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533A -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533A
KR20160008533A KR1020157031451A KR20157031451A KR20160008533A KR 20160008533 A KR20160008533 A KR 20160008533A KR 1020157031451 A KR1020157031451 A KR 1020157031451A KR 20157031451 A KR20157031451 A KR 20157031451A KR 20160008533 A KR20160008533 A KR 20160008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tching
movement
motion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0777B1 (ko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ublication of KR20160008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04W4/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매칭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고, 제2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가지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DEVICE FOR ENABLING MATCHING THEREOF AND SERVER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및 센싱 기능과 강력한 연산 기능을 갖춘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 중에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것(예를 들면,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링이나 브로치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 신체나 의류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매립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등)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두 개 이상의 (이종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려고 하거나, 본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함께 개입될 필요가 있는 어떤 작업이 수행되게끔 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사용자의 (잠재적인) 의도가 적절하게 서포팅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디바이스의 매칭에 의하여 응용 기술이 실현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매칭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고, 제2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가지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및 다른 디바이스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디바이스의 매칭에 의하여 응용 기술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2 디바이스(320)에 특정 서명이 입력된 경우에 특이점을 산출하는 일 실험예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도 3은 제2 디바이스(320)에 특정 패턴이 입력된 경우에 특이점을 산출하는 일 실험예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매칭 시스템(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매칭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디바이스(310, 320)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매칭 시스템(200)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310)에 관한 일시적이거나 비일시적인 일종(一種)의 특징적인 정보를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제공 받고 제1 디바이스(310)에 관한 일시적이거나 비일시적인 이종(異種)의 특징적인 정보를 제2 디바이스(320)로부터 제공 받은 다음에 이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대응시킴으로써,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소정의 연관성(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동일한 사용자를 위하여 기능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서로 실질적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이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증하거나 허용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연관성)을 갖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편의상, 이러한 인식 자체나 이러한 인식에 따라 디바이스(310, 320) 간에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주로 "매칭"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매칭은 매칭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매칭부(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부는 매칭 시스템(20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매칭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매칭 시스템(200)은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것이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또는 제3의 다른 디바이스(미도시됨)에 의하여 이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은 매칭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저장소(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매칭 시스템(200)의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매칭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매칭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제3의 다른 디바이스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 있고, 심지어 매칭의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매칭 시스템(200),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상대되는 것(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외부화(externalization) 되어 있을 수 있음), 또는 제3의 다른 디바이스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10, 3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310, 32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등과 같은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버튼,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디바이스(310, 320)에는 그 사용자의 행위나 그것의 일시적이거나 비일시적인 속성에 관하여 소정의 물리적인 값을 산출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자기 센서, 카메라, 터치 패널, 포인팅 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그래픽 객체, 위치 결정 모듈(GPS 모듈, 비콘 기반의 위치 결정(확인) 모듈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에는 위와 같은 물리적인 값을 처리하여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에 대하여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로부터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거나 이러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디바이스(310, 32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매칭 시스템(200)의 매칭부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매칭 방법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를 매칭시키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에서 파악된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과 제2 디바이스(320)에 의하여 파악된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이나 제1 디바이스(310)와 연동되는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신체 부위 등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매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디바이스(3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휴대되고, 많은 경우, 사용자의 중요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워치와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를 움직인 경우를 상정하여 보자. 