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030A -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 Google Patents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030A
KR20160009030A KR1020157032474A KR20157032474A KR20160009030A KR 20160009030 A KR20160009030 A KR 20160009030A KR 1020157032474 A KR1020157032474 A KR 1020157032474A KR 20157032474 A KR20157032474 A KR 20157032474A KR 20160009030 A KR20160009030 A KR 2016000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ncrete sleeper
solid
ring
anch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5490B1 (en
Inventor
아르놀트 피에링거
Original Assignee
레일.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일.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레일.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0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4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00Ballastway; Other means for supporting the sleepers or the track; Drainage of the ballastway
    • E01B1/002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 E01B1/007Ballastless track, e.g. concrete slab trackway, or with asphalt layers with interlocking means to withstand horizont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4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combined with inserts of wood or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것의 상부 섹션과 함께 콘크리트 침목(1) 내의 하면 리세스(9) 내로 삽입되고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링(14)에 의해 탄력적으로 장착되며 그것의 하부 섹션과 함께 고형 차로(23)의 상단 층 내의 충전 가능한 간격(19)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앵커 블록(12)을 갖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1)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침목(1)의 하면 상에 탄성 재료의 베이스(7, 8)가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in a concrete recess (9) in a concrete sleeper (1) together with its upper section and is resiliently mounted by a ring (14) made of elastomeric material and, together with its lower sec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rechargeable gap (19) in the upper layer of the concrete tread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1) of elastic material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tread (1) 7 and 8 are disposed.

Description

콘크리트 침목 및 고형 차로{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본 발명은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섹션이 콘크리트 침목 내의 하면 리세스(underside recess) 내로 삽입되고, 탄성중합체로부터 생산되는 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장착되며, 하부 섹션이 고형 차로의 상단 층 내의 충전 가능한 간격 공간(clearance)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앵커 블록(anchor block)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ane, wherein the upper section is inserted into an underside recess in the concrete sleeper and is resiliently mounted by a ring produced from an elastomer, And an anchor block that can be inserted into a rechargeable clearance within the rechargeable clearance.

독일실용신안 제 DE 202 13 667 U1호에서,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가 제안된다. 고형 차로는 하부 지지 층(supporting layer), 제1 적용된 아스팔트층 및 상단 층으로서 적용되는, 제2 아스팔트층을 포함한다. 상단 층은 앵커 블록이 삽입되는, 간격들을 갖는데, 그 결과 앵커 블록의 하부 섹션은 간격 내에 배치되고 앵커블록의 상부 섹션은 콘크리트 침목 내의 하면 리세스 내에 배치된다. 콘크리트 침목은 광폭 침목(wide sleeper)로서 형성되는데, 즉 두 인접한 콘크리트 침목 사이에 단지 작은 거리가 제공된다,. 그러한 고형 차로는 Getrak(등록 상표)의 명칭으로 출원자에 의해 제공된다.In German utility model DE 202 13 667 U1, a concrete sleepers for solid lorries are proposed. The solid lane comprises a lower supporting layer, a first applied asphalt layer and a second asphalt layer applied as a top layer. The top layer has spacings in which the anchor blocks are inserted so that the bottom section of the anchor block is disposed within the gap and the top section of the anchor block is disposed within the bottom recess within the concrete tread. Concrete sleepers are formed as wide sleeper, that is, only a small distance is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concrete sleepers. Such solid lanes are provided by the applicant under the name Getrak (R).

유사하게 구성된 고형 차로가 독일특허 제 DE 102 30 740 A1에서 설명된다. 콘크리트 침목 및 앵커 블록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링이 그 외부 면 상에 원뿔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에 의해 삽입을 더 쉽게 만든다. 콘크리트 침목의 하면 상에 상단 층에 생길 수 있는 불균질성을 보완하기 위한 얇은 부직포(nonwoven)가 있다. 콘크리트 침목은, 이러한 시스템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로부터 생산되는, 단단한 지지층 때문에 단단하게 박혀 있기 때문에, 이는 레일 차량들이 그 위를 지나갈 때 하중들을 흡수할 수 있고 세로 방향으로 이를 분산시킬 수 있는, 고 탄성의 패스닝(fastening)으로 장착된다.A similarly constructed solid lane is described in DE 102 30 740 A1. The elastic ring disposed between the concrete tie and the anchor block is conically shaped on its outer surface, thereby making insertion easier. There is a thin nonwoven to compensate for the heterogeneity that may occur in the upper lay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sleepers. Since the concrete sleeper is rigidly embedded in a solid support layer, usually produced from asphalt in the case of such a system, it can absorb loads when rail cars pass over it and can distribute it longitudinally And is mounted with elastic fastening.

