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610A -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610A
KR20160009610A KR1020157034680A KR20157034680A KR20160009610A KR 20160009610 A KR20160009610 A KR 20160009610A KR 1020157034680 A KR1020157034680 A KR 1020157034680A KR 20157034680 A KR20157034680 A KR 20157034680A KR 20160009610 A KR20160009610 A KR 20160009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
brake
caliper
holding
tang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145B1 (ko
Inventor
볼프강 팔터
올리버 프리에부스
헬무트 예거
한스-크리스티안 융만
Original Assignee
와브코 유럽 비브이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067814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0961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와브코 유럽 비브이비에이 filed Critical 와브코 유럽 비브이비에이
Publication of KR2016000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3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 F16D65/0974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not subjected to brake forces acting on or in the vicinity of the pad rim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brake disc axis
    • F16D65/0977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 F16D65/0978Springs made from sheet metal acting on one pad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디스크는 회전축, 브레이크 캘리퍼, 백플레이트 조립체, 브레이크 캘리퍼 또는 백플레이트 조립체의 채널에 지지되고 가이드되는 브레이크-패드 플레이트 및/또는 압력 플레이트와 같은 동력 전달 엘리먼트, 동력 전달 엘리먼트를 홀드 다운(내리눌러 유지함)하기 위한 홀드-다운 스프링, 및 홀딩 장치에 의해 캘리퍼 상에 지지되고 유지되며 홀드-다운 스프링을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예응력을 가하고 전진 진행에서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회전 방향에 접선 방향으로 홀드-다운 스프링에 예응력을 가하는 홀드-다운 장치를 구비하며, 홀딩 장치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놓인 중심선을 가진다.

Description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CALIPER DISC BRAKE OF A VEHICLE, IN PARTICULAR A COMMERCIAL VEHICLE, AND HOLDING-DOWN DEVICE OF SUCH A BRAKE}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 디스크는 회전축, 브레이크 캘리퍼, 백플레이트 조립체, 브레이크 캘리퍼 또는 백플레이트 조립체의 채널에 지지되고 가이드되는 브레이크-패드 플레이트 및/또는 압력 플레이트와 같은 동력 전달 엘리먼트, 동력 전달 엘리먼트를 홀드 다운(내리눌러 유지함)하기 위한 홀드-다운 스프링, 및 홀딩 장치에 의해 캘리퍼 상에 지지되고 유지되며 홀드-다운 스프링을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예응력을 가하고 전진 진행에서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회전 방향에 접선 방향으로 홀드-다운 스프링에 예응력을 가하는 홀드-다운 장치를 구비하며, 홀딩 장치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놓인 중심선을 가진다.
서두에 언급한 타입의 브레이크는 예컨대 EP 394 707 B3에 개시되어 있다. 최신의 기술에 따르면 이 브레이크의 특징적 구성은, 이 목적을 위해 특별히 형성된 홀드-다운 스프링에서 적극적인 인터록 맞물림을 통해 반경방향 뿐만 아니라 접선방향으로도 예응력(pre-stressing)을 브레이크 라이닝에 가하기 위해 브레이크 캘리퍼에서 편심 인터록 지지체의 방식에 의한 홀드-다운 요크의 축방향 오프셋이다.
반경방향 및 접선방향 예응력의 기본적인 원리는 그 가치가 입증되었으며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더 높은 효율과 다목적성을 제공하기 위해 브레이크 캘리퍼 및 홀드-다운 시스템의 관련 부품에 대해 디자인 및 기능적인 변경이 가해진다.
