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880A -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880A
KR20160008880A KR1020140089258A KR20140089258A KR20160008880A KR 20160008880 A KR20160008880 A KR 20160008880A KR 1020140089258 A KR1020140089258 A KR 1020140089258A KR 20140089258 A KR20140089258 A KR 20140089258A KR 20160008880 A KR20160008880 A KR 2016000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wall
wall
pair
cargo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호
Original Assignee
조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호 filed Critical 조영호
Priority to KR102014008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880A/ko
Publication of KR2016000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8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60P7/14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the load bracing means comprising a movable bulk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화물차의 운행 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밀착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한 이동벽, 및 이동벽이 화물에 밀려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일 측은 분리 가능하게 이동벽에 연결되고 타 측은 분리 가능하게 적재함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을 구비하고, 복수의 연결 지지봉은 자신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연결 지지봉이 이동벽 및 적재함에서 분리되면, 이동벽을 적재함의 앞벽에 접촉되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cargo in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한 화물을 화물차 운행 중에 적재함에서 움직이거나 떨어지지 않게 고정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형의 컨테이너를 별도로 설치한 특장차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화물차의 적재함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하고 화물차가 주행하게 되면 화물이 적재함 내에서 진동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고, 심한 경우에 화물이 적재함에서 떨어져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을 끈으로 결박하고 적재함 외주변에 고정하거나, 질긴 천으로 화물을 덮고 끈으로 결박하고 적재함 외주변에 고정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끈만 사용하거나 끈과 천을 사용하는 방식은 화물차 운전자에 따라 고정 및 결박 작업의 능숙함에 차이가 크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려 운송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화물의 크기가 중량 등의 원인으로 상기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재함에 고정될 수 없는 화물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02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5457호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을 화물차의 운행 중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의 전체 영역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적재함의 일부 영역에만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에도 적재함 내에서 화물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화물을 고정하는 작업과, 고정을 푸는 작업이 용이한,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밀착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한 이동벽, 및 상기 이동벽이 상기 화물에 밀려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일 측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이동벽에 연결되고 타 측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적재함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은 자신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이 상기 이동벽 및 상기 적재함에서 분리되면, 상기 이동벽을 상기 적재함의 앞벽에 접촉되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이동벽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상기 이동벽의 하단에 바퀴(wheel)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이동벽의 양 측 단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이동벽이 상기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이동벽이 넘어지지 않게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상기 이동벽을 체결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이동벽의 외주부에 상기 이동벽 및 상기 적재함에서 분리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을 걸어 두는 연결 지지봉 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은, 일 측이 상기 이동벽의 상단부에 힌지(hinge)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과, 일 측이 상기 이동벽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일 측 및 타 측은 각각, 상기 일 측 및 타 측을 관통하는 볼트(bolt)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nut)에 의해 상기 이동벽과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하나씩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봉은 각각,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롯이 형성된 대직경 파이프, 및 상기 대직경 파이프에 겹쳐지도록 삽입 가능하고, 상기 대직경 파이프 내로 삽입된 때 상기 한 쌍의 슬롯과 겹쳐지는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소직경 파이프를 구비하고,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슬롯과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을 통해 상기 대직경 파이프와 상기 소직경 파이프을 연결하여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봉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은 상기 소직경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상기 대직경 파이프의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너트가 상기 한 쌍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적어도 하나의 대직경 파이프 체결 너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 내에 상기 이동벽은 한 쌍이 앞뒤에 배치되게 구비되고, 상기 앞에 배치된 이동벽에 일 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타 측은, 상기 적재함의 앞벽 또는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뒤에 배치된 이동벽에 일 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타 측은,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끈이나 천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방법보다 신속하고 쉽게 화물을 적재함 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에 화물이 없는 경우 또는 적재함 내에 화물이 가득 차 있는 경우에 이동벽을 적재함의 앞벽에 접촉되게 세워 적재함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적재함 내에서 안정되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지지봉 걸이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지지봉을 이동벽과 적재함에서 분리한 후 걸어 놓을 수 있어, 화물차의 이동 중에도 움직이지 않게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고, 분실 위험이 감소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동벽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연결 지지봉들을 적재함 바닥의 전단부에 힌지(hinge)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연결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벽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적재되는 화물(112)을 화물차의 주행중에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것으로, 적재함에 설치된다. 적재함은 운전석과 엔진이 위치한 트럭 본체(2)의 후방에 마련된다. 적재함은 사각형의 바닥(11)과, 앞벽(13), 뒷벽(16), 및 한 쌍의 측벽(18)에 의해 한정되며, 뒷벽(16)과 한 쌍의 측벽(18)은 화물(112)의 상차(上車) 및 하차(下車)시 편의를 위해 바닥(11)의 외주변에 힌지(hinge)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화물차의 앞바퀴(5)는 트럭 본체(2)의 아래에 배치되고, 뒷바퀴(6)는 적재함 아래에 배치된다.
