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354A -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354A
KR20160009354A KR1020140089779A KR20140089779A KR20160009354A KR 20160009354 A KR20160009354 A KR 20160009354A KR 1020140089779 A KR1020140089779 A KR 1020140089779A KR 20140089779 A KR20140089779 A KR 20140089779A KR 20160009354 A KR20160009354 A KR 20160009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delivery point
information
sorting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filed Critical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Priority to KR1020140089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354A/ko
Publication of KR2016000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 B07C3/1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etection ofthe destination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detec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와,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하는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와,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위한 가상집배구와 가상배달점을 생성하는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집배순로구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은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에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순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순로정보에 의해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이 기계 정렬되기 때문에 집배원의 업무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ETTER SEQUENCING SORTER}
본 발명은 우체국의 우편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배순로구분기란 우편물에 적힌 받는 사람의 주소를 인식해 집배원의 배달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우편물을 정렬하여 구분해 주는 장비를 말한다.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란 이용자(신고자)가 이사, 전입, 전출 등으로 수취인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주소지에서 우편물을 받고자 하는 우편서비스이다.
상기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는 우체국 방문, 인터넷우체국, 집배원, 주민센터 전입신고 등을 통하여 신고/접수하면 기존 주소가 아닌 새로운 주소지로 3개월간 무료로 우편물을 전송/배달하는 제도이다.
또한, 도로명 주소란 도로에 이름을 붙이고 주택, 건물에는 도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여 도로명과 건물번호에 의해 표기하는 새로운 주소를 말한다.
최근 5년간 국내 이주율은 약 46%에 이르며, 이에 따른 신 주소로의 주소이전 신고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또한, 종래 지번 주소가 도로명 주소로 바뀜에 따라 공문서부터 주민등록증까지 일생생활에 사용되는 주소는 모두 도로명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우편물의 주소이전 신고 건수가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특히, 2010년 8월 안전행정부 전입신고와 우체국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 간 연계 시행 후 주소이전 신고의 접수건수가 대폭 증가하여 주소이전대상 우편물의 처리업무에 부하가 가중되었다.
종래의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는 접수 건당 1:1 모의우편물을 제작 후, 담당 집배원이 수작업을 통한 순로 구분 시 대상 우편물을 발견하였다.
또한, 집배순로구분기를 개발 당시, 주소판독시스템을 이용한 주소이전 우편물의 처리시스템도 병행 개발되었으나, 주배달점, 상세배달점, 수취인 이름까지 모두 정확히 판독 및 별도의 구분칸을 지정해야 하는 문제로 현재는 잘 활용되고 있지 않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우체국은 주소이전신고 접수 후 전송대상 우편물의 부착 라벨지를 실제 전송대상 우편물 유무에 관계없이 접수건당 1~2매 선출력하여 집배원에게 상세내역과 함께 인계한다.
2013년 경인지방우정청의 주소이전신고 접수건수는 667,582건(전국 2,222,665건)으로 모의우편물 667,582통(전국 2,222,665통)을 제작해야 하는 모의우편물 제작, 관리에 대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3년 경인지방우정청의 주소이전 서비스 처리 관련 민원은 연 1,774건으로, 각 우체국당 연 평균 47건으로 동 서비스에 대한 대국인 신뢰도 저하가 우려되는 실정이다.
종래의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는 집배순로구분기와 포스트넷 간에 연계가 되지 않아 주소이전신고 우편물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수취인 이름을 일일이 집배순로구분기에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집배원에게 인계한 라벨지는 절반 정도밖에 소진되지 않았으며, 서비스 이용기간 3개월이 종료된 후에 미사용된 라벨지는 폐기해야 함으로 예산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소이전 처리 업무 부하량 경감과 수반되는 불필요한 예산 낭비를 제거하고, 보다 정확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업무 개선된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가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의 순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순로정보에 따라 우편물을 정렬하는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은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에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순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순로정보에 의해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이 기계 정렬되기 때문에 집배원의 업무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집배원이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보다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으며, 발견된 우편물에 대해서만 새로운 주소를 적용한 라벨지를 후출력하여 부착함으로써 예산절감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예시도.
도3a는 본 발명의 집배순로구분기에 의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제1정렬방식에 관한 예시도.
