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005A -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005A
KR20110096005A KR1020100015471A KR20100015471A KR20110096005A KR 20110096005 A KR20110096005 A KR 20110096005A KR 1020100015471 A KR1020100015471 A KR 1020100015471A KR 20100015471 A KR20100015471 A KR 20100015471A KR 20110096005 A KR20110096005 A KR 20110096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xternal device
change
terminal control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6935B1 (ko
Inventor
홍상우
박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5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935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과 별도로 구성된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이 수신한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을 직접 움직이지 않고 외부장치를 통해 단말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되고, 외부장치 조작시 사용자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System and method for terminal control using controller device, and terminal and controller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과 별도로 구성된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단말에 전송하여 단말이 수신한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도록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단말은 점점 고사양화 되고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의 경우 이동통신망의 발달, 무선컨텐츠의 증가, 휴대단말에 구비된 프로세서 및 메모리의 비약적 발전으로 인해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 사진촬영, 게임, TV 또는 라디오 방송 수신 등 복잡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휴대단말은 종래의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등을 이용하여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휴대단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 자체의 움직임으로 휴대단말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단말을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의 화면을 명확히 볼 수 없어,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또는 게임을 하는 경우 등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단말에 접속된 외부장치가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기능을 제어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은,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단말에 전송하는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상기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는,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로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매칭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칭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된 매칭정보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매칭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접속 중, 다른단말을 선택하는 단말선택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다른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 및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로부터 상기 다른단말 및 감지한 상기 변화와 모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선택신호간의 매칭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단말선택신호는, 상기 감지부로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선택신호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선택신호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단말선택신호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다른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아 발생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사용자에게 진동효과를 제공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진동부로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명령은 상기 단말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내의 컨텐츠 실행 및 종료, 상기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 내에서의 컨텐츠 조작,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상기 단말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은,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송수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에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인증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에서, 정보 입력을 받는 단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저장부는 기 인증된 외부장치들의 식별자를 더 저장하고, 상기 단말제어부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단말입력부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방법,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 인증된 외부장치들의 식별자와 일치 여부를 비교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방법은, 단말에 접속한 외부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명령추출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 이전에,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에 인증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인증요청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인증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에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단계, 상기 단말이 수신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실행시키는 기능실행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실행알림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신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단계, 상기 단말이 인증한 상기 외부장치로 인증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인증확인신호 전송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접속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단말을 직접 움직이지 않고 외부장치를 통해 단말을 제어함으로써 단말의 화면을 명확히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움직이거나, 외부장치에 압력을 가하거나, 외부장치를 비틀어서 단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 사용자에게 흥미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단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단말을 제어하길 원하는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외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말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단말제어시스템은 외부장치(100), 단말(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른단말(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다른단말(400)은 복수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는 외부장치(100) 및 단말(20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300)는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또는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유선망,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 Wi-Fi, WGB,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또는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된 모든 무선통신망,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이동통신망 또는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한다.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컴퓨터, 가전기기, 휴대폰(mobile phone),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장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외부장치(100)는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외부장치(100)와 단말(2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외부장치(100)가 변화를 감지하여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는 것은 외부장치(100)에 포함된 센서를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다.