화물 고정 장치(20)는 이동벽(21)과,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구비한다. 이동벽(21)은 적재함 내에 적재되는 화물(112)을 밀착 가압하는 것으로,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벽(21)은 내부가 개방된 사각형의 프레임(22)와, 화물(112)이 프레임(22)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개방된 프레임(22) 내부를 가로지르는 한 쌍의 가로 빔(horizontal beam)(24, 25)과 한 쌍의 세로 빔(vertical beam)(26, 27)을 구비한다. 서로 교차하는 한 쌍의 가로 빔(24, 25)과 한 쌍의 세로 빔(26, 27)은 프레임(22)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다만, 이동벽(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2)과 프레임(22) 내부를 교차하는 복수의 빔(24, 25, 26, 27)을 구비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세워진 평판(plate)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동벽(21)의 하단에는 이동벽(21)이 적재함 바닥(11)에서 구를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wheel)(29)가 마련된다. 이동벽(21)에는 프레임(22)의 양 측 단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50)가 구비된다. 한 쌍의 가이드 플랜지(50)는 이동벽(21)이 적재함 내에서 바닥(11)에 지지된 채 앞뒤로 이동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한 쌍의 적재함 측벽(18)에 지지된다.
화물 고정 장치(20)는 이동벽(21)이 적재함 내에서 정지된 상태에서 넘어지지 않게 한 쌍의 적재함 측벽(18)에 이동벽(21)을 체결하는 한 쌍의 잠금 기구(110)를 구비한다. 잠금 기구(110)는 알파벳 'C', 또는 한글자음 'ㄷ' 형태의 몸체(111)와, 몸체(111)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측벽(18)의 상단부를 밀착 가압하는 조임 스크류(114)를 구비한다. 몸체(111)를 가이드 플랜지(50)와 측벽(18)의 상단부를 함께 감싸도록 끼우고, 조임 스크류(114)를 돌려 조이면 몸체(111)의 상단부(112)가 가이드 플랜지(50)를 아래로 가압하여 가이드 플랜지(50)에 밀착되고, 조임 스크류(114) 상단의 측벽 밀착부(116)가 측벽(18)의 상단부를 위로 가압하여 측벽(18)의 상단부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적재함 측벽(18)에 이동벽(21)이 고정 체결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잠금 기구(110)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형태의 잠금 기구도 적용 가능하다.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은 이동벽(21)이 화물(112)에 밀려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80)의 일 측은 이동벽(21)의 상단, 구체적으로 한 쌍의 이동벽 상단 힌지(hinge)(3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80)의 타 측은 적재함 바닥(11)의 전단부,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적재함 전단부 힌지(62)(도 4 참조)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의 일 측은 이동벽(21)의 하단, 구체적으로 한 쌍의 이동벽 하단 힌지(4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의 타 측은 적재함 바닥(11)의 전단부,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적재함 전단부 힌지(6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벽(21)의 외주부에는 이동벽(21)과 적재함 바닥(11)에서 분리된 연결 지지봉(80, 90)을 걸어 두는 연결 지지봉 걸이(52, 57)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2)의 좌우측에는 종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2)가 각각 구비된다. 종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2)는 프레임(22)의 좌우측 외주변에 고정되고 종방향으로 일렬 정렬되게 이격된 3개의 원형 고리(5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종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2)에는 상대적으로 긴 상단 연결 지지봉(80)을 끼워 걸어 둘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끼워 걸어 둘 수도 있다. 종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2)에 끼워진 연결 지지봉(80, 90)의 하단은 가이드 플랜지(50)에 지지된다.
