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145A -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145A
KR20160009145A KR1020140088956A KR20140088956A KR20160009145A KR 20160009145 A KR20160009145 A KR 20160009145A KR 1020140088956 A KR1020140088956 A KR 1020140088956A KR 20140088956 A KR20140088956 A KR 20140088956A KR 20160009145 A KR20160009145 A KR 20160009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plate
motor
housing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Original Assignee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엠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8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145A/ko
Publication of KR20160009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는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추락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부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바닥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승강기, 상기 승강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기 구동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일정구간 추락하는 승강기 추락체험과 상기 승강기의 하부가 개폐되어 체험자가 추락하는 다양한 추락체험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Drop Experiencing Apparatus for Safety Training}
본 발명은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 등에서 작업자를 작업현장에 투입하기 전 추락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추락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토록 하는 목적의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며, 특히, 작업자용 승용리프트의 급하강 및 작업자의 추락 안전사고와 같은 다양한 추락현상을 체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도 여전히 관계기관 및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각종 대형 사고의 피해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건축 현장에서의 재래형 사고들 또한 안전관리 요원이 상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 현장에서의 사고는 현장 책임자, 안전관리요원 그리고 무엇보다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안전확보 및 안전수칙에 대한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한다.
안전사고 사례자료에 의하면 건설 현장에서의 추락, 충돌, 낙하비래, 협착, 전도 등 재래형 재해가 전체 재해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재해들은 관계자나 사고 당사자들이 사전에 조금만 관심을 갖고 안전수칙 이행 및 안전장치의 착용에 주의를 기울였다면 피해 정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들이었으며, 결국, 무관심과 부주의로 인해 매년 그 피해 정도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건설 현장에서의 각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안전 관리 및 사전 교육이 필요하나,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건설 현장은 사전 교육이 재대로 되고 있지 아니할뿐더러 법적인 제재 또한 현실성이 없거나 그 한계로 인하여 현장의 많은 작업자들이 각종 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작업 전 각종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끊임없이 요구된다.
특히, 대단위 규모의 작업 현장이나 고소 작업 현장에는 곳곳에 추락사고의 위험성이 늘 상존하고 있는 것이며, 근래에 와서는 건축방법 기술의 발전으로 공사의 신속한 진행에 따른 작업자의 과도한 피로누적과 작업환경의 안전확보가 어려워는 문제에 대응하여야 하는 과제해결을 위한 작업자들의 안전의식은 물론이고, 사전 교육이 더욱더 절실히 요구된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대부분의 작업 현장에서는 안전관리 책임자가 일방적으로 작업자에게 전달하거나 단순히 주입식 교육에 그치고 있고 이러한 교육의 한계로 인해 작업자 스스로가 사고의 위험성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는 바, 여전히 사고 발생률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추락 체험 장치가 작동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추락 체험 장치가 작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종래에도 건설 작업자에게 추락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은 추락 체험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종래의 주지된 추락체험장치의 구조는 챔버(1)가 구비되고, 챔버(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는 위치에 발판(2)이 설치된다. 발판(2)은 챔버(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실린더(4)가 부설되어 있고, 챔버(1)의 하부에는 체험자를 보호하는 스펀지 등의 완충부재(3)가 구비된다.
도 1과 같이 체험자(10)가 발판(2) 위에 서있는 도중 도 2와 같이 발판(2)이 회전하면 체험자(10)가 하부로 추락하게 된다. 그리고, 체험자(10)가 추락 시 완충부재(3)에 의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추락 체험 장치는 작업자의 단순한 추락만을 체험하는 구조이며, 특히 작업자를 고소작업위치로 이동하는 작업자용 승용 리프트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안전운행조작의 부주의로 인한 급하강 추락과 같은 탈 것들의 추락에 의한 추락체험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 1: 한국등록특허 10-0835263 선행문헌 2: 한국등록실용 20-0227453 선행문헌 3: 한국등록실용 20-030383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승강기 낙하 체험 및 개구부 추락과 같은 다양한 추락 체험이 가능한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체험자가 추락 시의 느낌을 체험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추락 체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는 하우징, 승강기, 승강기 구동부, 플레이트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 이동 및 추락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기의 바닥에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바닥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승강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플레이트 구동부는 상기 플레이트를 개폐한다.