외부장치(100)가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장치(100)는 내부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기 설정된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꽉 쥐는 동작을 하면, 외부장치(100)는 내부에 포함된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단말(200)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하고,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단말(200)의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손으로 꽉 쥐었다가 약간 느슨하게 하면 외부장치(100)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카메라 촬영 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하고,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카메라 촬영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외부장치(100)가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장치(100)는 내부에 포함된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흔들림 또는 상하좌우 등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기 설정된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움직임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단말(200)로 전송하고,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위아래로 흔들면 외부장치(100)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흔들림을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감지한 흔들림변화에 대응하는 단말(200)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능을 실행시키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DMB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면 외부장치(100)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DMB 채널을 변경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하고,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실행된 DMB 기능 내에서 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외부장치(100)가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경우, 외부장치(100)는 내부에 포함된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기 설정된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비틀림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200)에서 동영상 또는 음악파일을 재생 중,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쥐어짜듯이 왼쪽으로 한번 비틀게 되면, 외부장치(100)는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현재 재생중인 파일의 이전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한다.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은 현재 재생중인 파일의 이전파일을 선택하여 재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한 단말(200)이 실행한 기능들은 예시일 뿐이며, 외부장치(100)를 이용하여 단말(200)의 기능제어, 단말(200)내의 컨텐츠제어 등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단말제어시스템은 다른단말(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장치(100)가 다른단말(400)을 제어하는 자세한 설명은 단말(200)과 같은 바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단말(200)을 제어하는 외부장치(1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1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100)는 제어부(110), 송수신부(130), 감지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며 진동부(160), 입력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300)를 매개로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부(13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네트워크(300)는 외부장치(100) 및 단말(200) 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한다.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감지부(140)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고도계, 압력센서, 토크센서 등을 포함하여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감지부(140)로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는 외부장치(100)에 디폴트로 설정된 매칭정보 또는 외부장치(100)의 사용자가 설정한 매칭정보 일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 감지부(140)로 감지한 변화와 단말선택신호간의 매칭정보를 각각 또는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각 매칭정보로부터 단말제어명령 또는 단말선택신호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진동부(160)는 외부장치(100)에 진동을 발생시켜 외부장치(100) 사용자에게 알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진동부(160)는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동모터를 포함한다.
입력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7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의 센서도 필요에 따라 입력부(170)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외부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부(140)에 포함된 센서로 감지한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한다.
단말제어명령은 단말(200)의 특정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단말(200)내의 컨텐츠 실행 및 종료, 단말(200)에서 실행된 컨텐츠 내에서의 컨텐츠 조작, 단말(200)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단말(200)의 위치정보 전송, 단말(200)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 등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해당 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을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한 압력이 일정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만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대략 1 psi 내지 20 psi의 압력이 외부장치(100)에 전달된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임계치를 30 psi로 설정하고 30 psi 미만의 압력에서 30 psi를 초과한 압력으로의 변화를 외부장치(100)가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10)가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임계치 이상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거나,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다른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이미 떨어진 임계치 이하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상의 압력으로 다시 올라가는 것을 인식하거나, 이미 올라간 임계치 이상의 압력에서 임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다시 떨어지는 것을 인식하면, 감지한 압력변화에 대응하는 또 다른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장치(100)는 마치 스포이트(spuit)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연속적으로 각각의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임계치 압력을 30 psi로 가정하였으나, 그 값은 30 psi 미만 또는 초과의 어떠한 값도 될 수 있다. 또한, 압력의 임계치는 각 단말제어명령별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외부장치(100)가 감지부(140)의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압력은 사용자의 손아귀 전체에서 인식되는 압력의 평균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손아귀 일부분 또는 손가락 등을 통해 압력센서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인식한 압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에 의한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해당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등을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면,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지자기센서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지자기는 지구가 지니고 있는 자기로서, 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변화한다. 어떤 지점의 지구자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3개의 독립된 성분이 필요하며, 수평분력과 방위각 및 복각이 그에 속한다. 지자기센서에 의한 지구자계의 결정은 X축(가로)센서, Y축(세로)센서, Z축(상하)센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즉 X축 센서와 Y축 센서는 외부장치(100)의 좌, 우 방향을 감지하고 Z축 센서는 외부장치(100)의 상, 하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외부장치(100)의 움직임 방향을 측정한다.
가속도센서는 속도의 변화라고 하는 물리량을 특정하는 센서로, 운동체의 동적 진동변화(가속도)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다. 대표적으로 압전형 가속도 센서가 있는데, 운동체의 움직임에 의한 가속도 변화에 따라 센서의 실리콘 구조가 바뀌게 되고, 실리콘 구조의 변동은 실리콘에 전하를 발생시킨다. 실리콘에 발생되는 전하는 센서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바꾸게 되는데,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을 그에 상응하는 전압 값으로 변환시키는 원리로서 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원리로써 동작한다.