이 경우, 제1 디바이스(310)는 자신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값을 내장되어 있을 수 있는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자기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은 산출된 물리 값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의 궤적을 3차원 좌표계 상의 점들의 집합이나 이러한 점들이 소정의 평면에 대하여 투사된 결과인 2차원 좌표계 상의 점들의 집합 또는 이와 같은 집합의 스케일링되었거나 노멀라이징된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데, 이렇듯 결정된 궤적은 적어도 하나의 특이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이점은 궤적 상에서 급격한 움직임 변화를 나타내는, 특정 시점에서의 점(point)(예를 들면, 특정 좌표축에 대한 피크 점)일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은 둘 이상의 특이점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특이점들 사이의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하여 고도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이러한 특징적인 정보는 제1 디바이스(310)의 입장에서의 특징적인 정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는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특징적인 정보는 매칭 시스템(200)에 의하거나 의하지 아니 하고 제1 디바이스(310)로부터 제2 디바이스(32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매칭이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 특성(예를 들면, 시간대별 가속도의 집합)에 기초하여 매칭이 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움직임 특징이 변위 등에 관한 특징뿐만이 아니라 움직임의 이차 미분 값인 가속도에 관한 특성 등도 광의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아래에서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의 사이에서 매칭을 달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 제2 디바이스(320)가 제1 디바이스(310)를 관찰하는 경우
제2 디바이스(320)가 카메라를 포함하거나 카메라와 통신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위와 같은 움직임을 관찰하여 촬영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본다.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미도시됨)은 촬영된 제1 디바이스(310)(또는, 제1 디바이스(310)와 연동하는 해당 사용자의 신체 부위)의 이미지의 시리즈로부터 해당 픽셀 플로우(pixel flow)를 계산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의 궤적과 특이점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이러한 특징적인 정보는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와 유사한 성격의 정보는 제2 디바이스(320)의 입장에서의 특징적인 정보라고도 칭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된 정보 역시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제1 디바이스(310)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이나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칭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10, 320) 간에 정보(예를 들면, 컴퓨터 파일)를 제공하고 제공 받거나, 하나의 디바이스(310 또는 320)나 그 사용자를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320 또는 310)나 그 사용자가 특정 처리를 하는 것(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를 위하여 제2 디바이스(320)와 연동하는 전자 게이트(미도시됨)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예시의 경우, 제2 디바이스(320)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일련 번호, PIN 번호, 전화 번호 등)가 더 참조될 수 있다.
(2) 제2 디바이스(320)가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제스처와 연관된 입력을 직접 받는 경우
제1 디바이스(310)가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밴드와 같이 그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를 들면, 오른쪽 손목)의 제스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제2 디바이스(320)가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위와 같은 제스처와 연관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나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위와 같은 제스처와 연관되는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포인팅 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나 기타 입력 도구(예를 들면, 버튼, 키보드 등)를 포함하거나 적어도 이와 통신하는 것인 경우를 상정하여 본다.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스처와 연관된 터치 입력이나 포인팅 도구의 움직임 입력이나 기타 입력 도구의 누름 입력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즉, 움직임 특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된 정보 역시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제1 디바이스(310)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이나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와 제2 디바이스(320)에 대한 입력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칭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오른쪽 손목(오른손잡이의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를 부착한 채로 제2 디바이스(320)의 터치 패널에 대하여 고유의 서명이나 기타 패턴을 입력하거나 제2 디바이스(320)의 포인팅 도구로 고유의 서명이나 기타 패턴을 그리면, 제2 디바이스(320)는 상기 서명이나 상기 패턴과 함께 제2 디바이스(320)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일련 번호, PIN 번호, 전화 번호 등)를 키(key)로 삼아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그것을 오른쪽 손목에 부착한 채로 정확한 서명이나 패턴을 입력한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의 제2 디바이스(320)의 사용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하여 참조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320)에 특정 서명이 입력된 경우에 특이점을 산출하는 실험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하여 참조될 수 있는, 제2 디바이스(320)에 특정 패턴이 입력된 경우에 특이점을 산출하는 실험에 관한 참고 도면이다.