도3b는 본 발명의 집배순로구분기에 의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제2정렬방식에 관한 예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방법에 관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은,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와,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하는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와,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위한 가상집배구와 가상배달점을 생성하는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집배순로구분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는, 최종배달점, 집배구, 주배달점, 상세배달점, 수취인 이름과 같은 주소이전 정보를 모두 판독하여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과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정보에 대한 순로정보 변경, 순로정보 되돌리기 또는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배순로구분기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1정렬을 수행하거나,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2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방법은,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가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가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가상집배구와 가상배달점을 생성하는 단계와, 집배순로구분기가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배순로구분 시스템(10)은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 집배순로구분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배순로구분 시스템(10)은 집배순로구분기에 있는 모든 우편물 중에서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발견하고, 그 발견된 우편물을 해당 새로운 주소지 구역에 정렬하여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는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기존 주소와 새로운 주소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포스트넷(postnet)은 정보통신 기반 우편물류통합정보 시스템으로, 우체국 택배와 국제특송(EMS)을 강화하기 위해 우편물에 RFID 칩을 달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그 우편물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상기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란 신고자가 이사, 전입, 전출과 같은 사유로 수취인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주소지에서 우편물을 받고자 하는 우편서비스이다.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는 주소이전 신고자가 제공한 기존 주소, 새로운 주소, 신고자 거주지의 구성원 이름과 같은 정보들이 저장되어 관리된다.
또한,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에 저장된 주소이전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에 제공되며,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제공된 신고자의 기존 주소를 변경된 새로운 주소의 해당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한다.
또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매칭된 상기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의 순로위치로 정보를 변경된다.
또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제공된 모든 주소이전 정보를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가 변경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위한 가상집배구(310)와 가상배달점(320)을 생성한다.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에서 생성된 가상집배구(310) 또는 가상배달점(320)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집배순로구분 시스템(10)의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 및 집배순로구분기(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집배순로구분 시스템(10)은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에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에 대한 주소정보의 순로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순로정보에 대한 가상집배구와 가상집배점을 생성하여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함에 따라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후속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예시도이다.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등록된 주소이전 정보(예: 기존 주소, 새로운 주소 등)를 제공받아 관리한다.
이때, 상기 주소이전 정보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수번호, 기존 주소(구주소), 새로운 주소, 세대주, 적용여부 또는 경과일수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들로 구성된다.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된 신고자의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해당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고, 이에 따른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새로운 주소의 순로정보로 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주소이전 정보의 최종배달점, 집배구, 주배달점, 상세배달점, 수취인 이름과 같은 주소이전 정보를 모두 판독하여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순로정보 되돌리기 기능을 통해 변경된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원래의 순로정보로 되돌릴 수 있으며, 데이터 삭제 기능을 통해 기존 주소, 새로운 주소 및 순로 변경된 기존 주소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상기 매칭된 정보에 대한 순로정보 변경, 순로정보 되돌리기 또는 데이터 삭제 기능을 수행하여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보다 용이하게 기계분류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3a는 본 발명의 집배순로구분기에 의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제1정렬방식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310)에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1정렬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점(320)에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2정렬을 수행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정렬방식은 순로구분 우편물의 끝에 가상집배구(310)를 생성하여 모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한다.
도3a의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는 신고자로부터 등록된 주소이전 정보를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에서 제공된 주소이전 정보의 기존 주소에 관한 최종배달점ID, 집배구ID 및 주배달점ID 정보를 새로운 주소의 최종배달점ID, 집배구ID 및 주배달점ID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한다.
즉, 도3a에 도시된 상기 이전 주소의 주배달점ID(435000006, 435313157)를 새로운 주소의 주배달점ID(990000001, 990000002)로 순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는 변경된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집배순로구분기에 있는 모든 우편물과 상기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구분하기 위한 가상집배구(310) 및 가상집배점(320)을 생성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순로구분 우편물의 끝에 생성된 가상집배구001 영역에 정렬할 수 있다.
도3b는 본 발명의 집배순로구분기에 의한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제2정렬방식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정렬방식은 각 집배구 끝에 가상배달점(320)을 생성하여 해당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한다.
도3b의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는 신고자로부터 등록된 주소이전 정보를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에 제공한다.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기존 주소의 최종배달점ID, 집배구ID 및 주배달점ID 정보를 새로운 주소의 최종배달점ID, 집배구ID 및 주배달점ID 정보에 매칭함으로써,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한다.
