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275A - 액체 충전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275A
KR20160010275A KR1020140193743A KR20140193743A KR20160010275A KR 20160010275 A KR20160010275 A KR 20160010275A KR 1020140193743 A KR1020140193743 A KR 1020140193743A KR 20140193743 A KR20140193743 A KR 20140193743A KR 20160010275 A KR20160010275 A KR 2016001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p
piston
stopp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991B1 (ko
Inventor
조성환
장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Publication of KR2016001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충전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용기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를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액체 충전 장치 {LIQUID CHARGING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액체 용기부에 사용되는 액체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분말, 액체, 겔(gel) 또는 크림(cream), 고체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화장품들은 각각의 용기에 저장,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화장품의 종료 중 아이 크림 등 한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액체 상태의 화장품은 사용시 필요한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수용한 후 일반적인 스포이드나 주사기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거나 푸쉬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때 마다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스포이드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압착부를 누르는 정도에 따라 액체 상태의 내용물이 스포이드에 충전되는 것이 아니고, 회전에 따라서 사용에 필요한 양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충전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회전에 따라서 자동으로 액체 내용물(예컨데, 화장품 내용물등)이 스포이드 파이프에 충전되도록 한 액체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액체 내용물이 구비된 용기부에 회전에 따라서 직선이동하여 스포이드 파이프에 사용자의 필요한 액체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충전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액체 내용물의 양을 정량으로 토출함과 동시에 부분량을 토출하여 사용하도록 한 액체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캡부와 이동부에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스포이드 파이프의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액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힘 조절 없이 액체 내용물의 토출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액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액체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용기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를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개구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의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개구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고, 중심부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결합시키며, 상부에 피스톤을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 하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과 동시에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용기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캡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서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개구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의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개구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고, 중심부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결합시키며, 상부에 피스톤을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 하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버튼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캡부의 외측면과 상기 이동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서 상기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액체 내용물(예컨데, 화장품 내용물등)이 구비된 용기부의 상부에 회전에 따라서 직선이동하여 스포이드 파이프에 사용자가 필요한 액체 내용물 양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충전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사용에 필요한 정확량의 상기 액체 내용물의 사용하고, 이로인해 불필요한 액체 내용물의 충전할 필요가 없고, 액체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 충전 장치의 사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더불어, 탄성 부재에 의해 눌려짐과 동시에 복원되는 버튼부를 구성하여 버튼부의 누르는 힘을 탄성력에 의해 조절가능하여 액체 내용물의 정량 토출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액체 내용물의 양을 부분 토출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스포이드 파이프의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액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힘 조절 없이 액체 내용물의 토출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액체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 액체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 액체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 액체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서 액체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C부 확대 측단면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캡부와, 이동부와, 탄성 부재와, 버튼부 및 피스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같이,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는 용기부(20)와, 스포이드 파이프(30)와, 캡부(40)와, 이동부(50)와, 버튼부(60)와, 탄성 부재(100) 및 스토퍼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포이드 파이프(30) 및 상기 캡부(40)와 결합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부(20)의 내부에는 액체 내용물(A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내용물(A1)은 액상 형태의 화장품 내용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상 형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액체 내용물(A1)은 상기 개시된 액상 형태의 화장물 내용물이외에 다른 형태의 액체 내용물(A1)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후술하는 피스톤(80)의 압력(P1)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흡입 및 토출하도록 상기 개구부(21)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부(40)는 상기 개구부(21)에 회전하여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부(40)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상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부(4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부(5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피스톤(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피스톤(80)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4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80)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압력(P1)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부(40)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60)는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100)는 