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848A -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848A
KR20160009848A KR1020140090221A KR20140090221A KR20160009848A KR 20160009848 A KR20160009848 A KR 20160009848A KR 1020140090221 A KR1020140090221 A KR 1020140090221A KR 20140090221 A KR20140090221 A KR 20140090221A KR 20160009848 A KR20160009848 A KR 2016000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dose
radiation dose
data
dr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772B1 (ko
Inventor
조상욱
이종욱
임민종
전용혁
이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4009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7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은 의료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Diagnosis Reference Level)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agnosis reference level of radiation}
본 발명은 방사선 선량 권고량(DRL; Diagnosis Reference Level)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검사별 각각에 대한 방사선 선량 권고량(D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World Class 300 R&D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번호: 10040362, 과제명: 방사선치료 관리 통합 솔루션의 개발].
인체 내부의 해부학적 정보를 비침습적(non-invasive)으로 진단하기 위하여 초음파, X선, 자기 공명 현상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대중적이면서 가장 정확하게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방사선인 X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방사선을 이용하는 X선 촬영,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등을 통칭하여 방사선 검사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검사에 의하여 환자가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dose)을 높일수록 정밀한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과도한 방사선 선량에 환자가 노출되는 경우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일부만이 알려져 있을 뿐, 정확한 부작용 또는 후유증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환자에 대해 방사선 검사가 필요한 경우 방사선 검사 시행에 있어서 진단적 가치를 유지하는 최소한의 방사선 선량으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국제 보건 기구(WHO), 국제 원자력 기구(IAEA), 국제 방사선 방어 위원회(ICRP)가 공조하여 의료 방사선 사용의 정당화, 최적화를 통해 의료 방사선 피폭량을 낮추려 하고 있다.
각 나라에서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DRL; Diagnostic reference levels)을 설정하여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환자선량)을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일반 촬영, CT, 유방암 촬영, 소아 검사, 치과 검사 등에서 DRL을 설정하여 환자선량 관리를 하고 있다.
DRL은 해당 방사선 선량 권고량을 넘어서는 안 된다는 기준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일정 지역 또는 국가의 전체적인 환자선량 조사에서 삼사분위에 해당하는 값이기 때문에 전체 중에 25%는 DRL을 넘게 된다.
즉, DRL은 각 개개인의 검사에서의 기준은 아니며 전체적인 검사의 기준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모든 환자에 대해 동일한 DRL을 적용하기 힘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만한 환자의 검사에서 DRL 보다 낮게 선량을 설정하면 진단할 수 없는 영상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런 DRL에 대해, 종래 병원에서는 담당자가 각 검사에 대한 DRL을 구하기 위하여 해당 검사의 선량 값을 일일이 파악하고 그 값의 삼사분위에 해당하는 값을 수기로 계산하여 검사별 DRL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 영상의학과에서 방사선을 사용하여 검사하는 각각의 검사에 대한 선량관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기로 입력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이런 선량 관리 작업이 기본적인 촬영 업무에 지장이 생길 정도로 방대한 양이기 때문에 DRL에 대한 부분을 사용자들도 인지하고는 있지만 그 관리가 사실상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실정으로, DRL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일 예시로서,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2017호는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해 획득한 촬영 영상에 대한 영상 정보, 피검 환자에 대한 정보, 검사 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유효 방사선량을 산출하여 환자 별 피폭량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환자 각각에 대한 방사선량을 관리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검사 각각에 대해 DRL을 효과적으로 산출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검사별 방사선 선량 권고량을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2017호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공개일: 2012.12.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다이콤(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데이터에 포함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D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별 D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을 줄일 수 있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은 의료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Diagnosis Reference Level)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량 권고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상기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선량 권고량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검사 정보는 상기 의료 영상 촬영 장치의 종류, 환자의 나이, 촬영 부위, 성별, 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나이는 예를 들어 유아기, 유소년기, 청소년기, 성년기로 구분될 수 있고, 환자가 60세 이상의 특정 연령을 넘는 경우에는 노년기로 구분되어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성별에 따라 일반적으로 환자의 체지방률이 상이하므로 방사선 선량의 흡수율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존재할 수 있다. 환자의 체형의 경우 정상, 비만, 과체중 여하에 따라서 방사선 선량의 흡수율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존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 선량 권고량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 초과에 대한 알람(alarm)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제1 검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전 선량 권고량과 상기 계산된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선량 권고량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는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선량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Diagnosis Reference Level)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 선량 권고량를 비교하고,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 초과에 대한 알람(alarm)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사선을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에서 전송되는 DICOM 데이터 중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예를 들어, 장비별, 나이별, 촬영 부위별, 성별, 체형별 등에 대한 DRL을 자동 계산하며, 계산된 DRL을 이용하여 검사별 D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별 효과적인 DRL 관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각각에 대한 이전 DRL 히스토리(history)와 현재 DRL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검사에 해당하는 DRL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검사 별로 DRL을 구별하여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병원 별로 맞춤 DRL을 추출할 수 있어 병원 자체적으로의 DRL 매뉴얼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런 데이터가 쌓이게 되면 일정 기간 동안의 변화된 DRL 값을 그래프로 표시하여 DRL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KFDA 등의 기관에서 발표한 DRL을 제품 내에 등록하여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시간이 지나고 축적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간 별 통계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 통계를 사용하여 검사별 DRL 값의 추이를 확인하거나 해당 병원의 새로운 DRL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추가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의 추가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을 사용하여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modality)로부터 전송되는 의료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DICOM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을 자동 계산하며, 이전 DRL 히스토리와 계산된 현재 DRL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검사별 DRL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와 연결되는 메모리에 로드(load)되는 인스트럭션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사선을 사용하여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의료 영상 촬영 장치 예를 들어, CT 장치(CT modality)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110, S120).