상기 승강기 구동부는 와이어, 윈치, 모터 및 클러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승강기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승강기를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윈치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상기 모터와 상기 윈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윈치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전기브레이크를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한 브레이크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중간감속위치센서를 포함되며, 상기 중간감속위치센서에 상기 승강기가 일정 높이만큼 추락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브레이크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모터의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최고위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최고위치센서에 상기 승강기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모터는 상기 승강기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실린더, 피스톤, 제 1 링크 및 제 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상기 실린더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는 일측이 상기 피스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는 일측이 상기 제 1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 또한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를 각각 개폐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일측에 한 쌍의 상기 피스톤이 결합되고, 타측에 한 쌍의 상기 제 1 링크가 결합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한 쌍의 상기 플레이트가 동시에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 내측 하부에 상기 승강기의 내부에서 추락하는 체험자가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일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체험자를 관찰할 수 있다.
체험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는 추락한 후 다시 상승하며, 이 후 상기 승강기의 바닥이 개방 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의 바닥은 승강기 추락체험시에 개폐방지를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승강기의 바닥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하나의 장치로 승강기 낙하 체험 및 개구부 추락 체험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의하면 불시에 승강기가 추락하거나 바닥이 개구되어 체험자가 추락 당시의 느낌을 생생히 체험함으로써 추락사고에 대한 간접경험으로 안전확보의 절실함을 고취하여 현장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추락 체험 장치가 작동하기 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추락 체험 장치가 작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사람이 탑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승강기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승강기가 추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승강기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지 않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완전히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승강기의 바닥이 개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는 체험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로 추락 체험을 마치고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사람이 탑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는 하우징(100), 승강기(200), 승강기 구동부(300) 및 플레이트 구동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지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일면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체험자(10)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체험자가 후술할 승강기(200)에 탑승할 수 있는 하우징 출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승강기(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승하강 및 추락하며, 승강기(200)의 일측에는 하우징 출입구(110)와 연통되는 승강기 출입구(220)가 형성되어 체험자가 이를 통하여 승강기(200) 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바닥에는 승강기(200)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플레이트(210)가 구비되어 바닥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로써, 체험자(10)가 승강기(200)에 탑승하면 승강기(200)가 상승하였다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 급격히 추락함으로써 체험자(10)는 실제 승강기(200)가 추락할 때의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승강기(200)는 추락 후 다시 상승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바닥에 구비된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하며 바닥이 개구되면서 체험자(10)가 하우징(100)의 바닥으로 추락할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10)는 실제 건설현장의 개구부 또는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체험 효과를 보다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승강기(200)의 추락 및 플레이트(210)의 회전이 체험자(10)가 인지하지 못한 순간에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체험자(10)가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600)로는 스펀지나 고무공 등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완충부재(600)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체험자(10)가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여 체험자(10)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플레이트(210)의 구동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승강기(2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추락시키기 위한 승강기 구동부(30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승강기 구동부(300)는 와이어(310), 윈치(320), 모터(330) 및 클러치(34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310)는 승강기(200)와 결합되며, 윈치(320)는 회전에 의해 와이어(310)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3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와이어(310)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승강기(200)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모터(330)는 윈치(320)와 연결되어 윈치(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터(330)는 전자브레이크(미도시)를 모터(330) 케이스 안에 내장한 브레이크 모터(330)일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제거되면 브레이크(미도시)가 풀려 모터(330)의 출력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되고,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면 브레이크(미도시)가 작동하여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
