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016A -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016A
KR20160008016A KR1020140087348A KR20140087348A KR20160008016A KR 20160008016 A KR20160008016 A KR 20160008016A KR 1020140087348 A KR1020140087348 A KR 1020140087348A KR 20140087348 A KR20140087348 A KR 20140087348A KR 20160008016 A KR20160008016 A KR 20160008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lfactory
preventing
flavone
disor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호
성미정
황진택
윤여초
김성희
류미라
김혜영
김민정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87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016A/ko
Publication of KR2016000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Polymethoxylated flavones; PMF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후각 자극에 의한 cAMP의 생성을 촉진시켜, 다양한 후각 자극 물질에 대해 냄새 인지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LFACTORY DISORDER}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Polymethoxylated flavones; PMF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냄새의 인지는 다양한 후각 자극 물질이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면서 시작되어 아데닐산 시클라아제(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켜 cAMP(cyclic AMP)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cAMP가 후각 신경세포 내의 칼슘 농도 증가를 유발함으로써 후각 신경세포의 세포막 전위를 변화시켜 화학적인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뇌에 전달된 후 인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즉, 공기 중의 냄새 분자가 후각 상피 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면, Golf(olfactory G protein)을 우선적으로 활성화시키고, 곧이어 AC3(type III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킨다. AC3는 후각 세포 내에서 ATP로부터 cAMP의 생성을 촉진시키고, 칼슘 이온 채널을 활성화시켜서 궁극적으로 뇌로 신호를 전달하여 냄새 분자를 인식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사람의 경우 대략 1,200 종류의 후각 수용체 이소폼(isoform)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는 인간이 가진 유전자의 약 3%를 차지하고 있다. 단일 후각 수용체가 담당하는 냄새 분자는 2, 3 가지 정도이며, 약 100여 가지 후각 수용체의 조합에 따라 사람은 1만 가지 정도의 냄새(또는 냄새 분자)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후각 수용체는 후각 상피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의하면 후각-유사 화학감각 신호(olfactory-like chemosensory signaling)이 후각 상피조직 이외의 다른 생체 조직에서도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즉, 후각 수용체, 후각-관련 AC3 및 Golf 유전자들은 후각 상피세포뿐 아니라 신장 조직에서도 발현되어 레닌(rennin) 분비 및 사구체 여과율을 조절하는데 관여함이 밝혀졌다.
후각장애는 특징에 따라 전혀 냄새를 맡지 못하는 후각상실증(무후각증), 강한 자극을 가진 냄새는 맡을 수 있지만 약한 자극을 가진 냄새는 맡지 못하는 후각감퇴증, 냄새를 더 예민하게 맡는 후각과민증(고후각증), 어떤 냄새를 다른 냄새로 잘못 감지하는 이상후각증, 어떤 특정한 냄새만 맡지 못하는 후맹증, 냄새가 나는 물질이 없는 데도 냄새를 호소하는 환후각증 등으로 분류된다.
후각장애는 비염, 부비동 질환, 감기와 같은 상부 호흡기 감염 등에 의해 발병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드물게는 파킨슨 질병, 알츠하이머 질병, 간질 등 신경과적 질환, 유전성 질환인 칼만 증후군과 같은 질병에 기인하기도 하며, 현대에는 산업재해, 대기오염, 노화 등에 인한 후각장애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후각장애의 치료를 위한 약물로서, 스테로이드제, 비타민제, 아연제제 등이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가 뚜렷하지는 않고 이외에 뚜렷한 치료 방법이 현재 나와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폴리메톡실 플라본(Polymethoxylated flavones; PMFs)은 감귤류 과일 껍질 속에 들어 있는 성분으로, 대표적인 폴리메톡실 플라본 물질로는 탄제레틴(tangeritin), 시넨세틴(sinensetin), 및 노빌레틴(nobilitin) 등이 있다.
