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1520A -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1520A
KR20150101520A KR1020140022709A KR20140022709A KR20150101520A KR 20150101520 A KR20150101520 A KR 20150101520A KR 1020140022709 A KR1020140022709 A KR 1020140022709A KR 20140022709 A KR20140022709 A KR 20140022709A KR 20150101520 A KR20150101520 A KR 2015010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rol signal
character
wrist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유석
Original Assignee
(주)유즈브레인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즈브레인넷 filed Critical (주)유즈브레인넷
Priority to KR102014002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1520A/ko
Publication of KR2015010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MOTIO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AC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전자사전, 게임기, 텔레비전 등 다양한 전자기기들의 이용이 증가됨에 따라 이러한 전자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들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들의 예로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리모콘,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모션입력장치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동작되는 모션 인식 입력장치 등도 등장하였다.
일반적으로 포인터 기능이 내장된 컴퓨터나 텔레비전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 게임을 실행하고자 할 때, 포인터를 이동, 선택 및 제어하기 위한 입력장치로는 통상적으로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 등이 사용된다.
마우스나 조이스틱은 화면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이동시키거나 폴더나 아이콘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는 전자 장치에 무선 통신 수단을 연결하여 무선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마우스 또는 조이스틱의 경우에는 바닥이나 테이블 위에 고정시켜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게임을 진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마우스나 조이스틱 이외에도 건(Gun)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슈팅 게임 또는 FPS(First-Person Shooter)와 같은 시뮬레이션 게임 등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건(Gun)을 입력 수단으로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부피가 큰 건(Gun)을 소지한 상태에서 게임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70280호(2006.06.23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제어신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점프 시키거나 암벽이나 사다리 또는 장애물 등을 등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앉게 하거나, 포복시키거나, 또는 장애물에서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하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부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게임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먼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TV, 휴대용 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리모콘 또는 무선 마우스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반지형태, 리모콘 형태, 팔찌나 아대(팔목 보호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거나 손목 또는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간편하고 쉽게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구현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50)는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로서, 사람과 전투기와 같은 이동 객체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캐릭터로서 사람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게임이나 영상 시청, 인터넷 검색 등을 위하여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와 교신하기 위한 입출력 장치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TV, 인터넷 TV,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은 웹 서버를 통하여 게임 관련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는 온라인 게임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내재된 게임 진행 모듈에 의해 진행되는 멀티미디어형 게임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대응되는 캐릭터(50)를 이용하는 슈팅 게임 또는 FPS(First-Person Shooter)와 같은 시뮬레이션 게임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입력부(110), 저장부(120), 센서부(130), 제어부(140) 및 통신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부(110)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와 연동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달할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마우스의 좌측 또는 우측 클릭 버튼 기능을 담당하는 버튼, 제어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움직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게임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5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사용자의 각각의 모션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저장한다. 즉,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부착한 상태에서 다양한 모션에 대응하는 신호를 저장한다.
센서부(130)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즉, 자이로 센서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이동 방향 또는 회전 방향을 추출한다.
또한, 센서부(130)는 자이로 센서 이외에 가속도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움직이면,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부(150)는 근거리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도 3a 및 도 3b는 센서부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센서부(130)에는 직육면체 형태의 자이로 센서(135)를 포함하며,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는 자이로 센서(135)는 각각의 면이 가리키는 방향 벡터가 X,Y,Z 축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3b에서는 Z축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향하는 방향인 것으로 도시하였다.
자이로 센서(135)는 관성력을 측정하여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좌우 이동 방향 또는 회전 방향(roll)을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d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이용한 게임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게임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거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부착한 상태이며,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동하여 온라인 상에서 FPS 게임 또는 슈팅 게임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다(S410).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터치하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나타난 캐릭터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에 의해 동작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여기서, ?羔?의 개념은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된 것을 감지하는 것과,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직접 누르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가 반지 또는 리모콘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에 형성된 제어 버튼을 터치하기가 용이한 반면, 팔찌나 아대(팔목 보호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누른 상태로 게임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가 팔찌나 아대(팔목 보호대)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면 제어 버튼을 누른 상태와 동일한 결과를 가져오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자이로 센서(13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420). 자이로 센서(135)는 관성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부착된 상태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좌우 이동 방향 또는 회전 방향(roll)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S430).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를 통하여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Z축이 사용자 단말기(200)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5c및 도 5d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 대신에 자이로 센서(135)를 도시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파지하거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를 부착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a에서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측 방향(Y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①),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점프 시키거나 암벽이나 사다리와 같은 장애물을 등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화면 속의 캐릭터를 이동시킨 후 사용자가 제어 버튼을 터치하지 않으면, 캐릭터는 다시 제어 가능 상태에서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 속의 캐릭터를 이동시킨 후 제어 버튼을 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원 위치로 복귀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하측 방향(Y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②),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앉게 하거나, 포복시키거나, 또는 암벽이나 사다리와 같은 장애물에서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우측 방향(X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③),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좌측 방향(X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④),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사용자 단말기(200) 방향(Z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⑤),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전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반면,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반대 방향(Z축의 (-) 방향)으로 이동시키면(⑥),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후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5c에서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5a의 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전진시키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도 5c와 같이, 사용자가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이로 센서(135)는 X축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전방 방향(Z축의 (+) 방향)으로 이동(⑤)시키는 것과 동일한 신호로 판단하고,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 5d에서 도시한 것처럼, 사용자가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의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도 5b의 ⑥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속의 캐릭터를 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도 5d와 같이, 사용자가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이로 센서(135)는 X축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후방 방향(Z축의 (-) 방향)으로 이동(⑥)시키는 것과 동일한 신호로 판단하고, 해당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면, 통신부(150)는 제어 신호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달한다(S440).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진행 중인 게임의 캐릭터의 동작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0: 캐릭터, 100: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110: 입력부, 120: 저장부,
130: 센서부, 135: 자이로센서,
140: 제어부, 150: 통신부

