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758A -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758A
KR20160009758A KR1020140089761A KR20140089761A KR20160009758A KR 20160009758 A KR20160009758 A KR 20160009758A KR 1020140089761 A KR1020140089761 A KR 1020140089761A KR 20140089761 A KR20140089761 A KR 20140089761A KR 20160009758 A KR20160009758 A KR 2016000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topic dermatitis
therapeutic agent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이진옥
Original Assignee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8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758A/ko
Publication of KR2016000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6Loganiaceae (Logania family), e.g. trumpetflower or pink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인체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인공합성이 아닌 천연 방부제와 천연 보존제만 함유되어 있어 아토피 피부염처럼 만성적인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안정적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진달래,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및 오징어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EXTRACTS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인체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인공합성이 아닌 천연 방부제와 천연 보존제만 함유되어 있어 아토피 피부염처럼 만성적인 질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인체에 안정적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atopy)라는 용어는 1923년 코카(Coca)와 쿡(Cooke)에 의해 소개되었지만, 아직까지 발병 원인의 규명도 쉽지 않고 효과적인 치료법도 없다. 아토피는 과민성 알레르기 반응(allergic hypersensitivity reaction)으로 면역학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으며, 유전적 원인이나 환경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꽃가루, 먼지, 식품, 진드기, 자외선, 금속이나 화학물질 등의 다양한 물질이 아토피를 일으키는 알러젠(allergen)으로 작용한다. 근래 아토피가 급증하는 추세로 보아 환경과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아토피의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1950년대 코티코스테로이드 제재가 개발되어 아토피성 습진과 가려움증에 효과적이었으나, 일시적으로 증상 개선 정도에 불과하고 부작용으로 중증인 경우에만 처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1980년대 면역억제재로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와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크림 및 연고가 개발되었으나 발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주의를 요하며,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치료 중심의 서양의약 기술로는 아토피를 통제할 수 없는 실정이며, 한약재나 천연 추출물로 아토피를 치료하거나 완화시키는 노력이 아주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대개 천연 재료에서 얻은 추출물은 부작용이 거의 없어 만성적으로 사용해도 안전하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처럼 근본적인 치료가 어려운 것은 증상 완화를 위해 장기적으로 사용했을 경우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의 완화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의 완화 및 치료와 함께 피부 상처 회복, 피부 부종, 피부 통증, 비염, 습진, 무좀, 탈취, 살균, 방부 등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의 완화 및 치료에 장기적인 사용에도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비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으로 생성된 피부의 손상을 회복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치료제로서,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진달래,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및 오징어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치료제로서,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및 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치료제로서 개나리, 생강, 도라지, 다시마, 멸치, 감자, 함초 및 녹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4 치료제로서 우슬초, 녹차잎 및 마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5 치료제로서 뽕나무잎, 옻나무잎, 산초, 미역, 양배추 및 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치료제는 능소화 2~6 중량%, 동백꽃잎 2~6 중량%, 자귀나무잎 14~18 중량%, 진달래 10~14 중량%, 민들레 10~14 중량%, 양파 6~10 중량%, 쇠비름 10~14 중량%, 알로에 14~18 중량% 및 오징어뼈 14~1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치료제는 목련화 4~10 중량%, 부추 20~26 중량%, 머위 4~10 중량%, 상추 27~33 중량% 및 무 27~3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3 치료제는 개나리 7~11 중량%, 생강 2~6 중량%, 도라지 2~6 중량%, 다시마 11~15 