누름에 따라서 상기 버튼부를 상, 하 이동가능하게 상기 버튼부(6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버튼부(60)와 상기 이동부(5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부(60)는 누름 다음에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부(70)는 상기 피스톤(80)의 압력(P1)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부(5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개구부(21)와 상기 이동부(5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부(40)의 외부에는 상기 캡부(40)를 보호하고, 상기 캡부(4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 하 이동하도록 커버부(9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를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50)와 상기 피스톤(80)을 상,하 직선 이동시켜, 상기 피스톤(80)의 압력(P1)에 의해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량을 자동으로 충전함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회전에 의해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액체 내용물(A1)을 자동으로 충전가능하고, 더불어 불필요한 액체 내용물(A1)을 충전할 필요가 없어 액체 내용물(A1)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눌려짐과 동시에 복원되는 버튼부(60)를 구성함으로써, 버튼부의 누르는 힘을 탄성력에 의해 조절가능하여 액체 내용물(A1)의 정량 토출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분 토출량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적은 힘으로 누르면, 상기 탄성 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천천히 눌려질 수 있고, 이때, 상기 버튼부(60)의 눌려지는 힘의 정도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A1)이 부분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내에는 상기 용기부(20)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개구부(21)에서 분리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 내용물(A1)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실링부재(91)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관통 결합시 상기 개구부(21)내에 구비된 실링 부재(91)를 통해 관통되어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일정량의 액체 내용물(A1)이 충전되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에서 분리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개구부(21)에서 ? 때,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의 내부에 구비된 실링 부재를 지나면서 분리됨으로,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 내용물(A1)을 깨끗하게 분리시킴과 동시에 다시 용기부(20)내로 남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에서 분리되어 외부에 노출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은 상기 실링 부재(91)를 통과하여 액체 내용물(A1)이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캡부(40)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언급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캡부(40)는 캡 본체부(41)와, 관통홀(42)과, 나사 결합부(43)와, 피스톤 가이드부(44) 및 이동 가이드홈(45)을 포함한다. 상기 캡 본체부(41)는 후술하는 관통홀(42)과, 나사 결합부(43)와, 피스톤 가이드부(44) 및 이동 가이드부(4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42)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상단 입구와 결합되도록 상기 캡 본체부(41)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 결합부(43)는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하여 나사결합되도록 상기 관통홀(42)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는 상기 피스톤(80)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80)을 상, 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관통홀(4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45)는 상기 이동부(50)의 상, 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캡 본체부(41)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도 2와 같이,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100)와 결합되도록 탄성 결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50)에는 상기 피스톤(80)에 형성된 피스톤 결합홈(81)과 결합되도록 피스톤 결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80)의 상부에는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 결합부(52)와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홈(8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피스톤 결합홈(81)에 상기 피스톤 결합부(52)를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50)의 상, 하 이동시 상기 피스톤(80)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60)에는 상기 커버부(90)에 형성된 걸림턱(90a)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재(6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의 상면과 접촉됨과 둥시에 상기 이동부를 누르도록 누름부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커버부(90)에 형성된 홀에 관통 결합됨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버튼부(60)는 누름에 따라서 상기 누름부가 상기 이동부의 상면과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고,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60)의 이탈방지부재(62)는 상기 커버부(90)의 걸림턱(90a)에 걸려 상기 커버부(9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90)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결합 이동부(90b)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커버부(90)의 결합 이동부(90b)에 상기 이동부를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 이동부(90b)는 상기 버튼부를 눌려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50)는 “ U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 U “ 자 형상이외에 다른 형상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이동부(50)는 “ Y” 자 형상 및 V 자 형상등)
또한, 상기 스토퍼부(70)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 측단면도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 측단면도 이다.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스토퍼부(70)는 스토퍼 접촉부(71)와, 스토포 돌기부(72) 및 스토퍼 부재(73)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접촉부(71)는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를 회전하여 개구부(21)에 나사결합시 후술하는 스토퍼 돌기부(72)와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이동부가 상, 하 이동시 상기 스토퍼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부재(73)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와 관통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캡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시 상기 스토퍼 접촉부(71)에 상기 스토퍼 돌기부(72)가 접촉되도록 상기 스토퍼 돌기부(72)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스토퍼 부재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스토퍼 홀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 액체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 중 스포이드 파이프에 액체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다.
