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583Y1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Google Patents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2583Y1 KR200432583Y1 KR2020060025853U KR20060025853U KR200432583Y1 KR 200432583 Y1 KR200432583 Y1 KR 200432583Y1 KR 2020060025853 U KR2020060025853 U KR 2020060025853U KR 20060025853 U KR20060025853 U KR 20060025853U KR 200432583 Y1 KR200432583 Y1 KR 2004325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orary
- mold
- plate
- transverse beam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title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84 asphal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종래 복공판을 대체하여 주형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횡방향 빔을 병렬로 접하여 다수를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횡방향 빔은 주형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가이드 빔을 주형 양 측에 설치한 뒤, 횡방향 빔의 양 단부가 상기 가이드 빔의 내측 복부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여, 종래 복공판 설치가 필요 없는 임시가설교량이 본 고안에 의하여 제공된다.After replacing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to install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beam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and the transverse beam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ld to be supported and fixed to the mold, and then the transverse beam By allowing both ends of the guide beam to be installed between the inner abdomen of the guide beam,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that does not require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installation i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복공판, 가설교량 Duplex plate, temporary bridg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교량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emporary bridge using a conventional double-plate plate.
도 2는 본 고안의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the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3 is a partial detailed excerpt of FIG. 2A.
도 4는 도 2의 B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4 is a partial detailed excerpt of FIG. 2B.
도 5는 도 2의 C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5 is a partial detailed excerpt of FIG. 2C.
도 6은 도 2의 D의 부분상세 발췌도이다.6 is a partial detailed excerpt of FIG. 2D.
도 7은 도 2의 전체 단면도이다.7 is an overall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주형 200:가이드빔100: mold 200: guide beam
300:횡방향 빔 400:횡방향 빔 고정수단300: transverse beam 400: transverse beam fixing means
500:주형고정수단 600:완충부재500: mold fixing means 600: buffer member
520:종방향 고정연결판520: Longitudinal fixed connection plate
본 고안은 더욱 구체적으로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종래 복공판, 주형 및 가설벤트로 구성된 임시 가설교량에 있어 특히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 횡방향 빔과 가이드빔을 이용하여 임시가설교량을 제작하는 임시가설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temporary temporary bridges that do not require a perforated plat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using a transverse beam and a guide beam, in particular, in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composed of a conventional double plate, a mold, and a temporary vent.
도 1은 종래의 가설벤트를 이용한 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temporary bridge using a conventional temporary vent.
즉, H 빔인 기둥부재(11)를 지반에 유압식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1개씩 관입 시킨 후, 다수의 H 빔인 기둥부재(11)를 L 형강인 경사부재 및 수평부재인 보강부재(12,13)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기둥부재 조립체 형태로 가설벤트의 하부구조(10)를 완성시키고, That is, after injecting the
상기 하부구조(10) 상부에 길이방향 주형(21)을 설치한 뒤, 주형 상부에 복공판(22)을 설치하여 가설교량의 상부구조(20)를 완성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종래 임시가설교량을 시공하게 된다. After installing the
이때, 상기 복공판(22)은 기성 제품을 구입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통상은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체로 제작된다. At this time, the
이러한 복공판(22)은 차량의 타이어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서 동적하중과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음에 따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Such a
이에 복공판(22)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달리 보수하지 못하고 복공판 전체를 교체하고 있는데, 이러한 교체비용이 상당히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어 복공판의 합리적인 제작 및 시공에 대한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 바 있다.Therefore, if a part of the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가설교량에 사용되는 복공판을 사용하지 않은 가설교량을 제공함으로서 경제적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임시 가설교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that is economical and easy to maintain by providing a temporary bridge that does not use a double plate used in the conventional temporary bridge.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첫째, 종래 복공판을 대체할 수 있는 임시바닥판으로서 가장 구입이 용이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한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병렬 설치하여 상기 종래 복공판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First, as a temporary floor plate that can replace the conventional perforated plate, the most convenient and easy to install the
즉, 종래 복공판의 기능을 가지는 횡방향 빔(300)을 병렬로 서로 접해서 임시바닥판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서 복공판 설치작업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둘째, 상기 횡방향 빔(300)과 주형(100)을 서로 고정시킴과 더불어 길이방향으로의 변형 또는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Second, in order to fix the
주형(100)과 임시바닥판을 구성하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하부연결지지판(510); 종방향 고정연결판(520); 및 상기 하부연결지지판과 종방향 고정연결판을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포함하는 주형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도록 하고,A lower
임시바닥판을 구성하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을 서로 상부연결판재(310)를 이용하여 결속시켜주고,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와 접하는 가이드 빔(200)을 주형(100) 최 외측 상부면 길이방향으로 연장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빔(200)의 내 측 복부에 일종의 스토퍼인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도록 하였다.The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도 2는 본 고안의 임시가설교량을 도시한 것이며, 도 3, 도 4,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표시된 A,B,C,D 부위에 대한 발췌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임시가설교량의 전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hows a temporary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4, 5 and 6 is an excerpt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dicated A, B, C, D site of Figure 2, Figure 7 The overall cross section of the temporary construction bridge of the design is shown.