모터(330)와 윈치(320) 사이에는 클러치(340)가 구비되어 모터(330)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윈치(32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모터(330)와 클러치(340)가 이격되면 모터(330)의 구동력이 윈치(320)에 전달되지 않아 와이어(310)가 풀리면서 승강기(200)가 급격히 추락하고, 모터(330)와 클러치(340)가 맞닿으면 모터(330)의 구동력이 윈치(320)에 전달되어 승강기(200)가 모터(3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모터(33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하는 승강기 구동부(30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추락 체험 장치의 승강기 구동부(300)의 구성은 승강기(200)를 승하강 및 추락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승강기(200)를 상승시키는 모터(330)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이라 하고, 승강기(200)를 하강시키는 모터(330)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이라 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승강기가 상승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승강기(200)를 상승시킬 시에는 모터(3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330)에 내장된 브레이크(미도시)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클러치(340)는 모터(330)와 서로 맞닿은 상태로서, 모터(330)의 구동력이 그대로 승강기(200)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승강기 구동부(300)는 승강기(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최고위치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최고위치센서(35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최고위치센서(350)에 승강기(20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모터(330)는 승강기(20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최고위치센서(350)는 근접센서로서 하우징(100) 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승강기(2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상면과 매우 근접하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모터(330)는 승강기(20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는, 최고위치센서(350)는 터치센서로서 하우징(100) 내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승강기(200)가 최고위치센서(350)에 맞닿으면 모터(330)는 승강기(20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승강기가 추락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승강기(200)의 추락 시에는 클러치(340)가 모터(330)와 이격되기 때문에 모터(330)의 구동력 전달이 일시에 끊어져 윈치(320)에 감겨있던 와이어(310)가 풀릴 수 있다. 이로써, 승강기(200)는 급격히 추락할 수 있다.
승강기 구동부(300)는 승강기(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중간감속위치센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감속위치센서(37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기(200)의 추락 시 중간감속위치센서(370)에 승강기(200)가 일정 높이만큼 추락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클러치(340)가 모터(330)와 맞닿아 모터(330)의 구동력이 다시 윈치(320)에에 전달되고, 이와 함께 브레이크(미도시)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30)의 감속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승강기(200)는 일정 높이만큼은 매우 급속히 추락하나, 중간감속위치센서(370)에 승강기(200)가 감지된 이후로는 모터(330)의 감속에 의해 저속으로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 구동부(300)는 승강기(200)의 최저 위치를 감지하는 최저위치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저위치센서(36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승강기(200)가 추락 후 하강 시 최저위치센서(360)에 승강기(200)가 감지되면 모터(330)의 구동이 정지되어 승강기(200)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 후 본 실시예의 추락 체험 장치의 작동에 대해 다시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승강기(200)가 추락한 후 승강기(200)는 체험자(10)가 탑승한 상태에서 다시 최고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구동부(400)는 승강기(200) 바닥에 구비된 플레이트(210)를 개폐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승강기의 바닥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지 않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플레이트 구동부가 플레이트를 완전히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레이트(210)를 개폐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구동부(400)는 실린더(410), 피스톤(420), 제 1 링크(430) 및 제 2 링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420)은 일측이 실린더(410)에 삽입되어 실린더(4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430)는 일측이 피스톤(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2 링크(440)는 일측이 제 1 링크(4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플레이트(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피스톤(420)의 이동에 따라 제 1 링크(430) 및 제 2 링크(44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2 링크(440)와 결합된 플레이트(210)가 회전되어 바닥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실린더(410)는 공압실린더 일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린더(410)의 일 측에는 에어 컴프레서(미도시)가 구비되고, 실린더(410)와 에어 컴프레서 사이에는 압축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압축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실린더(410)의 하강속도를 제어하는 스피드콘트롤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실린더(410)는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열릴 때에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에서 통과된 압축공기가 상부로 유입되고, 플레이트(210)가 상부로 회전하여 닫힐 때에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에서 통과된 압축공기가 하단부로 유입되어 하강되도록 동작된다.
