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0640A -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0640A
KR20160070640A KR1020140177864A KR20140177864A KR20160070640A KR 20160070640 A KR20160070640 A KR 20160070640A KR 1020140177864 A KR1020140177864 A KR 1020140177864A KR 20140177864 A KR20140177864 A KR 20140177864A KR 20160070640 A KR20160070640 A KR 20160070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present
input event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Priority to KR102014017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0640A/ko
Publication of KR20160070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디바이스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디바이스 또는 제 2디바이스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제 1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값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움직임의 상대적인 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값에 대응하는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다른 구성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VIDING PATTERNED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다양한 통신 및 센싱 기능과 강력한 연산 기능을 갖춘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스마트 디바이스 중에는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것(예를 들면,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링이나 브로치와 같은 형태의 스마트 디바이스, 신체나 의류에 직접적으로부착되거나 매립되는 스마트 디바이스 등)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본인의 두 개 이상의 (이종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하려고 하거나, 본인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다른 사용자의 디바이스가 함께 개입될 필요가 있는 어떤 작업, 혹은 제스처를 혼합한 다양한 작업이 수행되게끔 하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사용자의 (잠재적인) 의도가 적절하게 서포팅될 수 없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디바이스에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정도에 대응되는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 수단, 및 상기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입력 이벤트와 연관된 다른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될 명령을 결정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시간구간과 상기 시간구간의 이전 시점에 존재하는 이전 시간구간과 상기 시간구간의 이후 시점에 존재하는 이후 시간구간에서의 상기 입력 이벤트와 연관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될 명령을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고 확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이벤트에 따른 내부 디바이스와 외부 디바이스의 센서 활용구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이럴 앤 터치 제스처(Spiral&Touch gesture)입력의 예와 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호리즌탈 스윙 앤드 터치 제스처(horizontal swing&Touch gesture)입력의 예와 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앤드 스파이럴 제스처(Spiral&Touch gesture)입력의 예와 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릴리즈 앤드 스윙 제스처(Release&swing gesture)입력의 예와 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하는 손에 부착된 내부 디바이스의 움직임 값을 반영하여 특정 터치 시 또는 특정 터치 이후에 각각 상이한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및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디바이스(310, 320) 중 하나가 다른 하나로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소정의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도록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디바이스(31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에 대응하여 수행될 이벤트를 결정함으로써,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상대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에 의하여 포함되는 제어부(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공 받은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이것이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이용되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저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하여 포함되는 저장소(미도시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의 세부 사항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조작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현되거나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 또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 중 상대되는 것(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외부화(externalization) 되어 있을 수 있음)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310, 32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디바이스(310, 32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 글래스,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스마트 링 등과 같은 소위 스마트 디바이스이거나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버튼, 마우스, 키보드, 전자 펜 등과 같은 다소 전통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입력 받을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터치 패널, 포인팅 도구(예를 들면, 마우스, 스타일러스, 전자 펜 등),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 그래픽 객체, 키보드, 토글 스위치, 생채 정보(지문 등) 인식 센서, 거리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310, 320)는 그 디바이스(310, 320)의 자세나 움직임에 관한 물리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적어도 하나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수단의 예로서, 공지의 구성요소인, 움직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자기 센서, 위치 결정 모듈(GPS 모듈, 비콘 기반의 위치 결정(확인) 모듈 등), 기압계, 거리 센서, 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10, 320)에는 위와 같은 물리적인 정보를 처리하여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에 대하여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하거나 다른 디바이스(310, 320 등)로부터 정보나 제어 명령을 제공 받거나 이러한 정보나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디바이스(310, 320) 내에서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의 성격은 전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의 제어부와 전반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그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균등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장치나 펌웨어 장치로 치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가 소정의 연관성(예를 들면, 동일한 사용자에게 속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동일한 사용자를 위하여 기능하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서로 실질적으로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라는 연관성이나, 이들 중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증하거나 허용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연관성)을 갖는 것이라는 점이 인식되는 경우에, 제1 디바이스(310)와 제2 디바이스(320) 간에 소정의 연결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인식 또는 연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되거나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디바이스(310, 320)가 개입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구체적인 예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입력 이벤트와 연관된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과 기 설정된 시간의 이전 구간에서의 제1 디바이스(310) 및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310)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제2 디바이스(320)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관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될 명령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입력 주체에 부착된 디바이스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여 터치 이전 또는 이후에 상이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 이벤트는 제1 디바이스(310) 상에서 설정기간 이전(410), 설정기간(420), 설정기간 이후(430)에 발생할 수 있으며, 제2 디바이스(320)는 해당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디바이스(320) 상에서 또한 설정기간 이전(440), 설정기간(450), 설정기간 이후(460)에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310)에 터치가 발생되는 경우 제2 디바이스(320)에 해당 정보를 요청하거나, 제 3의 서버를 사용하여 해당 정보들을 비교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 디바이스의 통신을 통한 방법이 더욱 효율적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설정된 시간 구간(420, 450), 설정기간 이전 구간(410, 440), 설정기간 이후 구간(430, 460)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좌표 축을 기준으로 하여 특정되는 제1 디바이스(310)의 방향과 제2 디바이스(320)의 방향 사이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관계에 따라 해당 입력 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될 명령이 결정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인 사용자의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320) 이용하여 상이한 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손목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320)를 회전시킨 후 제1 디바이스(310)상에 터치 이벤트로 발생시키는 행위(일명, 스파이럴 앤드 터치 제스처(spiral&touch gesture))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이전 구간(410)에서 스파이럴 동작을 인식하고, 설정기간(420)에서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명령(게임 내에서의 회오리 바람을 일으키는 효과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입력 수단인 사용자의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320) 이용하여 상이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손목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320)를 좌우로 흔든 후 제1 디바이스(310)상에 터치 이벤트로 발생시키는 행위(일명, 호리즌탈 스윙 앤 터치 제스처(horizontal swing & touch gesture)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이전 구간(410)에서 스파이럴 동작을 인식하고, 설정기간 구간(420)에서 터치 이벤트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명령(작업 실행 취소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이벤트를 종료 시키는 사용자의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320) 이용하여 상이한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에 터치 입력을 종료한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320)를 회전시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행위(일명, 릴리즈 앤드 스파이럴 제스처(release&spiral gesture)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이전 구간(420)에서 터치 이벤트 종료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구간(430)에서 스파이럴 제스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명령(컨텐츠 복사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터치 이벤트를 종료 시키는 사용자의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2 디바이스를(320) 이용하여 상이한 입력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200)은 제1 디바이스에 터치 입력을 종료한 손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제 2 디바이스(320)를 회전시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행위(일명, 릴리즈 앤드 스윙 제스처(release&swing gesture)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이전 구간(420)에서 터치 이벤트 종료를 인식하고, 설정기간 구간(430)에서 스윙 제스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소정의 명령(컨텐츠 지우기 등)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310)에 제1 입력(510)이후 터치 릴리즈 제스처 단계(S-1),
제1 디바이스(310)에 제2 입력(520)이후 터치 릴리즈 제스처 단계(S-2),
제스처 이후 제1 디바이스(310)에 입력되는 제3 입력(530) 단계(S-3),
제스처 이후 제1 디바이스(310)에 입력되는 제4 입력(540) 단계(S-4),
상기 각 단계의 입력 이벤트는 상이하며 상기 제스처 및 입력 값에 따라 상이한 이벤트를 구현 할 수 있다.
구제적인 실시예로 단계(S-1)에서는 컨텐츠 A를 저장하고, 단계(S-2)에서는 컨텐츠 B를 저장하여, 단계(S-3)에서 컨텐츠 A를 붙혀넣기 하고, 단계(S-4)에서 컨텐츠 B를 붙혀넣기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 내지 S-4)에 있어서 입력 및 제스처의 속성은 개수, 형태, 시간, 압력, 방향 등이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반영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310: 제1 디바이스
320: 제2 디바이스
410: 제 1 디바이스의 제 1 기 설정 구간
420: 제 1 디바이스의 센서 활용 구간
430: 제 1 디바이스의 제 2 기 설정 구간
440: 제 2 디바이스의 제 1 기 설정 구간
450: 제 2 디바이스의 센서 활용 구간
460: 제 2 디바이스의 제 2 기 설정 구간