이 때, 의료 영상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추출되는 검사 정보는 의료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 장치의 종류 예를 들어, CT 장치, 환자(또는 피검자)의 나이, 촬영 부위(예를 들어, 머리, 가슴, 배 등), 성별, 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사선 선량 데이터는 해당 의료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는데 사용되는 방사선 선량 또는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촬영 부위, 즉, 방사선 진단/검사 부위에 따라 대응하는 인체 내부의 장기(organ)가 상이하므로, 촬영 부위 또는 인체 장기마다 방사선 선량의 흡수율에 대한 별도의 가이드라인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촬영 부위에 따라서는 인체 장기 및 골격의 분포도가 상이하여 방사선 선량의 흡수율이 달라질 수 있다. (골격과 인체 장기는 구성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방사선 선량의 흡수율 및 내성이 다르게 평가/관리될 수 있다.)
이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는 해당 의료 영상 데이터의 DICOM 헤더에 포함된 데이터 중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검사 정보는 피검자의 키와 몸무게 등과 같은 정보 뿐만 아니라 피검자의 검사 히스토리, 진단 히스토리, 치료 히스토리 등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한다(S130).
즉, 단계 S130은 검사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별 예를 들어, 촬영 장비별, 검사 부위별, 성별 등을 이용하여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한다.
단계 S130에 의해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분석되면,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권고량(DRL)을 계산한다(S140).
이 때, 단계 S140은 검사별 복수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 삼사분위(3/4분위)에 해당하는 방사선 선량 값을 자동 검출하고, 검출된 방사선 선량 값을 해당 검사의 DRL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단계 S140은 장비별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고, 장비와 검사 부위가 동일한 검사에 대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장비와 검사 부위 그리고 나이가 동일한 검사에 대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의료 영상 데이터가 수신할 때마다 일정 기간 동안 저장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 주기 단위로 저장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저장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검사별 DRL 값이 계산되면 계산된 검사별 DRL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50).
이 때, 단계 S150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비명, 나이, 검사 부위에 대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DRL 값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검사에 대한 DRL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본 발명은 CT 장치(410)를 이용하여 2세부터 5세까지 복부(abdomen)(420)를 촬영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430) 각각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430)에 의해 계산된 DRL 값(440)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계산된 DRL 값(440)과 비교되는 이전 DRL 값(450) 또한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이전 DRL 값(450)은 이전 년도에 CT 장치를 이용하여 2세부터 5세까지 복부(abdomen)를 촬영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에 의해 계산된 DRL 값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해당 년도에 미리 결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저장된 DRL 값일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150은 지난 DRL 값의 히스토리와 단계 S140에서 계산된 현재(current or present) DRL을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년 단위의 DRL 값에 대한 지난 히스토리(510)와 현재 계산된 DRL 값(520)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현재 계산된 DRL 값에 대한 텍스트(530)와 바로 이전의 DRL 값에 대한 텍스트를 비교하여 화면의 일측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물론, 지난 DRL 값의 히스토리는 년 단위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기준 DRL 값으로 선택된 현재 이전의 DRL 값일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촬영한 모든 의료 영상 데이터에 대한 DRL 값을 도시한 것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검사 정보에 대한 지난 DRL 값의 히스토리와 현재 계산된 DRL 값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현재 DRL 값에 대해, 사용자가 현재 계산된 DRL 값을 새로운 기준의 DRL 값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DRL 값을 기준 DRL 값으로 사용하기 위한 항목 예를 들어, "save" 버튼을 누름으로써, save 버튼을 누른 시점으로부터 기준 DRL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사선을 사용하는 장치에서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 예를 들어, DICOM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검사별 DRL 값을 자동 계산함으로써, 의료 영상 데이터의 양이 증대하더라도 DRL 값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방사선 검사에 따른 적절한 방사선 선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별 DRL 값을 관리함으로써,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검사별 DRL 값에 대한 히스토리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검사별 사용되는 방사선 선량에 대한 히스토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병원 별로 방사선 검사에 따른 DRL 값을 구축할 수 있기에, 병원 간 검사별 DRL 값을 공유할 수도 있으며 국가 기관에서 정해 놓은 DRL 값 등을 참고하여 검사별 DRL 값을 설정하거나 결정하기가 용이할 수도 있다.