Claims (14)

  1.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어 사용자 단말기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부착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점프 시키거나 암벽이나 사다리 또는 장애물 등을 등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앉게 하거나, 포복시키거나, 또는 장애물에서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하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8.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부착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버튼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 버튼을 터치한 상태에서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진행되는 게임 화면상의 캐릭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에 부착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점프 시키거나 암벽이나 사다리 또는 장애물 등을 등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앉게 하거나, 포복시키거나, 또는 장애물에서 하강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캐릭터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또는 팔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스냅을 이용하여 손목을 하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캐릭터를 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KR1020140022709A 2014-02-26 2014-02-26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KR20150101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09A KR20150101520A (ko) 2014-02-26 2014-02-26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709A KR20150101520A (ko) 2014-02-26 2014-02-26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520A true KR20150101520A (ko) 2015-09-04

Family

ID=5424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709A KR20150101520A (ko) 2014-02-26 2014-02-26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15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8495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computers based on motions and positions of hands
JP5969626B2 (ja) 高められたジェスチャ・ベースの対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WI528227B (zh) 一種指環式無線指感控制器、控制方法及控制系統
JP5440176B2 (ja) 入力装置、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793566B1 (ko) 원격 제어기, 정보 처리 방법 및 시스템
US7161579B2 (en) Hand-held computer interactive device
CN107896508A (zh) 可以作为多个目标/端点(设备)和的整合点的以人为中心的“设备的超ui”体系结构的方法和设备,以及面向“模块化”通用控制器平台以及输入设备虚拟化的具有动态上下文意识的手势输入的相关方法/系统
EP2901246A1 (en) Remote control with 3d pointing and gesture recognition capabilities
KR102021851B1 (ko)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와 객체 간 상호 작용 처리 방법
KR20130027485A (ko) 디바이스 전력을 보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105818A (ko) 이벤트 기반의 정보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70087455A1 (en) Filtering controller input mode
US20140168079A1 (en) Cursor control system
CN106716304B (zh) 控制单元以及与图形用户界面进行交互的方法
TWI599389B (zh) 結合人體手勢辨識及骨架追蹤之虛擬人物控制系統
US20230076068A1 (en) Systems for interpreting a digit-to-digit gesture by a user differently based on roll values of a wrist-wearable device worn by the us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20150093270A (ko)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KR20150101520A (ko) 모션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및 그것을 이용한 캐릭터 제어 방법
TWI470483B (zh) Controller combination
JP716352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hen et al. MobiRing: A Finger-Worn Wireless Motion Tracker
CN101732862A (zh) 双控制器组合
TW201341026A (zh) 可攜式裝置運作遊戲之方法
TW201421283A (zh) 用於互動遊戲的可設定手持式電子系統的執行方法
Gritton MEMS sensors: Enabling next-gen content discovery, navigation and interactivity in C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