(3) 제2 디바이스(320) 상에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제스처와 연관된 조작이 행하여지는 경우
제1 디바이스(310)가 스마트 워치나 스마트 밴드와 같이 그 사용자의 신체 부위(예를 들면, 오른쪽 손목)의 제스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제2 디바이스(320) 상에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위와 같은 제스처와 연관되는 그래픽 객체(예를 들면, 밀어서 잠금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잠금 바, 특정 파일이나 특정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 등)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는 경우를 상정하여 본다.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가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스처와 연관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조작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즉, 움직임 특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된 정보 역시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제1 디바이스(310)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이나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와 제2 디바이스(320) 상에서의 조작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칭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오른쪽 손목(오른손잡이의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를 부착한 채로 제2 디바이스(320)의 잠금 바를 미는 조작을 하면, 제2 디바이스(320)는 상기 조작의 제스처와 함께 제2 디바이스(320)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일련 번호, PIN 번호, 전화 번호 등)를 키로 삼아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그것을 오른쪽 손목에 부착한 채로 정확한 조작을 행한 경우에만 제2 디바이스(320)의 잠금 해제를 허가하기 위한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른 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오른쪽 손목(오른손잡이의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를 부착한 채로 제2 디바이스(320)의 특정 파일의 아이콘을 그 화면 상에서 (빠른 속도로) 끌어 옮기는 조작을 하면, 제2 디바이스(320)는 상기 조작의 제스처와 함께 제2 디바이스(320)에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제1 디바이스(310)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디바이스 일련 번호, PIN 번호, 전화 번호 등)를 키로 삼아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그것을 오른쪽 손목에 부착한 채로 적절한 조작을 하는 경우에만 상기 파일이 제2 디바이스(320)로부터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를 위하여 사전에 등록되어 있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됨)의 계정에 대하여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일은 매칭 시스템(200)에 우선 저장된 후에 다시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4) 제2 디바이스(320)가 제1 디바이스(310)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제1 디바이스(310)가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고, 제2 디바이스(320)가 다수의(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의) 비콘 등에 의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본다.
제1 디바이스(310)의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의 위치 변경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가 전술한 원리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310)의 상기 위치 변경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즉, 움직임 특징 정보)를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된 정보 역시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제1 디바이스(310)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이나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위치 변경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칭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10, 320) 간에 정보(예를 들면, 컴퓨터 파일)를 제공하고 제공 받거나, 하나의 디바이스(310 또는 320)나 그 사용자를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320 또는 310)나 그 사용자가 특정 처리를 하는 것(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를 위하여 제2 디바이스(320)와 연동하는 엘리베이터(미도시됨)가 요청되고 이어서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층에의 승강이 엘리베이터에 자동적으로 요청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의 카메라에 의하여 파악된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과 제2 디바이스(320)의 카메라에 의하여 파악된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서로 매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디바이스(3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휴대되고, 많은 경우, 사용자의 중요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는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디바이스(310)를 이동시킨 경우를 상정하여 보자. 이 경우, 제1 디바이스(310)의 카메라는 그것이 이동하는 동안 특정 물체(미도시됨)(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의 얼굴 등)를 촬영하여 이미지의 시리즈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미지 시리즈로부터 해당 픽셀 플로우를 계산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이동 궤적과 특이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은 제1 디바이스(310)의 이동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 디바이스(320)의 카메라는, 제1 디바이스(310)가 위에서와 같이 이동하는 동안, 다름 아닌 제1 디바이스(310)를 촬영하여 다른 종류의 이미지 시리즈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다른 종류의 이미지 시리즈로부터 해당 픽셀 플로우를 계산하여 제1 디바이스(310)의 이동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결정된 두 가지 정보는 매칭 시스템(200)으로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제1 디바이스(310)나 제2 디바이스(320)로 제공될 수 있다.
매칭 시스템(200)이나 제1 디바이스(310) 또는 제2 디바이스(320)는 제1 디바이스(310)의 이동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들에 기초하여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매칭 사실을 알도록 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 적어도 하나는 위와 같은 매칭에 기초하여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310, 320) 간에 정보(예를 들면, 컴퓨터 파일)를 제공하고 제공 받거나, 하나의 디바이스(310 또는 320)나 그 사용자를 위하여 다른 디바이스(320 또는 310)나 그 사용자가 특정 처리를 하는 것(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사용자를 위하여 제2 디바이스(320)와 연동하는 전자 게이트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주로, 디바이스(310, 320)에 관한 여러 가지 특징적인 정보가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의하여 비롯되는 여러 가지 궤적과 특이점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기초 정보는 그것이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기인한 것인 이상, 종래 기술을 참조하여 제한 없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라 제1 디바이스(310)나 제2 디바이스(320)에서 파악되는 소정의 파(wave)의 좌표계나 좌표축 상에서의 특성 정보가 위와 같은 기초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정보의 종류의 예를 들어 보면 아래와 같다.