도 1 및 도 2는 EP 694 707 B3에 따른 브레이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1은 브레이크 라이닝(11)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브레이크 캘리퍼 또는 백플레이트(back plate) 조립체의 채널 가이드에서 원주 방향 양측 및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이드되고 지지되며, 그 라이닝의 반경방향 외측 에지(edge)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이 지지되는데, 이는 그 중심선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은 반경방향으로 더 깊은 중심 영역(3)으로서 이로부터 더 높은 스프링 레그(6, 7)가 라이닝의 외측 에지를 따라 양측에서 바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포함하는데, 이는 비슷하게 대칭적으로 형성된 홀드-다운 요크(1)가 여기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 중심 영역에 적극적인 인터록으로 맞물릴 때 그 단부들이 브레이크 라이닝 상에 스프링 작용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홀드-다운 요크(1)는 둥근 소재로 형성된다. 스프링 예응력은 도 2와 같이 홀드-다운 요크(1)가 브레이크 캘리퍼의 인터록 개구에서 구동측에 고정될 때 발생하며, 그러면 다른 측에서는 휠림(wheel-rim)측에서 브레이크 캘리퍼의 베어링 블록에 볼트의 수단으로 분리가능하게 견고히 고정된다. 홀드-다운 요크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에서 지지된 브레이크 라이닝들의 설치/제거를 위해 기여하는 캘리퍼 개구에 걸쳐 브레이크 또는 중심축 A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브레이크 라이닝의 축방향에서, 홀드-다운 스프링들이 브레이크 라이닝에 결합되는데, 이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측 에지의 반경방향 숄더(12, 14)가 스프링의 길쭉한 개구(8, 9, 10)를 관통하기 때문이다. 스프링 레그는 단부에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측 에지의 추가적인 반경방향 숄더(13, 13)를 지지한다. 홀드-다운 스프링들은 리프 스프링으로 구현된다.
최신의 기술에 따르면 홀드 다운 스프링을 수단으로 하여 브레이크 라이닝에 작용하는 반경방향 및 접선방향 예응력은, 홀드-다운 요크(1)가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홀드-다운 스프링의 중심 영역(3)에서 적극적인 인터록(positive interlock)으로 맞물리고, 순차로 작동시 적극적 인터록과 브레이크 캘리퍼의 휠림측의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며, 항상 브레이크 디스크의 런아웃측을 향해 중심 또는 브레이크 축 A에 대해 전진 진행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방향으로 오프셋 x만큼 오프셋되어 있다는 점에 의해 생성된다. 그 결과, 대응하는 스프링 레그 또한 접선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홀드-다운 요크(1)의 편심된 적극적 인터록 지지를 위해, 필수적인 디자인 형상이 브레이크 캘리퍼 주조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야 하며, 이 디자인 형상은 또한 기계가공 작업을 거쳐야 한다. 홀드-다운 요크(1)를 위한 지지점은 따라서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 또는 브레이크 캘리퍼에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관련된 브레이크들이 축의 양측에 설치되어 거울 대칭 디자인의 것이 될 필요가 있다. 이는 최신 기술에 따른 브레이크 캘리퍼의 경우, 비대칭적인 지지 및 유지 영역을 만들기 위해 주조 패턴 디자인이 좌측 브레이크 및 우측 브레이크를 위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좌측 브레이크의 경우의 지지 및 유지 영역을 위한 후속 기계 가공 작업은 우측 브레이크의 경우의 그것과 다르다.
앞서 언급한 비대칭성으로 인해, 이 서로 다른 캘리퍼 디자인의 원리는 주조 및 기계가공에 의한 경제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브레이크 캘리퍼의 대량 생산에 대해 장애물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EP 694 707 B3에 따른 브레이크를 상기한 단점을 제거하면서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특정된 타입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를 더욱 효율적이고 더욱 다용도적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된 목적은 앞서 언급한 타입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접선방향 예응력이 중심선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측정된 홀드-다운 장치의 크기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크 런인(run-in)측보다 디스크 런아웃(run-out)측에서 더 크다는 사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한다는 점에서 성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홀드-다운 스프링의 접선방향 예응력이 캘리퍼의 비대칭성이 아니라 홀드-다운 장치의 비대칭성으로부터 나온다면, 홀드-다운 장치를 위한 홀딩 장치, 즉 바꾸어 말해 캘리퍼 상의 홀드-다운 요크를 위한 지지 영역은 대칭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 축 상의 홀드-다운 장치를 위한 유지 및 지지 영역에서 거울-대칭 디자인의 브레이크 캘리퍼는 주조할 디자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몰드를 더 이상 요구하지 않으므로, 그 장점은 명백하다. 게다가, 후속하는 기계가공도 표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다운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구동측에 놓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휠림측에 있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홀드 다운하는 홀드-다운 스프링이 아니라, 구동측에 놓인 브레이크 라이닝 및/또는 구동측에 유사하게 놓인 압력 플레이트를 홀드 다운하는 홀드-다운 스프링이 접선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기계적으로 부정적인 모멘트가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다운 장치가 반경방향 예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영역에 의해, 그리고 접선방향 예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영역에 의해 홀드-다운 스프링에 대해 지지되며, 제2 영역의 중심점으로부터 제1 영역의 중심점의 간격은 접선방향에서보다 반경방향에서 더 작다. 이 방식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으로 도입되는 힘의 영역들이 최대 굽힘 하중의 영역들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이 방식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은 기계적으로 상당히 하중이 덜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영역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비드가 더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위에서 이미 언급된 장점들이 이 방식에서 획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영역이 중심선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평면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향된다. 이 방식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의 역방향 이동 과정에서 약간의 상대적인 이동(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이것은 임계 영역에서 홀드-다운 스프링의 부하를 덜어준다.