탄성 중간층들을 갖는 그러한 고형 차로들은, 미진(tremor)과 구조체-전파 음(structure-borne sound)이 인접한 표면적들, 빌딩들 및 구조들에 전달될 수 있는, 질량 탄성 시스템을 나타낸다. 이러한 파동들은 가청 주파수 범위 내의 소음들(이차 공기 전파 음)을 야기하고 지면 또는 빌딩의 진동들을 야기한다. 그러한 고형 차로를 디자인할 때, 따라서 발생되는 미진들 또는 음향이 어떠한 외란(disturbance)도 나타내지 않는 특정 주파수 범위들에 한정된 채로 남아있는 것과 같이, 생산되는 주파수 범위 및 진동들의 진폭을 고정하는 것이 시도된다.Such solid lanes with elastic interlayers exhibit a mass-elastic system in which tremor and structure-borne sound can be transmitted to adjacent surface areas, buildings and structures. These waves cause noise (secondary air propagation noise) in the audible frequency range and cause vibrations of the ground or the building. When designing such a solid lane, it is attempted to fix the amplitude of the produced frequency range and vibrations, such that the resulting haze or sound remains confined to certain frequency ranges that do not exhibit any disturbance .

따라서 본 발명은 미진들이 보다 적게 인접한 영역들에 전달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object of providing a concrete railway for a solid lane in which hazards are transmitted to less adjacent area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도입부에 언급된 콘크리트 침목의 경우에서 탄성 재료의 베이스(base)가 콘크리트 침목의 하면 상에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it is provided that in the case of the concrete sleepers mentioned in the opening pa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base of the elastic material is arranged on the lower face of the concrete sleepers.

본 발명은 따라서 상당한 향상, 즉 가능한 한 부드러우면서도 선로와 잘 맞도록 선택되는 질량 탄성 시스템(mass-spring system)의 탄성 및 증가되는 탄성 위에 배치되는 질량에 의해 진동 배출의 감소가 달성될 수 있다는 발견을 기초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provides a significant improvement, i. E. A reduction in vibration emissions by mass placed on the elastic and increased elasticity of a mass-spring system which is chosen to be as smooth as possible, Based on discovery.

종래의 고형 차로의 경우에, 고탄성 레일 패스닝만이 탄성 특성(resilient property)들을 갖는다. 300-1200 ㎏의 상당한 질량을 가질 수 있는, 콘크리트 침목은 그러나 종래의 고형 차로의 경우에 상단 층 상에 단단하게 장착된다.In the case of conventional solid lanes, only high-elasticity rail fastenings have resilient properties. Concrete ties, which can have significant masses of 300-1200 kg, are however firmly mounted on the top layer in the case of conventional solid lanes.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대조적으로, 탄성 중합체의 베이스는 콘크리트 침목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탄성체(베이스) 상에 장착된 질량(콘크리트 침목)이 종래의 고형 차로의 탄성으로만 장착된 레일과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된다. 시험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결과로서, 미진들이 종래의 고형 차로와 비교하여 주위에 보다 적게 전달되는 것을 나타내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contrast, the base of the elastomer is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tie, whereby the mass (concrete tie) mounted on the elastic body (bas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The test results show that as a result of the concrete sleepers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ines are less conveyed aroun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solid lanes.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가 특히 바람직하다. 베이스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콘크리트 침목에 연결, 예를 들면 접착하여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made of an elastomer; In this case,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 is particularly preferable. The base may not be attached or may be connected to a concrete sleeper, for example by gluing.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경우에, 베이스는 정적 및 동적 요구조건에 따라 디자인되는데; 특히, 베이스의 두께 및 강도는 레일 차량들이 그 위를 지나갈 때, 레일들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적합하도록, 필요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침하(settlement)가 달성되도록 설정된다. 베이스는 바람직하게는 6㎜ 및 20㎜ 사이의 두께를 갖는데; 8㎜ 및 14㎜ 사이의 베이스 두께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한 베이스의 경우에, 침하는 1. 5㎜ 내지 4㎜에 도달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base is designed according to static and dynamic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e thickness and strength of the base are set such that a necessary or desired settlement is achieved so that when the rail cars pass over them, they are fitted in relation to the stability of the rails. The base preferably has a thickness between 6 mm and 20 mm; A base thickness of between 8 mm and 14 mm is particularly preferred. In the case of such a base, the settlement can reach 1.5 mm to 4 mm.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베이스는 일 면 또는 양 면 상에 부직포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may be provided with a nonwoven fabric on one side or both sides.

