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591A - 침대 장치 - Google Patents

침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591A
KR20160007591A KR1020157034976A KR20157034976A KR20160007591A KR 20160007591 A KR20160007591 A KR 20160007591A KR 1020157034976 A KR1020157034976 A KR 1020157034976A KR 20157034976 A KR20157034976 A KR 20157034976A KR 20160007591 A KR20160007591 A KR 20160007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knee
frame
upper frame
lif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038B1 (ko
Inventor
다츠야 시마다
단 가게야마
에이타 히라이
신노스케 구보타
Original Assignee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라마운트 베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7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47C19/045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with entire frame height or inclination adjust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raising or lowering of the who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anti-shear when adjusting furniture

Abstract

침대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의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면서 콤팩트하게 분할할 수 있어, 반송이나 분해 조립을 쉽게 하여,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한 침대 장치를 제공한다. 상부 프레임에 등 일으키기 기구와 무릎 올리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링크식 승강 기구를 배치하고,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 사이에, 링크식 승강 기구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고, 등 일으키기 기구와 무릎 올리기 기구와 링크식 승강 기구의 동작 제어를, 독립 또는 협조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침대 장치{BED DEVICE}
본 발명은 침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부를 기복시키는 기복 기구와 상기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용자(피개호자)가 침대 장치에 오르고 내리기 쉽게 하거나, 개호자가 돌보기 쉽게 하거나 하기 위해서, 침대 장치 전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나, 등 일으키기 기구, 무릎 올리기 기구 등의 기복 기구를 갖는 침대 장치가 알려져 있다.
등 일으키기 기구는, 상부 프레임 위에 분할되어서 적재된 바닥부 중 상체를 지지하는 등부(등 보텀)를 작동시킴으로써, 등 보텀에 접하는 이용자의 등을 일으킨다. 무릎 올리기 기구는, 상부 프레임 위에 분할되어서 적재된 바닥부 중 무릎을 지지하는 무릎부(무릎 보텀)를 작동시킴으로써, 이용자의 무릎을 올린다.
이러한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침대 장치는, 예를 들어 신체가 자유롭지 못한 이용자에 의해 재택에서 이용된다. 이용자는, 침대 장치에 대하여 등 일으키기 동작이나 무릎 올리기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자세로 할 수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개호자는 침대 장치에 대하여 등 일으키기 동작이나 무릎 올리기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이용자를 개호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침대 장치는 재택에서 이용하는 측인 이용자의 동작을 도울 수 있는데다가 이용자를 개호하는 측인 개호자도 지원(서포트)할 수 있다.
또한, 침대 장치의 승강을 가능하게 한 승강 기구로서는, 평행 링크 기구를 사용한 평행 링크식 승강 기구나 X자 형상으로 구성된 링크 기구를 사용한 X 링크식 승강 기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X 링크식 승강 기구를 갖는 침대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기초부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 사이에, 직동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X 링크 기구를 설치한 구성의 침대 장치에 있어서, X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연결하여, 그 연결부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1 링크와 제2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한 이동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승강 프레임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 프레임에 설치한 안내 부재에는, 조립 후에 있어서의 제1 링크의 이동 부재의 이동 스트로크의 외측에 있어서, 하측에 상기 이동 부재를 도입 가능한 도입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링크의 단부와 승강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승강 프레임과, 그 밖의 상기 요소의 조립체를 다른 유닛으로서 구성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 링크의 이동 부재를 승강 프레임에 설치한 안내 부재 내로 도입할 때, 도입부의 상부 벽면을 이동 부재에 대응시킨 시점에서, 승강 프레임의 하중을 기초부 프레임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므로, 침대의 조립을 행할 때,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노력적 부담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4058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0764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승강 프레임을 승강 가능하게 구성한 X 링크 승강 기구에서는, X 링크 기구로 승강 프레임을 보유 지지하기 위해서, X 링크 기구의 구성에 프레임체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부분의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액추에이터의 능력도 고부하에 대응한 것에 대한 필요성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는, 침대 장치가 유닛마다 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도, 중량은 무겁고, 유닛 자체가 크기 때문에, 반송이나 분해 조립 등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는 있었다. 특히, 재택용의 침대나 개호용 침대에 있어서는, 경량이면서 콤팩트하게 분할할 수 있어서, 반송이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침대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또한, 침대 위의 이용자의 자세를 바꿀 때에, 이용자의 신체에 부담이 가해지지 않도록, 이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침대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의 자세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경량이면서 콤팩트하게 분할할 수 있어서, 반송이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함께, 이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침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침대 장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부를 기복시키는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기복 기구와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의 동작 제어를, 독립 또는 협조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복 기구의 구성으로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바닥부에 작용하는 기복 링크와, 상기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해서 상기 바닥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의 구성으로서, 상체(상반신)에 대응하는 등부(소위 등 보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등부를 기복시키는 등부 기복 기구(소위 등 일으키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기구의 구성으로서, 상기 등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등부에 작용하는 등부 기복 링크와, 상기 등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을 상기 등부에 접촉해서 상기 등부를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닥부의 구성으로서, 무릎 굽힘에 대응하는 무릎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무릎부를 기복시키는 무릎부 기복 기구(소위 무릎 올리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기구는 상기 무릎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무릎부에 작용하는 무릎부 기복 링크와,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을 상기 무릎부에 접촉해서 상기 무릎부를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으로서, 기초부(예를 들어, 프레임체로 한 경우에「하부 프레임체」)와 승강부(예를 들어, 프레임체로 한 경우에「상부 프레임체」) 사이에,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의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기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기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승강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기초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제3 링크와 상기 제3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기초부 또는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접촉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침대 장치에 의하면, 바닥부를 기복시키는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를 배치함으로써, 이 링크식 승강 기구에 가해지는 부하(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부하나 상부 프레임 자체의 무게나 링크식 승강 기구에 가해지는 그 밖의 구성 요소의 무게)를 헤드측과 풋측으로 분할해서 받을 수 있으므로, 헤드측 및 풋측의 각각의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을, 