앞서 설명된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에 더하여,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상기한 타입의 캘리퍼 디스크에 있어서 홀드-다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다운 장치를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 지지하는 홀딩 장치의 중심선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측정된 홀드-다운 장치의 크기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크 런인측에서 보다 디스크 런아웃측에서 더 크다.
상기한 타입의 홀드-다운 장치는,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 홀드-다운 장치를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한 홀딩 장치가, 중심선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대칭적인 경우에도 앞서 상세히 논의된 접선방향 예응력을 생성하는 데에 적합하며, 따라서 이점에 있어서 한편으로는 오른편 브레이크를 위한, 다른 한편으로는 왼편 브레이크를 위한 서로 다른 주조 몰드가 필요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다운 장치는 바람직하게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크 런아웃측 및 구동측 영역에 놓인 돌출부를 구비한다.
앞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홀드-다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비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축 방향에서 리세스가 제공되는데, 이 리세스의 옆 측면들은 홀딩 장치와의 상호 작용으로 접선방향 힘을 전달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 방식에서, 접선방향 예응력 생성을 위한 기계적으로 특히 간단한 해결책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 이 만입부는 중심선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평면에 대한 관계에서 대칭적이다. 이 방식에서, 홀딩 장치가 브레이크 캘리퍼 상에서 대칭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로부터 앞서 이미 언급한 장점들이 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욱 바람직하게 리세스는 구동측에 놓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코딩 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 리세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딩 장치는 휠림측에 놓인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최신 기술에 따른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략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브레이크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브레이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요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는 브레이크 캘리퍼와 홀드-다운 요크의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도 10은 홀드-다운 요크를 위한 브레이크 캘리퍼의 홀딩 영역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홀드-다운 요크를 위한 캘리퍼의 다른 홀딩 영역의 부분 개략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캘리퍼의 휠림측에서 홀드-다운 요크의 결속의 두 가지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8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스프링의 다양한 각도에서의 도면들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최신 기술에 따른 홀드-다운 스프링과 홀드-다운 요크의 상호 작용의 단면도들이다.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 A로 표시된 회전축을 포함한다. 전진 진행에서 회전 방향이 화살표 D로 표시되어 있다.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캘리퍼(20) 및 백플레이트(back plate) 조립체(22)를 포함하는데, 브레이크 캘리퍼는 프레임과 같이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 둘레를 움겨쥔다. 마찰 라이닝을 가진 금속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휠림측 브레이크 라이닝은 참조 번호 24로 표시되어 있고, 마찰 라이닝을 가진 금속제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동측 브레이크 라이닝은 참조 번호 26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압력 플레이트는 참조번호 28로 표시되어 있다. 이들 요소들은 동력 전달 요소들이다. 이들은 홀드-다운 스프링들(30, 32, 34)에 의해 홀드 다운되어 있는데, 바꾸어 말하자면 반경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26)과 압력 플레이트(28) 또한 접선 방향으로 예응력을 받는다.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측 모두에서 지지되는 브레이크 라이닝들의 설치/제거를 위한 캘리퍼 개구에 걸쳐 연장된 홀드-다운 요크(36)의 형태로 된 홀드-다운 장치는 상기 홀드-다운 스프링들(30, 32, 34)를 홀드 다운하는 데에 기여한다. 여기서 홀드-다운 요크(36)는 홀드-다운 스프링들(30, 32, 34)의 반경방향 예응력 뿐만 아니라 홀드-다운 스프링들(32, 34)의 접선방향 예응력도 담당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접선방향 예응력이 아니라 반경방향 예응력만이 홀드-다운 스프링(30)과 브레이크 라이닝(24)에 작용한다. 따라서 홀드-다운 스프링(30)과 브레이크 라이닝(24)의 접선방향 예응력으로부터 유래하는 모멘트가 회피되는데, 이 모멘트는 브레이크의 작동을 저해하고 슬라이딩 캘리퍼의 자유로운 슬라이딩에 영향을 준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캘리퍼인 브레이크 캘리퍼(20)는 홀드-다운 요크(36)를 잡고 지지하기 위한 홀딩 장치를 포함한다. 이 홀딩 장치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하는데, 바꾸어 말해 휠림측 영역(38)과 구동측 영역(40)이 그것이다. 평면도에서, 두 영역들은 회전축 A에 평행하게 놓인 중심선 M에 대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또한 회전축 A와 중심선 M에 의해 걸쳐진 반경방향 중심 평면 ME에 대한 관계에서도 대칭적이다. 이 대칭성은 홀딩 장치의 외곽선이, 캘리퍼가 좌측 또는 우측 브레이크용으로 디자인되는지와 관계없이 캘리퍼를 주조하기 위해 하나의 동일한 몰드가 사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홀딩 장치의 구동측 영역(40)의 성형부는 지붕 끝단형 디자인의 돌출부(42)이다. 그 횡방향 측면들(44, 46)은 접선방향 힘을 흡수하는 데 기여한다. 그 반경방향 내측 측면(48)은 반경방향 힘을 흡수하는 데 기여한다.