즉, 앞서 언급한 3과 같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액체 내용물(A1)이 구비된 용기부(20)내에 삽입하고, 상기 캡부(40)의 나사부를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21a)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 결합하며, 상기 캡부(40)와 상기 커버부(90) 및 상기 이동부(50)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부(20)의 하부로 회전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가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의 둘레에 형성된 스토퍼 접촉부(71)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이동부(50)의 하부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 돌기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내에서 가이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캡부(40)와 상기 커버부(90)를 연장으로 함께 더 정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캡부(40)와 상기 커버부(90)는 하부로 회전이동함과 동시에 내려간다.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80)는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에 의해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 이동함과 동시에 피스톤 압력(P1)을 발생시킨다. 상기 피스톤 압력(P1)은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통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되고,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전달된 압력(P1)에 의해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양만큼을 흡입하여 충전한다. 이때,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상기 커버부의 홀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이렇게 충전된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20)에서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 및 상기 이동부(50)와 함께 분리된다.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90)에 돌출된 버튼부(60)를 누르면, 상기 이동부(50)와 상기 피스톤(80)이 함께 눌려지고,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반대로 하강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80)의 압력(P1)을 발생시키고, 상기 압력(P1)을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지나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전달된 압력(P1)에 의해 충전된 상기 액체 내용물(A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이때,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탄성 부재(100)에 의해 누름과 동시에 다시 복원되고, 더불어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탄성 부재(1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60)는 누르는 힘을 조절하여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외부 토출량도 부분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도 1과 같이,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는 내부에 액체 내용물(A1)을 구비한 용기부(20)와, 스포이드 파이프(30)와, 캡부(40)와, 이동부(50)와, 버튼부(60), 탄성 부재(100) 및 스토퍼부(7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내에 상기 실링부재(91)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4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42)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상단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 결합부(51)에 상기 탄성 부재(100)의 하부와 결합하고, 상기 탄성 부재(100)의 상부는 상기 버튼부(60)의 내부에 구비된 누름부(61)와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50)의 하부에 형성된 피스톤 결합부(52)에 상기 피스톤(80)의 피스톤 결합홈(81)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캡부(40)의 외측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부(45)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캡부의 하부에 구비된 스토퍼 부재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 부재(73)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스토퍼 홀(73a)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홀(73a)에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캡부(40)내에는 상기 캡부(40)를 지지하는 가스켓부(101)가 구비된다.
이렇게 조립된 버튼부와, 탄성 부재와, 이동부와, 캡부 및 스토퍼 부재에 커버부를 결합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버튼부를 외부에 돌출시키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홀을 통해 상기 버튼부를 외부에 돌출시킨다.
상기 커버부(90)에 상기 이동부(50)를 결합시 상기 이동부(50)를 상기 커버부(9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이동부(90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끼워 결합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4 내지 9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의 동작 과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3과 같이, 캡부(40)의 관통홀(42)에 결합된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일단을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구비된 실링 부재(91)에 끼워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내로 삽입시킨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하단 입구는 상기 용기부(20)내에 구비된 액체 내용물(A1)에 담겨진다.
이때,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캡부(40)의 나사 결합부(43)가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21a)과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부(40)와 상기 커버부(90)를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캡부(40)의 나사 결합부(43)와 상기 개구부(21)의 나사산(21a)이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50)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도 함께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스토퍼 접촉부(71)에 접촉된다.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접촉부(71)와 접촉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을 멈추고,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부재(73)에 의해 가이드 이동한다.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는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함과 동시에 하부로 내려간다.
즉,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개구부(21)의 스토퍼 접촉부(71)와 접촉된 상기 스토퍼 돌기부(72)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만 내려간다.
상기 캡부(40)가 하부로 내려가면,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도 내려가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내에 구비된 피스톤(80)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 결합부(5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50)가 이동을 멈추면, 상기 피스톤(80)도 함께 이동을 멈춘다. 이때,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는 상기 캡부(40)와 함께 계속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가 하부로 내려가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내에 구비된 상기 피스톤(80)은 그대로 멈추어 있다. 즉,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만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압력이 발생된다. 이 발생된 압력은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지나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상기 압력(P1)에 의해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흡입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량을 흡입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계속 하부로 내려가면, 정지된 상기 이동부(50)의 상부면은 버튼부(60)의 누름부와 접촉된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구비된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커버부(90)의 홀에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8 및 도 9와 같이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20a)과 나사 결합된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량이 충전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서 분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 내용물(A1)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의 실링 부재(91)를 통과시 분리되어 다시 상기 용기부(20)내로 떨어져 남는다.
따라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에서 분리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이 깨끗하게 분리된다.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60)의 누름부(61)도 함께 눌리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동부를 누른다. 눌리는 상기 이동부(50)는 피스톤(80)도 함께 상부에서 하부로 누른다. 이때,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는 상기 피스톤(80)의 이동에 따라서 압력(P1)을 발생시키고, 이 압력(P1)은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지나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전달된 압력(P1)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흡입된 액체 내용물(A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서 정량으로 토출되는 액체 내용물(A1)을 사용한다.