폴리메톡실 플라본은 혈소판 응집억제, 임파구 증식억제, 항 궤양 및 항염증 효과뿐만 아니라, 백혈병 세포의 성장억제,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다양한 효능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6451호에는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위한 폴리메톡시 플라본 및 토코트리에놀의 생체 이용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미국특허공보 제2014-0152641호에는 탄제레틴 또는 다양한 폴리메톡시 플라본의 혼합물을 이용한 인슐린 저항성 유래 대사 이상의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김소미의 「메틸플라본계화합물의 암세포사멸기작과 구조와의 상관관계 규명」(2013)에는 폴리메톡시 플라본의 항암 용도 및 세포분열억제와 세포사멸과 연관된 특이적인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 있고, Nakajima 등의 연구논문 「The citrus flavonoid nobiletin inhibits proliferation and induces apoptosis in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in vitro」(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ume 23, Number 1 225-229 1226-7708 KCI, 2014)에는 노빌레틴의 췌장암 세포 증식 저해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폴리메톡시 플라본의 후각장애 예방 및 개선과 관련된 효능은 밝혀지지 않았다.
본 발명에서는 후각장애를 근본적으로 치료하거나 또는 후각 감퇴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냄새를 일으키는 활성 성분 자체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뇌에서의 냄새 인지를 근본적으로 증진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폴리메톡실 플라본은 탄제레틴일 수 있다.
폴리메톡실 플라본은 후각 자극에 의한 cAMP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후각장애는 후각상실증 또는 후각감퇴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후각 자극에 의한 cAMP의 생성을 증대시켜 다양한 후각 자극 물질에 대해 뇌에서 냄새 인지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후각장애 예방 및 치료 등의 용도로 이용 가능하다.
도 1는 3T3L1 세포의 유진올 수용체(mOR-EG)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럿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유진올 자극에 따른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의 cAMP 발현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유진올 자극에 따른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의 CREB의 인산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탄제레틴 전처리 후 유진올 자극에 따른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의 칼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탄제레틴 전처리 후 유진올 자극에 따른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의 CREB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탄제레틴 처리 후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멸균 주사용액, 사전 충전식 주사(pre-filled syringe) 용액제의 형태 또는 동결건조(lyophilized)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유효 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컨대,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다양한 부형제, 예컨대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증상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이 1일 0.2㎎/㎏ 내지 200㎎/㎏으로 투여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효능을 위해 바람직하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후각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후각 자극에 의해 상승된 cAMP이나 칼슘 이온의 증대와 관련되거나 관련될 수 있는 비제한적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비제한적으로 각종 음료, 껌, 차, 과자, 비타민 복합체, 건강 보조식품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의 바람직한 섭취량은 섭취자의 상태 및 체중, 증상의 정도, 식품 형태, 섭취 기간에 따라 다르며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유효 성분이 1일 0.2㎎/㎏ 내지 200㎎/㎏으로 섭취되도록 하는 것이 최적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후각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후각 자극에 의해 상승된 cAMP이나 칼슘 이온의 증대과 관련되거나 관련될 수 있는 비제한적인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폴리메톡실 플라본은 탄제레틴, 시넨세틴, 및 노빌레틴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합물일 수 있고, 탄제레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후각 자극에 의한 cAMP의 생성을 증대시켜 다양한 후각 자극 물질에 대해 뇌에서 냄새 인지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후각장애 예방 및 치료용 등의 용도로 유용하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유진올 ( eugenol ) 수용체 발현 확인
3T3L1 세포에서의 유진올 수용체 발현을 웨스턴 블럿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도 1).
유진올에 의한 cAMP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 유진올을 0, 125, 250, 500, 1000, 2000μ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고, Direct cAMP EIA kit(ENZO Life Sciences사 제조)를 이용하여 cAM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진올 자극에 의하여 세포내 cAMP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진올 자극에 의하여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에서 cAMP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인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의 인산화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탄제레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도 증가 촉진 및 CREB 단백질 인산화 증가 효과의 확인
탄제레틴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도 증가 촉진 및 cAMP 신호 전달 관련 단백질인 CREB(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단백질 인산화 증가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상기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를 PBS 용액으로 세척한 후, 탄제레틴을 0, 100, 200, 400, 800, 1600μM 농도로 첨가하여 30분 동안 전처리한다. 그 후, 유진올을 최종농도가 2mM이 되도록 30 분간 처리하고, 실시간으로 칼슘의 농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군으로 이오노마이신을 사용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제레틴을 전처리한 세포의 경우, 유진올 자극에 따른 칼슘 농도의 증가가 촉진됨을 확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탄제레틴을 200, 400, 800, 1600μM 농도로 전처리한 경우의 세포내 칼슘 농도는 탄제레틴을 전혀 처리하지 않은 경우 대비 각각 1.18, 1.13, 1.40, 1.44배 가량 증가하였다.
