더(39)와 넓힘용 홀더(40)는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 부분을 직접 건 상태에서 좁혀주거나 넓혀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드라이버이다.
즉, 상기 좁힘용 홀더(39)는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헤드 부분 외측을 걸어서 안쪽으로 가압하는 좁혀주는 드라이버이고, 상기 넓힘용 홀더(40)는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헤드 부분 내측을 걸어서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넓혀주는 드라이버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좁힘용 홀더(39)는 힌지핀(48a)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이 힌지핀(48a)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크로스 형태로 결합되는, 즉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우는 후단 부분과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 부분을 걸어주는 선단 부분이 힌지핀(48a)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서로 엇갈려 있는 몸체를 가지는 좁힘용 제1홀더 보디(49)와 좁힘용 제2홀더 보디(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좁힘용 홀더(39)는 각 후단에는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울 수 있는 핀 걸이홀(53a)이 형성되고, 각 선단에는 홈 부분을 서로 안쪽으로 마주보는 나사못 취부용 홈부(47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넓힘용 홀더(40)는 힌지핀(48b)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이 힌지핀(48b)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일자 형태로 결합되는, 즉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우는 후단 부분과 척추경 나사못의 헤드 부분을 걸어주는 선단 부분이 힌지핀(48b)을 기준으로 하여 일직선을 이루는 몸체를 가지는 넓힘용 제1홀더 보디(51) 및 넓힘용 제2홀더 보디(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넓힘용 홀더(40)의 각 후단에는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울 수 있는 핀 걸이홀(53b)이 형성되고, 각 선단에는 홈 부분이 서로 바깥쪽으로 등을 대고 있는 나사못 취부용 홈부(47b)가 형성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어저스터와 좁힘용 홀더 및 넓힘용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좁히는 경우, 먼저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좁힘용 홀더(39)의 홀더 보디에 있는 핀 걸이홀(53a)에 끼운 다음, 리트랙터(10)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통해 시술부위 내측으로 좁힘용 홀더(39)를 삽입한다.
다음, 이렇게 삽입한 좁힘용 홀더(39)의 양쪽 나사못 취부용 홈부(47a)를 척추에 있는 양쪽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 부분 바깥쪽에 건 다음, 이 상태에서 어저스트 보디(37)의 손잡이 부분을 누르면, 좁힘용 홀더(39)의 선단 부분이 좁혀지면서 양쪽 척추경 나사못을 안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어저스트 보디(37)의 조작시 락 장치(38)의 랙 기어(41)와 래치(44) 간의 물림구조를 이용하여 손잡이 부분을 누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때의 조작을 미세하게 또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넓히는 경우, 먼저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넓힘용 홀더(40)의 홀더 보디에 있는 핀 걸이홀(53b)에 끼운 다음, 리트랙터(10)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통해 시술부위 내측으로 넓힘용 홀더(40)를 삽입한다.
다음, 이렇게 삽입한 넓힘용 홀더(40)의 양쪽 나사못 취부용 홈부(47b)를 척추에 있는 양쪽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 부분 안쪽에 건 다음, 이 상태에서 어저스트 보디(37)의 손잡이 부분을 누르면, 넓힘용 홀더(40)의 선단 부분이 벌어지면서 양쪽 척추경 나사못을 바깥쪽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좁힘용 홀더(39) 및 넓힘용 홀더(40)는 좁은 시술부위에서도 사용하기에 용이한 형태로서, 전체적으로 좁고 길게 설계되어 있는 관계로 리트랙터(100)가 확보한 공간을 통해 손쉽게 진입할 수 있으며, 또 이러한 홀더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척추경 나사못의 간격을 조정한 후, 로드를 완전히 고정하기 위한 볼트 드라이버(미도시)를 삽입할 때, 홀더 사이로 간섭이 않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2 내지 14와 도 15a 및 15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에서 로드 인서터를 보여준다.
