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29A - 조명 기구 - Google Patents

조명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29A
KR20160007129A KR1020140087341A KR20140087341A KR20160007129A KR 20160007129 A KR20160007129 A KR 20160007129A KR 1020140087341 A KR1020140087341 A KR 1020140087341A KR 20140087341 A KR20140087341 A KR 20140087341A KR 20160007129 A KR20160007129 A KR 20160007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instrument body
power
shap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이즈미 조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7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7129A/ko
Publication of KR2016000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5Details of bases or cap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26Manufacturing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고,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명 기구(11)는, 광원부(41)와, 상기 광원부(41)를 유지하는 기구 본체(21)와, 상기 광원부(41)에 급전하는 전원부(31)와, 상기 전원부(31)를 덮는 전원 커버(61)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부(31)는, 상기 전원 커버(61) 내에 수용된다. 상기 전원 커버(61)는 , 상기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전원 커버(61)에는, 배선 기구와 접속하는 접속부(7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조명 기구{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원으로서 LED를 구비한 조명 기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는, 광원과, 이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원 및 전원부를 유지하는 섀시(유지체)와, 이 섀시를 피부착 부재에 부착하는 어댑터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조명 기구에 있어서는, 섀시의 전면측에, 광원, 전원부 및 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 커버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134684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조명 기구에 있어서는, 특허 문헌 1의 도 2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섀시의 전면측에 전원부를 부착하고 나서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 커버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 기구에서는, 일련의 공정에 의해서 조립하게 되므로,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을 분업화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조명 기구의 구성으로는,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 조명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는, 기구 부착면에 배치된 배선 기구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광원과 모듈 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급전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유지하는 기구 본체와,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로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전원부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커버에,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접속부가 부착되고,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에 부착되는 것이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의 기구 부착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전원부는, 평면에서 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전등갓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광원부의 외주측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와 상기 유지부의 사이에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를 가지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원주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단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수광부를 배치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광부와 상기 모듈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수광부와 상기 모듈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개시하는 조명 기구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오목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모듈 기판은, 배선 부품을 사용하여 접속되고, 상기 배선 부품이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조명 기구(전등갓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조명 기구(전등갓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를 포함한다.
도 4는 조명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LED 광원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1)에 대하여, 도 1부터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1)는, 복수의 LED 소자(42)를 광원으로 하는 조명 기구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기구(11)는, 천정 등의 기구 부착면(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실링 라이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명 기구(11)의 광을 조사하는 측을 조명 기구(11)의 조사면측으로 하고, 조명 기구(11)에 있어서의 천정 등의 기구 부착면에 대향하는 측을 조명 기구(11)의 부착면측(부착 상태에서는 천정측)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조명 기구(11)의 상하 방향은, 조명 기구(11)가 천정 등의 기구 부착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도 1, 도 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직경 방향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조명 기구(11) 등을 본 상태를 평면에서 본 것으로 한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부터 조명 기구(11) 등을 본 상태를 측면에서 본 것으로 한다. 조명 기구(11) 등의 단면 형상을 본 상태를 단면에서 본 것으로 한다.
조명 기구(11)는, 주로 기구 본체(21), 전원부(31), 광원부(41), 전등갓(51), 전원 커버(61), 접속부(71), 수광부(81), 및 보호 부재(91)를 가지고 있다. 조명 기구(11)는, 평면에서 봐서의 형상이 원형이다.