중량%, 멸치 29~33 중량%, 감자 16~20 중량%, 함초 2~6 중량% 및 녹두 2~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4 치료제는 우슬초 60~66 중량%, 녹차잎 15~21 중량% 및 마늘 15~2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5 치료제는 뽕나무잎 31~35 중량%, 옻나무잎 5~9 중량%, 산초 1~5 중량%, 미역 20~24 중량%, 양배추 20~24 중량% 및 콩 24~2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의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염과 습진의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좀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탈취, 살균, 방부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성물을 스프레이, 연고 및 분말 형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많은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이 많이 연구되어 왔는데, 본 발명은 기존에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에 능소화, 자귀나무, 오징어뼈 등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상호 상승 작용을 극대화시켜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얻었으며, 천연 방부제를 첨가하여 인공 화학물질이 전혀 없어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아토피 피부염 치료 외에 추가적으로 습진, 무좀, 탈취 등의 효과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피부 소양증, 피부 상처 회복, 피부 부종 및 피부 통증에 효능을 가지는 제 1 치료제와, 상기 제 1 치료제에 부가할 수 있으며 비염에 효능을 가지는 제 2 치료제와, 상기 제 1 및 2 치료제에 부가할 수 있으며 습진에 효능을 가지는 제 3 치료제와, 상기 제 1, 2 및 3 치료제에 부가할 수 있으며 무좀에 효능을 가지는 제 4 치료제와, 상기 제 1, 2, 3 및 4 치료제에 부가할 수 있으며 탈취, 살균 및 방부에 효능을 가지는 제 5 치료제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 1 치료제는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진달래,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오징어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 같은 제 1 치료제에는 능소화 2~6 중량%, 동백꽃잎 2~6 중량%, 자귀나무잎 14~18 중량%, 진달래 10~14 중량%, 민들레 10~14 중량%, 양파 6~10 중량%, 쇠비름 10~14 중량%, 알로에 14~18 중량%, 오징어뼈 14~18 중량%를 혼합하여 물에 1 내지 4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6시간 숙서하거나 녹즙 처리하여 정제한 조성물로서 아토피 피부염, 피부 소양증, 피부 상처 회복, 피부 부종 및 피부 통증의 치료에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치료제는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 같은 제 2 치료제에는 목련화 4~10 중량%, 부추 20~26 중량%, 머위 4~10 중량%, 상추 27~33 중량%, 무 27~33 중량%를 분쇄하여 물에 넣고 1 내지 4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6시간 정제하거나 증류하게 되며, 상기 제 1 치료제에 부가함으로써 비염 증상 완화에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치료제는 개나리, 생강, 도라지, 다시마, 멸치, 감자, 함초, 녹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 같은 제 3 치료제에는 개나리 7~11 중량%, 생강 2~6 중량%, 도라지 2~6 중량%, 다시마 11~15 중량%, 멸치 29~33 중량%, 감자 16~20 중량%, 함초 2~6 중량%, 녹두 2~6 중량%를 분쇄하여 물에 넣고 1 내지 6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6시간 숙성하여 정제하거나 증류 처리하거나 발효 숙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치료제에 부가함으로써 습진의 치료에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4 치료제는 우슬초, 녹차잎, 마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 같은 제 4 치료제에는 우슬초 60~66 중량%, 녹차잎 15~21 중량%, 마늘 15~21 중량%를 분쇄하여 물에 넣고 1 내지 6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6시간 숙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2 및 3 치료제에 부가함으로써 무좀의 치료에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5 치료제는 뽕나무잎, 옻나무잎, 산초, 미역, 양배추, 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게 된다. 이 같은 제 5 치료제에는 뽕나무잎 31~35 중량%, 옻나무잎 5~9 중량%, 산초 1~5 중량%, 미역 20~24 중량%, 양배추 20~24 중량%, 콩 24~28 중량%를 분쇄하여 물에 넣고 1 내지 6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1 내지 6시간 숙성하거나 증류하거나 발효 숙성하게 되며, 상기 제 1, 2, 3 및 4 치료제에 부가함으로써 탈취, 살균, 방부 등의 효과를 거두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능소화는 통화식물목 능소화과로 금등화(金藤花)라고도 하는데, 헤더라게니(hederagenin), 우르솔릭산(ursolic acid), 토멘트산(tormentic acid), 마이리안틱산(myrianthic acid) 등의 성분이 어혈을 제거하고,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코로솔산(corosolic acid), 23-hydorxyursolic acid, arjunolic acid 성분이 피부진정 효과가 있으며, 이뇨작용과 피부 소양증에도 효과가 있으며, 통경작용으로 생리불순 등 부인과에 사용된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은 피부 소양증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능소화는 피부를 진정시켜서 가렵지 않게 예방하며, 혈액순환을 도와 증상이 신속하게 완화시켜 주며, 피가 맺힌 것을 풀어주어 아토피 피부를 신속하게 회복시킨다.