구동측에서, 홀드-다운 요크(36)는 돌출부(42)와 일치하도록 디자인된다. 예를 들어, 그것은 리세스(50)을 포함하는데, 이 리세스는 조립된 상태에서 돌출부(42)를 수용한다. 리세스(50)의 횡방향 측면들(52, 54)은 여기서 접선방향 힘들을 전달하는 데에 기여한다.반경방향 외측면(56)은 반경방향 힘들을 전달하는 데에 기여한다. 끼워진 상태에서, 그것은 브레이크 디스크를 마주보는 돌출부(42)의 내측 측면(48)에 지지된다.
캘리퍼(20)의 휠림측 영역(38)은 나사 홀(58)을 포함하는데, 홀드-다운 요크(36)를 고정하기 위해 여기로 볼트(60)가 나사결합된다. 구동측 영역(40)과 같이, 홀딩 장치의 휠림측 영역(38)은 중심선 M과 중심 평면 ME에 대한 관계에서 대칭적으로 디자인된다. 나사 홀(58)만이 대칭적으로 배치되지 않는데, 이는 오른편(왼편) 브레이크용 홀드-다운 요크가 왼편(오른편) 브레이크에 끼워지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그것은 주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캘리퍼의 실제 주조 이후에 드릴 및/또는 나사 커터(threaded cutter)에 의해 만들어진다.
코딩 장치가 홀딩 장치의 영역(38)에 제공된다. 이 목적을 위해, 도 11 및 도 12에 따르면 도 12와 같이 돌출부(62)에 맞는 개구(64)를 가진 하나의 홀드-다운 요크(36)만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62)가 기계가공 과정에서 남겨질 수 있다. 나사 홀(58)과 같이, 돌출부(62)는 주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를 대체하여 도 13과 같이 홀드-다운 요크(36)는 러그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러그들은 캘리퍼(20) 상의 상응하는 구조물 둘레를 움켜쥔다. 이는 단 하나의 일치하는 홀드-다운 요크(36)가 끼워질 수 있도록 재차 보장한다.
돌출부(62), 개구(64) 및 러그(66, 68)는 따라서 코딩 장치들이며, 단 하나의 일치하는 홀드-다운 요크만이 캘리퍼에 끼워지는 것을 보장한다.
홀드-다운 요크는 2가지 서로 다른 측면에서 비대칭적이다. 첫째로, 그것은 휠림측이 아닌 구동측에서만 접선방향 숄더들(70, 72)을 포함한다. 둘째로, 중심선 M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측정된 그 크기 V1, V2가 제1 돌출부(70)의 영역, 다시 말해 디스크 런아웃(run-out)측이 돌출부(72)의 영역, 다시 말해 디스크 런인(run-in)측보다 크다.
이런 형상은, 브레이크 캘리퍼(20)가 홀드-다운 요크(36)를 위한 그 홀딩 장치의 영역들(38, 40)에서 상응하는 비대칭적 디자인을 가질 필요 없이, 그리고 휠림측 브레이크 라이닝(24)에 작용하는 불리한 접선방향 예응력도 없이 구동측 브레이크 라이닝(26)과 구동측에 배치된 압력 플레이트(28)에 접선방향 예응력을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다른 스프링 예응력을 적용함으로써 홀드-다운 스프링들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의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손쉽게 가능하다. 이것은 도 7에서와 같이 점선으로부터 디스크 런아웃을 향한 방향으로 홀드-다운 요크의 폭 V1을 조정하는 것만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금속 판재 프레싱을 그에 맞는 형상으로 하는 것만이 필요할 뿐이다. 그러면 앞서 언급한 코딩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응하는 브레이크 및 사용 상태에 대해 정확한 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해 브레이크 캘리퍼의 주조 영역을 개조해야할 필요가 없다.