경량이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이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 유지 보수성이 우수한 침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의 사이에,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링크식 승강 기구를 탑재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프레임체) 등을 형성하지 않고,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부 프레임을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에 의한 3분할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경량으로 콤팩트한 하부 프레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복 기구와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의 동작 제어를, 독립 또는 협조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구성했으므로, 예를 들어 등 일으키기 동작과 바닥부의 헤드측 및 풋측의 승강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이용자의 자세를 변경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침대 장치는, 특히 다른 사람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없는 재택용의 침대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복 기구의 구성으로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바닥부에 작용하는 기복 링크와, 상기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해서 상기 바닥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복 동작에 있어서 바닥부는 링크 프리가 되므로, 구동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기복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바닥부 하강 시에 있어서의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의 구성으로서, 상체(상반신)에 대응하는 등부(소위 등 보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등부를 기복시키는 등부 기복 기구(소위 등 일으키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기구의 구성으로서, 상기 등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등부에 작용하는 등부 기복 링크와, 상기 등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을 상기 등부에 접촉해서 상기 등부를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 일으키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등 눕히기 동작에 있어서 등부는 링크 프리가 되므로, 구동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등 일으키기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등 눕히기 시에 있어서의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의 구성으로서, 무릎 굽힘에 대응하는 무릎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무릎부를 기복시키는 무릎부 기복 기구(소위 무릎 올리기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기구는, 상기 무릎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무릎부에 작용하는 무릎부 기복 링크와,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직동 액추에이터)을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을 상기 무릎부에 접촉해서 상기 무릎부를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릎 올리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무릎 내리기 동작에 있어서 무릎부는 링크 프리가 되므로, 구동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무릎 올리기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무릎 내리기 시에 있어서의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으로서, 기초부와 승강부 사이에,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의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기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제2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기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승강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기초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제3 링크와 상기 제3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링크의 구성으로서, 일단부측을 상기 기초부 또는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타단부측을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접촉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링크 기구를 프레임체 구조로 하지 않고 심플하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저비용화,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하강 동작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링크 프리가 되므로, 상기 승강부의 하강 시에 있어서의 구동 수단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침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상기 침대 장치의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침대 장치의 프레임 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침대 장치를 구성하는 등 일으키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상기 변형예의 등 일으키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무릎 올리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상기 무릎 올리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침대 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0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0의 B부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링크식 승강 기구의 전체 구성(상승 상태)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5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전체 구성(하강 상태)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하강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과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승강측 연결부와 연결 프레임측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5는 상기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을 평행하게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6은 상기 침대 장치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상기 침대 장치의 풋측을 높게 경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침대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형태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침대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침대 장치(1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리스(4)와, 매트리스(4)가 적재되는 분할된 보텀(바닥부)(3)과, 그 분할된 보텀(3)의 일부를 기복시키는 기복 기구와,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2)과, 상부 프레임(2)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1)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배치하고, 상부 프레임(2)을 승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부 프레임(2) 위에는 분할된 보텀(바닥부)(3)이 배치된다.
보텀(3)은 등 보텀(등부)(3a), 허리 보텀(3b), 무릎 보텀(무릎부)(3c), 발 보텀(3d)으로 분할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분할된 보텀(3) 위에 매트리스(4)가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과 풋측에는, 각각 헤드 보드(5), 풋보드(6)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 사이에,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와 연결 프레임(7)에 의해 침대 장치(1A)의 하부 프레임(1B)이 구성되어 있다.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는, 각각 승강 동작을 독립 또는 협조해서 제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상부 프레임(2)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의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상기 침대 장치의 프레임 구조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부 프레임(2)은,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 장치(1A)의 헤드측이 되는 한 쌍의 헤드측 프레임(2H, 2H)과, 침대 장치(1A)의 풋측이 되는 한 쌍의 풋측 프레임(2F, 2F)을 구비하고, 헤드측으로부터 풋측으로의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도 긴 개략 래더 형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측 프레임(2H, 2H) 및 풋측 프레임(2F, 2F)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상부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연결 부재에 의해 분해·조립 가능하게 연결된다.
헤드측 프레임(2H)과 풋측 프레임(2F)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일부를 폭 방향으로 포갠 상태에서 연결 핀(2P)에 의해 조립·분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헤드측 프레임(2H, 2H) 사이에는, 이용자의 상체(등)를 기복하기 위한 기복 기구로서, 소위 등 일으키기 기구(8)가 구성되어 있다.
풋측 프레임(2F, 2F) 사이에는, 이용자의 무릎부를 기복하기 위한 기복 기구로서, 소위 무릎 올리기 기구(9)가 구성되어 있다.
헤드측 프레임(2H, 2H)과 풋측 프레임(2F, 2F)의 하측에는, 옵션의 사이드 레일 등이 설치되는 프레임(21H, 21F)이 연결되어 있다.