자이로센서는 회전각가속도센서로 회전하는 각의 수직방향으로 코리올리스 힘이 발생하게 되면 이 수직힘을 가속도센서와 마찬가지의 원리로 감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고도계는 고도에 따라 변하는 기압 차(압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손에 쥐고 일정방향으로 왕복하는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를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하면,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일회성 진동을 감지한 제어부(110)가 단말제어명령 추출을 위한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로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복수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에 의한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토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센서란 말 그대로 토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토크(Torque)란 회전력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는데, 물체를 동작시키려 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표현한 것이다. 토크의 측정은 동력, 마찰저항, 압력 등의 형태로 측정하는 경우가 많다. 토크는 직접 봉의 비틀림으로서 측정되는 수도 있고, Torque= Length*Force 형태로 힘을 측정하여 구하는 경우도 있다. 또 힘의 상태에 따라 static force 와 dynamic 힘으로 나눌 수가 있다. 외부장치(100)는 이러한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장치(100)를 손으로 비트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제어부(110)가 감지부(140)를 통해 감지하면,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토크센서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비틀림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모든 기술이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단말(200)에 단말제어명령을 전송한 후, 단말(200)로부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다는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진동부(160)로 외부장치(100)에 진동을 발생시켜 외부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알림신호 수신에 따라 발생한 진동을 감지한 제어부(110)가 단말제어명령 추출을 위한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로 인식하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감지부(140)는 알림신호 수신시 그 동작을 중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부장치(100)는 다른단말(400)을 더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50)는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200)에 접속중에, 다른단말(400)을 선택하는 단말선택신호를 받는다. 단말선택신호는 입력부(170)를 통해 다른단말(400)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아 발생한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저장부(150)에 포함된 감지한 변화와 단말선택신호의 매칭정보로부터 추출한, 감지부(140)로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선택신호 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감지부(140)를 통해 다른단말(400)을 제어하기 위한 변화를 감지하고, 선택한 다른단말(400) 및 감지한 변화와 모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다른단말(400)로 전송하게 된다.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의 매칭정보에서 다른단말(400)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른단말(400)의 식별자와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외부장치(100)가 다른단말(400)을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200)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는 단말(200)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 원거리에서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어 단말(200)의 화면을 명확히 주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장치(100)를 움직이거나, 외부장치(100)에 압력을 가하거나, 외부장치(100)를 비트는 동작으로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어 외부장치(100)를 이용하여 단말(200)을 제어할 때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흥미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20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도이다.
단말(200)은 단말송수신부(230), 단말저장부(250), 단말제어부(210)를 포함하며, 단말입력부(2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송수신부(230)는 네트워크(300)를 매개로 외부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송수신부(23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단말저장부(250)는 단말(200) 내부의 데이터 또는 컨텐츠 등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또한 단말저장부(250)는 외부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단말제어명령을 실행시켜 단말(2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단말입력부(2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단말제어부(2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단말입력부(27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또는 조그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제어부(210)는 단말(2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제어부(210)는 단말송수신부(230)를 통해 외부장치(100)로부터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면, 단말송수신부(230)를 통해 외부장치(100)로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단말제어부(210)는 외부장치(100)를 인증한 후 외부장치(100)로부터 단말제어명령을 수신 할 수 있다.
한편 외부장치(100)의 인증은, 외부장치(100)의 비밀번호를 단말입력부(270)을 통해 입력받는 방법 또는 외부장치(100)의 식별자를 단말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기 인증된 외부장치들의 식별자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구현 가능한 모든 인증방법을 통해 외부장치(100)의 인증이 이루어 질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다른단말(400)에 대한 내용은 단말(200)과 동일한 바 도면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으로, 사용자는 단말(200)에 직접 접근하여 단말입력부(270)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할 필요 없이 외부장치(100)로 단말(200)을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단말(200)의 화면을 명확히 주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증된 외부장치(100)에 한하여 단말(200)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200)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장치(100)를 이용한 단말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장치(100)는 네트워크(300)을 매개로 단말(200)에 접속한다(S420). 그리고 외부장치(100)는 감지부(140)를 통해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한다(S430).