- 시간 도메인에서의 상기 파의 특성 정보의 종류
최대 진폭, 평균 진폭, 평균 주파수, 평균치, 표준 편차, 전체적인(overall) 진폭에 의하여 노멀라이징된 표준 편차, 분산(variance), 스큐니스(skewness), 커토시스(Kurtosis), 합, 절대 합, 실효치(Root Mean Square; RMS), 크레스트 팩터, 분산(dispersion), 엔트로피(entropy), 파워 섬(power sum), 질량 중심(center of mass), 변동 계수(coefficients of variation), 상호 상관성(cross correlation), 제로 크로싱(zero-crossings), 반복성(seasonality), DC 바이어스, 또는 상기 파의 1차, 2차, 3차 또는 그 이상의 차수의 데리버티브(derivative)에 대해 계산된 위와 같은 특성
-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상기 파의 특성 정보의 종류
스펙트럴 센트로이드(spectral centroid), 스펙트럴 덴시티(spectral density), 구면 조화 함수(spherical harmonics), 총 평균 스펙트럴 에너지(total average spectral energy), 매 옥타브에서의 대역 에너지 비율(band energy ratio for every octave), 로그 스펙트럴 대역 비율(log spectral band ratio), 선형 예측 기반의 셉스트럴 계수(Linear Prediction-based Cepstral Coefficients; LPCC), 지각 선형 예측(Perceptual Linear Prediction; PLP) 셉스트럴 계수, 멜-주파수 셉스트럴 계수, 주파수 위상, 또는 상기 파의 주파수 도메인 표현의 1차, 2차, 3차 또는 그 이상의 차수의 데리버티브에 대해 계산된 위와 같은 특성
또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이나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이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른 여러 가지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특징적인 정보의 결정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발명에 따른 매칭을 행할 수 있는 매칭 시스템(200)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3. 매칭 방법의 주요 단계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칭 방법은 여러 가지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공통될 수 있는 매칭 방법의 주요 단계들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정리하여 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칭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 제1 디바이스(310)의 애플리케이션이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에서 제2 디바이스(320)의 애플리케이션이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른 조작, 또는 제1 디바이스(310)의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위치 변경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즉, 위의 네 가지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 S-1과 단계 S-1'는 이 중 어느 것이 선행되어도 무방하고 동시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단계 S-2에서 매칭 시스템(200)이 두 가지 특징적인 정보를 서로 비교하거나 대응시킴으로써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를 매칭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에서 매칭 시스템(200)이 제1 디바이스(310)나 제2 디바이스(320)에 매칭 사실을 알릴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 S-4에서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중에서 매칭 시스템(200)으로부터 매칭 사실을 고지 받은 것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매칭 방법으로서,
    제1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고, 제2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가지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자기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서 내적으로 결정된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카메라를 포함하거나 카메라와 통신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시리즈에 기초한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거나 터치 패널과 통신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한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포인팅 도구를 포함하거나 포인팅 도구와 통신하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포인팅 도구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한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조작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조작은 상기 제2 디바이스 상의 그래픽 객체에 대한 것이며,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제스처에 기초한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위치 변경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입장에서 결정되는 상기 특징적인 정보는 비콘의 상기 제1 디바이스에 관한 위치 측정에 기초한 것인
    방법.