헤드측 프레임(21H)의 하측에,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가 배치되고, 풋측 프레임(21F)의 하측에,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가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21H, 21F)은, 각각 한 쌍의 긴 프레임(21a, 21a)과, 한 쌍의 설치 프레임(21b, 21b)과, 연결 부재(21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설치 프레임(21b)은, 연결 부재(21G)에 의해 긴 프레임(21a)에 대하여 침대 폭 방향의 설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에, 본 실시 형태의 기복 기구로서 특징적인 등 일으키기 기구(8)와 무릎 올리기 기구(9)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등 일으키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8의 (a)는 상기 등 일으키기 기구의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상기 변형예의 등 일으키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9의 (a)는 본 실시 형태의 무릎 올리기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b)는 상기 무릎 올리기 기구를 수동으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등 일으키기 기구(8)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등 일으키기 기구(8)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보텀(3a)과 헤드측 프레임(2H) 사이에, 등 보텀(3a)이 설치되는 한 쌍의 등 보텀 프레임(81, 81)과, 등 보텀 프레임(81)에 작용하는 한 쌍의 등 일으킴 링크(기복 링크)(82, 82)와, 등 일으킴 링크(82)를 구동하는 직동 액추에이터(구동 수단)(83)와, 등 일으킴 링크(82)와 직동 액추에이터(83)를 연동시키는 구동 아암(84)과, 등 보텀 프레임(81, 81)을 헤드측 프레임(2H)측에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링크(85, 85)와 한 쌍의 제2 링크(8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 일으킴 링크(82)와, 등 일으킴 링크(82)를 구동하는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추가하여, 제1 링크(85)와 제2 링크(86)를 각각 등 보텀 프레임(81)과 헤드측 프레임(2H)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직사각 형상의 평행 링크 기구[제1 링크(85), 제2 링크(86), 등 보텀 프레임(81), 헤드측 프레임(2H)에 의한, 소위 4절 링크 기구](8a)를 구성하고 있다.
등 일으킴 링크(82)는, 일단부측(82a)이 헤드측 프레임(2H)의 등 일으킴 링크 연결부(2H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82b)에 회전 롤러(8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등 일으킴 링크(82)와 구동 아암(84)은, 등 일으킴 링크 연결부(2H1)를 동일한 지지점으로 해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아암(84)에는, 직동 액추에이터(83)와 연결되는 연결부(8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아암(84)은, 직동 액추에이터(83)의 동작에 따라서 등 일으킴 링크 연결부(2H1)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롤러(821)는, 등 보텀 프레임(81)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의한 구동력은, 회전 롤러(821)를 등 보텀 프레임(81)에 밀어붙임으로써 등 보텀(3a)을 올리는(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직동 액추에이터(83)는, 모터 구동에 의해 신축하는 로드(83a)를 갖는 전동 실린더이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83a)의 선단부가 구동 아암(84)의 연결부(841)에 연결되고, 한편 본체측은 단부가 헤드측 프레임(2H)의 연결 프레임(2H10)에 설치되어 설치 브래킷(2H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85)는, 일단부측(85a)이 등 보텀 프레임(81)의 단부(81a)에 설치된 제1 링크 연결부(8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측(85b)이 헤드측 프레임(2H)의 하면보다 하방의 위치에 설치된 제1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86)는, 제1 링크(85)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일단부측(86a)이 등 보텀 프레임(81)의 연결부(811)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된 제2 링크 연결부(81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측(86b)이 헤드측 프레임(2H)의 등 보텀 프레임(81)의 제1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1)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된 제2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1H)의 긴 프레임(21a)에 헤드측으로 돌출되어서 설치된 설치 아암(21a1)의 단부에 설치되고, 제1 링크(85)의 제1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2)보다도 높은 위치이고, 또한 등 보텀 프레임(81)의 제1 링크 프레임측 연결부(2H2)보다도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의 등 일으키기 기구(8)에 의해 등 일으키기 동작을 행할 때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보텀 프레임(81)[즉, 등 보텀(3a)도 함께]을 헤드측(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방으로 경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침대 위의 이용자에 대하여 편안한 자세로 등 일으키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 일으킴 링크(82)는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의해 회전 롤러(821)가 등 보텀 프레임(81)에 접촉해서 등 보텀(3a)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 일으키기 기구(8)의 구성에 평행 링크 기구(8a)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 일으키기 기구(8)의 변형예로서, 등 일으키기 기구(108)는, 예를 들어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 보텀 프레임(81)의 단부를 헤드측 프레임(2H)에 등 보텀 프레임 연결부(2H4)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평행 링크 기구(8a)를 사용하는 일 없이, 등 일으킴 링크(82)에 의해 등 보텀 프레임(81)을 회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회전 롤러(821)는, 상술한 등 일으키기 기구(8)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등 보텀 프레임(81)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의한 구동력은, 회전 롤러(821)를 등 보텀 프레임(81)에 밀어붙임으로써 등 보텀(3a)을 올리는(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무릎부 올림 기구(9)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무릎 올리기 기구(9)는, 도 3,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 보텀(3c)과 풋측 프레임(2F) 사이에, 기복 링크로서 무릎 보텀(3c)에 작용하는 무릎 올리기 링크(무릎부 기복 링크)(92, 92)와, 무릎 올리기 링크(92)를 구동하는 직동 액추에이터(구동 수단)(93)와, 무릎 올리기 링크(92)와 직동 액추에이터(93)를 연동시키는 구동 아암(94)을 구비하고 있다.
무릎 올리기 링크(92)는, 일단부측(92a)이 풋측 프레임(2F)의 무릎 올리기 링크 연결부(2F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92b)에 회전 롤러(9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릎 올리기 링크(92)와 구동 아암(94)은, 무릎 올리기 링크 연결부(2F1)를 동일한 지지점으로 해서 대략 L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 아암(94)에는, 직동 액추에이터(93)와 연결되는 연결부(9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아암(94)은, 직동 액추에이터(93)의 동작에 따라서 무릎 올리기 링크 연결부(2F1)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롤러(921)는, 무릎 보텀(3c)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동 액추에이터(93)에 의한 구동력은, 회전 롤러(921)를 무릎 보텀(3c)에 밀어붙임으로써 등 보텀(3a)을 무릎 올리는(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직동 액추에이터(93)는, 모터 구동에 의해 신축하는 로드(93a)를 갖는 전동 실린더이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측의 단부가 구동 아암(94)의 연결부(941)에 연결되고, 한편 로드(93a)의 선단부가 풋측 프레임(2F)의 연결 프레임(2F10)에 설치된 설치 브래킷(2F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의 무릎 올리기 기구(9)에 의해 무릎 올리기 동작을 행할 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 올리기 링크(92)에 의해 무릎 보텀(3c)을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이용자의 무릎부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무릎을 구부리도록 무릎 보텀(3c)을 경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침대 위의 이용자에 대하여 편안히 무릎 올리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릎 올리기 링크(92)는 직동 액추에이터(93)에 의해 회전 롤러(921)가 무릎 보텀(3c)에 접촉해서 무릎 보텀(3c)을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를 구성하는 특징적인 하부 프레임(1B)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1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0의 A부의 확대도, 도 12는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0의 B부의 확대도, 도 13은 상기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링크식 승강 기구의 전체 구성(상승 상태)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15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전체 구성(하강 상태)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하강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의 하부 프레임(1B)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와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본 실시 형태의 특징적인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링크식 승강 기구(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 기초부(10)와 승강부(20) 사이에,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를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33)(이하,「중간 연결부(33)」라고 칭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의 링크 기구(30)를 구비한 링크식 승강 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기초부(10)와 승강부(20) 사이에, X자 형상의 링크 기구(30)에 추가하여, 제3 링크(40)와 제3 링크(40)를 구동하는 직동 액추에이터(구동 수단)(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초부(1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긴 프레임(101, 101)과 한 쌍의 짧은 프레임(102, 102)에 의한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 내측의 긴 프레임(101, 101) 사이에는 보강관(103)이 연결되어 있다.