본 발명은 앵커 블록을 위한 하면 리세스의 영역 내에 간격 공간을 갖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적절하면, 간격 공간은 또한 침목의 단부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고, 따라서 앵커 블록은 어떠한 문제도 없이 장착될 수 있다. 앵커 블록은 반드시 둥글거나 또는 실린더형일 필요는 없으며, 게다가 이는 또한 직사각형 또는 육각형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베이스는 제1 베이스 섹션이 하나의 침목 블록 아래에 배치되고 제2 베이스 섹션이 제2의, 반대편 침목 블록 아래에 배치되도록,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디자인에 따라, 또한 베이스가 침목 블록 또는 레일 베드(rail bed) 아래에 그 완전한 표면 영역으로 형성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고; 대신에, 이는 예를 들면 레일 베드보다 좁게 만들어지는 스트립(strip)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aving a spacing space in the area of the bottom recess for the anchor block. If appropriate, a spacing space may also b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sleepers. This space can be circular or rectangular, and therefore the anchor block can be mounted without any problems. The anchor block need not necessarily be round or cylindrical, and may also be rectangular or hexagonal. Alternatively, the base may be formed in two parts, such that the first base section is disposed under one sleeping block and the second base section is disposed under the second, opposite sleeping block. Depending on the respective design, it may also be provided that the base is not formed in its complete surface area below the sleeping block or rail bed; Instead, it can be formed, for example, as a strip made narrower than the rail bed.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앵커 블록이 아래쪽으로 증가되는 지름을 갖는 스텝(step)을 갖는 것이 또한 예상되고, 스텝의 외부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둥글다. 둥근 스텝은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링이, 작동 동안에 수백만 번이 넘게 발생하는 움직임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It is also contemplated that the anchor block of the concrete sleep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ep with a diameter increasing downward, and the outer edge of the step is preferably round. The round step prevents the ring made of the elastomer from being damaged by movement that occurs over millions of times during operation.

종래 기술과 달리, 이러한 위치에 어떠한 날카로운 에지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중합체 링에 대한 손상이 방지된다.Unlike the prior art, there is no sharp edge in this position, so damage to the elastomeric ring is prevented.

앵커 블록의 스텝의 폭은 이 경우에 있어서 링이 앵커 블록의 스텝 상에 대략 그것의 반경 폭의 반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The width of the step of the anchor block is set such that the ring is located approximately half of its radial width on the step of the anchor block in this case.

링이 그의 상부 외부 모서리에 위치하는데 대해, 콘크리트 침목 내의 하면 리세스가, 주변(peripheral), 바람직하게는 둥근 스텝을 갖는 것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링은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침목의 스텝에 대하여, 대략 그 반경 폭의 반을 넘어 위치한다. 이는 직사각형 또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링이, 두 개의 대각선으로 반대편의 모서리 지점과 접촉하도록 놓여지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하중의 대상이 될 때 이는 전단 변형(shearing deformation)을 겪고 평행 사변형에 유사한 방법으로 변형한다. 이러한 변형의 원인은 링이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침목의 스텝에 대하여, 그 상부의, 외부 모서리에 위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앵커 블록의 스텝에 대하여 그 하부의 내부 모서리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만일 레일 차량들이 그 위를 지나갈 때 콘크리트 침목가 세로 하중의 대상이면, 우선 콘크리트 침목의 베이스 및 동시에 링은 세로 방향의 스프링 변위(spring deflection)을 겪고; 발생하는 수평력들은 앵커 블록을 통하여 지지층 내로 도입된다. 링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앵커 블록의 단면에 적용되는 다른 구성들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가장자리로서 형성될 수 있다.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bottom recess in the concrete tread has a peripheral, preferably round, step, as the ring is located at its upper outer edge. The ring is preferably located about half of its radial width relative to the step of the concrete sleeper. This means that a ring with a rectangular or approximate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corner points in two diagonals, so when subjected to a load it undergoes shearing deformation and in a similar way to a parallelogram . The cause of this deformation is that the ring is located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sleeper, on the one hand, and on the inner edge of the lower part, relative to the step of the anchor block, on the other. If the railway cars pass over them and the concrete sleepers are subject to longitudinal loads, then the base of the concrete sleepers and at the same time the ring undergoes longitudinal spring deflection; The generated horizontal forces are introduced into the support layer through the anchor block. The ring is preferably formed into a circl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other configurations which apply to the section of the anchor block, for example the ring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square or hexagonal edge.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경우에, 링은 그 결과 상단 및 하단에 고정되는데, 그 이유는 링이 콘크리트 침목 내의 간격의 스텝에 대해 또는 스텝 상의 상단에 위치하고 앵커 블록의 스텝에 대해 또는 스텝 상의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필수적인 것은 링이 그 외부 면 상의 상단에 그리고 그 내부 면 상의 하단에 장착되거나 또는 지지된다는 사실이다. 이는 장착된 콘크리트 침목의 특정한 세로 이동을 허용하는, 이전에 설명된 평행 사변형(전단 변형 같은)을 야기한다. 이러한 전단 변형은 이에 의해 링이 단지 적당한 하중의 대상이 되고, 그 결과 긴 내구 수명이 기대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the case of a concrete sleeper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the ring is therefore fixed at the top and bottom, since the ring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step or step with respect to the spacing in the concrete sleeper and with respect to the step of the anchor block, . What is essential here is the fact that the ring is mounted or supported at the top on its outer surface and on its bottom on its inner surface. This causes a previously described parallelogram (such as shear deformation), which allows for a particular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mounted concrete treadmill. This shear deform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ring is then subjected to only moderate loads, and as a result a long service life can be expected.