먼저 도 2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임시가설교량은 기본적으로 먼저 도 1과 같이 H 빔인 기둥부재를 지반에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을 이용하여 1개씩 관입 시킨 후, 다수의 기둥부재를 L 형강인 경사부재 및 수평부재인 보강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켜 기둥부재 조립체 형태로 가설벤트의 하부구조(10)를 완성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구조 상부에 길이방향 주형(100)을 설치하게 된다.First, referring to FIG. 2, the temporary temporary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jects one H-beam pillar member into the ground one by one using a hydraulic vibrator, and then inclines a plurality of pillar members to L-shaped steel. The member and the horizontal memb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a reinforcing member to complete the
이러한 주형(100)도 H 빔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도 2의 경우에는 주형(100) 6개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uch a
상기 주형(100) 중, 최 외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주형(100a) 상부면에는 가이드 빔(20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된다. 이는 연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추후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Of the
상기 가이드 빔(200)은 임시가설교량에 설치되는 미 도시된 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주형(100)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진 H 형강을 이용할 수 있다.The
이러한 가이드 빔(200) 복부 사이에는 횡방향 빔(300)이 주형(100)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주형(100)에 의하여 양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Between the abdomen of the
상기 횡방향 빔(300)도 역시 H 형강을 이용하여 설치하는데, 양 단부가 가이드 빔(200)의 복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면 된다.The
이러한 횡방향 빔(300)은 종래 복공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접하여 다수가 병렬로 설치된다.Such a
이때, 횡방향 빔(300)을 1개씩 설치할 수도 있으나, 다수를 결속한 것을 이용하는 경우, 그 설치 및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위와 같이 1개 또는 다수개로 결속된 횡방향 빔(300)은 주행차량 등에 의하여 길이방향 등으로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므로 횡방향 빔(3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필요가 있으며, 충격하중을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one or more
이에 본 고안은 먼저,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 상부연결판재(310)를 설치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upper connecting
도 2 및 도 2의 A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3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사각판재 형태의 상부연결판재(310)를 길이방향으로 다수를 이격시켜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구(320)를 이용하여 장착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 2, which is a partial excerpt view of FIGS. 2 and 2, the
이에 상부연결판재(310)에 의하여 횡방향 빔(300)은 길이방향으로 결속될 수 있게 되며, 그 해체도 용이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러한 상부연결판재(310)는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측 상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 시 다른 부위에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The upper
또한 도 2 및 도 2의 D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4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횡방향 빔(300)의 복부측면에는 일종의 스토퍼(STOPPER)가 위치하도록 하여 횡방향 빔(300)에 길이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횡방향 빔(300)의 밀림현상 또는 위치변형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Also, referring to FIG. 4, which is a partial excerpt view of FIG. 2 and FIG. 2, a kind of stopper is positioned on the ventral side of the
이에 상기 스토퍼 역할을 위한 구성을 본 고안에서는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담당하게 된다.In this invention, the transverse beam fixing means 400 is responsible for the configuration for the stopper role.