긴 프레임(101)의 일단부측(101a)에는, 제2 링크(32)의 일단부측(32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이하,「제2 링크 연결부」라고 칭함)(11)가 설치되고, 타단부측(101b)에는, 제1 링크(31)의 타단부측(31b)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2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긴 프레임(201, 201)과 직동 액추에이터(50)가 연결되는 연결관(202)에 의한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있다.
긴 프레임(201)의 일단부측(201a)에는, 제1 링크(31)의 일단부측(31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이하,「제1 링크 연결부」라고 칭함)(21)가 설치되고, 타단부측(201b)에는 제2 링크(32)의 타단부측(32b)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 부근에는 긴 프레임(201, 201) 사이에서 제3 링크(4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 연결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31) 및 제2 링크(32)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각 파이프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재질로서는, 스틸재, 알루미늄재, 스테인리스강재 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하면 강도적으로 우수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링크(31)는, 일단부측(31a)이 승강부(20)의 제1 링크 연결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31b)이 기초부(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링크(31)의 일단부측(31a)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 201) 사이에서 제1 링크 연결부(2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하,「제1 링크 연결관」이라고 칭함)(311)이 설치되어 있다. 타단부측(31b)에는,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 101) 사이에서 가이드 부재(1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313)를 구비한 연결관(이하,「제1 링크 가동 연결관」이라고 칭함)(31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링크(32)는, 일단부측(32a)이 기초부(10)의 제2 링크 연결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32b)이 승강부(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32)의 일단부측(32a)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 101) 사이에서 제2 링크 연결부(1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하,「제2 링크 연결관」이라고 칭함)(321)이 설치되어 있다. 타단부측(32b)에는,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 201) 사이에서 가이드 부재(21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323)를 구비한 연결관(이하,「제2 링크 가동 연결관」이라고 칭함)(32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는,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링크 연결관(311)으로부터 중간 연결부(33)까지의 길이와, 제2 링크 가동 연결관(322)으로부터 중간 연결부(33)까지의 길이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링크 연결관(321)으로부터 중간 연결부(33)까지의 길이와, 제1 링크 가동 연결관(312)으로부터 중간 연결부(33)까지의 길이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로 구성되는 X자 형상의 링크 기구(30)에 의해, 기초부(10)에 대하여 승강부(20)가 평행 상태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제3 링크(40)는,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측(40a)에는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 201) 사이에서 제3 링크 연결부(2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관(이하,「제3 링크 연결관」이라고 칭함)(43)이 설치되고, 제3 링크 연결관(43)을 일단부측으로 하여 구동 아암(41)과 작동 아암(4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구동 아암(41)은, 타단부측(41b)에 직동 액추에이터(50)와 연결되는 연결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아암(41)은, 직동 액추에이터(50)의 동작에 따라서 승강부(20)의 제3 링크 연결부(22)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동 아암(42)은, 타단부측(42b)에 제1 링크(31)에 접촉하는 회전 롤러(42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 아암(42)은, 구동 아암(41)의 동작에 연동하여, 승강부(20)의 제3 링크 연결부(22)를 지지점으로 해서 회전 롤러(421)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고, 회전 롤러(421)를 제1 링크(31)에 밀어붙여, 승강부(20)의 제1 링크 연결부(21)를 지지점으로 해서 제1 링크(31)를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 롤러(42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31)의 상면(31c)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직동 액추에이터(50)에 의한 구동력은, 회전 롤러(421)를 제1 링크(31)에 밀어붙임으로써 승강부(20)를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직동 액추에이터(50)는, 모터 구동에 의해 신축하는 로드(51)를 갖는 전동 실린더이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51)의 선단부(51a)가 제3 링크(40)의 구동 아암(41)의 연결부(411)에 연결되고, 한편 본체(52)의 일단부(52a)가 승강부(20)의 연결관(20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식 승강 기구(1)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210)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링크(32)의 제2 링크 가동 연결관(322)의 이동 동작을 제한하는 스토퍼(210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링크식 승강 기구(1H, 1F)가, 도 1,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측에서, 상부 프레임(2)의 폭 방향과 승강부(20)의 길이 방향[긴 프레임(201)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도록 각각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에 있어서는,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에, 상부 프레임(2)의 일부와 결합해서 상부 프레임(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20)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에 있어서는,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부(20)의 긴 프레임(201)에, 상부 프레임(2)의 일부와 결합해서 상부 프레임(2)을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변이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롤러(230)가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측에 상부 프레임(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20)를 설치하고,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측에 상부 프레임(2)을 변이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롤러(230)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을 경사시키는 동작을 행한 경우에 상부 프레임(2)의 길이 방향 위치가 변이해도, 보유 지지 롤러(230)에 의해 안정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 및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각각의 기초부(10)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프레임(101)의 중앙부에, 연결 프레임(7)이 연결되는 승강측 연결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연결 프레임(7)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의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과의 연결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8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19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위치 결정 구멍의 위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0은 상기 침대 장치의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연결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2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와 연결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4는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의 승강측 연결부와 연결 프레임측의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연결 프레임(7)은, 도 17,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긴 프레임(71, 71)과, 그 길이 방향 양단부(71a, 71b)에 설치된 프레임측 연결부(72, 72)에 의한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7)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긴 프레임(71, 71)이 병설해서 배치되는 폭이, 상부 프레임(2)의 폭 방향(침대 폭 방향)의 길이 및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긴 프레임(101)의 길이보다도 폭이 좁게 구성되고, 또한 긴 프레임(101)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긴 프레임(71)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각 파이프를 사용해서 구성되어 있다. 