동백꽃잎은 차나무과로 α-스피나스테롤(α-spinosterol)과 같은 스테로이드(steroid)류, 향균성분인 카멜리딘(camellid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균, 양혈(凉血) 및 지혈(止血) 작용이 있어 피를 맑게 해주며 피가 나는 상처에 효과가 있다. 타박상이나 멍든 것에도 어혈(瘀血)을 제거시키며 타박상을 풀어준다.
자귀나무는 장미목 콩과로 합환목(合歡木)이라고 하는데 부스럼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시켜주어 종기, 부종, 인후통, 타박상을 치료하며, 불면증, 건망증, 안질, 시력감퇴에 효과가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 발생환자가 피부 가려움 때문에 지나치게 긁어 피부 손상이 일어났을 때 자귀나무는 통증을 완화시켜주며 혈액응고로 생긴 부스럼을 제거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회복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진달래는 낙엽관목 진달래과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퀘세틴(quercetin), 미리세틴(myricetin), 아프젤린(afzelin), querctrin, 카테킨(catechin), dihydroflavonal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암, 항염증, 당뇨병 예방 등에 효과가 있고, 혈액순환에 좋으며 두드러기를 완화시킨다.
민들레는 초롱꽃목 국화과로 루테오린(luteolin)과 루테오린-7-o-글루코시드(luteolin-7-o-glucoside) 성분이 항혈관신생 활성과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어 소염작용이 있고, 기침, 위궤양 및 염증성 질환에 좋다.
양파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퀘세틴(quercetin)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제로 세포의 산화적 손상과 지방의 산패를 막아주고 알릴 디설파이드(allyl disulfide), 황화물(sulfide), S-methylcystein-sulphoxide와 같은 황화합물은 항산화,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알레르기 반응 억제, 혈액순환 증가 등에 효과가 있다.
쇠비름은 쇠비름과로 오행초라고도 하는데,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cardiac, 글리코사이드(glycosides), 안트라퀴논 글리코사이드(anthraquinone glycosides) 등의 성분이 있으며, 양혈지혈(凉血止血), 부기(浮氣) 완화, 지사(止瀉) 등의 효능이 있고 악창과 종기 등의 피부염증을 완화시키며 미백 효과도 있다.
알로에는 선인장과로 알로에 울신이 알레르기 유발인자인 히스타민 생성을 억제하고 알프로젠 성분이 알레르기에 도움이 되며, 피부 질병 치료, 상처 치유 촉진, 세포 성장 촉진, 화상 치료, 면역 조절, 살균력이 크다.
오징어뼈의 키틴(chitin)은 점액다당류로 항응고제로서 지혈작용을 하며, 지사작용과 항궤양에 효과가 있으며, 상처 치료 회복을 빠르게 한다.
특히 오징어뼈는 지혈 작용에 아주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아토피로 인한 상처로 유출된 피를 지혈하며, 단순히 지혈제로서의 작용을 넘어서서 피부의 상처 회복을 도와 피부를 원상 복귀하는 효과가 있다.
목련은 미나리아재비목 목련과로 꽃봉오리를 약간 매운 맛이 난다고 하여 신이(辛夷)라고 하며 풍사(風邪)를 없애 막힌 것을 뚫어주는 효능이 있어 비염과 축농증에 좋고, 기미와 주근깨를 없애는 등 피부개선, 두통 및 발모 효과가 있다.
부추는 정구지(精久持), 기양초(氣陽草), 온신고정(溫腎固精)이라고도 하며, 알리신(Allicin) 성분은 말초신경을 활성화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균 작용을 하고, 알릴 디설파이드(allyl disulfide) 성분은 살균, 항암, 천식에 효과가 있다.
머위는 국화과로 petasiphenol 성분은 아포토시스(apoptosis) 저해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해독, 항알레르기, 편도선염, 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상추는 쌉쌀한 맛을 내고 수면 유도 물질인 BSLs(Bitter Sesquiterpene Lactones)의 주성분인 Latucin이 풍부하며, 주요 생리활성 성분인 가바(GABA), 활성산소의 작용을 억제하는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토코페롤(Tocopherol) 등이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무는 옛날부터 오래된 기침과 담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소화와 해독에 효과가 뛰어나고 지혈, 소독, 살균, 항염 작용이 있고 천식을 치료한다.
개나리는 용담목 풀부레 나무과로 연교(連翹)라고도 하는데,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성분에 의한 항균(抗菌) 작용과 이뇨(利尿), 소염, 해열, 진통, 피부발진, 습진이나 피부 소양증에 효과가 있다.