상기 로드 인서터(58)는 로드(110)를 삽입 설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손으로 눌러 좁히거나 액추에이터(21)에 의해 복원되는 손잡이(22), 상하 젖힘가능한 레버(23) 등을 가지는 인서터 본체(24)와, 위아래에서 로드를 잡아주기 위한 한쌍의 클램프(26)와, 상기 레버(23)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26)를 록킹 및 언록킹 상태로 동작시켜주는 수단 및 상기 손잡이(22)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26)를 90°회전시켜주는 수단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터 본체(24)는 길다란 바와 한쪽의 손잡이(22)를 갖는 마치 건(Gun) 모양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22)의 한짝은 인서터 본체(24)에 일체 결합된 고정구조로 되어 있고, 다른 한짝은 핀으로 결합된 가동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각은 스프링 등을 내장하여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액추에이터(21)를 사이에 두고 상호 지지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22)를 잡고 가동 손잡이를 당길 수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액추에이터(21)에 의해 손잡이(22)는 벌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동 손잡이의 상단부에는 피니언(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피니언(31)은 후술하는 제1로드(33)를 앞뒤로 가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26)는 로드를 잡아주고 놓아주는 부분으로서, 상하 배치되는 2개의 부재, 즉 상부 클램프(26a)와 하부 클램프(26b)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하부 클램프(26a,26b)의 사이에는 클램프 스프링(25)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위아래 상하부 클램프(26a,26b)는 클램프 스프링(25)에 의해 항상 일정간격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하부 클램프(26b)는 인서트 본체(24)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부 클램프(26a)는 인서트 본체(24)의 선단부분에 나란히 핀구조로 시이소 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핑용 로드(28)의 단부에 결합되며, 이러한 위아래 클램프 사이의 내측으로 클램프 스프링(25)이 설치되므로서, 시이소 운동하는 클램핑용 로드(28)에 의해 상부 클램프(26a)가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제자리에 있는 하부 클램프(26b)와 함께 로드를 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하부 클램프(26a,26b) 사이에는 가이드핀(미도시)을 개재하여 상부 클램프(26a)의 위아래 움직임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클램프(26)의 경우,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수평회전 구조의 특성을 이용하여 잡고 있던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90°자세를 전환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절개부위에 로드를 삽입할 때, 인서터 본체(24)와 일직선이 된 상태로 진입시킨 후, 위아래 척추경 나사못 사이에 연결할 때에는 90°자세를 바꿔 척추경 나사못 사이에 걸쳐지는 형태로 로드를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로드의 삽입 및 설치와 관련한 절개부위의 공간, 특히 진입시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클램프(26)의 상부 클램프(26a)와 하부 클램프(26b)는 각각의 위아래의 힌지축(59a,59b)를 매개로 하여 클램핑용 로드(28)와 인서터 본체(24)에 각각 회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제1로드(33) 내지 제3로드(35)의 연계적인 동작에 의해 상하부 클램프(26a,26b)는 힌지축(59a,59b)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클램프(26)의 록킹 및 언록킹을 위한 수단으로서, 클램핑용 로드(28) 및 푸시용 로드(27)와, 이 푸시용 로드(27)의 작동을 위한 레버(23)가 제공된다.
상기 푸시용 로드(27)는 인서터 본체(24)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고, 그 선단부는 클램핑용 로드(28)의 후단과 경사면을 통해 접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레버(23)는 인서터 본체(24)상에 핀구조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23)에는 원호 형상이 슬롯홀(29)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푸시용 로드(27)의 후단부에는 핀(30)이 핀 축(64)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고, 이때의 슬롯홀(29)과 핀(30)이 서로 결속되므로서, 레버(23)와 푸시용 로드(27)의 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푸시용 로드(27)의 후단부에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핀 (30)은 인서터 본체(24)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6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레버(23)에 있는 슬롯홀(29)에도 그 양단부가 끼워지게 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도 15a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23)를 아래로 젖히게 되면, 핀(30)은 슬롯홀(29)의 궤적을 따라 이동되면서 앞쪽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즉 슬롯홀(62)의 볼록구간의 정점(63)을 지나면서부터 볼록구간 접촉면과의 접촉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나게 되므로, 결국 도 15b와 같은 상태로 푸시용 로드(27)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의 핀(30)의 밀림은 레버(23)의 회전곡률과 슬롯홀(29)이 곡률이 다르기 때문에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3)를 아래쪽으로 젖혀 놓으면, 푸시용 로드(27)가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렇게 앞쪽으로 전진하는 푸시용 로드(27)의 경사진 단부가 클램핑용 로드(28)의 후단부 저면으로 들어가면서 이때의 로드 후단을 들어올려 주게 되므로, 로드 앞쪽에 있는 상부 클램프(26a)가 아래로 내려갈 수 있고, 결국 하부 클램프(26b)와 함께 로드를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레버(23)를 윗쪽으로 젖힌 상태에서는 푸시용 로드(27)의 단부가 클램핑용 로드(28)의 후단부 저면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므로, 로드 앞쪽의 상부 클램프(26a)는 클램프 스프링(25)의 힘에 의해 위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26)의 90°수평 회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제1로드(33), 제2로드(34) 및 제3로드(35)가 제공된다.