프레임(22)의 상단에는 횡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7)가 구비된다. 횡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7)는 프레임(22) 상단에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일렬 정렬되게 이격된 3개의 숫자 8자형 고리(58)를 구비한다. 3개의 8자형 고리(58)의 상단은 보강판(59)에 이어져 구조적으로 보강되게 지지된다. 횡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7)에는 상대적으로 짧은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8자형 고리(58)의 위아래 구멍에 끼워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걸어 둘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단 연결 지지봉(80)을 끼워 걸어 둘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종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2)에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80)을 끼우고, 횡방향 연결 지지봉 걸이(57)에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끼우고, 이동벽(21)을 적재함 앞벽(13)에 접촉되게 세워 고정하면, 적재함에 이동벽(21)의 높이보다 높은 화물을 적재하고 이동벽(21)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한 쌍의 이동벽 상단 힌지(31)에는 각각 상단 연결 지지봉(80)의 일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벽 상단 힌지(31)는 프레임(22)의 상단에 고정된 평행한 한 쌍의 힌지 격벽(32, 33)과, 볼트(34)와, 너트(38)를 구비한다. 상단 연결 지지봉(80)은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대직경 파이프(81)와, 대직경 파이프(81)에 겹쳐지게 삽입 가능한 소직경 파이프(86)를 구비하는데, 소직경 파이프(86)의 말단부를 한 쌍의 힌지 격벽(32, 33) 사이에 개재하고, 볼트(34)의 스크류(36)가 상기 한 쌍의 힌지 격벽(32, 33)과 소직경 파이프(86)의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끼우고, 볼트 스크류(36)의 말단에 너트(38)를 조임 체결함에 의해 상단 연결 지지봉(80)을 이동벽 상단 힌지(31)에 결합한다. 너트(38)를 조임에 의해 볼트 헤드(head)(35)는 제1 힌지 격벽(32)에 밀착되고, 너트(38)는 제2 힌지 격벽(33)에 밀착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볼트 헤드(35)와 제1 힌지 격벽(32) 사이에 와셔(washer)가 개재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이동벽 하단 힌지(41)에는 각각 하단 연결 지지봉(90)의 일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벽 하단 힌지(41)는 프레임(22)의 하단에 고정된 평행한 한 쌍의 힌지 격벽(42, 43)과, 볼트(44)와, 너트(48)를 구비한다. 하단 연결 지지봉(90)도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내경이 큰 대직경 파이프(91)와, 대직경 파이프(91)에 겹쳐지게 삽입 가능한 소직경 파이프(96)를 구비하는데, 소직경 파이프(96)의 말단부를 한 쌍의 힌지 격벽(42, 43) 사이에 개재하고, 볼트(44)의 스크류(46)가 상기 한 쌍의 힌지 격벽(42, 43)과 소직경 파이프(96)의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끼우고, 볼트 스크류(46)의 말단에 너트(48)를 조임 체결함에 의해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이동벽 하단 힌지(41)에 결합한다. 너트(48)를 조임에 의해 볼트 헤드(head)(45)는 제1 힌지 격벽(42)에 밀착되고, 너트(48)는 제2 힌지 격벽(43)에 밀착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볼트 헤드(45)와 제1 힌지 격벽(42) 사이에 와셔(washer)가 개재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연결 지지봉들을 적재함 바닥의 전단부에 힌지(hinge) 연결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재함의 앞벽(13)과 바닥(11)이 만나는 바닥(11)의 전단부에 단면이 알파벳 L자형인 L자형 빔(61)이 고정되고, L자형 빔(61)에 한 쌍의 적재함 전단부 힌지(62)가 마련되며, 적재함 전단부 힌지(62) 각각에 하나의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하나의 하단 연결 지지봉(90)의 타 측 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적재함 전단부 힌지(62)는 L지형 빔(61)에 고정된 평행한 제1, 제2, 및 제3 힌지 격벽(63, 64, 65)과, 볼트(67)와, 와셔(69)와, 너트(미도시)를 구비한다. 상단 연결 지지봉(80)의 대직경 파이프(81)의 말단부와 하단 연결 지지봉(90) 말단부를 제1 및 제2 힌지 격벽(63, 64) 사이에 개재하고, 하단 연결 지지봉(90)의 대직경 파이프(91) 말단부를 제2 및 제3 힌지 격벽(64, 65) 사이에 개재하고, 볼트(67)의 스크류(미도시)가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 격벽(63, 64, 65)과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말단부를 관통하도록 끼우고, 상기 볼트 스크류의 말단에 상기 너트를 조임 체결함에 의해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적재함 전단부 힌지(62)에 결합한다. 상기 너트를 조임에 의해 볼트(67)의 헤드는 와셔(69)를 사이에 개재한 채 제1 힌지 격벽(63)에 밀착되고, 상기 너트는 제3 힌지 격벽(65)에 밀착된다.