즉, 도3b에 도시된 상기 이전 주소의 주배달점ID(435000006, 435313157)를 새로운 주소의 주배달점ID(990000001, 990000002)로 순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는 변경된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집배순로구분기에 있는 모든 우편물과 상기 주소이전 신고된 우편물을 구분하기 위한 가상집배구(310) 및 가상집배점(320)을 생성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각 집배구 끝에 생성된 가상집배점(320) 영역에 정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가상집배구와 가상집배점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집배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함으로써, 관리자가 보다 용이하게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발견하고, 이에 따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100)는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한다(S10). 이후,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200)는 상기 주소이전 정보의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한다(S20). 이후, 상기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가상집배구(310)와 가상배달점(320)을 생성한다(S30). 이후,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한다(S40). 이때 상기 집배순로구분기(400)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310)에 모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1정렬방식을 수행하거나, 또는 각 집배구 끝에 생성된 가상집배점(320)에 해당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2정렬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배순로구분 시스템은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의 주소 이전 정보 저장에서부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를 활용하여 집배순로구분기의 주소 정보에 적용하기까지 소요시간이 짧아 집배원의 업무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담당 집배원의 부재시에도 처리 우편물을 당일에 발견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집배순로구분기의 정렬방법에 의해 발견된 주소이전 신고 대상 우편물에 대해서만 새로운 주소 라벨지를 후출력함으로써 예산절감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100 : 포스넷 데이터베이스
200 :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 300 :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
310 : 가상집배구 320 : 가상집배점
400 : 집배순로구분기

Claims (6)

  1.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와,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하는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와,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위한 가상집배구와 가상배달점을 생성하는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집배순로구분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는,
    최종배달점, 집배구, 주배달점, 상세배달점, 수취인 이름과 같은 주소이전 정보를 모두 판독하여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과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정보에 대한 순로정보 변경, 순로정보 되돌리기 또는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배순로구분기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1정렬을 수행하거나,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2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4. 포스트넷 데이터베이스가 주소이전 신고 서비스를 통해, 신고자로부터 새로운 주소이전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와,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가 기존 주소를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에 매칭하여, 상기 기존 주소의 순로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집배순로구분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변경된 순로정보를 저장하고,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의 가상집배구와 가상배달점을 생성하는 단계와,
    집배순로구분기가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 또는 가상배달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순로구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이전 정보 관리부는,
    최종배달점, 집배구, 주배달점, 상세배달점, 수취인 이름과 같은 주소이전 정보를 모두 판독하여 새로운 주소의 배달구 또는 배달점과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정보에 대한 순로정보 변경, 순로정보 되돌리기 또는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순로구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배순로구분기는,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구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1정렬을 수행하거나, 상기 생성된 가상집배점에 주소이전 신고 우편물을 정렬하는 제2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배순로구분 방법.
KR1020140089779A 2014-07-16 2014-07-16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93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79A KR20160009354A (ko) 2014-07-16 2014-07-16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779A KR20160009354A (ko) 2014-07-16 2014-07-16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54A true KR20160009354A (ko) 2016-01-26

Family

ID=5530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779A KR20160009354A (ko) 2014-07-16 2014-07-16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3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60296A (zh) 快件派送方式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1659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anagement of an address database
CN102456022B (zh) 短信管理方法和系统
CN103634420A (zh) 简历邮件筛选系统及方法
CN105173482A (zh) 垃圾分类方法及装置及系统
CN104504551A (zh) 一种电子商务物流系统及其分拣方法
CN102043796A (zh) 基于互联网的信息收集方法及装置
CN102710548A (zh) 跟踪电子邮件各收件人对邮件进行的操作的方法与系统
EP2091012A1 (en) Sort plan optimization
US202000199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mail path information
CN104778570A (zh) 快递收件方法及其系统
CN107194651A (zh) 一种用于快递末端投递的用户画像系统
CN103198396A (zh) 基于社会网络行为特征的邮件分类方法
US6006237A (en) Postal automated delivery system
US8903542B2 (en) Method of processing mailpieces, the method including combining the batches of mailpieces
CN103567153A (zh) 带智能化提示和检测功能的半自动挂号信分拣方法及系统
CN104203435B (zh) 用于测量在多网络邮政分拣系统中的行程时间的跟踪邮件的方法
KR20160009354A (ko) 집배순로구분 시스템 및 방법
CN107844960A (zh) 一种自动化智能分析商业计划书的投资分析工具
CN111461630A (zh) 派送快递包裹的监控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04314939U (zh) 一种电子商务物流系统
CN111268315A (zh) 一种社区化垃圾分类系统
CN101350018A (zh) 用于确定互联网用户区域分类及区域定向信息投放的方法
KR20100025386A (ko) 전자 우편 주소의 우편 주소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N111444868B (zh) 基于智能手机的票据验重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