Claims (1)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에서의 상기 입력 이벤트와 연관된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시간 구간의 전후에서의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자세 또는 움직임 사이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관계를 참조로 하여,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수행될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0177864A 2014-12-10 2014-12-10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70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64A KR20160070640A (ko) 2014-12-10 2014-12-10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864A KR20160070640A (ko) 2014-12-10 2014-12-10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640A true KR20160070640A (ko) 2016-06-20

Family

ID=5635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864A KR20160070640A (ko) 2014-12-10 2014-12-10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0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676B2 (en)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echanism
US20180329488A1 (en) Audio-visual interaction with user devices
US10572012B2 (en)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gestur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orientation thereof
US9696815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160171773A1 (e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9002592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9753539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JP2016118929A (ja) 入力支援方法、入力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支援装置
US20160162176A1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70000402A (ko)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US102042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US20170131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interacting with user by means of nui device
US2014030473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US10175767B2 (en) Method, device,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20160070640A (ko) 패턴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0086367A (ja) 位置情報入力装置、位置情報入力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電子装置
TW201530420A (zh) 動作導向之使用者介面操控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JP6839053B2 (ja) 判定装置、判定方法、および、判定プログラム
JP2016118947A (ja) 角度調整可能な仮想平面を用いた空間手書き入力システム
KR20160108126A (ko) 자세 또는 동작을 인식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1670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584154B (zh) 以角度為基礎之項目決定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US201600417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68069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TWI544400B (zh) 應用程式啟動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