작업자가 이동벽 상단 힌지(31)(도 3 참조), 이동벽 하단 힌지(41)(도 3 참조), 및 적재함 전단부 힌지(62)에서 볼트(36, 46, 67)를 빼냄에 의해, 상단 연결 지지봉(80)(도 1 참조)과 하단 연결 지지봉(90)(도 1 참조)이 이동벽(21)과 적재함에서 분리된다.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하단 연결 지지봉(90)을 분리한 후 작업자는 도 2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벽(21)을 적재함 내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적재함 앞벽(13)에 접촉되게 세울 수 있다.
한편, 도 4의 적재함 전단부 힌지(62)는 도 5에 도시된 적재함 전단부 힌지(71)로 대체되고,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말단에 적재함 전단부 힌지(71)에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84, 94)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5의 적재함 전단부 힌지(71)는 평행한 제1, 제2, 및 제3 힌지 격벽(72, 73, 74)과, 볼트(75)와, 와셔(78)와, 너트(79)를 구비한다. 제1, 제2, 및 제3 힌지 격벽(72, 73, 74)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이격된 격벽(72, 73, 74) 사이의 간격은 도 4의 격벽(63, 64, 65) 사이의 간격보다 좁다.
힌지 결합부(84, 94)는 대직경 파이프(81, 91)의 직경보다 얇은 조각으로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말단에 예컨대,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결합 고정된다. 힌지 결합부(84, 94)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볼트 관통공(84a, 94a)이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볼트 관통공(84a, 94a)으로 볼트(75)의 스크류(77)가 관통하여 끼워진다. 대직경 파이프(81, 91)에 결합된 힌지 결합부(84, 94)를 제1 및 제2 힌지 격벽(72, 73) 사이와 제2 및 제3 힌지 격벽(73, 74) 사이에 각각 개재하고, 볼트(75)의 스크류(77)가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 격벽(72, 73, 74)과 힌지 결합부(84, 94)를 관통하도록 끼우고, 볼트 스크류(77)의 말단에 너트(79)를 조임 체결함에 의해 대직경 파이프(81, 91)를 적재함 전단부 힌지(71)에 결합한다. 너트(79)를 조임에 의해 볼트(75)의 헤드(76)는 와셔(78)를 사이에 개재한 채 제1 힌지 격벽(72)에 밀착되고, 너트(79)는 제3 힌지 격벽(74)에 밀착된다.
도 4의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말단부에는 볼트(67)가 대직경 파이프(81, 91)를 가로질러 관통하도록 대직경 파이프(81, 91)마다 한 쌍의 볼트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이 한 쌍의 관통공(미도시)이 대직경 파이프(81, 91)의 직경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 볼트(67)로 신속하게 관통하기 어렵고, 정렬하는데 시행 착오가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도 5의 힌지 결합부(84, 94)에는 하나의 볼트 관통공(84a, 94a)만 형성되어 있어 격벽들(72, 73, 74) 사이에 끼우고, 정렬하여 볼트(75)로 관통하기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정렬하여 볼트(75)로 꿸 수 있다. 즉, 연결 지지봉(80, 90)(도 1 참조)을 적재함에 힌지 결합하거나 적재함에서 분해하기 위한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힌지 결합부(84, 94)를 구비하는 힌지 결합 구조는, 상단 연결 지지봉(80)과 하단 연결 지지봉(90)(도 1 참조)을 이동벽(21)(도 1 참조)에 힌지 결합하는 구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동벽(21)(도 1 참조)이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므로, 이에 대응되게 상단 연결 지지봉(80)(도 1 참조) 및 하단 연결 지지봉(90)(도 1 참조)은 자신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6은 도 1의 연결 지지봉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단 또는 하단 연결 지지봉(80, 90)은 대직경 파이프(81, 91)와, 대직경 파이프(81, 91)에 적어도 일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직경 파이프(86, 96)를 구비한다. 소직경 파이프(86, 96)에 연결되는 대직경 파이프(81, 91)의 길이 방향 일 측에는,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롯(83, 93)이 형성된다. 도 6에는 대직경 파이프(81, 91)의 하프 파이프(half pipe)에 해당되는 반쪽 측면만 나타나므로 하나의 슬롯(83, 9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려져 생략된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나머지 반쪽 측면에도 하나의 슬롯(83, 93)이 더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 파이프(86, 96)에는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한 쌍의 슬롯(83, 93)과 겹쳐지는 한 쌍의 볼트 체결공(87, 9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공(87, 97)은 소직경 파이프(86, 9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의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슬롯(83, 93)과 마찬가지로, 도 6에는 소직경 파이프(86, 96)의 하프 파이프(half pipe)에 해당되는 반쪽 측면만 나타나므로 소직경 파이프(86, 9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일렬 배열된 복수의 볼트 체결공(87, 97)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가려져 생략된 소직경 파이프(86, 96)의 나머지 반쪽 측면에도 같은 방식으로 소직경 파이프(86, 9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일렬 배열된 복수의 볼트 체결공(87, 97)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한편, 대직경 파이프(81, 91)의 외주면 중에서 한 쌍의 슬롯(83, 93)이 형성된 부분에는 수나사(82, 92)가 형성되고, 상기 대직경 파이프 수나사(82, 92)에는 제1 및 제2 대직경 파이프 체결 너트(105, 106)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연결 지지봉(80, 90)(도 1 참조)의 길이를 조정하는 작업 방법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연결 지지봉(80, 90)(도 1 참조)이 적절한 길이가 되도록 작업자가 소직경 파이프(86, 96)를 대직경 파이프(81, 91)에 삽입하고, 한 쌍의 슬롯(83, 93)과 한 쌍의 볼트 체결공(87, 97)이 겹쳐지도록 정렬한다. 