본 발명은 게다가 상단 층 또는 지지층 내에 박혀 있는, 설명된 형태의 다수의 콘크리트 침목을 포함하는 고형 차로에 관한 것이며, 상단 층 또는 지지층은 그것의 상부 면 상에 주조 화합물(casting compound)로 채워지는, 앵커 블록들을 위한 공간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solid lan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crete ties of the type described embedded in a top layer or backing layer, wherein the top layer or backing layer is filled with a casting compound on its top surface, And has a space for anchor blocks.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과 상세내용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면들을 개략적인 표현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로부터의 콘크리트 침목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고형 차로 내에 박혀 있는 침목의 가로 방향으로 절단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고형 차로 내에 박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침목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Further advantages and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rawings are schematic representations.
1 shows a side view of a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lan view of the concrete sleeper from Figure 1;
Figure 3 shows a transversely sectioned cross section of a sleeper embedded in a solid lane.
Figure 4 shows a longitudinal section view of a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embedded in a solid lane.

측면도 및 정면도로 도 1과 2에 콘크리트 침목(1)가 광폭 침목로서 도시되고 레일 베드(4, 5)가 형성되는 상부 면 상에 두 개의 침목 블록(2, 3)을 포함한다. 두 개의 침목 블록(2, 3)은 침목 블록들(2, 3)보다 작은 폭을 갖는(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중간 섹션(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설명되는 광폭 침목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 되는데, 그 이유는 콘크리트 침목은 또한 일부 다른 형태, 예를 들면 입방(cuboidal) 형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레일 베드들(4, 5) 및 중간 섹션(6)과 함께, 침목 블록들(2, 3)은 통합된, 일체식 부품을 형성한다. 침목 블록들(2, 3) 아래에 각각 탄성 재료의 베이스(7, 8)가 배치된다. 대표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베이스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PDM)로 구성되고 14㎜의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표시된 두께는 제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베이스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6 및 20㎜ 사이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베이스 두께는 콘크리트 침목의 강도 및 조정 주파수(tuning frequency)의 한계들 내에서 설정된다.As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the concrete sleepers 1 are shown in Figs. 1 and 2 as wide width sleepers and include two sleepers blocks 2, 3 on the upper face on which the rail beds 4, 5 are formed. The two sleeping blocks 2 and 3 are interconnected by an intermediate section 6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sleeping blocks 2 and 3 (as can be seen in figure 2), in this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wide width sleepers described are not limited in this respect because the concrete sleepers may also be in some other form, for example cuboidal. Along with the rail beds 4, 5 and the intermediate section 6, the sleeping blocks 2, 3 form an integrated, integral part. Bases 7, 8 of elastic material are arranged under the sleeping blocks 2, 3, respectively. In a representative preferred embodiment, the base is composed of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 and has a thickness of 14 mm. However, the displayed thickness is not to be understood as limiting; rather, the thickness of the base may generally be between 6 and 20 mm; The thickness of the base used is set within the limits of the strength of the concrete sleepers and the tuning frequency.

그것의 하면 상에, 콘크리트 침목(1)은 그것의 중간 섹션(6) 내에, 탄성 링을 갖는 앵커 블록이 삽입될 수 있는, 환상 리세스(9)를 갖는다. 장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침목(1)은 앵커 블록을 통하여 고형 차로의 지지층에 결합되고, 따라서 기초적인 지면 내로 수평력(horizontal force)들이 전달될 수 있다. 수직력들은 콘크리트 침목(1)로부터 베이스(7, 8)를 통하여 지지층 내로 도입된다. 고형 차로의 경우에, 적어도 매 두 개 또는 세 개의 콘크리트 침목마다 앵커 블록이 제공된다.On its lower surface, the concrete sleeper 1 has, in its middle section 6, an annular recess 9 into which an anchor block with an elastic ring can be inserted. In the mounted state, the concrete sleeper 1 is coupled to the support of the solid lane through the anchor block, so that horizontal forces can be transmitted into the foundation ground. Vertical forces are introduced into the support layer from the concrete sleeper 1 through the bases 7, 8. In the case of solid lanes, anchor blocks are provided for at least every two or three concrete sleepers.