즉, 손잡이(22)의 조작시 각 로드가 연계적으로 동작되면서 클램프(26)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로드의 자세 또한 인서터 본체(24)에 대해 90°자세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로드(33), 제2로드(34) 및 제3로드(35)는 인서터 본체(24)의 내부에 뒷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일렬로 나란히 설치되고, 서로 간의 연접부위는 핀구조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1로드(32)에는 랙(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랙(32)은 손잡이(22)에 있는 피니언(31)과 치합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 조작시 랙/피니언 전동에 의해 제1로드(33)를 포함하는 제2로드(34) 및 제3로드(35) 전체가 앞뒤로 움직직이는 등의 연동구조를 보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로드(35)의 경우에는 제2로드(34)와의 핀연결부위가 편심되게 연결되어 있는 동시에 그 선단부도 클램프(26)의 옆쪽 치우친 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3로드(35)는 클램프(26)의 옆쪽을 편심되게 밀어줄 수 있고, 결국 이러한 제3로드(35)의 움직임에 의해 클램프(26)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22)를 당기면 랙(32)과 피니언(31) 간의 치합 전동에 의해 제1로드(33)가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고, 계속해서 이와 핀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제2로드(34) 또한 제3로드(35)를 밀게 되며, 최종적으로 편심되게 회동하면서 앞쪽으로 이동하는 제3로드(35)가 클램프(26)의 일측을 어느 한쪽 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결국 클램프(26)가 회전하면서 이 클램프(26)에 물려 있는 로드도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인서터 본체(24)와 90°로 젖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로드 인서터(58)의 전체적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초기 클램프(26)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클램프 내에 로드를 삽입한 후, 레버(23)를 아래로 젖히게 되면, 푸시용 로드(27)의 앞쪽 이동에 의해 클램핑용 로드(28)의 후단이 위로 들려지게 되고, 계속해서 이때의 클램핑용 로드(28)의 작동에 의해 상부 클램프(26a)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하부 클램프(26b)와 함께 로드를 꽉 물어주게 된다.
이렇게 로드를 인서터 본체(24)와 일직선으로 잡고 있는 상태 그대로 시술부위에 삽입된다.
로드 삽입 후, 손잡이(22)를 당기게 되면, 제1로드(33), 제2로드(34) 및 제3로드(35)에 의해 클램프(26)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고, 클램프(26)에 잡혀 있던 로드 또한 일직선 상태에서 90°자세가 전환되면서 위아래 척추경 나사못 사이에 걸쳐지는 상태가 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로드를 척추경 나사못에 설치한 다음, 레버(23)를 위로 젖혀서 잡고 있던 로드를 놓은 후에 로드 인서터(58)를 제거하게 되면, 로드의 삽입 및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반적인 시술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최소한의 길이로 절개한 절개부위에 리트랙터(10)를 설치하여 절개부위를 벌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시술하고자 하는 척추를 향하여 환자의 등을 절개 개방한다.
그리고,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축소한 상태에서 익스펜드 파이프(11)를 환자의 절개부위를 통하여 리트랙터(10)의 보디 저면이 환자의 등에 밀착되는 위치까지 시술부위로 삽입한다(도 18a).
이렇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삽입한 후, 이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확장함으로써, 시술공간을 확보한다(도 18b).