이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사선 검사에서 사용되는 방사선 선량이 미리 결정된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한 사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의 추가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방사선 검사 시 사용되는 방사선 선량이 기준 DRL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계 S120에서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추출되면 해당 검사 정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기준 선량 권고량(DRL)과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기준 DRL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210).
단계 S210 판단 결과,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기준 DRL을 초과한 경우 현재 사용된 방사선 선량이 기준 DRL을 초과하였음을 알리는 알람 또는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20).
물론, 방사선 선량 초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DRL 값은 검사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방사선 검사를 받는 환자 또는 피검자의 진단 히스토리 또는 치료 히스토리를 반영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이런 예외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기준 DRL 값이 별도로 관리되어야 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은 알람음을 출력하거나 화면 상에 방사선 선량의 초과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알람을 제공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방사선 선량이 기준 DRL을 초과하는 경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의 추가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별도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계 S120에서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추출되면 해당 검사 정보에 대해 미리 결정된 기준 DRL 값과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기준 DRL 값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한다(S310).
단계 S310 판단 결과,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기준 DRL 값을 초과한 경우 해당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집한다(S320).
즉, 해당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는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수집/저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의 기준 DRL 값은 검사별로 미리 결정된 DRL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집된 초과 선량 데이터 즉,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방사선 선량으로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초과 선량 데이터로 수집된 정보 즉,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30, S340).
여기서, 수집되는 방사선 선량 데이터는 상술한 검사 정보에 환자의 이름, 키, 몸무게, 진단 히스토리, 치료 히스토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데이터 포함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환자에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이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원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환자에 대한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기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비록, 도 3에서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미 저장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에서 검사별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검색하여 수집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검사별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 선량이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에 대한 알람 또는 경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경우를 수집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검사 시 사용되는 방사서 선량이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원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사선을 사용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를 촬영하게 되면 자동으로 검사별 방사선 흡수선량이 기록되고, 기록된 방사선 흡수선량 값들 중에서 삼사분위에 해당하는 값(DRL 값)을 자동으로 찾아줄 수 있으며, 일정 기간 또는 시간 동안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간별 통계 또는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통계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추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한 병원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새로운 DRL 지표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620)는 의료 영상 촬영 장치(610)와 뷰어(6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의료 영상 촬영 장치(610)는 방사선을 사용하여 환자 또는 피검자에 대한 의료 영상을 촬영하는 장치로,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는 DICOM 포맷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620)로 전송된다.
물론 의료 영상 촬영 장치(610)는 도 6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의료 영상 저장 전송 시스템(PACS)에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뷰어(63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검사별 DRL 값을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700)는 디스플레이부(710), 수신부(720), 선량 분석부(730), 계산부(740), 디스플레이 제어부(750) 및 관리 제어부(7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수신부(720), 선량 분석부(730), 계산부(740), 디스플레이 제어부(750) 및 관리 제어부(760)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DRL)을 관리할 수 있는 컴퓨팅 시스템의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710)는 별도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즉, 디스플레이부(71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그래프, 텍스트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터치스크린과 같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710)는 도 6에 도시된 뷰어(630)에 해당할 수도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구비된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수신부(720)는 의료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DICOM 헤더로부터 해당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한다.
물론, 수신부(720)는 상황에 따라 의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별도의 수단에서 의료 영상 데이터의 DICOM 헤더로부터 추출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별도의 수단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선량 분석부(730)는 수신부(720)에서 추출하거나 수신부(720)로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 때, 의료 영상 데이터의 검사 정보는 의료 영상 촬영 장치의 종류, 환자의 나이, 촬영 부위, 성별, 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환자의 키와 몸무게, 환자의 진단 히스토리, 치료 히스토리 등도 포함할 수도 있다.
선량 분석부(730)는 일정 기간 또는 시간 동안 저장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장비명, 촬영 부위별, 나이별, 성별, 체형별로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계산부(740)는 선량 분석부(730)에 의해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의 DRL 값을 계산한다.