이때, 누르고 있던 상기 버튼부를 놓으면, 상기 버튼부(60)는 탄성 부재(100)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상기 커버부(90)의 홀에서 외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작은 힘으로 누르면, 상기 버튼부(60)에 의해 작은 압력이 발생되고,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상기 작은 압력(P1)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흡입된 액체 내용물(A1)의 량을 부분적으로 외부로 토출시킨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60)의 누르는 힘을 탄성 부재(100)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가능하여 액체 내용물(A1)의 정량 토출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분 토출량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스포이드 구조의 인출은 스포이드의 상측의 고무(미도시 됨)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토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커버부(90)와 캡부(40)를 회전시켜 피스톤(80)의 압력에 따라서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사용에 필요한 액체 내용물의 일정량을 흡입 및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액체 내용물(A1)의 충전을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정량 토출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액체 충전 장치(10)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스포이드 용기(미도시 됨)는 전체 흡입량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량만 사용하게 될 경우 스포이드 상측의 고무가 복원되면서 공기가 흡입되어 기포가 올라오는 현상이 발생되어 스포이드의 미관 및 고급스러움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커버부(90)의 회전에 따라서 캡부(40)를 상, 하 이동하여 액체 내용물(A1)을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포이드 파이프(30)의 내부에 공기 흡입으로 인한 기포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미려하게 할뿐만 아니라, 제품을 더욱 고급스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 13은 도 12의 C부 확대 단면도 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충전 장치와 비교하여, 중복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그 차이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0과 같이,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는 용기부(20)와, 스포이드 파이프(30)와, 캡부(40)와, 이동부(50)와, 버튼부(60)와, 스토퍼부(70) 및 조절 장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스포이드 파이프(30) 및 상기 캡부(40)와 결합되도록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부(20)의 내부에는 액체 내용물(A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액체 내용물(A1)은 액상 형태의 화장품 내용물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액상 형태의 화장품 내용물을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액체 내용물(A1)은 상기 개시된 액상 형태의 화장물 내용물이외에 다른 형태의 액체 내용물(A1)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후술하는 피스톤(80)의 압력(P1)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흡입 및 토출하도록 상기 개구부(21)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부(40)는 상기 개구부(21)에 회전하여 나사 결합됨과 동시에 상, 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캡부(40)의 중심부에는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상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부(4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부(50)와 결합됨과 동시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피스톤(8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피스톤(80)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40)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80)을 상, 하 이동시켜 상기 압력(P1)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캡부(40)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버튼부(60)는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50)를 상, 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부(70)는 상기 피스톤(80)의 압력(P1)을 발생시킬 수 있게 상기 이동부(50)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개구부(21)와 상기 이동부(5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부(40)의 외부에는 상기 캡부(40)를 보호하고, 상기 캡부(40)와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 하 이동하도록 커버부(9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조절 장치부(200)는 상기 이동부(5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서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토출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캡부(40)의 외측면과 상기 이동부(5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캡부(40)와 상기 이동부(50)에 버튼부(6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5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액체 내용물(A1)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액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고, 사용자의 힘 조절 없이 액체 내용물의 토출 가능하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액체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장치부(200)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상기 조절 장치부(200)는 조절 걸림부(201) 및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 걸림부(201)는 후술하는 조절부(202)들과 대면되어 착탈되도록 상기 캡부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절부(202)들은 상기 버튼부(60)를 누름에 따라 상기 이동부(50)가 이동되고, 상기 이동부(50)와 함께 이동하여 상기 조절 걸림부(201)로부터 착탈됨과 동시에 단계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5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 걸림부(201)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202)들은 조절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부(6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60)와 함께 상기 이동부(5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버튼 결합부(21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의 조립을 살펴보면, 먼저, 도 10과 같이,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는 내부에 액체 내용물(A1)을 구비한 용기부(20)와, 스포이드 파이프(30)와, 캡부(40)와, 이동부(50)와, 버튼부(60), 스토퍼부(70) 및 조절 장치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내에 상기 실링부재(91)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캡부(4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42)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상단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50)의 상부에 형성된 버튼 결합부(210)는 상기 버튼부(6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50)의 하부에 형성된 피스톤 결합부(52)에 상기 피스톤(80)의 피스톤 결합홈(81)을 결합한다.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캡부(40)의 외측에 형성된 이동 가이드부(45)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캡부의 하부에 구비된 스토퍼 부재에 관통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 부재(73)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스토퍼 홀(73a)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홀(73a)에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캡부(40)내에는 상기 캡부(40)를 지지하는 가스켓부(10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50)와 상기 캡부(40)를 결합시, 상기 이동부(50)의 내측면에 형성된 조절부(202)들과 상기 캡부(40)의 외측면에 형성된 조절 걸림부(201)를 대면시켜 결합시킨다.