즉, 절개부위에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삽입한 다음, 양쪽의 조정볼트(13)를 돌리면, 조정볼트(13)가 체결되어 들어가면서 조정링크(14)를 회동시키게 되고, 조정링크(14)가 회동되면서 익스펜더 파이프(11)의 상단 힌지부위를 들어올려주게 되므로, 결국 2개의 파이프 부재로 되어 있는 익스펜더 파이프(11)가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절개부위를 넓게 확장된다.
다음,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이용하여 절개부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별도의 시술도구(미도시)를 사용하여 척추경 나사못(100)을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양쪽의 척추경에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한다(도 18c).
다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통하여 척추경 나사못(1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한다(도 18d 및 18e).
즉, 척추경 나사못(100)에 로드(100)를 설치하기에 앞서 척추경 나사못(100) 간의 간격을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에 좁힘용 홀더(39) 또는 넓힘용 홀더(40)를 결합한 다음,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가 조성한 넓은 공간을 통해 홀더를 삽입한다.
계속해서, 홀더에 있는 나사못 취부용 홈부를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 부분 내측 또는 외측에 건 후, 어저스트 보디(37)의 손잡이를 누르면, 홀더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면서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 부분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척추경 나사못(100) 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통하여 로드(110)를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삽입 및 장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익스펜더 파이프(11) 내로 로드(11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로드(110)를 삽입 및 장착하는 수단은 인서터 본체의 축방향으로 로드(110)가 위치되게 홀딩한 상태로 삽입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도 18f).
이어서, 로드(110)가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근접되게 삽입되면, 로드(110)를 로드 인서터(38)의 손잡이(22)를 당김으로서 로드(110)를 90°회전시켜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삽입 안착시킨다(도 18g).
즉, 로드 인서터(58)를 이용하여 로드(110)를 취부한 다음, 리트랙터(10)가 조성한 공간을 통해 로드(110)를 삽입하고, 로드 인서터(38)의 손잡이(22)를 눌러 로드(110)를 90°회전시켜서 양쪽 척추경 나사못(100) 사이에 걸쳐지도록 한 다음, 양쪽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로드(110)를 삽입 안착시킨다.
다음,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로드(110)가 삽입 안착되면,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체결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110)를 일체화함으로써,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100)의 설치와 관련한 시술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 시스템은 리트렉터로 절개부위를 최대한 넓게 벌릴 수 있고, 또 로드의 삽입 작업도 일직선상으로 삽입한 후에 90°자세를 바꿀 수 있으며, 또 좁은 공간에서도 척추경 나사못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절개시 시술을 위해 꼭 필요로 하는 만큼만 절개하여도 시술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고 손쉽게 할 수 있다.
10 : 리트랙터 11 : 익스펜더 파이프
12 : 보디 13 : 조정볼트
14 : 조정링크 15 : 센터핀
16 : 링크 17 : 조정블록
18 : 캡 블록 19 : 슬롯홈
20 : ON/OFF 블록 21 : 액추에이터
22 : 손잡이 23 : 레버
24 : 인서터 본체 25 : 클램프 스프링
26 : 클램프 27 : 푸시용 로드
28 : 클램핑용 로드 29 : 슬롯홀
30 : 핀 31 : 피니언
32 : 랙 33 : 제1로드
34 : 제2로드 35 : 제3로드
36 : 인서트 핀 37 : 어저스트 보디
38 : 락 장치 39 : 좁힘용 홀더
40 : 넓힘용 홀더 41 : 랙 기어
42 : 랙 하우징 43 : 랙 스프링
44 : 래치 45 : 래치 스프링
46 : 누름판 47a,47b : 나사못 취부용 홈부
48a,48b : 힌지핀 49 : 좁힘용 제1홀더 보디
50 : 좁힘용 제2홀더 보디 51 : 넓힘용 제1홀더 보디
52 : 넓힘용 제2홀더 보디 53a,53b : 핀 걸이홀
54a,54b : 파이프 힌지핀 55 : 훅
56 : 걸림핀 57 : 지지핀
58 : 로드 인서터 59a,59b : 힌지축
60 : 래치 커버 61 : 프레스 볼 플런저
62 : 슬롯 63 : 정점
64 : 핀 축

Claims (11)

  1.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 내에 삽입되는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이용하여 절개부위를 양쪽으로 벌려줌으로써 시술 공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중앙이 비어 있는 보디(12);
    상기 보디(12)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단의 힌지부를 이용하여 하단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는 한쌍의 익스펜더 파이프(11);
    상기 보디(12)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선단은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의 상단과 걸려지는 동시에 후단은 하기 조정볼트(13)와 접촉되며, 조정볼트(13)에 의해 눌려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한쪽을 이용하여 익스펜더 파이프(11)의 상단을 들어 올려주는 양쪽 2개의 조정링크(14);