홀드-다운 요크(36)는 바람직하게는 성형된 금속 판재 프레싱으로서 제조되며 비드(bead)를 포함하는데, 이 비드는 중심선 M 및 반경방향 평면 R과의 관계에서 크기 V1과 V2 사이의 차이에 따라 오프셋되어 있다. 비드는 참조 번호 74로 표시되어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이것은 각각의 홀드-다운 스프링(30, 32, 34) 상에 평탄하게 지지되며 도 19에서와 같이 반경방향 예응력을 가하는 데에 기여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최신 기술에 대응하는 도 20에 따른 구성에서는 선형 베어링 접촉만이 존재한다. 이런 선형 베어링 접촉은 명백하게도 홀드-다운 스프링에 대해 도 19에 따른 평탄한 베어링 접촉보다 훨씬 더 큰 하중을 부여한다.
리프 스프링의 형태로 된 홀드-다운 스프링의 디자인 구성은 특히 도 14내지 도 18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그것은 두 개의 동일한 스프링 레그들(76, 78)과 그들 사이에 배치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사다리꼴의 중앙 영역(80)을 포함한다. 이완된 상태에서 사다리꼴 영역(80)의 두 개의 레그들은 각각 그 베이스에 대해 95°보다 큰 각도 α를 이룬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각도들은 117°이다. 2개의 인접한 스프링 레그들(76, 78) 각각과 함께 이들은 85°보다 작은 각도 β를 이룬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각도 β는 74°이다.
이 측면도에서 스프링들은 각이 져 있지 않다. 오히려 이완된 상태에서 이들은 각각의 경우에 사다리꼴 영역(80)의 두 레그들과 그 베이스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10mm 내지 16mm의 반경으로 각각 만곡되어 있는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13mm이고, 사다리꼴 영역(80)과 스프링 레그들(76, 78) 사이의 전이 영역에서 이들은 4mm 내지 9.5 mm의 반경으로 만곡되어 있는데,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7mm이다.
스프링 레그들(76, 78)은 도 14 내지 도 16과 같이 직선형 디자인의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디자인일 수도 있다.
홀드-다운 스프링(32) 상에 지지되는 돌출부(70)의 영역은 도 19에서 참조 번호 82로 표시되어 있다. 그 중심 M82는 반경 방향으로 거리 H만큼, 그리고 접선방향으로 거리 E만큼 중심 M74로부터 분리되어 있는데, 여기서 H < E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최신 기술에서 대응하는 베어링 접촉선(15, 16)은 도 20에서와 같이 H = E이다.
도면에 나타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최대 (압축) 응력인 P구역은 홀드-다운 스프링(32)에 놓이는데, 중앙 영역(74)과 스프링 레그(76) 사이의 전이 영역에 위치하며, 접촉 영역에서 브레이크 라이닝 또는 압력 플레이트의 반경방향 충격 또는 마찰에 기인하는 (광범위한) 최대 마모 영역으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사한 사용상태에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 20의 최신 기술에 따르면 선형 베어링 접촉만이 반경방향 접촉 영역에서 일어나므로, 여기서는 선형 베어링 접촉(화살표 참조)을 가진 반경방향 영역에서 최대 마모 구역이 홀드-다운 스프링 내의 최대 (압축) 응력인 영역 P와 직접적으로 그리고 밀착되게 인접하며, 따라서 H = E이다.