또한,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하여 바닥이 개구될 시 퀵밸브(미도시)를 통해 하강속도가 제어되어 플레이트(210)가 급격히 회전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하는 실린더(410)의 작동은 일 예에 불과하며, 플레이트(210)를 급격히 하부로 회전시켜 바닥을 개구시키고 다시 플레이트(210)를 상부로 회전시켜 바닥을 폐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식으로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는 일측이 서로 맞닿아 하나의 평면을 형성하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플레이트(210)는 승강기(200) 바닥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중앙이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10)가 한 쌍이 구비됨에 따라 플레이트 구동부(400) 또한 한 쌍이 구비되어 항 쌍의 플레이트(210)를 각각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플레이트(210)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에 한 쌍의 피스톤(420)이 결합되고, 타측에 한 쌍의 제 1 링크(430)가 결합되는 이동부(45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45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4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210)의 일측에는 한 쌍의 플레이트(210)가 닫혀 승강기(200)의 바닥이 폐쇄된 상태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2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 잠금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210)의 측면에는 각각 플레이트(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잠금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잠금돌기(212)의 거리는 서로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 잠금부(500)는 한 쌍의 잠금돌기(212)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바닥이 폐쇄된 상태에서 플레이트(210)를 고정하는 잠금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재(510)에는 ‘ㄱ’형상의 체결홈(512)이 형성되어 잠금부재(5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잠금돌기(510)와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잠금부(500)는 잠금부재(510)를 수평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200)의 바닥이 개구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잠금부재(510)의 체결홈(512)이 잠금돌기(212)와 체결되어 체험자(10)의 하중이나 플레이트(210)의 자중 또는 플레이트 구동부(400)의 오작동에 의해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200)의 바닥이 개구되기 직전에 잠금부재(51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잠금돌기(212)와 체결홈(512)의 체결이 해제되고, 이 후 플레이트 구동부(400)의 작동에 의해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승강기(2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체험자(10)가 승강기(200)에 탑승하면 승강기(200)가 상승할 수 있다.
승강기(200)의 상승 시에는 모터(330)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330)에 내장된 브레이크(미도시)에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며, 클러치(340)는 모터(330)와 서로 맞닿은 상태로서, 와이어(310)가 윈치(320)에 감겨 길이가 짧아지면서 모터(330)의 구동력이 그대로 승강기(200)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리고, 최고위치센서(350)에 승강기(200)가 일정 높이만큼 상승하였다는 신호가 감지되면 모터(330)는 승강기(200)의 상승을 정지시킬 수 있다.
승강기(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수 초 내지는 수 분이 지난 후 승강기(200)는 불시에 추락할 수 있다. 승강기(200)의 추락 시에는 클러치(340)가 모터(330)와 이격되기 때문에 모터(330)의 구동력 전달이 일시에 끊어져 윈치(320)에 감겨있던 와이어(310)가 풀릴 수 있다. 이로써, 승강기(200)는 급격히 추락할 수 있다.
승강기(200)가 추락하는 도중에도 모터(330)는 역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나, 클러치(340)와 모터(330)가 이격되어 모터(330)의 구동력이 윈치(320)에 전달되지 않을 뿐이다. 승강기(200)가 추락 시 감속위치센서(360)에 승강기(200)가 감지되면 모터(330)의 감속에 의해 승강기(200)는 저속으로 하강할 수 있다.
승강기(200)가 추락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승강기(200)는 다시 상승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기(200)가 상승한 상태에서 체험자(10)가 인지하지 못한 순간에 플레이트(210)가 하부로 회전하며 바닥이 개구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중 승강기의 바닥이 개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이 개구되면 체험자(10)는 승강기(200) 아래로 떨어지며, 완충부재(600)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어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체험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로 추락 체험을 마치고 출입구를 통하여 이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추락 체험 및 개구부 추락 체험이 완료되면 체험자(10)는 승강기 출입구(220) 및 하우징 출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나올 수 있다.