다음으로, 볼트(100)의 스크류(102)를 한 쌍의 슬롯(83, 93)과 한 쌍의 볼트 체결공(87, 97)을 관통하도록 끼워 대직경 파이프(81, 91)와 소직경 파이프(86, 96)를 볼트(100)로 연결한다. 그리고, 볼트 스크류(102)의 말단에 너트(103)를 조임 체결한다. 너트(103)를 조임에 의해 너트(103)는 대직경 파이프(81, 91)의 반쪽 측면에 밀착되고, 볼트(100)의 헤드(101)는 대직경 파이프(81,91)의 다른 반쪽 측면, 즉 도 6에서는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반쪽 측면에 밀착된다. 이로서, 소직경 파이프(86, 96)가 대직경 파이프(81, 91)에 결합 고정된다.
한편, 작업자는 제1 및 제2 대직경 파이프 체결 너트(105, 106)를 한 쌍의 슬롯(83, 93)을 가로질러 체결된 볼트(100)의 일 측과 타 측에 접촉되게 수나사(82, 92)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및 제2 대직경 파이프 체결 너트(105, 106)는 볼트(100)가 한 쌍의 슬롯(83, 93)을 따라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로막아서, 이동벽(21)이 화물(112)의 하중에 불구하고 밀려 이동하거나 넘어지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이동벽(21A, 21B)과, 일 측은 제1 이동벽(21A)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적재함 바닥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상단 연결 지지봉(80A)과, 일 측은 제1 이동벽(21A)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적재함 바닥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 연결 지지봉(90A)과, 일 측은 제2 이동벽(21B)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적재함 바닥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상단 연결 지지봉(80B)과, 일 측은 제2 이동벽(21B)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 측은 적재함 바닥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하단 연결 지지봉(90B)을 구비한다.
적재함 내에서 제1 이동벽(21A)은 제2 이동벽(21B)보다 앞에 배치되며, 화물(113)은 제1 이동벽(21A)과 제2 이동벽(21B) 사이에 개재되고, 제1 이동벽(21A)과 제2 이동벽(21B)에 의해 밀착 지지된다. 상단 연결 지지봉(80A, 80B)과 하단 연결 지지봉(90A, 90B)은 길이 조정 가능하며 대직경 파이프(81A, 81B, 91A, 91B)와 소직경 파이프(86A, 86B, 96A, 96B)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동벽(21A, 21B), 상단 연결 지지봉(80A, 80B), 및 하단 연결 지지봉(90A, 90B)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이동벽 29: 바퀴
31, 41: 이동벽 상단, 하단 힌지 50: 가이드 플랜지
52, 57: 연결 지지봉 걸이 80, 90: 연결 지지봉
81, 91: 대직경 파이프 86, 96: 소직경 파이프

Claims (11)

  1. 화물차의 적재함 내에 적재된 화물을 밀착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한 이동벽; 및,
    상기 이동벽이 상기 화물에 밀려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일 측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이동벽에 연결되고 타 측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적재함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은 자신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이 상기 이동벽 및 상기 적재함에서 분리되면, 상기 이동벽을 상기 적재함의 앞벽에 접촉되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이 상기 적재함의 바닥에 대해 구를 수 있도록 상기 이동벽의 하단에 바퀴(wheel)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의 양 측 단부에서 옆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이동벽이 상기 적재함 내에서 앞뒤로 이동할 때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지지되는 가이드 플랜지(guide flange)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이 넘어지지 않게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상기 이동벽을 체결하는 잠금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벽의 외주부에 상기 이동벽 및 상기 적재함에서 분리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을 걸어 두는 연결 지지봉 걸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은, 일 측이 상기 이동벽의 상단부에 힌지(hinge)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상단 연결 지지봉과, 일 측이 상기 이동벽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 측이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하단 연결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일 측 및 타 측은 각각, 상기 일 측 및 타 측을 관통하는 볼트(bolt)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nut)에 의해 상기 이동벽과 상기 적재함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일 측 및 타 측에는,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각각 하나씩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지지봉은 각각,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슬롯이 