이 때, 계산부(740)는 선량 분석부(730)에 의해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DRL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즉, 계산부(740)는 장비별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고, 장비와 검사 부위가 동일한 검사에 대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고, 장비와 검사 부위 그리고 나이가 동일한 검사에 대한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물론, 계산부(740)는 의료 영상 데이터가 수신할 때마다 검사별 DRL 값을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일정 시간 주기 단위로 검사별 DRL 값을 갱신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만 검사별 DRL 값을 계산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부(750)는 계산부(740)에서 계산된 검사별 방사선의 DRL 값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제어부(750)는 디스플레이부(710)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하여 검사별 DRL 값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비명, 나이, 검사부위에 대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DRL 값을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검사에 대한 DRL 값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제어부(750)는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제1 검사 정보가 수신되면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전 DRL 값과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현재 DRL 값을 비교하여 그래프와 같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제어부(75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난 DRL 값의 히스토리와 현재 DRL 값을 비교하여 그래프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비교되는 DRL 값은 방사선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에서 계산된 DRL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검사별 항목에 대한 DRL 값일 수도 있다.
관리 제어부(760)는 수신부(720)에서 추출하거나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 DRL 값을 비교하고, 현재 의료 영상 데이터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기준 DRL 값보다 큰 경우 기준 DRL 값 초과에 대한 알람 또는 경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방사선 선량 초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DRL 값은 검사별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방사선 검사를 받는 환자 또는 피검자의 진단 히스토리 또는 치료 히스토리를 반영하여 사용자에 의해 직접 결정될 수도 있으며, 이런 예외적인 경우에 대해서는 기준 DRL 값이 별도로 관리되어야 할 수도 있다.
나아가, 관리 제어부(760)는 검사별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검사별로 기준 DRL 값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의료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의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Diagnosis Reference Level)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량 권고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상기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선량 권고량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보는
    상기 의료 영상 촬영 장치의 종류, 환자의 나이, 촬영 부위, 성별, 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 선량 권고량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 초과에 대한 알람(alarm)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제1 검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전 선량 권고량과 상기 계산된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선량 권고량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7. 의료 영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검사 정보와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복수의 검사 정보,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분석하는 선량 분석부;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Diagnosis Reference Level)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검사별 방사선의 선량 권고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
    를 포함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분석된 검사별 방사선 선량 데이터 중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삼사분위의 방사선 선량을 상기 해당 방사선 검사에 대한 선량 권고량으로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정보는
    상기 의료 영상 촬영 장치의 종류, 환자의 나이, 촬영 부위, 성별, 체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와 미리 결정된 기준 선량 권고량를 비교하고, 상기 추출된 방사선 선량 데이터가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보다 큰 경우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 초과에 대한 알람(alarm)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관리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부는
    상기 기준 선량 권고량을 초과하는 경우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 선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제1 검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전 선량 권고량과 상기 계산된 상기 제1 검사 정보에 대한 선량 권고량을 비교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장치.
KR1020140090221A 2014-07-17 2014-07-17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21A KR101621772B1 (ko) 2014-07-17 2014-07-17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221A KR101621772B1 (ko) 2014-07-17 2014-07-17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848A true KR20160009848A (ko) 2016-01-27
KR101621772B1 KR101621772B1 (ko) 2016-05-17

Family

ID=5530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21A KR101621772B1 (ko) 2014-07-17 2014-07-17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17A (ko) 2011-05-27 2012-12-0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3905A (ja) * 2009-05-18 2009-09-24 Bio-Visiq Japan Inc 放射線被曝線量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017A (ko) 2011-05-27 2012-12-05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방사선량 관리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772B1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11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adiation doses and recording medium for implementing the same
US9668712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tative imaging
JP2007097909A (ja) 放射線被曝線量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US9044197B2 (en) Method for x-ray dose tracking
US794909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duced exposure conditions for medical images
JP6464254B2 (ja) 造影剤ベースの医療処置での副作用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Tsalafoutas et al. Radiation dose monitoring in computed tomography: status, options and limitations
Karim et al. Radiation doses from computed tomography practice in Johor Bahru, Malaysia
US20150150531A1 (en) Medical Imaging System And Program
US20110054943A1 (en) Radiograph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9213905A (ja) 放射線被曝線量管理システム及び記憶媒体
EP3703569B1 (en)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dark field x-ray image information
Kim et al. Real-time patient radiation dose monitoring system used in a large university hospital
JP2006300826A (ja) 核医学診断システム
Ten et al. Automatic patient dose registry and clinical audit on line for mammography
KR101621772B1 (ko) 방사선 선량 권고량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15019856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
JP2021036932A (ja) 情報処理装置、断層撮影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786483B1 (ko) 치과분야에서의 환자선량 관리시스템
US11730907B2 (en) Image analysis apparatus, image analysis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240138800A1 (en) Exposure dose management system, dynamic imaging support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and exposure dose management method
EP4134972A1 (en) Machine learning based quality assessment of medical imagery and its use in facilitating imaging operations
KR101747880B1 (ko) 선량 통계를 이용한 검사 처방 지원 방법 및 장치
JP714374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20170120289A (ko) 방사선 누적 피폭선량 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