생강은 생각목 생강과로 6-진저롤(6-gingerol) 성분은 항당뇨, 지질 저하 효과, 항염증 및 항산화 효능을, 6-쇼가올(6-shogaol)은 천식과 면역 증강을 커큐민(curcumin)의 피부 손상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해열, 두통, 가래를 제거하고, 위액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고, 냄새를 제거한다.
도라지의 뿌리는 길경(桔梗)이라 하며, 진해, 거담, 중추신경억제(진정, 진통, 해열효과), 항콜린작용, 항염증 작용을 한다.
다시마는 다시마목 다시마과로 항염 효과와 항돌연변이원성의 후코이단(fucoidan), 혈당 강하 및 응고 작용을 하는 라미닌(laminine), 보습 및 습윤제, 보수제로 쓰이는 마니톨(mannitol), 활성산소를 억제시켜 항암작용 및 노화방지와 피부미용 개선 효과를 주는 알긴산(alginic acid) 성분이 다양한 생리기능을 하며, 산성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바꿔준다.
멸치의 칼슘 성분은 뼈의 구성과 근육 수축과 이완 작용, 혈액의 산성화를 막고 신경전달에 영향을 주어 피부 안정화를 돕고, 타우린(Taurine) 성분은 항산화 작용, 글루탐산(glutamic acid),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 히스티딘(histidine), 류신(leucine), 알라닌(alanine) 및 아르기닌(arginine) 등의 아미노산은 피부 안정화, β-카로틴(β-Carotene) 성분은 피부와 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감자는 통화나물목 가지과로 녹말과 솔라닌 성분이 있고, 피부 진정 효과가 뛰어나며, 나트륨을 배출하며 멍이 드는 혈소판 이탈로 인한 피부로 누출되는 곳을 분산시킨다.
함초는 염전 주변이나 갯벌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 명아주과(Chenopodiaceae)에 속하며, 베타인(betaine) 성분은 호모시스틴요증의 치료제이며, 간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고, 감정 조절제로 안정화 효과를 주며, 천연보습제로 피부친화력과 흡수력이 좋다.
녹두(綠豆)는 장미목 콩과로 항염증, 항산화, 지질 및 당대사, 골대사 조절 효과가 있으며, 수종(水腫), 서열번갈(暑熱煩渴), 해독, 화상의 치료, 피부 보호에 사용되어 왔다.
우슬초(牛膝草)는 비름과로 우경(牛莖) 또는 쇠무릎이라고도 하며, 식품, 의약, 화장품에 널리 사용되어왔고, L-아세트산 보르닐(L-bornyl acetate), isopinocampheol, 피노캠폰(pinocamphone) 등이 들어가 있는 히솝유(hyssop oil)는 항진균(抗眞菌) 작용이 우수하며, 항균제(抗菌劑), 진경제(鎭痙劑) 효과가 있다.
녹차의 주요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은 항균, 항바이러스, 해독, 콜레스테롤 저하, 피부 손상 보호 등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을 가지고 있다.
마늘의 항균작용물질은 알리인(alliin(S-propenyl-L-cysteine sulfoxide))이 알리이나아제(alliinase)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되는 알리신(allicin(allyl 2-propenethiosulfinate)) 때문이며, 세균, 효모, 곰팡이는 물론 원생 동물에도 생육저해작용이 있다.
뽕나무는 쇄기풀목 뽕나무과로 뽕잎에는 루틴(rutin), 퀘세틴(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과 펙틴(pectin), 셀룰로스(cellulose) 등의 식이섬유와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피부 윤활 작용이 좋아 화장품으로도 이용되고, 항균, 멜라닌 생성억제 및 항산화 활성 효과가 있다.
옻나무는 낙엽교목 옻나무과로 우루시올(Urushiol)의 암세포증식억제 효과가 잘 알려져 있으며, 강한 항암, 항산화, 항균활성, 어혈을 분해하는 작용이 있다. 옻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1,2,3-벤젠트리올(1,2,3-Benzentriol), 1,4-Cyclohexanedicarboxylic 등은 다른 원료에 포함된 케토티펜(ketotifen) 등에 의하여 억제될 수 있다. 옻나무는 방부제로서의 효과가 뛰어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인공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산초는 운향과로 퀘세틴(quercetin)과 하이페로시드(hyperoside) 성분이 항산화 효과를, 씨트로넬랄(citronellal), 리모넨(limonene) 및 제라닐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성분이 항균 활성을 갖는다.