즉, 상기 이동부(50)의 조절부(202)들중 하나를 상기 캡부(40)의 조절 걸림부(201)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상기 커버부(90)에 상기 이동부(50)를 결합시 상기 이동부(50)를 상기 커버부(9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이동부(90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끼워 결합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10 내지 13을 참조하여 상기 액체 충전 장치(10)의 동작 과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언급한 도 10과 같이, 캡부(40)의 관통홀(42)에 결합된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일단을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구비된 실링 부재(91)에 끼워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를 상기 용기부(20)내로 삽입시킨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하단 입구는 상기 용기부(20)내에 구비된 액체 내용물(A1)에 담겨진다.
이때, 상기 캡부(40)의 나사 결합부(43)가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21a)과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캡부(40)와 상기 커버부(90)를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캡부(40)의 나사 결합부(43)와 상기 개구부(21)의 나사산(21a)이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이동부(50)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간다. 이때,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도 함께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스토퍼 접촉부(71)에 접촉된다.
상기 이동부(50)의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접촉부(71)와 접촉됨과 동시에 하부로 이동을 멈추고, 상기 스토퍼 돌기부(72)는 상기 스토퍼 부재(73)에 의해 가이드 이동한다.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는 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하부로 내려간다.
즉, 상기 이동부(50)는 상기 개구부(21)의 스토퍼 접촉부(71)와 접촉된 상기 스토퍼 돌기부(72)에 의해 더 이상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멈춘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만 계속 내려간다.
상기 캡부(40)가 하부로 내려가면,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도 내려가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내에 구비된 피스톤(80)은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이동부(50)의 피스톤 결합부(5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50)가 이동을 멈추면, 상기 피스톤(80)도 함께 이동을 멈춘다. 이때,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는 상기 캡부(40)와 함께 계속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가 하부로 내려가면,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내에 구비된 상기 피스톤(80)은 그대로 멈추어 있다. 즉,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만 이동한다.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압력이 발생된다. 이 발생된 압력은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지나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상기 압력(P1)에 의해 상기 용기부(20)의 액체 내용물(A1)을 흡입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량을 흡입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계속 하부로 내려가면, 정지된 상기 이동부(50)의 상부는 상기 커버부(9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부에 구비된 버튼 결합부(210)도 함께 커버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버튼 결합부(210)는 상기 버튼부(6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버튼 결합부(210)가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60)를 상기 커버부(90)의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이동부(50)의 버튼 결합부(210)는 상기 버튼부(60)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90)가 고정된 상기 이동부(50)를 따라서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부(50)의 버튼 결합부(210)가 상기 커버부(90)의 상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버튼부(60)를 상기 커버부(90)의 홀내에서 외부로 돌출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부(90)와 함께 상기 캡부(40)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캡부(40)의 조절 걸림부(201)도 함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조절 걸림부(201)는 상기 이동부의 조절부(202)들과 대면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 걸림부(201)가 상기 조절부(202)들로부터 단계적으로 착탈되어 이동한다.
즉, 상기 캡부(40)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 상기 캡부의 조절 걸림부(201)도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조절부(202)들과 착탈된다.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가 하부로 이동을 종료하면, 상기 캡부(40)의 조절 걸림부(201)가 상기 이동부(50)의 조절부(202)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60)는 상기 커버부(90)의 홀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60)는 별도로 탄성 부재가 필요없이 상기 커버부(90)에서 외부로 돌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를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 형성된 나사산(20a)과 나사 결합된 상기 커버부(90)와 상기 캡부(4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사용에 필요한 정확한 상기 액체 내용물(A1)의 량이 충전된 상태로 상기 용기부(20)의 개구부(21)에서 분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 내용물(A1)은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의 실링 부재(91)를 통과시 분리되어 다시 상기 용기부(20)내로 떨어져 남는다.
