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258A -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258A
KR20160009258A KR1020140089495A KR20140089495A KR20160009258A KR 20160009258 A KR20160009258 A KR 20160009258A KR 1020140089495 A KR1020140089495 A KR 1020140089495A KR 20140089495 A KR20140089495 A KR 20140089495A KR 20160009258 A KR20160009258 A KR 2016000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rtion
vertical
hook
coupling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538B1 (ko
Inventor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주)캠퍼스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캠퍼스라인 filed Critical (주)캠퍼스라인
Priority to KR1020140089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5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장대를 서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부에 놓이는 상판을 지지하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는
테이블을 지지하는 세로대와 가로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세로대 및 가로대 각각에 설치되며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세로대에 걸쳐지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U자형 측단면의 제1후크부, 상기 제1후크부의 저면 단부로부터 함몰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구는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역U자형 측단면을 가지는 제2후크부, 상기 제2후크부의 저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장치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두 장대를 서로 직각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의 상부에 놓이는 상판을 지지하는 가로대와 세로대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은 상판, 다리, 다리 사이를 연결하며 상판을 지지하는 세로대 및 가로대를 구비한다. 소형의 테이블에 있어서는 두 다리 사이에 세로대 및 가로대를 설치하지만, 대형의 테이블에 있어서는 두 다리 사이에 세로대를 설치하고, 양측 세로대 사이에 가로대를 가로질러 설치한 후 그 위에 상판을 올리게 된다.
이때, 양측 세로대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가로대는 꺽쇠 혹은 조인트(joint)를 사용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조인트는 세로대 및 가로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들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수용홈에 세로대 및 가로대를 삽입한후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세로대 및 가로대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단히 조이는 결합장치를 말한다.
그렇지만, 종래의 꺽쇠, 경첩, 조인트 등은 나사나 볼트 등을 사용하여 세로대 및 가로대에 고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분해/결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테이블이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 방식에 의해 조립하는 것이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위해 좋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로대와 세로대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간단한 끼워맞춤 방식에 의해 결합시킬 수 있게 하는 결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로대를 세로대의 연장 방향으로 흔들거나 가로대의 연장방향으로 흔들더라도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는
테이블을 지지하는 세로대와 가로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세로대 및 가로대 각각에 설치되며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세로대에 걸쳐지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U자형 측단면의 제1후크부, 상기 제1후크부의 저면 단부로부터 함몰된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구는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역U자형 측단면을 가지는 제2후크부, 상기 제2후크부의 저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후크부는 누운 s자 형태로 이중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며, 제2후크부는 제1후크부와 반대되는 형상의 절곡면을 가져서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는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삽입돌기도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져서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된다.
본 발명의 결합장치는 세로대와 가로대를 서로 결합함에 있어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게 되므로 테이블의 조립/분해를 위한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결합장치는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를 끼워맞춤에 의해 세로대와 가로대를 서로 결합시킬 뿐만 아리라 삽입홈과 삽입돌기를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가로대를 세로대의 연장 방향으로 흔들거나 가로대의 연장방향으로 흔들더라도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가로대를 세로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삽입홈과 삽입돌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후크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한쌍의 체결구(10, 20)를 갖는다. 제1체결구(10)는 세로대(100)에 걸쳐지는 걸림턱(12), 상기 걸림턱(12)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U자형 측단면의 제1후크부(14), 상기 제1후크부(14)의 저면 단부로부터 함몰된 삽입홈(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구(20)는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역U자형 측단면을 가지는 제2후크부(24), 상기 제2후크부(24)의 저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삽입돌기(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후크부(14)는 누운 s자 형태로 이중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며, 제2후크부(24)는 제1후크부(14)와 반대되는 형상의 절곡면을 가진다.
삽입홈(16)과 삽입돌기(26)도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져서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된다.
제1후크부(10) 저면에 설치된 관통공(16)은 나사 혹은 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이 관통공(16)을 통하여 나사 혹은 볼트를 삽입시켜서 가로대(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후크부(10) 및 제2후크부(20)는 가로대(20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하므로 강성이 있는 플라스틱이나 강철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리(300) 사이에 세로대(100)가 설치되고, 세로대(100) 사이에 가로대(200)가 가로질러 설치된다.
세로대(100)에는 제1후크부(10)이 걸쳐지고 가로대(200)의 단부에는 제2후크부(20)이 설치된다. 제1후크부(10)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세로대(100)에 고정된다. 제2후크부(20)는 나사 혹은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용접을 이용하여여 가로대(200)의 단부에 설치된다. 가로대(200)를 제2후크부(20)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경우에는 나사나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후크부(20)는 가로대(200)이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h)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로대(200)단부의 h만큼의 돌출된 부분은 제1후크부(10)의 저면에 걸쳐져서 지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가로대를 세로대에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먼저, 세로대(100)에 제1후크부(1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가로대(200)에 제2후크부(20)를 설치한다. 이때, 제2후크부(20)는 가로대(200)이 단부로부터 소정의 거리(h)만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후크부(10)와 제2후크부(20)를 맞추어 끼워맞춤한다.
제1후크부(14)는 누운 s자 형태로 이중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며, 제2후크부(24)는 제1후크부(14)와 반대되는 형상의 절곡면을 가지므로,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된다.
삽입홈(16)과 삽입돌기(26)도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져서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된다.
만일, 삽입홈(16)과 삽입돌기(26)가 없다면 가로대(20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운동에 의해 가로대(200)와 세로대(100) 사이의 결합이 헐거워질 수 있다. 그렇지만, 제1후크부(10)의 저면에 설치된 삽입홈(16)과 제2후크부(20)의 저면에 설치된 삽입돌기(26)가 서로 합치된 상태가 되면, 가로대(20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가로대(200)와 세로대(100) 사이의 결합이 헐거워지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삽입홈(16)과 삽입돌기(26)에 의해 세로대(100)와 가로대(200)를 결합시키는 기준점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예는 제2후크부(20)를 가로대(200)에 용접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삽입홈과 삽입돌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부(10)의 저면에 설치된 삽입홈(16)과 제2후크부(20)의 저면에 설치된 삽입돌기(26)가 서로 합치된 상태가 되면, 가로대(20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더라도 가로대(200)와 세로대(100) 사이의 결합이 헐거워지지 않게 된다.
도 6은 제1후크부의 고정상태를 도시한다.
제1후크부(10)는 용접 등을 이용하여 세로대(100)에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장치는 서로 끼워맞춤되는 한쌍의 체결구(10, 20)를 갖는다. 제1체결구(10)는 세로대(100)에 걸쳐지는 걸림턱(12), 상기 걸림턱(12)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U자형 측단면의 제1후크부(14), 상기 제1후크부(14)의 저면 단부로부터 돌출된 제2삽입돌기(11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구(20)는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역U자형 측단면을 가지는 제2후크부(24), 상기 제2후크부(24)의 저면 단부로부터 함몰된 제2삽입홈(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제1체결구 20...제2체결구