미역의 알긴산(alginic acid)와 푸칸(fucan) 유도체는 항염증, 항바이러스, 항종양 등의 효과가 있으며, 후코이단(Fucoidan) 성분은 항암, 항콜레스테롤, 혈액응고저해, 혈압조절 등의 혈류개선 작용이 우수하다.
양배추는 항산화 방어체제를 강화하고 염증반응을 감소시키는 글루코라파닌(glucoraphanin), 매운맛을 내는 항산화 활성물질인 시니그린(sinigrin), 항암 항균 작용을 하는 글루코브라시신(glucobrassicin) 및 4-methoxyglucobrassicin 등 4종의 글루코시놀레이츠(glucosinolates)가 있다.
콩은 이소플라본(isoflavone), 사포닌(saponin), 레시틴(lecithin), 아미노산(amino acids)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어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며, 항암과 항산화 작용 뿐만 아니라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조예>
상기 제 1 치료제는 능소화 100g, 동백꽃잎 100g, 자귀나무잎 400g, 진달래 300g, 민들레 300g에 물 1,200 ~1,600 ml, 바람직하게는 1,400 ml를 넣고 가열하여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중탕한 후 실온에서 5~7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숙성하여 정제한 것과, 양파 200g, 쇠비름 300g 및 알로에 400g을 믹서에 넣고 물 1,800~2,200ml, 바람직하게는 200ml를 혼합하여 분쇄한 후 즙을 정제한 것과, 오징어뼈 400g을 분쇄하여 400~800ml, 바람직하게는 600ml의 물에 넣고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중탕 가열한 후 실온에서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숙성하여 정제한 것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치료제는 목련화 100g, 부추 300g, 머위 100g, 상추 400g을 분쇄하여 물 700~1,100ml, 바람직하게는 900ml를 넣고 가열 증류하여 얻은 액기스와, 무 400g을 0.5cm~2cm, 바람직하게는 1cm의 크기로 토막을 내어 소금에 절인 후 물 200~600ml, 바람직하게는 400ml를 넣고 가열하여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중탕한 후 정제한 것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3 치료제는 개나리 200g, 생강 100g, 도라지 100g, 다시마 300g, 멸치 700g에 물 1,800~2,200ml, 바람직하게는 2,000ml를 넣고 가열하여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중탕한 후 실온에서 5~7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숙성하여 정제한 것과, 감자 400g에 물 400~800ml, 바람직하게는 600ml를 넣고 가열하여 증류한 액기스와, 함초 100g에 물 50~150ml, 바람직하게는 100ml를 넣고 가열하여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중탕한 후 실온에서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숙성하여 정제한 것과 녹두 300g을 발효 숙성시킨 후 물 300~700ml, 바람직하게는 500ml를 넣고 믹서에 갈아 1~3회, 바람직하게는 2회 정제한 것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4 치료제는 우슬초 700g, 녹차잎 200g, 마늘 200g에 물 900~1300ml, 바람직하게는 1,100ml를 넣고 가열하여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중탕한 후 실온에서 5~7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숙성하여 정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5 치료제는 뽕나무잎 900g, 옻나무잎 200g, 산초 100g, 미역 600g에 물 1,600~2,000ml, 바람직하게는 1,800ml를 넣고 가열하여 3~5시간, 바람직하게는 4시간 중탕한 후 실온에서 5~7시간, 바람직하게는 6시간 숙성하여 정제한 것과, 양배추 400g을 0.5~2cm, 바람직하게는 1cm의 크기로 토막을 내어 소금에 절인 후 물 200~600ml, 바람직하게는 400ml를 넣고 가열하여 30분~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중탕한 후 정제한 것과, 콩 700g을 발효 숙성시킨 후 물 300~700ml, 바람직하게는 500ml를 넣고 믹서에 갈아 1~3회, 바람직하게는 2회 정제한 것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정제의 방법으로는 상부 황토층 3~7cm, 바람직하게는 5cm와 하부 활성탄층 10~30cm, 바람직하게는 20cm의 정제탑에서 4~8회, 바람직하게는 6회 반복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혼합할 때에는 최초 중량부의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은 분무 형태로 아토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말과 외용 연고의 제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토피 치료 및 예방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화장 재료로 적용할 수 있다.