여기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에 의한 외부장치(100)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또는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에 가해지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의 손아귀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외부장치(100)를 보유한 사용자에 의한 외부장치(100)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토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한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한다(S440). 그리고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송수신부(130)를 통해 단말(200)로 전송한다(S450). 단말(200)은 단말송수신부(230)를 통해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고(S450), 단말제어부(210)는 수신한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게 된다(S530).
여기서 단말제어명령은 단말(200)의 특정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단말(200)내의 컨텐츠 실행 및 종료, 단말(200)에서 실행된 컨텐츠 내에서의 컨텐츠 조작, 단말(200)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단말(200)의 위치정보 전송, 단말(200)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 등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외부장치(100)는 단말(200)로부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송수신부(130)를 통해 수신하고(S540), 제어부(110)는 진동부(160)에 진동을 발생시켜 외부장치(100)의 사용자에게 단말(200)에서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린다(S460).
외부장치(100)가 네트워크(300)을 매개로 단말(200)에 접속하는 단계(S420) 이전에, 외부장치(100)가 송수신부(130)를 통해 단말(200)에 인증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410). 단말(200)은 인증요청신호를 단말송수신부(230)을 통해 수신하고, 외부장치(1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한다(S510). 그리고 단말(200)은 인증된 외부장치(100)로 단말송수신부(230)를 통해 인증확인신호를 전송한다(S520).
외부장치(100)가 송수신부(130)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인증확인신호를 수신하면(S520), 외부장치(100)는 네트워크(300)를 매개로 단말(200)과 접속할 수 있다(S420).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제어기술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즉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를 이용하여 단말을 움직이지 않고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말의 화면을 명확히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장점은 단말을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또는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극대화된다. 또한 외부장치를 움직이거나, 외부장치에 압력을 가하거나, 외부장치를 비틀어서 단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장치 조작시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흥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을 제어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단말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진된다.
100: 외부장치 200: 단말
110: 제어부 210: 단말제어부
130: 송수신부 230: 단말송수신부
140: 감지부 250: 단말저장부
150: 저장부 270: 단말입력부
160: 진동부 300: 네트워크
170: 입력부 400: 다른단말

Claims (18)

  1.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면,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단말에 전송하는 외부장치;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상기 단말;
    을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2.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감지부로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매칭정보로부터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정보는 상기 외부장치에 디폴트로 설정된 매칭정보 또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매칭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 접속 중, 다른단말을 선택하는 단말선택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부로 상기 다른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변화를 감지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 및 각 단말별 단말제어명령들의 매칭정보로부터 상기 다른단말 및 감지한 상기 변화와 모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다른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선택신호간의 매칭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단말선택신호는, 상기 감지부로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저장부에서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선택신호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선택신호를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받는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단말선택신호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다른단말을 선택하는 입력을 받아 발생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지자기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고도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8.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9.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토크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사용자에게 진동효과를 제공하는 진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진동부로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명령은 상기 단말의 기능 활성화 및 비활성화, 상기 단말내의 컨텐츠 실행 및 종료, 상기 단말에서 실행된 컨텐츠 내에서의 컨텐츠 조작, 상기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의 편집, 삭제 또는 전송, 상기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상기 단말의 자동응답 기능 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외부장치.
  12.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송수신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말저장부;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실행하고, 상기 단말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제어부;
    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제어부는
    인증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받는 단말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저장부는 기 인증된 외부장치들의 식별자를 더 저장하고,
    상기 단말제어부에서, 상기 인증은,
    상기 외부장치의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방법, 상기 외부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단말 내에 저장되어 있는 기 인증된 외부장치들의 식별자와 일치여부를 비교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
  15. 단말에 접속한 외부장치가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감지한 상기 변화와 단말제어명령간의 매칭정보로부터 감지한 상기 변화에 대응하는 단말제어명령을 추출하는 명령추출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추출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전송단계;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알림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단계 이전에,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에 인증요청신호를 전송하는 인증요청단계;
    인증확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단말과 접속하는 접속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제어방법.