재질로서는, 스틸재, 알루미늄재, 스테인리스강재 등의 금속 재료를 사용하면 강도적으로 우수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긴 프레임(71)의 양단부(71a, 71b)에는, 도 17,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측에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측 연결부(72)와, 설치부(71c)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있어서, 연결 프레임(7)이 설치되는 측의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71c)에 설치 고정되는 승강측 연결부(1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긴 프레임(101)에는, 도 18,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면의 중앙부에 연결 프레임(7)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끼워 맞춤 구멍(위치 결정부)(101c)이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측 연결부(72)는, 도 20,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2개의 긴 프레임(71, 71)의 양단부(71a, 71b)에 있어서, 각각 긴 프레임(71, 71) 사이를 비워서 병설한 상태로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측 연결부(72)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프레임(71, 71)의 하측에 대략 L자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접속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72a)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의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에 설치된 끼워 맞춤 구멍(101c)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끼워 맞춤부(위치 결정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 맞춤부(72b)는, 도 2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위 돌출 가공에 의해, 상방으로 반구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2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측 연결부(72)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와 대향하는 면에는 올록볼록하게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고,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의 접속부(72a)로부터 상승되는 부분의 측단부에는 굽힘부(72c)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되는 부분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승강측 연결부(17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의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승강측 연결부(170)의 상부에는,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7)에 설치된 설치부(71c)에 대응한 설치 구멍(170c)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측 연결부(170)와 프레임측 연결부(72)의 연결은, 도 1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들어올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측 연결부(72)의 접속부(72a)의 끼워 맞춤부(72b)와 기초부(10)의 긴 프레임(101)에 설치된 끼워 맞춤 구멍(101c)을 끼워 맞춤과 함께, 도 2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7)에 설치된 설치부(71c)에 승강측 연결부(170)의 설치 구멍(170c)을 포갠다. 그리고 노브 볼트(설치 볼트)(170d)에 의해 연결 프레임(7)에 설치부(71c)에 승강측 연결부(170)를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와 연결 프레임(7)이 연결된다.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는,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대하여 연결 프레임(7)을 설치한 상태에서, 도 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프레임(7)의 긴 프레임(71) 하부와 바닥면(FL) 사이에 높이(H)의 공간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높이(H)는, 개호용 기기를 침대 주변에 배치하는 경우의 개호용 기기의 기초부(족부)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로 설정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연결 프레임(7)의 긴 프레임(71) 하측에 개호용 기기의 기초부(족부)를 배치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의한 승강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있어서, 승강부(20)가 최하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10)에 승강부(20)가 접근하여, 제1 링크(31) 및 제2 링크(32)가 낮은 위치에서 경사진 상태(경사 각도가 작은 상태)로 되어 있다.
직동 액추에이터(50)는, 로드(51)가 본체(52)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기초부(10)와 승강부(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아암(41)은 직동 액추에이터(50)와의 연결부(411)가 승강부(20)와의 제3 링크 연결부(22)보다도 도면 중 우측[제1 링크(31)의 타단부측(31b)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 아암(42)은, 회전 롤러(421)가 제3 링크 연결관(43)과 승강부(20)의 제3 링크 연결부(22)보다도 도면 중 우측에서 제1 링크(31)의 타단부측(31b) 근처의 상면(31c) 위에 배치되고, 아암 본체가 제1 링크(31)를 따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먼저, 승강부(20)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동 액추에이터(50)를 구동해서 로드(51)를 길게 늘이고, 구동 아암(41)을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회동한다. 구동 아암(41)의 동작에 연동해서 작동 아암(42)이 도면 중 하방으로 회동한다.
작동 아암(42)이 하방으로 회동함으로써, 회전 롤러(421)가 제1 링크(31)의 타단부측(31b)의 상면(31c)을 밀어내리면, 승강부(20)의 제3 링크 연결부(22)가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31)는 승강부(20)측의 제1 링크 연결관(311)을 지지점으로 제1 링크 가동 연결관(312)이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각도 θ1이 커지도록 회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중간 연결부(33)에서 연결된 제2 링크(32)는, 제1 링크(31)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기초부(10)측의 제2 링크 연결관(321)을 지지점으로 제2 링크 가동 연결관(322)이 도면 중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각도 θ2가 커지도록 회동한다. 이에 의해, 승강부(20)가 상방으로 밀어올려진다. 이때의 경사 각도 θ1, θ2는 항상 동일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부(20)를 기초부(10)에 대하여 평행 상태에서 상승할 수 있다.
이어서, 승강부(2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상승 동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한다.
즉, 도 13으로부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동 액추에이터(50)를 구동해서 로드(51)를 짧게 축소시켜, 구동 아암(41)을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회동한다. 구동 아암(41)의 동작에 연동해서 작동 아암(42)이 도면 중 상방으로 회동한다.