<시험예 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아토피 피부염, 피부 소양증 피부상처 회복, 피부 부종, 피부 통증 등에 효능을 갖는 제 1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과 피부 가려움증 환자 10명에 대해 1개월간 적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기간 중 피부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단하였다. 가려움증을 호소하는 경우에 즉시 1~3회 피부에 분무하였고, 피부 발진과 성처에는 1일 5~10회 분무하였다.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정도 대상자수 가려움증 소실 시간 정상 피부 회복에 걸리는 시간
아토피 피부염으로 피부에 중등도의 상처가 있는 경우 5명 2.1±3.4초 7.2±10.5일
아토피 피부염으로 피부에 경미한 피부 발적이 있는 경우 4명 1.7±1.4초 0.5±0.6일
가려움증의 소실 시간은 아토피 피부염으로 피부에 중등도의 상처가 있는 경우는 2.1±3.4초로 5초 이내 가려움증이 사라졌고, 정상 피부 회복에 7.2±10.5일이 소요되었다. 아토피 피부염으로 피부에 경미한 피부 발적이 있는 경우에는 가려움증의 소실 시간은 1.7±1.4초로 본 혼합 조성물을 분무하자마자 사라졌고, 대부분의 피부 발적은 분무 당일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1명은 경미한 피부 발적이 있었으나 약화되었고, 악화원인은 옻에 민감한 피부인 것으로 나타나 옻에 민감한 아토피 피부염에 본 조성물의 사용은 주의를 요한다.
<시험예 2>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벌레 물림 효능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아토피 피부염, 피부 소양증 피부상처 회복, 피부 부종, 피부 통증 등에 효능을 갖는 제 1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모기에 물린 실험 대상자 10명에 대해 물린 피부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1 내지 3회 분무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실험은 가려움증이 완전히 소실될 때까지 반복하여 본 조성물을 분무하였으며, 분무횟수, 분무시 가려움증 소실시간, 정상 피부 회복 시간을 조사하였다.
모기에 물린 실험 대상자수 분무횟수 분무시 가려움증 소실 시간 정상 피부 회복에 걸리는 시간
10명 3.7±2.2회 12.1±5.4초 107.2±49.5분
모기에 물린 실험 대상자 10명에게 본 발명 조성물을 분무한 결과 10명 모두 가려움증이 해소되었으며, 모기에 물린 피부가 발적 돌출되었다가 107.2±49.5분 경과 후 정상 피부로 회복되었다. 분무시 가려움증 소실시간은 12.1±5.4초였으며 가려움증 소실될 때까지 3.7±2.2회 분무하였다.
<시험예 3>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탈취 효능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탈취, 살균, 방부 등에 효능을 갖는 제 5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을 겨드랑이 냄새, 발 냄새, 냉장고 냄새, 김치 및 석유 등의 냄새가 나는 곳에 1 내지 3회 분무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의 표 3과 같다. 실험은 냄새가 완전히 소실될 때까지 일정시간 반복하여 본 조성물을 분무하였으며, 분무횟수와 냄새 소멸시간을 조사하였다. 김치 냄새는 옷에 김치국물을, 석유 냄새는 손에 석유를 분무한 후 실험하였다.
냄새의 종류 분문횟수 냄새 소멸 시간
겨드랑이 냄새 1회 즉시
발 냄새 1회 즉시
냉장고 냄새 1회 즉시
김치 냄새 1회 즉시
석유 냄새 5회 20분
겨드랑이, 발, 냉장고, 김치 등의 냄새는 본 발명 조성물 1회 분무로 즉시 소멸되었으며, 석유의 경우 5회 20분 정도 걸려서 소멸되었다.