  17. 상기 단말이 접속된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의 움직임변화, 상기 외부장치에 가해지는 압력변화, 상기 외부장치의 비틀림변화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감지하여 추출한 단말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수신단계;
    상기 단말이 수신한 상기 단말제어명령을 실행시키는 기능실행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단말제어명령이 실행되었음을 알리는 알림신호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실행알림단계;
    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수신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인증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단계;
    상기 단말이 인증한 상기 외부장치로 인증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인증확인신호 전송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외부장치와 접속하는 접속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에서의 단말제어방법.
KR1020100015471A 2010-02-20 2010-02-20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KR10115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71A KR101156935B1 (ko) 2010-02-20 2010-02-20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71A KR101156935B1 (ko) 2010-02-20 2010-02-20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005A true KR20110096005A (ko) 2011-08-26
KR101156935B1 KR101156935B1 (ko) 2012-06-20

Family

ID=4493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471A KR101156935B1 (ko) 2010-02-20 2010-02-20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9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93A1 (ko) * 2013-05-02 2014-11-06 Hwang Sung Jae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WO2014185753A1 (ko) * 2013-05-16 2014-11-20 주식회사 퓨쳐플레이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KR101877285B1 (ko) * 2017-07-31 2018-07-11 허경욱 스마트폰 제어용 리모콘 프로토콜 방법
US10263989B2 (en) 2013-05-16 2019-04-16 Futureplay Inc.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362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을 원격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32369B1 (ko) * 2006-12-11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26082B1 (ko) * 2007-10-04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693A1 (ko) * 2013-05-02 2014-11-06 Hwang Sung Jae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KR20160008533A (ko) * 2013-05-02 2016-01-22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CN105308537A (zh) * 2013-05-02 2016-02-03 (株)未来百乐 匹配多个装置的方法、以及使所述匹配成为可能的装置及服务器系统
US9578670B2 (en) 2013-05-02 2017-02-21 Futureplay Inc.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device for enabling matching thereof and server system
WO2014185753A1 (ko) * 2013-05-16 2014-11-20 주식회사 퓨쳐플레이 복수의 디바이스를 매칭시키는 방법, 그리고 상기 매칭이 가능하게끔 하여 주는 디바이스 및 서버 시스템
CN105229567A (zh) * 2013-05-16 2016-01-06 (株)未来百乐 匹配多个装置的方法、以及使所述匹配成为可能的装置及服务器系统
US9521202B2 (en) 2013-05-16 2016-12-13 Futureplay Inc.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US10263989B2 (en) 2013-05-16 2019-04-16 Futureplay Inc. Method for matching multiple devices, and device and server system for enabling matching
KR101877285B1 (ko) * 2017-07-31 2018-07-11 허경욱 스마트폰 제어용 리모콘 프로토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935B1 (ko)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1117B2 (ja) ジェスチャーベースの遠隔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157603B2 (ja) コンテキスト・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
CN113646828B (zh) 可在蓝牙低功耗(ble)模式下操作的游戏控制器
JP6475380B2 (ja) 端末及び端末の制御方法
KR101156935B1 (ko) 외부장치를 이용한 단말제어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 및 외부장치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40152201A1 (en) Position change-based vr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WO2018045882A1 (zh) 控制智能终端应用的软操作键的方法及系统
KR101470139B1 (ko) 이동 단말용 컨트롤러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1521889B1 (ko) 디지털 장치 및 그 제공방법
KR101485821B1 (ko) 사용자 모션을 이용한 원격 컨트롤 모듈 및 방법
JP5804781B2 (ja) ゲーム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9845284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WO2013083060A1 (zh) 基于移动终端状态改变的数据交换系统
KR20230056276A (ko)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100453B2 (ja) ゲーム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ゲーム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操作装置
KR101170134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호스트 장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휴대 단말기
KR101428471B1 (ko) 통화 중 햅틱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 단말기 및 햅틱서버
CN107436716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6112316A1 (en) Motion base content selection
KR20140099185A (ko) 그래픽 클라우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0390A (ko) 그립 상태에 따라 사용성이 달라지는 인풋 디바이스
KR20150101520A (ko)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