특히 도 19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 요크(36)는 단면상 바깥쪽, 바꾸어 말해 돌출부들(70, 72)의 끝단에서 경사진 구유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홀드-다운 스프링의 역방향 이동 중 약간의 상대적인 이동(슬라이딩)을 허용한다. 도 20과 같이 수직한 스프링 부분에 대해 지지되는 둥근 소재를 가진 최신 기술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자인은 임계 영역에서 응력 부하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또한, 도 1에 따른 최신 기술에서와 같이, 홀드-다운 스프링들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축방향으로 브레이크 라이닝에 결합된다. 왜냐하면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측 에지의 반경방향 숄더들(12)이 스프링의 두 개의 횡방향 스프링 레그들에 있는 연장된 개구들을 관통하기 때문이다. 결국 스프링 레그들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외측 에지의 추가적인 반경방향 숄더들(13, 13)에 대해 지지된다. 홀드-다운 스프링들은 리프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개별적이거나 어떠한 조합으로든 그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본질적인 것일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회전축(A)를 구비한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캘리퍼(20),
    백플레이트 조립체(22),
    브레이크-패드 플레이트(24, 26) 및/또는 압력 플레이트(28)와 같은 동력 전달 엘리먼트로서, 브레이크 캘리퍼 또는 백플레이트 조립체의 채널에 가이드 되고 지지되는 동력 전달 엘리먼트,
    동력 전달 엘리먼트들을 홀드 다운하기 위한 홀드-다운 스프링(30, 32, 34) 및
    홀딩 장치(38, 40)에 의해 캘리퍼 상에 홀드 다운되고 지지되는 홀드-다운 장치(36)로서, 홀드-다운 장치는 홀드-다운 스프링을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예응력을 가하되 홀드-다운 스프링을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해 전진 진행시 회전 방향(D)에 접선방향으로 예응력을 가하며, 홀딩 장치(38, 40)는 회전축에 평행하게 놓인 중심선(M)을 갖는 홀드-다운 장치를 구비한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접선방향 예응력은, 중심선(M)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측정된 홀드-다운 장치(36)의 크기들(V1, V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크 런인측보다 디스크 런아웃측에서 더 크다는 사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홀드-다운 스프링(32, 34)은 구동측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드-다운 장치(36)는 반경방향 예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영역(74)에 의해, 그리고 접선방향 예응력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영역(82)에 의해 홀드-다운 스프링(30, 32, 34)에 대해 지지되며, 제2 영역의 중심점(M82)로부터 제1 영역의 중심점(M74)의 간격은 접선방향에서보다 반경방향에서 더 작은(H < 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영역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비드(74)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영역은 중심선(M)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평면(ME)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의 디스크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에 있어서,
    홀드-다운 장치(36)를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캘리퍼(20) 상에 지지하는 홀딩 장치(38, 40)의 중심선(M)으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홀드-다운 장치의 크기들(V1, V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디스크 런인측에서 보다 디스크 런아웃측에서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크 런아웃측 및 구동측 영역에 놓인 돌출부(70)를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비드(74)를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회전축(A) 방향의 리세스(50)로서, 리세스의 옆 측면들(52, 54)이 홀딩 장치(38, 40)와의 상호 작용으로 접선방향 힘을 전달하는 데에 기여하는 리세스를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리세스(50)는 중심선(M)을 포함하는 반경방향 평면(ME)과의 관계에서 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리세스(50)는 구동측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드-다운 장치.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의 홀딩 장치로서,
    코딩 장치(62, 64; 66, 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코딩 장치(62, 64; 66, 68)는 리세스(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코딩 장치(62, 64; 66, 68)는 휠림측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딩 장치.
KR1020157034680A 2013-05-13 2014-05-02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 KR102218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8155.6 2013-05-13
DE102013008155.6A DE102013008155A1 (de) 2013-05-13 2013-05-13 Sattelscheibenbremse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s, und Niederhalteeinrichtung einer solchen Bremse
PCT/EP2014/001174 WO2014183838A1 (de) 2013-05-13 2014-05-02 Sattelscheibenbremse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s, und niederhalteeinrichtung einer solchen 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610A true KR20160009610A (ko) 2016-01-26
KR102218145B1 KR102218145B1 (ko) 2021-02-22

Family

ID=50678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680A KR102218145B1 (ko) 2013-05-13 2014-05-02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933028B2 (ko)
EP (1) EP2997278B2 (ko)
JP (1) JP6474387B2 (ko)
KR (1) KR102218145B1 (ko)
CN (1) CN105209778B (ko)
BR (1) BR112015026996A2 (ko)
DE (1) DE102013008155A1 (ko)