또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제레틴을 전처리한 유진올 수용체 발현 세포의 경우, 유진올 자극에 따른 CREB의 인산화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탄제레틴 처리 후 세포 생존율 비교
3T3L1 세포에 탄제레틴을 0, 100, 200, 400, 800, 1600μM 농도로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세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탄제레틴 처리 농도에서 약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탄제레틴은 세포독성이 낮고 생체적합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탄제레틴 --------------------------------------- 300 mg
유당 ------------------------------ 100 mg
탈크 ------------------------------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탄제레틴 --------------------------------------- 5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탄제레틴 ------------------------------------- 50 mg
옥수수전분 ------------------------------ 100 mg
유당 ------------------------------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탄제레틴 ------------------------------------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탄제레틴 ----------------------------------- 100 mg
이성화당 ------------------------------ 10 g
만니톨 ------------------------------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탄제레틴 ----------------------------------- 1000 ㎎
비타민 혼합물 ------------------------------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 0.5 ㎎
비타민 B12 ------------------------------ 0.2 ㎍
비타민 C ------------------------------ 10 ㎎
비오틴 ------------------------------- 10 ㎍
니코틴산아미드 ------------------------------ 1.7 ㎎
엽산 ---------------------------------- 50 ㎍
판토텐산 칼슘 ------------------------------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 1.75 ㎎
산화아연 ------------------------------ 0.82 ㎎
탄산마그네슘 ------------------------------ 25.3 ㎎
제1인산칼륨 ---------------------------- 15 ㎎
제2인산칼 ------------------------ 55 ㎎
구연산칼륨 -------------------------- 90 ㎎
탄산칼슘 --------------------------------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탄제레틴 ----------------------------------- 1000 ㎎
구연산 ------------------------------ 1000 ㎎
올리고당 ---------------------------- 100 g
매실농축액 ----------------------------- 2 g
타우린 ------------------------------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폴리메톡실 플라본(Polymethoxylated flavones; PMF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톡실 플라본이 탄제레틴(tangeritin)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후각 자극에 의한 cAMP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장애는 후각상실증 또는 후각감퇴증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폴리메톡실 플라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톡실 플라본이 탄제레틴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5항에 있어서,
    후각 자극에 의한 cAMP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장애는 후각상실증 또는 후각감퇴증인 후각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40087348A 2014-07-11 2014-07-11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08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8A KR20160008016A (ko) 2014-07-11 2014-07-11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8A KR20160008016A (ko) 2014-07-11 2014-07-11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016A true KR20160008016A (ko) 2016-01-21

Family

ID=5530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348A KR20160008016A (ko) 2014-07-11 2014-07-11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0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4681B1 (en) Novel nutr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teviol and uses thereof
CN102762573B (zh) 用于在神经退行性障碍中保护脑部健康的化合物、组合物和方法
TWI402069B (zh) 含斛黃素組合物
US7569239B2 (en) Antioxidative compositions
US2012005213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green tea extract
JP5300167B2 (ja) 気分障害治療用組成物
JP2006083151A (ja) 骨粗鬆症予防、改善用組成物
KR20050088994A (ko) 항산화 조성물
US7270840B2 (en) Antioxidative compositions
KR20170022715A (ko) 조현병 관련 정신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27616A (ja) オレウロペイン及び/又はヒドロキシチロソー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骨形成促進剤
KR20140082052A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72609B1 (ko) 제니스테인의 신규 용도
KR20130108853A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008016A (ko) 후각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01109A (ko) 다표적 제어를 통한 치매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1314B1 (ko) 감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9279B1 (ko) 갓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92177B1 (ko) 다이인돌리메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후각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04296B1 (ko) 식용피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828055B1 (ko) 식용피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30016679A (ko)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36785A (ko) 귀리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20425A1 (ja) 脳機能改善剤
CA2776919A1 (en) Nutraceutical composition that comprises extract of shilajit, folic acid, vitamin b12 and vitamin b6 and the use thereof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or the cognitive deterioration associated with cerebral age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