기구 본체(21)는, 조명 기구(11)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기구 본체(21)는, 소위 베이스나 섀시로 불리는 부재이다. 기구 본체(21)는, 평면에서 봐서 외형 윤곽 형상이 원형이다. 기구 본체(21)는, 광원부(41), 전등갓(51), 전원 커버(61) 및 보호 부재(91) 등을 유지하는 것이다. 기구 본체(21)는, 광원 부착부(22), 오목부(25), 돌출부(26), 및 수용부(23)를 가지고, 단일 부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원 부착부(22), 오목부(25), 돌출부(26), 및 수용부(23)를 기구 본체(21)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광원 부착부(22)는, 평면에서 봐서 원환상이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평탄면인 광원 부착면부(22a)로 구성된다. 또한, 「원환상」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 형상이 완전한 진(眞)원형인 원환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등과 같이 진원형에 유사한 형상인 원환상도 포함한다. 오목부(25)는, 복수의 광원 부착면부(22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23)는, 기구 본체(21)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다. 광원 부착부(22)는, 수용부(23)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6)는,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기구 본체(21)의 주연부에는, 전등갓(51)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의 유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유지부(29)는, 기구 본체(21)의 주연부에 균등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균등 간격」은, 완전한 균등 간격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불균등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포함한다. 기구 본체(21)는, 전원부(31)가 수용되는 전원 커버(61)와 광원부(41)와 전등갓(51) 등을 유지 가능한 내구성과, 광원부(41)가 발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열 전도성을 고려하여, 철이나 알루미늄, 또는 이들 합금 등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구 본체(21)는, 내구성 및 방열성이 높은 재료이면, 전술한 금속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합금 재료나 수지 등의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광원 부착부(22)는, 광원부(41)가 부착되는 부분이다. 광원 부착부(22)는, 기구 본체(21)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일정 폭 설치되고, 기구 본체(21)의 직경 방향 중앙부의 수용부(23)의 외주측의 주위에 원호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다. 광원 부착부(22)는, 광원 부착면부(22a), 및 광원 고정부(22b)를 가지고 있다. 광원 부착면부(22a)는, 둘레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광원부(41)를 부착 가능한 폭을 가지는 원호상의 평탄면이다. 광원 부착면(22a)은, LED 광원 모듈(44)을 맞닿게 하여 부착하기 위한 면이다. 광원 부착면부(22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사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면이다. 광원 고정부(22b)는, 광원부(41)를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광원 부착면부(22a)의 외주 근방의 4귀퉁이 근방에 설치된 나사 부재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다. 광원 고정부(22b)는, 예를 들면 버링 가공(burring process)에 의해서 형성됨으로써, 나사 부재와의 나사 결합 부분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기구 본체(21)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수용부(23)가 조사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광원 부착부(22)는, 수용부(23)를 둘러싸도록 직경 방향 외측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 부착부(22)는 기구 본체(21)의 외주연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광원 부착부(22)는, 광원부(41)에서 발생한 열을 전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부로서도 기능시키므로, 광원부(41)가 부착되는 광원 부착면부(22a)는, 광원부(41)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는, 기구 본체(21)에 있어서의 수용부(23)의 외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 연장하여 설치되는 부분이다. 오목부(25)는, 복수의 광원 부착부(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오목부(25) 및 광원 부착부(22)는, 기구 본체(21)에 있어서의 수용부(23)의 외주측의 주위에 교호로 배치된다. 오목부(25)는, 부착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의 직경 방향의 길이는, 오목부(25)에 인접하는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오목부(25)는, 직경 방향을 따른 구배를 가지고, 단면 형상을 사다리꼴 볼록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문에, 오목부(25)는, 기구 본체(2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리브로서 기능한다. 또한, 오목부(25)를 기구 본체(21)에 있어서의 수용부(23)의 외주측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연장 설치함으로써, 기구 본체(2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구 본체(21)는, 오목부(25)에 의해서 굴곡진 부분이 형성된다. 굴곡 형상은, 평탄 형상보다도 휘어짐 강성이 높다. 따라서, 굴곡 부분을 기구 본체(21)의 반경 방향으로 길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함으로써, 기구 본체(21)의 강성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5)를 부착면측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25)는 기구 본체(21)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보강용 리브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굴곡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면, 오목부(25)를 조사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오목부(25)의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 볼록 형상, 단면 원호상, 단면 요철상 등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오목부(25)의 직경 방향의 길이는,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의 폭과 동일 치수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길게 함으로써 기구 본체(21)의 강성을 한층 더 올릴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25)는, 직경 방향의 길이를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했다고 해도, 직경 방향에 복수 설치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구 본체(21)는, 오목부(25)를 설치함으로써 표면적이 커져, 오목부(25)가 설치되지 않은 기구 본체에 비해 방열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돌출부(26)는, 광원 부착부(22)의 직경 방향 외측에 인접하고, 조사면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이다. 