    상기 보디(12)의 상면으로 노출 배치되면서 각 조정링크(14)에 하나씩 배속되며, 조정링크(14)의 후단과 접촉하면서 이 조정링크(14)를 움직여주는 조정볼트(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의 상단 힌지부는 각 한쪽이 파이프측에 핀 결합되면서 서로는 센터핀(15)에 의해 결합되어 벌림 및 좁힘 동작이 가능한 한쌍의 링크(1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3. 척추 시술시 절개부위를 통해 로드를 삽입 및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손으로 눌러 좁히거나 액추에이터(21)에 의해 복원되는 손잡이(22)와 상하 젖힘가능한 레버(23)를 가지는 인서터 본체(24);
    상기 인서터 본체(24)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램프 스프링(25)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위아래에서 로드를 잡아주는 한쌍의 클램프(26);
    상기 레버(23)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26)를 록킹 및 언록킹 상태로 동작시켜주는 수단 및 상기 손잡이(22)의 조작과 연동되면서 클램프(26)를 90°회전시켜주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23)와 푸시용 로드(27)는 원호 형상의 슬롯홀(29)과 이 슬롯홀(29)에 걸려지는 핀(30)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연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5. 척추 시술시 척추에 체결되는 양쪽의 척추경 나사못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수단으로서,
    선단부에 한쌍의 인서트 핀(36)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를 수 있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 어저스트 보디(37);
    상기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에 끼워지는 도구이며,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외측을 걸어서 안쪽으로 가압하는 좁혀주는 좁힘용 홀더(39) 및 양쪽 척추경 나사못의 각 내측을 걸어서 바깥쪽으로 가압하여 넓혀주는 넓힘용 홀더(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보디(37)의 손잡이 부분 내측에 가로걸쳐 결합되며, 압축시 압축을 유지하고 해제시킬 수 있는 락 장치(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락 장치(38)는 어저스트 보디(37)에 있는 손잡이 부분의 한쪽에 핀구조로 연결되는 랙 기어(41)와, 어저스트 보디(37)에 있는 손잡이 부분의 다른 한쪽에 핀구조로 연결되는 랙 하우징(42) 내에 수용되며 반대쪽에서 랙(41)의 단부를 탄력지지하는 랙 스프링(43)과, 상기 랙(41)의 일측에 치합되어 랙(41)의 일방향 진행을 단속하는 래치(44) 및 이 래치(44)를 탄력지지하는 래치 스프링(45)과, 상기 래치(44)의 상단과 결합되어 랙(41)과 래치(44) 간의 물림을 강제 해제가능한 누름판(4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은 좌우 유동이 가능한 힌지구조로 장착되고, 홀더측과의 연결시 흔들림을 잡아주기 위해서 그 단부는 프레스 볼 플런저(61)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좁힘용 홀더(39)는 각 후단에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울 수 있는 핀 걸이홀(53a)을 가지는 동시에 각 선단에 서로 안쪽으로 마주보는 나사못 취부용 홈부(47a)를 가지며, 힌지핀(48a)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이곳을 기준하여 서로 크로스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좁힘용 제1홀더 보디(49) 및 좁힘용 제2홀더 보디(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넓힘용 홀더(40)는 각 후단에 어저스트 보디(37)의 인서트 핀(36)을 끼울 수 있는 핀 걸이홀(53b)을 가지는 동시에 각 선단에 서로 바깥쪽으로 등을 대고 있는 나사못 취부용 홈부(47b)를 가지며, 힌지핀(48b)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이곳을 기준하여 서로 일자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넓힘용 제1홀더 보디(51) 및 넓힘용 제2홀더 보디(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11.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척추를 시술하는 방법으로서,
    최소한의 길이로 절개한 절개부위에 리트랙터(10)의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축소한 상태에서 삽입한 후,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확장하여 시술공간을 확보하는 단계;
    상기 익스펜더 파이프(11)를 이용하여 절개부위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척추경 나사못(100)을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양쪽의 척추경에 수직방향으로 체결 설치하는 단계;
    다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통하여 좁힘용 홀더(39) 또는 넓힘용 홀더(40)를 삽입한 후, 어저스트를 조작하여 척추경 나사못(100)의 간격을 좁게 또는 넓게 조절하는 단계;
    다음, 익스펜더 파이프(11)를 통하여 로드(110)를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삽입 및 장착하되, 인서터 본체의 축방향으로 로드(110)가 위치되게 홀딩한 상태로 삽입한 후, 로드(110)를 90°회전시켜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삽입 장착하는 단계;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로드(110)를 삽입 안착시킨 후, 척추경 나사못(100)의 헤드에 체결볼트를 체결하여 척추경 나사못(100)과 로드(110)를 일체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절개 척추 수술 방법.