도 3은 고형 차로 내로 장착된 후에, 그것의 리세스의 영역에서 가로 방향으로 절단된 섹션의 콘크리트 침목(1)을 도시한다. 콘크리트 침목(1)은 인장되지 않거나 또는 초기 인장된(pretensioned), 다수의 보강 로드(reinforcing rod, 10, 11)를 갖는다. 콘크리트 침목(1) 아래에 장착 밴드(mounting band, 13)에 의해 고정되는, 앵커 블록(12)이 배치된다. 앵커 블록(12) 및 콘크리트 침목(1) 사이에 탄성중합체로부터 생산되는 탄성 링(14)이 존재한다. 도 3에서 앵커 블록(12)은 스텝(15)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앵커 블록(12)은 스텝(15) 위에서보다 스텝(15) 아래에 더 큰 지름을 갖는다. 링(14)의 모서리가 위치하는, 앵커 블록(15)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에지는 둥글다. 도 3에서 또한 링(14)은 둥근 스텝(15) 상에 대략 그것의 폭의 반에 위치하고; 링(14)의 외부 모서리는 리세스(9)의 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링(14)의 외부 모서리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링(14)은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약간 이동할 수 있다. 앵커 블록(12)의 상부 면 및 리세스(9)의 하면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Figure 3 shows a concrete sleeper 1 of a section cut laterally in the region of its recess after being mounted into a solid lane. The concrete sleeper 1 has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10, 11 which are untensioned or initially pretensioned. An anchor block 12 is disposed below the concrete sleeper 1 and fixed by a mounting band 13. There is an elastic ring 14 produced from an elastomer between the anchor block 12 and the concrete sleeper 1. It can be seen in Figure 3 that the anchor block 12 has step 15. The anchor block 12 has a larger diameter below the step 15 than above. The outer edge formed by the anchor block 15, where the edge of the ring 14 is located, is round. 3, the ring 14 is also located approximately half its width on the round step 15; It can be seen that the outer edge of the ring 14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recess 9. The outer edge of the ring 14 is not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ring 14 can move at least sligh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mpty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anchor block 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ss 9.

콘크리트 침목(1) 내의 리세스(9)는 바깥쪽으로 증가되는 지름을 갖는, 주변 스텝(peripheral step, 17)을 갖고, 링(14)은 이러한 스텝(17)에 대하여 그것의 상부 외부 모서리에 위치한다. 스텝(15)과 같이, 스텝(17)은 둥글고, 이에 의해 스텝이 하중 하에서 변형을 겪을 때 링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도 3에서 링(14)이 콘크리트 침목(1) 내의 리세스(9)의 스텝(17)에 대하여 대략 그것의 반경 폭의 반 이상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The recess 9 in the concrete tread 1 has a peripheral step 17 with an outwardly increasing diameter and the ring 14 is located at its upper outer edge with respect to this step 17 do. Like step 15, step 17 is roun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ring when the step undergoes strain under load. It is shown in Figure 3 that the ring 14 is located at about half its radial width relative to the step 17 of the recess 9 in the concrete tread 1.

고형 차로의 생산에 있어서, 아스팔트 지지 층(18)에 앵커 블록들(12)을 위한 간격(19)이 제공된다. 간격(19)은 실린더 형태이고 앵커 블록(12)의 크기에 적응되며; 간격(19)의 깊이는, 빈 공간(20)이 콘크리트 침목과 함께 삽입되는 앵커 블록 아래에 존재하고 콘크리트 침목(1)의 위치결정 및 정렬 이후에 연이어 주조 화합물 또는 주조 모르타르(21)로 주조되도록 선택된다. 주조 화합물(21)이 도입되는 주조 슬릿(casting slit, 22)들이 간격(19)으로부터 측면으로 신장한다.In the production of solid lanes, the asphalt support layer 18 is provided with an interval 19 for the anchor blocks 12. The gap 19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and is adapted to the size of the anchor block 12; The depth of the gap 19 is such that the void space 20 is present below the anchor block which is inserted with the concrete treadmill and is subsequently cast into the casting compound or casting mortar 21 after the positioning and alignment of the concrete treadmill 1 Is selected. Casting slits 22 into which the casting compound 21 is introduced extend laterally from the gap 19.

콘크리트 침목(1)은 종래의 고형 차로와 달리 고탄성의 레일 패스닝이 아닌, 레일 패스닝들을 갖는다. 사용되는 레일 패스닝들은 세로 및 측면 방향으로의 보상을 허용한다. 세로 보상은 다양한 두께의 심(shim)들에 의해 가능하고, 측면 보상은 다양한 폭의 각진 가이딩 플레이트(guiding plate)에 의해 가능하다. 게다가, 레일 및 콘크리트의 표면 사이에 배치되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로 구성되는, 단단한 중간층이 존재한다.The concrete sleepers 1 have rail fastenings rather than high-elasticity rail fastening, unlike conventional solid lanes. The rail fastenings used allow for longitudinal and lateral compensation. The longitudinal compensation is possible by shims of various thicknesses, and side compensation is possible by angled guiding plates of various widths. In addition, there is a solid intermedia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rails a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and consisting of ethylene vinyl acetate (EVA).