따라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가 상기 개구부(21)에서 분리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외측이 깨끗하게 분리된다.
도 12 미 도 13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60)와 함께 상기 이동부(50)의 버튼 결합부(210)도 함께 이동한다. 상기 이동부의 조절부(202)들도 함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조절부(202)들은 상기 캡부(40)의 조절 걸림부(201)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다른 조절부(202)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50)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제한한다. 즉, 상기 이동부(50)의 조절부(202)들은 상기 이동부(50)의 내측면에서 단계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부(50)가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조절부(202)들은 상기 캡부의 조절 걸림부(201)에서 착탈되어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50)는 피스톤(80)도 함께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피스톤(80)은 상기 캡부(40)의 피스톤 가이드부(44)내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 이동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 가이드부(44)는 상기 피스톤(80)의 이동에 따라서 압력(P1)을 발생시키고, 이 압력(P1)은 상기 캡부(40)의 관통홀(42)을 지나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전달된다.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전달된 압력(P1)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흡입된 액체 내용물(A1)을 외부로 토출시킨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상기 버튼부(60)를 누르면, 상기 이동부(50)가 단계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의 액체 내용물(A1)은 상기 이동부(50)의 단계 이동에 따라 토출량이 조절되어 토출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누르면, 상기 이동부(50)도 함께 눌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50)의 조절부(202)들도 이동한다. 상기 조절부(202)들은 고정된 캡부의 조절 걸림부(201)에서 착탈되어 단계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조절부(202)들은 상기 이동부(5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부(50)에 구비된 피스톤(80)도 단계적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 단계에 따라 압력(P1)이 발생되고,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는 이렇게 단계별도 조절된 상기 압력(P1)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30)에 흡입된 액체 내용물(A1)을 토출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버튼부(60)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50)를 단계적으로 시켜 사용자가 필요한 액체 내용물(A1)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 스포이드 구조(미도시 됨)의 인출은 스포이드의 상측의 고무(미도시 됨)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액체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구조이므로,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토출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기존의 스포이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버튼부(60)를 누름에 따라서 이동부(50)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액체 내용물(A1)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장치부(20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정확한 액체 내용물의 토출시킬 수 있고, 스포이드 파이프(30)의 내부에 공기 흡입으로 인한 기포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제품의 미려하게 하고, 제품을 더욱 고급스럽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액체 충전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용기부 : 20 개구부 : 21
스포이드 파이프 : 30 캡부 : 40
이동부 : 50 버튼부 : 60
스토퍼부 : 70 피스톤 : 80
커버부 : 90 실링부재 : 91
캡 본체부 : 41 관통홀 : 42
나사 결합부 : 43 피스톤 가이드부 : 44
이동 가이드부 : 45
결합홈 : 61 탄성 결합부 : 51
피스톤 결합홈 : 81 피스톤 결합부 : 52
이탈방지부재 : 62 누름부 : 61
결합 이동부 : 90b 걸림턱 : 90a
스토퍼 접촉부 : 71 스토퍼 돌기부 : 72
스토퍼 부재 : 73
조절 장치부 : 200 조절 걸림부 : 201
조절부 : 202 버튼 결합부 : 210

Claims (19)

  1.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용기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를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의 외부에는 상기 캡부와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이동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누름에 따라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가능하게 하는 버튼부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는 상기 버튼부를 누름 다음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3.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개구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의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개구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고, 중심부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결합시키며, 상부에 피스톤을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 하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이동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를 누름과 아울러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개구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외부에는 상기 캡부와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이동하는 커버부가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내에는 상기 용기부를 밀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상기 개구부에서 분리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의 외측에 부착된 액체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캡 본체부;
    상기 캡 본체부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와 결합되는 관통홀;
    상기 관통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회전하여 나사결합되는 나사 결합부;
    상기 관통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피스톤 가이드부; 및
    상기 캡 본체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부을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결합되는 탄성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 결합홈과 결합되는 피스톤 결합부가 형성되는 액체 충전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버튼부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의 상면과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를 누르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는 상기 이동부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결합 이동부가 더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 U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충전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스토퍼 접촉부;
    상기 이동부에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 하 이동시 상기 스토퍼 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돌기부; 및