ES (1) ES2694108T5 (ko)
RU (1) RU2660203C2 (ko)
TR (1) TR201815859T4 (ko)
WO (1) WO20141838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335935S (en) * 1991-03-25 1993-05-25 Victoria Rouail Support bracket for a household appliance such as a hair dryer
DE102013008161A1 (de) 2013-05-13 2014-11-13 Wabco Europe Bvba Sattelscheibenbremse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Nutzfahrzeuges, und Bremssattel einer solchen Bremse
USD790417S1 (en) * 2014-08-05 2017-06-27 Freni Brembo S.P.A. Disc brake calliper body
DE102014019618A1 (de) * 2014-12-29 2016-06-30 Wabco Europe Bvba Scheibenbremse
DE102014019619A1 (de) 2014-12-29 2016-06-30 Wabco Europe Bvba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USD785520S1 (en) * 2015-07-20 2017-05-02 Freni Brembo S.P.A. Disc brake calliper
DE102015122558A1 (de) * 2015-12-22 2017-06-22 Bpw Bergische Achsen Kg Scheibenbremse sowie Niederhalter für die Befestigung von Bremsbelägen in einer Scheibenbremse
DE102017108175A1 (de) * 2017-04-18 2018-10-18 Bpw Bergische Achsen Kg Scheibenbremse und Niederhalter zur Befestigung von Bremspads
CN107152474B (zh) * 2017-05-24 2019-05-28 武汉元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气压盘式制动器压板固定机构及方法
IT201800006498A1 (it) * 2018-06-20 2019-12-20 Molla per pastiglie d'attrito in una pinza per freno a disco
EP3623656B1 (de) * 2018-09-17 2021-01-27 WABCO Europe BVBA Bremssattel einer scheibenbremse für kraftfahrzeuge
EP3899304B1 (en) * 2018-12-18 2023-06-07 Volvo Truck Corporation Wheel brake arrangement
USD894065S1 (en) * 2018-12-19 2020-08-25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Multi-piston caliper
EP3783243B1 (de) * 2019-08-22 2022-12-28 ZF CV Systems Global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aktuator für eine scheibenbremse
DE102019131840A1 (de) * 2019-11-25 2021-05-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20106296A1 (de) 2020-03-09 2021-09-23 Tmd Friction Services Gmbh Belagträgerplatte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s Kraftfahrzeugs sowie Verfahren zur deren Herstellung
EP3992486B1 (de) * 2020-10-29 2023-10-04 ZF CV Systems Europe BV Luftdruckbremse mit einer federstütze, sowie nutzfahrzeug mit einer luftdruckbremse
US20220333654A1 (en) * 2021-04-20 2022-10-20 Mando Corporation Caliper brak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4707A2 (de) * 1994-07-27 1996-01-31 Perrot Bremsen GmbH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Bremsbelages in einer Scheibenbremse
US20080264739A1 (en) * 2005-11-03 2008-10-30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Retaining Bracket for Fixing the Brake Linings of a Disc Brake
EP2050980A2 (de) * 2007-10-18 2009-04-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halterung einer Scheibenbremse sowie Bremsbelag
JP2009537765A (ja) * 2006-05-22 2009-10-29 ワブコ ラドブレムセ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このような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パッド支持体および圧力板
US20100116600A1 (en) * 2008-11-07 2010-05-13 Kno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Fixedly connected pad retaining spring for a brake pad
US20100252370A1 (en) * 2007-10-01 2010-10-07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Brake Pad Holder and Brake Pad of a Disc Brake
US20100276232A1 (en) * 2007-08-02 2010-11-04 Wabco Radbremsen Gmbh Disk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and hold-down spring of such a disk brake
WO2013045100A1 (de) * 2011-09-29 2013-04-04 Wabco Radbremsen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sowie niederhaltefeder einer solchen scheibenbrem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254223A1 (ru) * 1984-10-01 1986-08-30 Центральны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И Автомоторный Институт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DE4126196A1 (de) * 1991-08-08 1993-02-11 Teves Gmbh Alfred Schwimmrahmen-teilbelagscheibenbremse fuer hochleistungsfahrzeuge
JP2503084Y2 (ja) * 1991-11-05 1996-06-26 日信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キ
JPH10184745A (ja) * 1996-12-18 1998-07-14 Nissin Kogyo Kk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DE102005045877B3 (de) 2005-09-26 2007-02-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05052436B3 (de) * 2005-11-03 2007-08-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und Bremsbelag für eine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06002306B4 (de) * 2006-01-18 2015-08-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06039298B3 (de) * 2006-08-22 2008-04-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07049981B4 (de) * 2007-10-18 2009-07-3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 einer Scheibenbremse