KR1020100137500A 2010-12-29 2010-12-29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KR20120075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0A KR20120075711A (ko) 2010-12-29 2010-12-29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0A KR20120075711A (ko) 2010-12-29 2010-12-29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11A true KR20120075711A (ko) 2012-07-09

Family

ID=4670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00A KR20120075711A (ko) 2010-12-29 2010-12-29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7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651A1 (en) * 2013-08-12 2015-02-19 Alphatec Spine, Inc. Blade attachment and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retraction
WO2021220386A1 (ja) * 2020-04-28 2021-11-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装置
US11278348B2 (en) 2017-02-28 2022-03-22 Endovision Co., Ltd.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ic spinal surgery
CN117224211A (zh) * 2023-11-10 2023-12-15 河源市深河人民医院(暨南大学附属第五医院) 一种微创介入脊椎显微手术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3651A1 (en) * 2013-08-12 2015-02-19 Alphatec Spine, Inc. Blade attachment and adjustment mechanism for tissue retraction
US11278348B2 (en) 2017-02-28 2022-03-22 Endovision Co., Ltd.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ic spinal surgery
WO2021220386A1 (ja) * 2020-04-28 2021-11-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装置
JPWO2021220386A1 (ko) * 2020-04-28 2021-11-04
CN117224211A (zh) * 2023-11-10 2023-12-15 河源市深河人民医院(暨南大学附属第五医院) 一种微创介入脊椎显微手术装置
CN117224211B (zh) * 2023-11-10 2024-01-09 河源市深河人民医院(暨南大学附属第五医院) 一种微创介入脊椎显微手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797B2 (en) Zero-profile expandable intervertebral spacer devices for distraction and spinal fusion and a universal tool for their placement and expansion
US10779959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implant insertion
US10835297B2 (en) Interspinous spacer
US9480502B2 (en) Expansion interspinous fixation device and method
US10039646B2 (en) Laminoplasty implant, method and instrumentation
US7976549B2 (en) Instruments for delivering spinal implants
JP5455129B2 (ja) 脊椎安定化システム
US94862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spinous process fixation device
JP6693742B2 (ja) 椎体の整合
US8740914B2 (en) Surgical positioning assembly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889724B2 (ja) 側方進入路を含む脊椎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87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spinal construct
JP2006501947A (ja) 整形外科移植片の挿入装置と技法
JP2009512520A (ja) 脊椎に前方最小侵襲アプローチすることにより脊椎すべり症を治療する方法及び器具
KR20130108089A (ko) 뼈 고정막대 및 뼈 고정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이식장치
US20100036434A1 (en) Rescue reduction bone anchor
KR20120075711A (ko) 최소절개 척추 수술 시스템
JP2020127838A (ja) 棘突起を治療する装置
US20230404627A1 (en) A modified compression appliance and associated hardware for use in spinal surgery
KR20160010819A (ko) 경추 수술용 보형물 삽입장치
US20210106432A1 (en) Distally Expanding Facet Joint Implant And Delivery Device
KR20100031853A (ko) 척추시술용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