  8.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값을 산출하기 위한 기술 수단, 및
    상기 물리적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움직임에 관한 제1의 특징적인 정보를 결정하는 프로그램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특징적인 정보와, 상기 움직임, 상기 움직임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하여 결정된 제2의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매칭되는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 수단은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자기 센서 및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매칭을 위한 서버 시스템으로서,
    제1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결정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와, 제2 디바이스의 입장에서 결정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른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움직임에 따라 야기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위치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특징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매칭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57031451A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KR101690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279 2013-05-02
KR20130049279 2013-05-02
PCT/KR2014/003979 WO2014178693A1 (ko)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052A Division KR20170000402A (ko)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533A true KR20160008533A (ko) 2016-01-22
KR101690777B1 KR101690777B1 (ko) 2016-12-28

Family

ID=518437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451A KR101690777B1 (ko)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KR1020167036052A KR20170000402A (ko)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052A KR20170000402A (ko) 2013-05-02 2014-05-02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578670B2 (ko)
EP (1) EP2993554A4 (ko)
KR (2) KR101690777B1 (ko)
CN (1) CN105308537A (ko)
WO (1) WO20141786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5492A (zh) * 2015-09-23 2016-07-13 深圳还是威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获取用户信息的方法及智能手环
US11462095B2 (en) 2018-06-15 2022-10-04 Proxy, Inc. Facility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US11411735B2 (en) 2018-06-15 2022-08-09 Prox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providing of distributed goods or services
US11438767B2 (en) 2018-06-15 2022-09-06 Prox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authorizing reader devices
US11546728B2 (en) 2018-06-15 2023-01-03 Prox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ce sensing reporting
US11109234B2 (en) 2018-06-15 2021-08-31 Proxy, Inc. Reader device with sensor streaming data and methods
US20200036708A1 (en) * 2018-06-15 2020-01-30 Proxy, Inc. Biometric credential improvement methods and apparatus
US20200028841A1 (en) 2018-06-15 2020-01-23 Prox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user credenti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005A (ko) * 2010-02-20 2011-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US20120263154A1 (en) * 2011-04-13 2012-10-18 Autonomy Corporation Lt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joining shared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50588A (ja) * 2005-06-15 2006-12-28 Sharp Corp 情報処理機器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914438B1 (ko) * 2008-05-20 200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 기기와 그 기능 실행 방법
US8655344B2 (en) * 2010-05-03 2014-02-18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Addressing wireless nodes
US9077912B2 (en) * 2010-09-23 2015-07-07 Intel Corporation Motion initiated time synchronization
KR101789619B1 (ko) * 2010-11-22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에서 음성과 제스쳐를 이용한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TW201239317A (en) * 2011-03-17 2012-10-01 Ac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position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ereof
US9990003B2 (en) * 2011-06-03 2018-06-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tion effect reduction for displays and touch input
US8918844B1 (en) * 2012-09-28 2014-12-23 Emc Corporation Device presence validation
US20140257730A1 (en) * 2013-03-11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and time delay matching for inertial sens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005A (ko) * 2010-02-20 2011-08-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US20120263154A1 (en) * 2011-04-13 2012-10-18 Autonomy Corporation Ltd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joining shared exper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8693A1 (ko) 2014-11-06
KR20170000402A (ko) 2017-01-02
CN105308537A (zh) 2016-02-03
EP2993554A1 (en) 2016-03-09
US20170150541A1 (en) 2017-05-25
KR101690777B1 (ko) 2016-12-28
US20170353986A1 (en) 2017-12-07
EP2993554A4 (en) 2016-09-07
US20150327316A1 (en) 2015-11-12
US9578670B2 (en) 201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777B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US20160171773A1 (e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162422B2 (en) Control of machines through detection of gestures by optical and muscle sensors
EP2733629B1 (en) System for associating tag information with images supporting image feature search
US98238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superimposing virtual objects on input image and selecting an interested object
US10163266B2 (en) Terminal control method, image generating method, and terminal
JP2017527907A (ja) 疑似ランダムに誘導される指紋登録
US10572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totyping too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753539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2011528819A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制御のためのカメラジェスチャ
US9696815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702000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KR101709983B1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US10175767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2100966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Three-Dimensional-Human-Gesture Input
CN108829329A (zh) 一种操作对象展示方法、装置和可读介质
Chu et al. A study of motion recognition system using a smart phone
KR10191670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584154B (zh) 以角度為基礎之項目決定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Ch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uitive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ing a hand-held device
KR20160070640A (ko)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