작동 아암(42)이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회전 롤러(421)에 의한 제1 링크(31)의 타단부측(31b)의 상면(31c)으로의 가압이 해제되고, 작동 아암(42)의 회동량(이동량)에 따라서 승강부(20)는 자신의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에 의해, 제1 링크(31)는 제1 링크 연결관(311)을 지지점으로 제1 링크 가동 연결관(312)이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각도 θ1이 작아지도록 회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중간 연결부(33)에서 연결된 제2 링크(32)는, 제1 링크(31)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제2 링크 연결관(321)을 지지점으로 제2 링크 가동 연결관(322)이 도면 중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 각도 θ2가 작아지도록 회동한다. 이때의 경사 각도 θ1, θ2는 항상 동일한 값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부(20)를 기초부(10)에 대하여 평행 상태에서 하강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상부 프레임(2)의 승강 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을 평행하게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6은 상기 침대 장치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7은 상기 침대 장치의 풋측을 높게 경사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침대 장치(1A)의 상부 프레임(2)을 평행하게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동작을 동기시켜서 상승 조작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을,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25에 도시한 상태로 변이시킨다.
이에 의해,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과 풋측을 수평 상태 그대로 바닥면(FL)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침대 장치(1A)의 상부 프레임(2)을 평행하게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동작을 동기시켜서 하강 조작하면 된다.
이어서, 침대 장치(1A)의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키는 경우에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를 상승 조작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을,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26에 도시한 상태로 변이시킨다. 또한, 침대 장치(1A)의 바닥 높이가 최고 바닥 높이(침대를 최고 위치로 상승시킨 상태)로부터 헤드측이 높게 경사시키는 경우에는,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를 하강시킨다.
또한, 침대 장치(1A)의 바닥 높이가 조정 범위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를 상승시킴과 함께,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를 하강하도록 해서 헤드측을 높게 경사지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키는 동작은,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의 승강 동작과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승강 동작을 조합해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침대 장치(1A)의 상부 프레임(2)의 풋측을 높게 경사시킬 경우에는,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를 상승 조작함으로써, 상부 프레임(2)을, 도 1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27에 도시한 상태로 변이시킨다. 또한, 침대 장치(1A)의 바닥 높이가 최고 바닥 높이로부터 풋측이 높게 경사시키는 경우에는,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를 하강시킨다.
또한, 침대 장치(1A)의 바닥 높이가 조정 범위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를 상승시킴과 함께,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를 하강하도록 해서 풋측을 높게 경사지도록 제어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2)의 풋측을 높게 경사시키는 동작은,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의 승강 동작과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의 승강 동작을 조합해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침대 장치(1A)는, 상부 프레임(2)에 있어서, 등 일으키기 기구(8)와 무릎 올리기 기구(9)에 의해 이용자의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음과 함께, 상부 프레임(2) 하측에 있어서,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에 의해 상부 프레임(2)을 경사시킬 수 있으므로, 등 일으키기 기구(8), 무릎 올리기 기구(9) 및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의 동작을 조합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있어서 최적의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침대 위에서 상체를 일으키고 싶은 경우에는, 등 일으키기 기구(8)에 의해 상체를 일으키기 전에,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의해 침대 전체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키고, 그 후에 등 일으키기 기구(8)에 의해 상체를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상체를 일으킬 때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의해 침대 전체의 헤드측을 높게 경사시키기 전에, 무릎 올리기 기구(9)에 의해 이용자의 무릎부를 밀어올려서 구부리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이용자가 침대의 풋측으로 어긋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2)에 등 일으키기 기구(8)와 무릎 올리기 기구(9)를 구비한 침대 장치(1A)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2)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배치함으로써, 이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에 가해지는 부하(상부 프레임에 가해지는 부하나 상부 프레임 자체의 무게나 링크식 승강 기구에 가해지는 그 밖의 구성 요소의 무게)를 헤드측과 풋측으로 분할해서 받을 수 있으므로, 헤드측 및 풋측의 각각의 링크식 승강 기구의 구성을, 경량이면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송이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 유지 보수성이 우수한 침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침대 장치는, 특히 다른 사람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없는 재택용의 침대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 사이에, 링크식 승강 기구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7)을 설치함으로써,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를 탑재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프레임체)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상부 프레임(2)을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하부 프레임을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1H)와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F)와 연결 프레임(7)에 의한 3분할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경량으로 콤팩트한 하부 프레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등 일으키기 기구(8), 무릎 올리기 기구(9) 및 헤드측,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1H, 1F)의 동작 제어를, 독립 또는 협조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구성했으므로, 각각의 기구를 단독으로 동작시키거나, 등 일으키기 동작과 바닥부의 승강 동작을 조합해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자세를 변경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식 승강 기구(1H, 1F)로서, 기초부(10)와 승강부(20) 사이에, 승강부(20)에 작용하는 제1 링크(31)와 제2 링크(32)를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의 링크 기구(30)와, 링크 기구(30)에 작용하는 제3 링크(40)와 제3 링크(40)를 구동하는 직동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직동 액추에이터(50)에 의해 회전 롤러(421)를 제1 링크(31)에 밀어붙여 승강부(20)를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했으므로, 링크 기구를 프레임체 구조로 하지 않고 심플하면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저비용화,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하강 동작에 있어서 승강부(20)는 링크 프리가 되므로, 승강부(20)의 하강 시에 있어서의 직동 액추에이터(50)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복 기구로서 등 보텀(3a)을 기복시키는 등 일으키기 기구(8)를 구비하고, 등 일으킴 링크(82)의 구성으로서,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의해 회전 롤러(821)를 등 보텀 프레임(81)에 접촉해서 등 보텀(3a)을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등 일으키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등 눕히기 동작에 있어서 등 보텀(3a)은 링크 프리가 되므로, 직동 액추에이터(83)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등 일으키기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등 눕히기 시에 있어서의 직동 액추에이터(83)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복 기구로서 무릎 보텀(3c)을 기복시키는 무릎 올리기 기구(9)를 구비하고, 무릎 올리기 링크(92)의 구성으로서, 직동 액추에이터(93)에 의해 회전 롤러(921)를 무릎 보텀(3c)에 접촉해서 무릎 보텀(3c)을 밀어올리는(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릎 올리기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무릎 내리기 동작에 있어서 무릎 보텀(3c)은 링크 프리가 되므로, 직동 액추에이터(93)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도 무릎 올리기 조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유지 보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무릎 내리기 시에 있어서의 직동 액추에이터(93)의 구동에 의한 끼임에 따른 물손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침대 장치(1A)의 구성으로서, 상부 프레임(2)에, 기복 기구로서 각각 구동 수단을 구비한 등 일으키기 기구(8)와 무릎 올리기 기구(9)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 장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변형예로서, 기복 기구로서 등 일으키기 기구와 무릎 올리기 기구를 기계적으로 연동시켜서 구동 수단을 하나로 구성한 것이나, 등 일으키기 기구만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침대 장치는, 의료용, 개호용, 가정용의 침대 등에 이용할 수 있다.