이로써, 체험자(10)는 승강기(200) 추락 체험과 개구부 추락 체험을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체험자 100: 하우징
110: 하우징 출입구 200: 승강기
210: 플레이트 212: 잠금돌기
220: 승강기 출입구 300: 승강기 구동부
310: 와이어 320: 윈치
330: 모터 340: 클러치
350: 최고위치센서 360: 최저위치센서
370: 중간감속위치센서 400: 플레이트 구동부
410: 실린더 420: 피스톤
430: 제 1 링크 440: 제 2 링크
450: 이동부 460: 가이드
500: 플레이트 잠금부 510: 잠금부재
512: 체결홈 520: 유압실린더
600: 완충부재

Claims (4)

  1.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하 이동 및 추락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닥에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고 열림방지장치를 포함하는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바닥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승강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승강기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위치센서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위치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로 승강기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승강기 구동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개폐하는 플레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구동부는;
    상기 승강기와 결합되는 와이어;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승강기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윈치;
    상기 윈치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윈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윈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
    를 포함하는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구동부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된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링크; 및
    상기 제 1 링크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 2 링크;
    를 포함하여 상기 피스톤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 및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가 개폐되는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체험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는 추락한 후 다시 상승하며, 상기 승강기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기의 바닥이 개구되는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KR1020140088956A 2014-07-15 2014-07-15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KR20160009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6A KR20160009145A (ko) 2014-07-15 2014-07-15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56A KR20160009145A (ko) 2014-07-15 2014-07-15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145A true KR20160009145A (ko) 2016-01-26

Family

ID=5530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56A KR20160009145A (ko) 2014-07-15 2014-07-15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1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9465A (zh) * 2019-07-09 2019-10-18 湖南沃阿汇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安全体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453Y1 (ko) 2001-01-19 2001-06-15 남창현 건설공사 현장용 안전체험 교육시스템
KR200303835Y1 (ko) 2002-07-02 2003-02-14 이봉희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KR100835263B1 (ko) 2008-02-20 2008-06-09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개구부 추락체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453Y1 (ko) 2001-01-19 2001-06-15 남창현 건설공사 현장용 안전체험 교육시스템
KR200303835Y1 (ko) 2002-07-02 2003-02-14 이봉희 안전체험 교육 구조물
KR100835263B1 (ko) 2008-02-20 2008-06-09 (주)영우산업 건축 공사 현장의 개구부 추락체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9465A (zh) * 2019-07-09 2019-10-18 湖南沃阿汇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安全体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3050B (zh) 一种轿厢式电梯防坠落安全系统的控制方法
CN103693539B (zh) 双翼层门开启保护装置
EP2495205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CN105916791A (zh) 设有安全装置配置的电梯
CN108455396A (zh) 电梯安全系统和监控电梯系统的方法
CN203269263U (zh) 电梯防坠自动保护装置
KR101569002B1 (ko) 엘리베이터 하부 점검용 안전시스템
CN108502661B (zh) 用于在电梯井道内的服务空间的安全系统
CN109923056A (zh) 电梯安全装置和电梯
CN205527144U (zh) 一种轿厢式电梯防坠落安全系统
KR20170121534A (ko) 지능형 승강 장치
US20090014253A1 (en) Braking mechanism for moving assemblies
JP5673703B2 (ja) エレベーター
EP3608281B1 (en) Elevator car apron
KR20160009145A (ko) 안전교육용 승강기 및 개구부 추락 체험 장치
CN114314233A (zh) 一种升降机升降安全智能操作控制系统
US20180208433A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JP7365814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KR200437138Y1 (ko)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장치
CN207390729U (zh) 一种电梯防坠缓冲底座
KR101654765B1 (ko) 안전교육용 안전벨트 추락 체험 장치
JP6081559B1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点検運転用安全装置
KR102555987B1 (ko)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