형성된 대직경 파이프, 및 상기 대직경 파이프에 겹쳐지도록 삽입 가능하고, 상기 대직경 파이프 내로 삽입된 때 상기 한 쌍의 슬롯과 겹쳐지는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소직경 파이프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슬롯과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을 통해 상기 대직경 파이프와 상기 소직경 파이프을 연결하여 관통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상기 연결 지지봉의 길이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볼트 체결공은 상기 소직경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 파이프의 외주면 중에서 적어도 상기 슬롯이 형성된 부분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와 너트가 상기 한 쌍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로막는, 적어도 하나의 대직경 파이프 체결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 내에 상기 이동벽은 한 쌍이 앞뒤에 배치되게 구비되고,
    상기 앞에 배치된 이동벽에 일 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타 측은, 상기 적재함의 앞벽 또는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뒤에 배치된 이동벽에 일 측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연결 지지봉의 타 측은, 상기 적재함의 바닥의 후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KR1020140089258A 2014-07-15 2014-07-15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KR20160008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58A KR20160008880A (ko) 2014-07-15 2014-07-15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258A KR20160008880A (ko) 2014-07-15 2014-07-15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880A true KR20160008880A (ko) 2016-01-25

Family

ID=5530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258A KR20160008880A (ko) 2014-07-15 2014-07-15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8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9494A (zh) * 2018-05-23 2018-08-10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精密冷链物流教学装置
KR102027059B1 (ko) * 2018-03-27 2019-09-30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자동 작동장치
KR102271365B1 (ko) * 2020-01-22 2021-06-29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작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241A (ko) 2011-07-18 2013-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 고정 장치
KR20130135457A (ko) 2012-06-01 2013-12-11 채경준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241A (ko) 2011-07-18 2013-01-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화물 고정 장치
KR20130135457A (ko) 2012-06-01 2013-12-11 채경준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059B1 (ko) * 2018-03-27 2019-09-30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자동 작동장치
CN108389494A (zh) * 2018-05-23 2018-08-10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精密冷链物流教学装置
KR102271365B1 (ko) * 2020-01-22 2021-06-29 조인형 화물차량에서의 적재물 앞쏠림방지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7160B2 (en) Modular truck bed rack system and portions thereof
US6874804B2 (en) Universal hitch and receiver assembly
US20080017638A1 (en) Collapsible Container Having Collapsible Dunnage With Integral Stabilizing Members
US9540125B2 (en) Container having dunnage components moveable along guides
KR20160008880A (ko)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AU636200B2 (en) Load lock holder
DE102013209656A1 (de) Integriertes Laderaumbehältersystem
US10479253B2 (en) Vehicle mounted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U2014317761B2 (en) Unibody hopper trailer
JP4506562B2 (ja) 表示器を備えた構造物
CN109760964A (zh) 集装箱及装载方法
US5893598A (en) Accessing apparatus for a pickup truck having a covered cargo space
BE1021988B1 (nl) Sluitsysteem
BE1026606B1 (nl) Hybride ophanging zeil
KR102700258B1 (ko) 픽업 차량용 화물 고정시스템
JP3200563U (ja) 車両用荷物かごの取付構造
JP2015123827A (ja) 自動車のスペアタイヤ保持構造
JP2011230641A (ja) トラック及びトラックの荷物積載方法
AU2015100375A4 (en) A support for a curtain sided transport structure
JP7141315B2 (ja) 貨物車両の荷台
AU2011101694A4 (en) Adjustable cargo barrier system
KR20210081853A (ko) 화물차의 화물 고정 장치
JP2003291714A (ja) 液体輸送可能な側煽付側部開閉式バン型車両
JPH08108869A (ja) トラック
JP6010830B2 (ja) 積み降ろし自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