ES2461118T3 (es) * 2008-01-22 2014-05-16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Freno de disco
DE102008010570B3 (de) * 2008-02-22 2009-10-29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 für eine Scheibenbremse
DE102008027052A1 (de) 2008-06-06 2009-12-2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DE102012108667A1 (de) * 2012-09-17 2014-03-2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nordnung eines Belaghaltebügels am Bremssattel einer Scheibenbremse sowie Bremsbelag
DE102012109783A1 (de) 2012-10-15 2014-04-1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nordnung eines Belaghaltebügels am Bremssattel einer Scheibenbremse
DE102012023813A1 (de) 2012-12-05 2014-06-05 Wabco Radbremsen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sowie Niederhaltefeder einer solchen Scheibenbrems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4707A2 (de) * 1994-07-27 1996-01-31 Perrot Bremsen GmbH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Bremsbelages in einer Scheibenbremse
US20080264739A1 (en) * 2005-11-03 2008-10-30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Disc Brake, in Particular for a Commercial Vehicle and Retaining Bracket for Fixing the Brake Linings of a Disc Brake
JP2009537765A (ja) * 2006-05-22 2009-10-29 ワブコ ラドブレムセ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ディスクブレーキ、このような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パッド支持体および圧力板
US20100276232A1 (en) * 2007-08-02 2010-11-04 Wabco Radbremsen Gmbh Disk brake, in particular for commercial vehicles, and hold-down spring of such a disk brake
US20100252370A1 (en) * 2007-10-01 2010-10-07 Knor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Brake Pad Holder and Brake Pad of a Disc Brake
EP2050980A2 (de) * 2007-10-18 2009-04-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Bremsbelaghalterung einer Scheibenbremse sowie Bremsbelag
US20100116600A1 (en) * 2008-11-07 2010-05-13 Knor-Bremse Systeme Fuer Nutzfahrzeuge Gmbh Fixedly connected pad retaining spring for a brake pad
WO2013045100A1 (de) * 2011-09-29 2013-04-04 Wabco Radbremsen Gmbh 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nutzfahrzeuge, sowie niederhaltefeder einer solchen scheibenbrem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94108T3 (es) 2018-12-18
US20160116009A1 (en) 2016-04-28
US9933028B2 (en) 2018-04-03
RU2660203C2 (ru) 2018-07-05
EP2997278B2 (de) 2022-07-20
BR112015026996A2 (pt) 2017-07-25
DE102013008155A1 (de) 2014-11-13
TR201815859T4 (tr) 2018-11-21
RU2015153065A (ru) 2017-06-19
EP2997278B1 (de) 2018-08-15
EP2997278A1 (de) 2016-03-23
KR102218145B1 (ko) 2021-02-22
JP2016517947A (ja) 2016-06-20
CN105209778A (zh) 2015-12-30
CN105209778B (zh) 2018-03-27
ES2694108T5 (es) 2022-10-11
WO2014183838A1 (de) 2014-11-20
JP6474387B2 (ja)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610A (ko) 차량, 특히 상업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그 브레이크의 홀드-다운 장치
US9816575B2 (en) Caliper disk brake of a vehicle
KR102181362B1 (ko) 차량, 특히 상용 차량의 캘리퍼 디스크 브레이크, 및 이러한 브레이크의 억제 스프링
US10119581B2 (en) Disc brake
KR102184028B1 (ko)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장착 및 유지 시스템 및 방법
RU267142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и удержания колодки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а
AU2012314456B2 (en) Disk brake, in particular for a utility vehicle, and brake lining for a disk brake
CN108474425B (zh) 铁道车辆用的制动摩擦衬片及采用其的铁道车辆用盘形制动器
EP2360387B1 (en) Self-ventilated brake disc
TWI600843B (zh) 碟式剎車裝置及用於碟式剎車裝置的剎車內襯墊
GB2519896A (en) Brake disc for railway vehicle
US9605721B1 (en) Wear optimized pad design
CA2586272A1 (en) Lining support plate a disc brakes
CN108603546B (zh) 车辆盘式制动器的制动衬片保持装置、制动衬片、制动衬片保持装置的弓形件
US10895292B2 (en) Disc brake, brake pad for a disc brake, and hold-down device for securing brake pads
US10890224B2 (en) Brake lining for a disc brake, disc-brake hold-down for brake linings of a disc brake
JP429510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ためのブレーキディスク
WO2002031376A1 (en) Separating brake disc
CN109891115B (zh) 制动盘毂和具有改进的车辆接口的制动盘
JP4319046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KR101921996B1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
EA012012B1 (ru) Дисковая тормозная колод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