도 4는 레일 패스닝(25)에 의해 지지되는, 레일(24) 상에 장착되는, 콘크리트 침목(1)을 포함하는 고형 차로(23)를 도시한다. 콘크리트 침목(1)은, 앵커 블록(12)을 통하여, 아스팔트 지지 층(27) 위에 위치한 아스팔트 상단 층(26)에 연결된다.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아스팔트 지지층은 서리 방지 층(28) 상에 장착된다. 고형 차로 위를 지나갈 때 발생하는 하중은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침목(1) 아래에 배치되는 베이스들(7, 8)을 통하여 아스팔트 상단 층(26)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1.4-4 ㎜의 침하가 발생한다. 이는 콘크리트 침목(1)의 전체 중량이 탄력적으로 장착되고, 이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의 조정 주파수가 낮아지는 장점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질량 시스템의 탄성 기능을 갖는, 베이스(7, 8)의 스프링 강성은 유연한 디자인이고, 이는 유사하게 조정 주파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Figure 4 shows a solid lane 23 comprising a concrete sleeper 1, mounted on a rail 24, supported by a rail fastening 25. The concrete sleeper 1 is connected to the asphalt top layer 26 located above the asphalt support layer 27 through the anchor block 12. The asphalt support lay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is mounted on the antifreeze layer 28. The load generated when passing over the solid lane is introduced into the asphalt top layer 26 through the bases 7, 8 which are arranged substantially below the concrete sleeper 1. As a result, a settlement of 1.4 to 4 mm is generally generated. This has the advantage that the total weight of the concrete sleeper 1 is resiliently mounted, thereby lowering the adjustment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vib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pring stiffness of the bases 7, 8, with the elastic function of the elastic-mass system, is a flexible design, which likewi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djustment frequency.

레일 차량들이 그 위를 지나갈 때, 침목은 세로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하고 그 뒤에 다시 위로 이동한다. 링(14)은 어떠한 마모도 없이 이러한 이동들을 흡수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링이 한편으로는 앵커 블록(12)에 대항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콘크리트 침목(1) 내의 리세스(9)에 대항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각선으로 반대편 모서리에 위치하기 때문이다.As rail cars pass over them, the sleepers move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back up. The ring 14 can absorb these movements without any wear because the ring is on the one hand against the anchor block 12 and on the other hand against the recess 9 in the concrete sleeper 1 At least two diagonals are located on opposite corners.

또 다른 구성의 경우에, 고형 차로는 콘크리트 형태의 구성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콘크리트 침목들은 앵커 블록에 의해 콘크리트 지지층 상에 장착된다. In another configuration, the solid lanes are produced in a concrete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concrete ties are mounted on the concrete support by anchor blocks.

1 : 콘크리트 침목
2, 3 : 침목 블록
4, 5 : 레일 베드
6 : 중간 섹션
7, 8 : 베이스
9 : 리세스
10, 11 : 보강 로드
12 : 앵커 블록
13 : 장착 밴드
14 : 링
15 : 스텝
17 : 주변 스텝
19 : 간격
20 : 빈 공간
21 : 주조 화합물
22 : 주조 슬릿
23 : 고형 차로
24 : 레일
25 : 레일 패스닝
26 : 아스팔트 상단 층
27 : 아스팔트 지지층
28 : 서리 방지층
1: Concrete sleepers
2, 3: sleeping block
4, 5: Railbed
6: Middle Section
7, 8: Base
9: recess
10, 11: reinforcement rod
12: Anchor block
13: Mounting band
14: ring
15: Step
17: peripheral step
19: Spacing
20: Free space
21: casting compound
22: Casting slit
23: solid car
24: rail
25: Rail fastening
26: Asphalt upper layer
27: Asphalt support layer
28: Anti-frost layer

Claims (14)