상기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은 고정블록(410) 및 고정너트(420)로 구성되는데,The lateral beam fixing means 400 is composed of a
상기 고정블록(410)은 가이드 빔(200)의 내측 복부에 볼트공(411)이 형성된 강재블록으로 제작하여 가이드 빔(200)에 장착시키게 된다.The
이때 가이드 빔(200)에는 상기 볼트공(411)에 대응한 볼트공(2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가이드 빔(200)의 볼트공(210)과 고정블록(410)의 볼트공(411)에 체결되는 연결볼트(4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고정블록(410)의 볼트공(411)에 대응한 고정너트(420)가 고정블록(4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볼트(430)에 의한 횡방향 빔 고정수단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본 고안에서는 특히 상기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의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 빔(200)을 제작할 때, 미리 고정블록(410)과 고정너트(42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미리 세팅하여 둠으로서 현장에서는 연결볼트(430) 체결작업만으로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이 횡방향 빔(300)의 길이방향 밀림 등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lateral beam fixing means 400, when manufacturing the
이러한 횡방향 빔 고정수단(400)의 설치 개수 및 위치는 임시가설교량의 길이, 폭 등을 고려하여 다수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Installation number and location of the transverse beam fixing means 400 may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width, etc. of the temporary temporary bridge.
또한 도 2 및 도 2의 C의 부분발췌사시도인 도 5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횡방향 빔(300)의 양 단부를 제외한 부위와 주형(100)과의 고정을 위하여 양 주형(100b) 상부플랜지 저면 사이에 설치된 하부연결지지판(510); 상기 하부 연결지지판(510)과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 사이에 설치된 종방향 고정연결판(520); 상기 하부연결지지판(510)과 종방향 고정연결판(520)를 관통하여 체결된 볼트(531) 및 너트(532)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너트(532)는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에 미리 고정시키 둠이 바람직하다.Also, referring to FIG. 5, which is a partial excerpt view of FIG. 2 and FIG. 2C, both the
즉, 먼저 양 주형(100b) 상부플랜지 저면 사이에는 하부연결지지판(510)을 길이방향으로 배치시키고, 하부 연결지지판(510)과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 사이에는 종방향 고정연결판(520)을 배치시킨 후, 상기 하부연결지지판(510)과 종방향 고정연결판(520)을 관통하면서, 횡방향 빔(300)의 하부플랜지에서 체결되도록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고정구(530)를 포함하는 주형고정수단(500)을 설치함으로서 횡방향 빔(300)이 주형과 보다 확실하게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first, the lower
또한 도 2 및 도 2의 D의 다른 발췌단면도인 도 6을 기준을 살펴보면, Also referring to the reference to Figure 6, which is another excerpt cross-sectional view of D of Figures 2 and 2,
가이드 빔(200)의 복부에 횡 방향빔(300) 양 단부가 주형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될 때, 횡방향 빔(300)에 주행 차량 등으로 인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횡방향 빔(300)과 가이드 빔(200)의 연결부위에는 상당한 충격이 가해져 자칫 진동 및 소음이 크게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When both ends of the
이에 본 고안에서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쇄시켜 주기 위한 완충수단으로서, 가이드빔의 상, 하부플랜지와 횡방향 빔 상부, 하부플랜지과의 접면에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완충부재(600)를 더 설치하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ushioning means for attenuating vibration and noise, a cushioning
이에 횡방향 빔(300)이 거동할 때 발생하는 충격에너지를 상기 완충부재(600)가 흡수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횡방향 빔(300)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도 7은 본 고안의 임시가설교량이 설치된 상태를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인데, 주형(100)이 6개 설치되고, 상부면에는 H 형강인 횡방향 빔(300)이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양 측에는 가이드 빔(200)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빔(300) 내측 복부 사이에는 횡방향 빔(300)이 주형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기 횡방향 빔(300)은 양 단부가 완충부재(600)에 의하여 가이드 빔(200)에 장착되어 있고, 주형과는 주형고정수단(500)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mporary temporary brid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t can be seen that the
상기 횡방향 빔(300)의 상면에는 상부연결판재(310)가 측방으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connecting
미도시 하였지만, 횡방향 빔(300)의 상부면에는 일반적인 아프팔트 콘크리트 포장층을 더 형성시킴으로서 주행차량의 주행성능 및 승차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고안에 의하여 종래 파손되기 쉬한 복공판의 역할을 횡방향 빔이 대체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횡방향 빔은 구입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한 H 형강을 이용함으로서, 하자 발생시 필요한 부분만 횡방향 빔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효율적이며, 현장에 상주하고 있는 백호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면 그 설치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그 설치도 대부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므로 설치, 해체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beam can replace the role of the perforated plate, which is easily damaged by the prior art. It can be replaced and installed, which is efficient in maintenance and using equipment such as backhoe that resides in the field can great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Most of the installation also uses bolts and nuts, so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do.