<시험예 4>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비염 효능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비염에 효능을 갖는 제 2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비염 증세를 호소하는 여자 3명, 남자 2명에 대해 본 조성물의 치료 효과를 조사하였는데, 남자 1명을 제외하고 4명에게서 비염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모든 대상자가 1회 분무로 재채기와 콧물을 억제할 수 있었다. 비염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남자 1명은 꽃가루 알레르기가 심하였으며,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경우에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5>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습진 효능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습진에 효능을 갖는 제 3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주부 습진을 호소하는 3명의 환자에게 본 조성물을 1 내지 3회 분무한 결과 모두 가려움증이 해소되었고, 습진으로 인한 피부도 매일 수시로 분무한 결과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시험예 6>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을 통한 효능 중 무좀 효능에 대한 시험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시험에서는 제 1 내지 제 5 치료제가 함께 사용된 조성예를 가지고 시험을 진행하였으나, 무좀에 효능을 갖는 제 4 치료제만으로도 거의 동일한 효능을 거둘 수 있다.
무좀을 호소하는 5명의 환자에게 본 조성물을 매일 3 내지 10회 분무한 결과 5명 모두 우선 가려움증이 해소되었으며, 4명에게서 실험 2주 후 무좀으로 인한 피부 상태가 호전되었으나, 1명은 무좀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치료제로서, 능소화, 동백꽃잎, 자귀나무잎, 진달래, 민들레, 양파, 쇠비름, 알로에 및 오징어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치료제로서, 목련화, 부추, 머위, 상추 및 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제 3 치료제로서 개나리, 생강, 도라지, 다시마, 멸치, 감자, 함초 및 녹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제 4 치료제로서 우슬초, 녹차잎 및 마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제 5 치료제로서 뽕나무잎, 옻나무잎, 산초, 미역, 양배추 및 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치료제는 능소화 2~6 중량%, 동백꽃잎 2~6 중량%, 자귀나무잎 14~18 중량%, 진달래 10~14 중량%, 민들레 10~14 중량%, 양파 6~10 중량%, 쇠비름 10~14 중량%, 알로에 14~18 중량% 및 오징어뼈 14~1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료제는 목련화 4~10 중량%, 부추 20~26 중량%, 머위 4~10 중량%, 상추 27~33 중량% 및 무 27~3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치료제는 개나리 7~11 중량%, 생강 2~6 중량%, 도라지 2~6 중량%, 다시마 11~15 중량%, 멸치 29~33 중량%, 감자 16~20 중량%, 함초 2~6 중량% 및 녹두 2~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4 치료제는 우슬초 60~66 중량%, 녹차잎 15~21 중량% 및 마늘 15~2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5 치료제는 뽕나무잎 31~35 중량%, 옻나무잎 5~9 중량%, 산초 1~5 중량%, 미역 20~24 중량%, 양배추 20~24 중량% 및 콩 24~2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0140089761A 2014-07-16 2014-07-1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9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61A KR20160009758A (ko) 2014-07-16 2014-07-1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61A KR20160009758A (ko) 2014-07-16 2014-07-1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58A true KR20160009758A (ko) 2016-01-27

Family

ID=5530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61A KR20160009758A (ko) 2014-07-16 2014-07-16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7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62B1 (ko) * 2016-06-29 2017-04-06 정용선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20190066919A (ko) * 2017-12-06 2019-06-14 조태희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이 함침된 물티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62B1 (ko) * 2016-06-29 2017-04-06 정용선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20190066919A (ko) * 2017-12-06 2019-06-14 조태희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이 천연 방부제 조성물이 함침된 물티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war et al. Moringa oleifera: a food plant with multiple medicinal uses
Chauhan A pilot study on wheat grass juice for its phytochemical, nutritional and therapeutic potential on chronic diseases
Toma et al.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Moringa oleifera
KR101674307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식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597636B1 (ko) 일라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팩
Abd Elgadir et al. Carica papaya as a source of natural medicine and its utilization in selected pharmacetical applications
RU2451518C2 (ru) Травяной состав для заживления ран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Sagbo et al. Plants used for cosmetics in the Eastern Cape Province of South Africa: A case study of skin care
KR20190058851A (ko) 식물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친환경성 위생조성물
CN105901038A (zh) 防治蔬菜根线虫的植物杀虫剂及其制备方法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60009758A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1605623B1 (ko)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82819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101082820B1 (ko) 천연물 유래의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의제조방법
Prithiviraj et al. A review on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moringa oligofera
CN107669586B (zh) 一种纯天然腋下除味膏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23962B1 (ko) 친환경 천연성분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기능성 조성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101835661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가려움 완화와 피부염 예방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