상부 섹션이 콘크리트 침목(1) 내의 하면 리세스(9) 내로 삽입되고, 탄성중합체로부터 생산되는 링(14)에 의해 탄력적으로 장착되며, 하부 섹션이 고형 차로(23)의 상단 층 내의 충전 가능한 간격(19)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앵커 블록(12)을 갖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1)의 하면 상에 탄성 재료의 베이스(7, 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The upper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recess 9 in the concrete treadmill 1 and is resiliently mounted by the ring 14 produced from the elastomer and the lower section is inserted into the rechargeable gap 23 in the upper layer of the solid lane 23 (1), which has an anchor block (12) which can be inserted into a concrete tread (19), characterized in that a base (7, 8) of elastic material is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rete tread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or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 8)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The concrete sleeper of claim 1, wherein the bases (7, 8) are made of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 8)는 6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4㎜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3.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s (7, 8) have a thickness of 6 to 20 mm, preferably 8 to 14 mm.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 8)는 한 면 또는 두 면에 부직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7, 8) is provided with a nonwoven fabric on one or both sides.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7, 8)는 상기 앵커 블록(12)을 위한 하면 리세스(9)의 영역 내에 간격을 갖거나 혹은 두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침목 블록들(2, 3) 아래에만 또는 부분적으로 레일 베드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8. An anchor block (1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s (7, 8) are spaced or formed as two parts in the area of the bottom recess (9) (2, 3) or below the rail bed (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블록(12)은 아래쪽으로 증가되는 지름을 갖는 스텝(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6.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block (12) comprises a step (15) having a downwardly increasing diamet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5)의 상기 외부 에지는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7. A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outer edge of said step (15) is rounded.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14)의 반경 폭의 반 이하가 상기 앵커 블록(12)의 스텝(15)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ane according to claim 6 or 7, characterized in that half or less of the radial width of the ring (14) is located on the step (15) of the anchor block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11) 내의 하면 리세스(9)는, 상부 외부 모서리를 갖도록 놓여져 있는 링(14)에 대해, 주변 스텝(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용 콘크리트 침목.
Method according to one or more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recess (9) in the concrete tread (11) has a peripheral step (17) with respect to the ring (14) A concrete sleeper for a solid lorr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17)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형 콘크리트 침목.
10. The solid road typ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step (17) is round.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14)의 반경 폭의 반 이하가 상기 콘크리트 침목(1)의 스텝(17)에 대하여 놓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형 콘크리트 침목.
The concrete sleeper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a half or less of the radial width of the ring (14) is placed against the step (17) of the concrete sleeper (1).
상단 층 또는 지지층 내에 박혀 있고, 상기 상단 층 또는 상기 지지층은 주조 화합물(21)로 채워지는 앵커 블록(12)을 위한 간격(19)을 갖는, 제1항 내지 11항의 콘크리트 침목을 다수 포함하는 고형 차로(23).
Wherein the upper layer or the support layer is embedded in a top layer or a support layer and has an interval (19) for an anchor block (12) filled with a casting compound (21) By car (2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층 및 상기 지지층은 아스팔트로 제조되거나 또는 상기 지지층은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
13. The solid lan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top layer and the support layer are made of asphalt or the support layer is made of concrete.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침목은 세로 및 측면 보상을 위한 수단들 및/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단한 중간층을 갖는 레일 패스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 차로.
14. A solid lane according to claim 12 or 13, characterized in that said concrete sleepers comprise rail fastening with means for longitudinal and lateral compensation and / or a rigid intermediate layer of ethylene vinyl acetate.
KR1020157032474A 2013-05-17 2014-04-04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KR1020054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05090.5 2013-05-17
DE102013105090.5A DE102013105090B4 (en) 2013-05-17 2013-05-17 Concrete sleepers and fixed carriageway
PCT/EP2014/056865 WO2014183925A1 (en) 2013-05-17 2014-04-04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030A true KR20160009030A (en) 2016-01-25
KR102005490B1 KR102005490B1 (en) 2019-07-31