1 : 링크식 승강 기구
1A : 침대 장치
1B : 하부 프레임
1F :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
1H :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
2 : 상부 프레임
2F : 풋측 프레임(상부 프레임)
2H : 헤드측 프레임(상부 프레임)
3 : 보텀(바닥부)
3a : 등 보텀(등부)
3c : 무릎 보텀(무릎부)
7 : 연결 프레임
8, 108 : 등 일으키기 기구(기복 기구)
9 : 무릎 올리기 기구(기복 기구)
10 : 기초부
20 : 승강부
31 : 제1 링크
32 : 제2 링크
40 : 제3 링크
50, 83, 93 : 직동 액추에이터
81 : 등 보텀 프레임
82 : 등 일으킴 링크
85 : 제1 링크
86 : 제2 링크
92 : 무릎 올리기 링크
θ1, θ2 : 경사 각도

Claims (5)

  1. 바닥부를 기복시키는 기복 기구를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링크식 승강 기구를 구비한 침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헤드측 및 풋측의 하부에, 각각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 사이에,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끼리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기복 기구와 상기 헤드측 링크식 승강 기구와 상기 풋측 링크식 승강 기구의 동작 제어는, 독립 또는 협조한 제어가 가능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복 기구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바닥부에 작용하는 기복 링크와, 상기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복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이 상기 바닥부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해서 상기 바닥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체에 대응하는 등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등부를 기복시키는 등부 기복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기구는, 상기 등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등부에 작용하는 등부 기복 링크와, 상기 등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등부 기복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등부에 접촉해서 상기 등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무릎 굽힘에 대응하는 무릎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복 기구로서, 상기 무릎부를 기복시키는 무릎부 기복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기구는, 상기 무릎부와 상기 상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기복 링크로서 상기 무릎부에 작용하는 무릎부 기복 링크와,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릎부 기복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무릎부에 접촉해서 상기 무릎부를 밀어올리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식 승강 기구는, 기초부와 승강부 사이에, 상기 승강부에 작용하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각각의 중간 위치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 X자 형상의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이 상기 기초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기초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이 상기 승강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기초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상기 링크 기구에 작용하는 제3 링크와, 상기 제3 링크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3 링크는 일단부측이 상기 기초부 또는 상기 승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타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대하여 접촉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타단부측이 상기 제1 링크 또는 상기 제2 링크에 접촉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하는 방향으로만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장치.
KR1020157034976A 2013-05-13 2014-03-27 침대 장치 KR101709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1512 2013-05-13
JP2013101512 2013-05-13
PCT/JP2014/058730 WO2014185161A1 (ja) 2013-05-13 2014-03-27 ベッ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591A true KR20160007591A (ko) 2016-01-20
KR101709038B1 KR101709038B1 (ko) 2017-02-21

Family

ID=5189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976A KR101709038B1 (ko) 2013-05-13 2014-03-27 침대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30969B2 (ko)
EP (1) EP2997948A4 (ko)
JP (2) JP5876617B2 (ko)
KR (1) KR101709038B1 (ko)
CN (1) CN105228571B (ko)
MY (1) MY164798A (ko)
PH (1) PH12015502450B1 (ko)
SG (1) SG11201508717VA (ko)
TW (1) TWI626934B (ko)
WO (1) WO20141851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74039A1 (en) 2014-08-27 2016-02-27 Umano Medical Inc. Systems for patient support surface orientation and displacement
US10667976B2 (en) * 2015-05-28 2020-06-02 Medical Positioning, Inc. Low clearance medical imaging chair
JP6460954B2 (ja) * 2015-10-06 2019-01-30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寝台装置
EP3243408B1 (de) 2016-05-12 2018-08-01 Schmid Group GmbH Verstellbares bettgestell
JP6711707B2 (ja) * 2016-06-24 2020-06-1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寝台構成部材および寝台装置
JP6668179B2 (ja) * 2016-06-24 2020-03-1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US10729253B1 (en) * 2016-11-09 2020-08-04 Sleep Number Corporation Adjustable foundation with service position
CN209018191U (zh) 2018-04-27 2019-06-25 革新(厦门)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电动床
CN209018188U (zh) * 2018-04-27 2019-06-25 革新(厦门)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电动床