    상기 캡부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돌기부와 관통 결합되고, 상기 이동부가 상, 하 이동시 상기 스토퍼 돌기부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스토퍼 돌기부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이동가능하도록 스토퍼 홀이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내에는 상기 캡부를 지지하는 가스켓부가 더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할 경우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상기 액체 내용물이 구비된 용기부내에 삽입하고, 상기 캡부의 나사부를 상기 용기부의 개구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 결합하며, 상기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부에 구비된 커버부 및 상기 이동부가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용기부의 하부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이동부의 스토퍼 돌기부가 상기 용기부의 개구부의 둘레에 형성된 스토퍼 접촉부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의 하부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스토퍼 돌기부는 상기 스토퍼 부재내에서 가이드 이동하고, 상기 캡부와 상기 커버부를 연장으로 함께 회전시 상기 캡부와 상기 커버부는 하부로 회전 이동하고, 상기 스토퍼 돌기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이동하여 상승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부의 상단면이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 구비된 누름부와 접촉되며, 상기 이동부의 피스톤도 상기 캡부에서 이동하여 피스톤 압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피스톤 압력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 상기 용기부의 액체 내용물이 흡입되어 충전되며,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 충전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토출할 경우, 상기 커버부와 상기 캡부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용기부에서 상기 커버부와 상기 캡부와,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함께 분리하고, 상기 커버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된 버튼부를 누르면, 상기 버튼부의 누름부가 상기 이동부의 상면을 누름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도 함께 누르고, 상기 피스톤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여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 압력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 충전된 상기 액체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시키는 액체 충전 장치.
  15.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용기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는 피스톤을 구비한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상, 하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캡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서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16. 액체 충전 장치에 있어서,
    상단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액체 내용물을 구비하는 용기부;
    상기 개구부에 관통 결합되고, 압력에 따라서 상기 용기부의 액체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스포이드 파이프;
    상기 개구부에 회전하여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상, 하 이동하고, 중심부에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를 결합시키며, 상부에 피스톤을 구비하는 캡부;
    상기 캡부의 외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피스톤과 결합되고, 상기 캡부의 회전에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을 상, 하이동시켜 상기 압력을 발생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되고, 누름에 따라서 상기 이동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버튼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이동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상, 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캡부의 외측면과 상기 이동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포이드 파이프에서 상기 액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조절 장치부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장치부는, 상기 캡부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조절 걸림부; 및
    상기 이동부의 내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조절 걸림부로부터 착탈됨과 아울러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를 포함하는 액체 충전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걸림부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는 조절홈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충전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상부에는 상기 버튼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버튼 결합부가 더 구비되는 액체 충전 장치.
KR1020140193743A 2014-07-18 2014-12-30 액체 충전 장치 KR101727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1186 2014-07-18
KR1020140091186 2014-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75A true KR20160010275A (ko) 2016-01-27
KR101727991B1 KR101727991B1 (ko) 2017-04-18

Family

ID=5530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743A KR101727991B1 (ko) 2014-07-18 2014-12-30 액체 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9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03Y1 (ko) * 2011-09-27 2013-06-21 펌텍코리아 (주)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991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931B2 (ja) 化粧品二液容器
KR101442500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50133456A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9308541B2 (en) Pump-dispensing container
JP2017532108A (ja) ポンプタイプのコンパクト容器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KR20170078392A (ko) 화장품 용기
KR101465886B1 (ko) 자동충전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190000556A (ko) 화장용 도구 및 화장품 용기
KR20130000273A (ko) 이종 내용물 보관 용기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KR20170078588A (ko) 스포이트 용기
KR20120139328A (ko) 자동충전 및 정량 토출 스포이드형 용기캡
KR20210037321A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987557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KR101727991B1 (ko) 액체 충전 장치
KR20120044765A (ko) 시린지를 갖는 용기
KR101599612B1 (ko)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US20220169432A1 (en) Mixing container having syringe
JP2010167378A (ja) 液体噴出器
KR101781112B1 (ko) 화장품용기
KR200483655Y1 (ko) 스퀴즈 용기
JP6266410B2 (ja) スポイト容器
KR10211710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1246144B1 (ko) 분말과 액상 공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