Family

ID=5044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474A KR102005490B1 (en) 2013-05-17 2014-04-04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083911A1 (en)
EP (1) EP2997194B1 (en)
KR (1) KR102005490B1 (en)
CA (1) CA2910914C (en)
DE (1) DE102013105090B4 (en)
DK (1) DK2997194T3 (en)
HU (1) HUE14715896T2 (en)
SA (1) SA515370146B1 (en)
WO (1) WO201418392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883A (en) * 2017-11-28 2019-06-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Y-type driving track of monora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09B1 (en) * 2015-05-12 2016-10-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sphalt pavement structure for railroad track,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US10711406B2 (en) * 2018-01-10 2020-07-14 Voestalpine Nortrak Inc. Keyway tie
CN108867198A (en) * 2018-08-20 2018-11-23 中国铁道科学研究院集团有限公司铁道建筑研究所 rail system
CN111455738A (en) * 2020-04-11 2020-07-2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Movable rail bearing groove sleeper
CN111501426A (en) * 2020-04-26 2020-08-07 中铁六局集团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for bonding concrete elastic wide sleeper base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3322B1 (en) * 1995-11-08 2001-11-28 Pfleiderer Infrastrukturtechnik GmbH & Co. KG Ballast-free railway track structure
DE10230740A1 (en) * 2002-07-09 2004-01-29 Pfleiderer Infrastrukturtechnik Gmbh & Co. Kg Sleeper with dowel block and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roadway with such sleeper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07195U1 (en) * 1988-06-01 1988-09-15 Trelleborg Gummiwerke Gmbh, 2351 Wasbek, De
IT1251630B (en) * 1991-10-23 1995-05-17 Consorzio Sistemi Di Armamento RAILWAY ARMING SUPPORT, WITH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AND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PLATFORM FOR ITS EXECUTION
FR2693750B1 (en) * 1992-07-20 1994-10-21 Allevard Ind Sa Support device for a railroad track without ballast.
EP0637645B1 (en) * 1993-08-02 1998-02-11 Wayss & Freytag Aktiengesellschaft Rigid railroad-base
BE1009494A6 (en) * 1995-07-26 1997-04-01 Goossens Armand Device support for rail road tracks.
DE19605515A1 (en) * 1996-02-15 1997-08-21 Wayss & Freytag Ag Height adjustment of sleepers on railway line
PT1017906E (en) * 1997-09-26 2004-04-30 Phoenix Ag CARRIS SYSTEM
US6364214B1 (en) * 2000-06-30 2002-04-02 Sonneville International Corporation Block boot for railway track systems
DE50209523D1 (en) * 2001-09-04 2007-04-05 Rail One Gmbh Fixed carriageway with at least one monobloc sill
US7278588B2 (en) * 2004-11-08 2007-10-09 Northwest Rubber Extruders, Inc. Elastomeric railway tie pad
DE102006055307A1 (en) * 2006-11-23 2008-05-29 Marks, Thomas, Dipl.-Ing. Cross-beams fixing method for railways, involves arranging anchor block that form-fits with recesses in beam sides and force-fits with underground, in recesses, where block is made by lining and sealing of hollow form with membrane
US7896255B2 (en) * 2007-01-18 2011-03-01 Msb-Management Gmbh Partly foamed railroad track support arrangement
AT12923U1 (en) * 2011-04-15 2013-02-15 Getzner Werkstoffe Holding Gmbh sleeper
CN102966008A (en) * 2011-08-31 2013-03-13 中国铁道科学研究院铁道建筑研究所 Ballastless track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3322B1 (en) * 1995-11-08 2001-11-28 Pfleiderer Infrastrukturtechnik GmbH & Co. KG Ballast-free railway track structure
DE10230740A1 (en) * 2002-07-09 2004-01-29 Pfleiderer Infrastrukturtechnik Gmbh & Co. Kg Sleeper with dowel block and method for producing a solid roadway with such sleep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883A (en) * 2017-11-28 2019-06-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Y-type driving track of monora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0914C (en) 2018-05-22
EP2997194B1 (en) 2018-09-12
HUE14715896T2 (en) 2019-03-28
KR102005490B1 (en) 2019-07-31
WO2014183925A1 (en) 2014-11-20
DK2997194T3 (en) 2019-01-07
CA2910914A1 (en) 2014-11-20
DE102013105090A1 (en) 2014-11-20
DE102013105090B4 (en) 2016-12-15
SA515370146B1 (en) 2019-05-07
EP2997194A1 (en) 2016-03-23
US20160083911A1 (en)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490B1 (en) Concrete sleeper and solid carriageway
RU2487207C2 (en) Railway sleeper
US3289941A (en) Railway track without ballast
KR100883571B1 (en) A floating slab track bed
CN103603241B (en) Floating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of track system
RU2624147C1 (en) Plate for rail track, passively absorbing dynamic vibrations
WO2009121323A1 (en) Fixed track for rail vehicles
KR101526820B1 (en) Rail floating isolation and support apparatus
JP2015501893A (en) Noise prevention device
CN103741560B (en) A kind of shear hinge and track structure
KR101272472B1 (en) Low-vibration Railroad Bridge of Elastic Resin Fixing Method
KR20160011356A (en) Vibration-proof mat and use it trac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
KR101774384B1 (en) Vibration proof fixture for railroad
JP2001254301A (en) Vibration-proof track structure
CN203700879U (en) Shear hinge and rail structure
RU86956U1 (en) RAIL STAPLE WITH RAILWAY RAILWAY
JP3636624B2 (en) Ladder-type sleeper anti-vibration rubber moun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200432583Y1 (en) Temporary bridge without deck plate of bridge
JPH09273101A (en) Sleeper for preventing from subsidence for railroad track
JP2014088676A (en) Slab track and swaying suppressing method for the same
JP4222931B2 (en) Anti-vibration structure
KR20100112251A (en) Expansion equipment for concreate structure of bridge
JP4958575B2 (en) Orbital displacement suppression structure with low elastic member
Jayasuriya et 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under sleeper pads-a critical review
JP3896089B2 (en) Railway slee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9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09

Effective date: 201906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