EP3607924A1 (en) * 2018-08-07 2020-02-12 Invacare International GmbH Bed with actuatable mattress support platform and method of actuating such a bed
EP3643283A1 (en) 2018-10-22 2020-04-29 Hill-Rom Services, Inc. A system for adjusting the configuration of a patient support apparatus
CN111195179B (zh) * 2018-11-20 2022-11-25 嘉兴赛诺机械有限公司 高度可调的床及其操作方法
TWI683657B (zh) * 2019-04-24 2020-02-01 優至俙健康科技有限公司 多功能止鼾運動裝置
CN112741447B (zh) * 2019-10-29 2022-12-30 林文鸿 电动床
KR102361754B1 (ko) 2020-02-12 2022-02-11 주식회사 나인벨 의료용 전동 침대
JP6757866B2 (ja) * 2020-04-09 2020-09-23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寝台装置
WO2022031906A1 (en) * 2020-08-07 2022-02-10 Atkinson Ergonomic Solutions, Inc. Lift system including a lock assembly and release device
KR102586633B1 (ko) 2021-03-05 2023-10-11 주식회사 나인벨헬스캐어 인공지능을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606089B1 (ko) 2021-03-17 2023-11-24 주식회사 나인벨헬스캐어 체압 센서를 이용한 욕창예방 의료용 로봇 침대의 제어 방법
US20220322839A1 (en) * 2021-04-08 2022-10-13 Slope Sleep, LLC Bed Inclining System
KR102613992B1 (ko) 2021-05-24 2023-12-14 주식회사 나인벨헬스캐어 욕창 예방을 위한 스마트 케어 침대의 제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23A (ja) * 1992-04-28 1993-11-16 Paramount Bed Co Ltd 昇降式脚部を備えたベッド
US5613255A (en) * 1994-12-27 1997-03-25 Hill-Rom, Inc. Hospital bed having scissors lifting apparatus
JP2004073673A (ja) * 2002-08-21 2004-03-11 Sanyo Electric Co Ltd 可動ベッド用マット
JP2009207643A (ja) 2008-03-04 2009-09-17 Paramount Bed Co Ltd Xリンク式昇降機構を有するベッド
JP2009240583A (ja) 2008-03-31 2009-10-22 Paramount Bed Co Ltd 背膝ボトム連動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81Y2 (ko) 1975-06-11 1980-01-17
JPS55131142U (ko) * 1979-03-13 1980-09-17
JPS60246714A (ja) 1984-05-23 1985-12-06 ジヤパンライフ株式会社 ベツド
ATE112478T1 (de) 1989-05-30 1994-10-15 Mediscus Prod Ltd Therapeutisches wendebett.
JPH04115459U (ja) 1991-03-28 1992-10-13 株式会社久保商店 ベツド
JP3352320B2 (ja) 1995-11-10 2002-12-03 フランスベッド株式会社 起床式ベッド装置
AUPS074602A0 (en) * 2002-02-25 2002-03-21 Protean Global Pty Ltd Lifting mechanism for use with health care equipment
CN2640311Y (zh) 2003-08-25 2004-09-15 上海意高家俱有限公司 桌台用支撑架
JP2007082916A (ja) 2005-09-26 2007-04-05 Kinjiro Fukushi ベッド
JP4835166B2 (ja) 2006-01-19 2011-12-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ペアベッド装置
US9339430B2 (en) * 2006-05-05 2016-05-17 Roger P. Jackson Patient positioning support apparatus with virtual pivot-shift pelvic pads, upper body stabilization and fail-safe table attachment mechanism
WO2011155769A2 (ko) 2010-06-09 2011-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전동침대 플랫폼 및 이의 자세변환주기 제어방법
CN201790994U (zh) * 2010-09-21 2011-04-13 崔建忠 一种多功能医疗床的升降机构
US8959681B2 (en) 2010-12-20 2015-02-24 Hill-Rom Services, Inc. Ground sensor control of foot section retraction
TWM433971U (en) * 2012-02-24 2012-07-21 Kanogi Corp Stucture of caster
US9498397B2 (en) * 2012-04-16 2016-11-22 Allen Medical Systems, Inc. Dual column surgical suppor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23A (ja) * 1992-04-28 1993-11-16 Paramount Bed Co Ltd 昇降式脚部を備えたベッド
US5613255A (en) * 1994-12-27 1997-03-25 Hill-Rom, Inc. Hospital bed having scissors lifting apparatus
JP2004073673A (ja) * 2002-08-21 2004-03-11 Sanyo Electric Co Ltd 可動ベッド用マット
JP2009207643A (ja) 2008-03-04 2009-09-17 Paramount Bed Co Ltd Xリンク式昇降機構を有するベッド
JP2009240583A (ja) 2008-03-31 2009-10-22 Paramount Bed Co Ltd 背膝ボトム連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5161A1 (ja) 2014-11-20
US9930969B2 (en) 2018-04-03
US20160120327A1 (en) 2016-05-05
JP2016055200A (ja) 2016-04-21
EP2997948A1 (en) 2016-03-23
SG11201508717VA (en) 2015-12-30
CN105228571B (zh) 2018-09-25
KR101709038B1 (ko) 2017-02-21
TW201511748A (zh) 2015-04-01
PH12015502450A1 (en) 2016-02-22
CN105228571A (zh) 2016-01-06
EP2997948A4 (en) 2017-01-25
JP6278983B2 (ja) 2018-02-14
PH12015502450B1 (en) 2016-02-22
TWI626934B (zh) 2018-06-21
MY164798A (en) 2018-01-30
JP5876617B2 (ja) 2016-03-02
JPWO2014185161A1 (ja)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038B1 (ko) 침대 장치
TWI536935B (zh) Bed device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EP2314267B1 (en) Hospital bed with adjustable sleeping surface
JP7375147B2 (ja) ベッド装置
KR20120048257A (ko) 의료용 욕창방지 침대
JP4944688B2 (ja) 医療用椅子
KR100842943B1 (ko) 전동침대의 등판과 둔부판 각도조절장치
JP6668179B2 (ja) 足ボトム支持構造および寝台装置
JP6193607B2 (ja) ベッド装置
JP6581459B2 (ja) 寝台装置
JP6968518B2 (ja) ベッド装置
JP6114094B2 (ja) ベッド装置
JP7472370B2 (ja) 寝台装置
JP6806863B2 (ja) 寝台装置
JP7000509B2 (ja) 寝台装置
JP2022061041A (ja) 寝台装置
JP2022033223A (ja) 寝台装置
JP2021194240A (ja) ボトム装置、ベッド装置及びボトム装置の制御方法
JP2021035647A (ja) 寝台装置
JP2019081043A (ja) 寝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