Claims (6)

  1. 테이블을 지지하는 세로대와 가로대를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세로대 및 가로대 각각에 설치되며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는 제1체결구 및 제2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구는 상기 세로대에 걸쳐지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연장되며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U자형 측단면의 제1후크부,
    상기 제2체결구는 상부 및 내부가 개방된 역U자형 측단면을 가지는 제2후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는 누운 s자 형태로 이중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가지며, 상기 제2후크부는 제1후크부와 반대되는 형상의 절곡면을 가져서 제1후크부와 제2후크부는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제1후크부의 저면 단부에서 함입된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2후크부의 저면 단부에서 돌출된 삽입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상기 삽입돌기는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가져서 끼워맞춤에 의해 서로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과 삽입돌기는 사다리꼴과 역사다리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제1후크부의 저면 단부에서 돌출된 제1삽입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후크부는 상기 제2후크부의 저면 단부에서 함입된 제1삽입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장치.

KR1020140089495A 2014-07-16 2014-07-16 결합장치 KR101730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95A KR101730538B1 (ko) 2014-07-16 2014-07-16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495A KR101730538B1 (ko) 2014-07-16 2014-07-16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258A true KR20160009258A (ko) 2016-01-26
KR101730538B1 KR101730538B1 (ko) 2017-04-26

Family

ID=5530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495A KR101730538B1 (ko) 2014-07-16 2014-07-16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52A (ko) * 2018-07-04 2020-0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조립이 용이한 태양광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226Y1 (ko) * 2002-07-05 2002-10-11 장근대 다기능 테이블 조립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652A (ko) * 2018-07-04 2020-01-14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조립이 용이한 태양광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538B1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13B2 (en) Beam frame assembly having joint device
KR20170136032A (ko) 무볼트 조립식 파이프 결합 브라켓트
KR20160004264U (ko) 배관 거치대
JP2013100704A (ja) 野縁取付構造
KR101730538B1 (ko) 결합장치
JP2010053661A (ja) 木製筋交の角部取付け構造
KR200475359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101656736B1 (ko) 조립식 가구용 연결구 및 그 연결구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JP5286525B2 (ja) 円筒支柱連結構造
KR20140005360U (ko) 조립식 탁자의 프레임 연결구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KR101571154B1 (ko) 스틸펜스용 고정클램프
JP2015183497A (ja) ボード取付金物
JP2014125848A (ja) 横桟取り付け構造
KR200371517Y1 (ko) 경량 칸막이 패널의 연결장치
JP5486559B2 (ja) 木造建物における柱の接合装置
KR20160003861U (ko) 금속 프레임 조립용 연결 브래킷 세트
JP4383928B2 (ja) 高さ変更可能な間仕切装置
JP2017008484A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JP2004190315A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3214818U (ja) 木材接続金具
JP2008190298A (ja) メタルフォームに用いる支保工の締付け金具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2005194804A (ja) 床板材連結金具及びこれを用いた床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