또한, 횡방향 빔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 빔, 상부연결판재 및 주형고정수단을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함에 따라 임시가설교량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며,In addition, the guide beam, the upper connecting plate and the mol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ransverse beam to be installed all or selectivel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temporary temporary bridge sufficiently,
강재로만 설치되는 임시가설교량은 차량주행성이 매우 떨어질 여지가 크지만, 본 고안은 이러한 차량에 의한 충격에네지를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재를 채택함에 따라 차량 주행성, 소음 및 진동을 감쇄할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Temporary temporary bridges, which are installed only in steel, have a great possibility of deteriorating the vehicle's driving ability, but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cushioning member that can absorb the impact energy caused by such a vehicle. This is very excellent.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dify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853U KR200432583Y1 (en) | 2006-09-26 | 2006-09-26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5853U KR200432583Y1 (en) | 2006-09-26 | 2006-09-26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3263A Division KR100742222B1 (en) | 2006-09-26 | 2006-09-26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2583Y1 true KR200432583Y1 (en) | 2006-12-05 |
Family
ID=4178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5853U KR200432583Y1 (en) | 2006-09-26 | 2006-09-26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2583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956B1 (en) | 2007-02-16 | 2008-01-16 | 석정건설(주) | Construction Structure of Railroad Downing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300070B1 (en) * | 2020-12-28 | 2021-09-08 | (주)세한테크 | Lining board installation structure |
-
2006
- 2006-09-26 KR KR2020060025853U patent/KR200432583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956B1 (en) | 2007-02-16 | 2008-01-16 | 석정건설(주) | Construction Structure of Railroad Downing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102300070B1 (en) * | 2020-12-28 | 2021-09-08 | (주)세한테크 | Lining board installa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3485B1 (en) | Prefabricated expansion joint using U-shaped plate and new construction / repair construction method | |
CN107083742B (en) | Rubber and steel plate combined modular bridge deck damping expansion joint structure and use method thereof | |
KR101234092B1 (en) | Pc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having pc slab, steel girde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300073B1 (en) | Lifting device for girder | |
KR100980067B1 (en) | Temporary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055880B (en) | Damping energy-consumption beam falling prevention device for railway bridge | |
KR100758994B1 (en) | Beam reinforced with vertical reinforcement member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90169B1 (en) | Arch type footpath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45088B1 (en) | Steel bridge exterior material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126083B1 (en) | A lining board support structure of truss temporary bridge | |
KR101330177B1 (en) | Deck panel using reinforced strand | |
KR200432583Y1 (en)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
KR101300687B1 (en) | Installation structure of lining board | |
JP5111194B2 (en) | Telescopic device for bridge and telescopic structure for bridge | |
CN110042745A (en) | Antidetonation bridge pier component | |
KR100742222B1 (en) | Temporary temporary bridge without double venting plate | |
KR101975259B1 (en) | Expansion Joint Constructing Non-Supporting Point of Bridge | |
KR100555252B1 (en) | Pedestrian road integrated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20097636A (en) | Low-vibration railroad bridge of elastic resin fixing method | |
KR101298569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hybrid psc girder | |
CN212611786U (en) | Cross-joint vehicle-through device in bridge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period | |
KR20060063310A (en) | Fiber Reinforced Plastic Double Plate | |
CN110130210B (en) | Mounting method of beam-falling-preventing energy consumption device | |
CN210288098U (en) | Bridge expansion joint dust-proof device and dust-proof shock-absorbing device thereof | |
CN111663395A (en) | Cross-joint vehicle-through device in bridge expansion joint construction peri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1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U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