돌출부(26)는, 광원부(41)의 외주측을 따르도록 간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26)는, 원주 방향을 따라서 간헐한 상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구 본체(21)에 있어서, 광원부(41)와 유지부(29)의 사이에는, 돌출부(26)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가진다. 돌출부(26)의 하단에는, 보호 부재(91)의 일단이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돌출부(26)는, 기구 본체(2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리브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기구 본체(21)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용부(23)는, 접속부(71)의 일단측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접속부(71)는, 조명 기구(11)를 천정 등의 기구 부착면에 배치된 배선 기구와 접속한다. 수용부(23)는, 기구 본체(21)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23)는, 평면에서 봐서 외형 형상이 원형이고 단면에서 봐서 하방을 향해서 오목 형상이며, 조사면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는, 원통형의 주(周)벽부(23a), 그 주벽부(23a)에 연속 설치되는 원환상의 저부(23b)를 가지고 있다. 수용부(23)의 저부(23b)의 직경 방향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3c)는, 접속부(71)를 노출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수용부(23)의 저부(23b)에는, 수광부(81)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광부(81)의 일단을 노출하기 위한 수광 구멍(23d)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의 주벽부(23a)에는, 수광 구멍(23d)의 근방에 LED 광원 모듈(44)과 전원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23e·23e)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3e·23e)은, 수광부(81)와 LED 광원 모듈(44)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가 조사면측으로 돌출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고, 또한 관통공(23e·23e)을 주벽부(23a)에 설치하는 구성은, LED 광원 모듈(44)과 전원부(3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에, 만곡 변형이 원인인 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어렵다. 즉, LED 광원 모듈(44)과 접속된 배선을 관통공(23e·23e)에 삽입 통과시켜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의 수용부(23) 내로 끌어들인다. 이때, 관통공(23e·23e)을 기구 본체(21)의 상하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관통공(23e·23e)이 개구하는 방향과 배선의 연장되는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배선을 기구 본체(21)의 조사면측으로부터 부착면측으로 끌어들이고자 하면, 배선을 관통공(23e·23e) 부근에서 상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굽혀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공(23e·23e)은 수용부(23)의 주벽부(23a)에 기구 본체(21)의 측면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공(23e·23e)의 개구하는 방향과 배선의 연장되는 방향이 일치한다. 이 때문에, 배선을 관통공(23e·23e) 부근에서 상하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굽히지 않고 기구 본체(21)의 조사면측으로부터 부착면측으로 끌어들일 수 있어, 만곡 변형이 원인인 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어렵다. 수용부(23)는, 광원부(41)가 부착되는 광원 부착부(22)에 인접해 있고, 수용부(23)의 상하 방향의 칫수(높이 칫수)가 커지면, 광원부(41)로부터의 광을 차단하여 전등갓(51)에 수용부(23)의 그림자가 비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23)에 전원부(31) 또는 접속부(71)의 일부만을 수용함으로써, 수용부(23)의 용적을 억제하고, 수용부(23)를 편평상으로 형성하여, 광원부(41)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전원부(31)는, 광원부(41)가 가지는 LED 소자(42)에 급전을 행하여, LED 소자(42)를 점등시키기 위한 전원 회로이다. 전원부(31)는, 전기 부품을 실장 가능한 폭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가공된 프린트 배선판인 전원 기판(33) 상에 복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된 전원 회로이다. 전원부(31)는, 외부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류를 기판(43)에 실장된 복수의 LED 소자(42)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부(31)는, 전원 커버(61) 내에 수용되어, 그 전원 커버(61)의 천판부(64)에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스페이서(40)를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원 커버(61)와 전원부(31)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전기적 절연 거리를 확보하고 있다. 전원부(31)에는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 기구(11)를 천정 등의 기구 부착면에 부착할 때, 커넥터(32)를 배선 기구측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함으로써, 전원부(31)는 조명 기구용의 천정 배선 기구를 통하여 외부 상용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원부(31)와 광원부(41)는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광원부(41)는, 조명 기구(11)의 조사면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는 부분이다. 광원부(41)는, 전원부(31)의 외주측에 배치된다. 광원부(41)는, 복수의 LED 소자(42)를 가지고, 광원 부착부(22)의 평탄면인 광원 부착부(22a)에 배치되는 평판형상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부(41)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매)의 LED 광원 모듈(44)을 가지고 있고, 각 LED 광원 모듈(44)은, 평판 형상 모듈 기판인 기판(43) 상에 복수의 점광원인 LED 소자(42)가 실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LED 소자(42)는, 기구 본체(21)의 개구부(23c)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원부(41) 및 전원부(31)가 평면에서 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동심원상」은, 완전히 동심원상으로 배치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편심한 배치를 포함한다. 「등간격」은 완전히 균등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불균등 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를 포함한다.
LED 광원 모듈(44)이 가지는 기판(4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 소자(42)를 실장 가능한 폭을 가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43)은, 원주 방향의 대향하는 양 단부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단부(43a)를 가지고 있다(도 5 참조). 또한, 단부(43a)는, 본 발명의 평행한 단부의 일예이다. 「평행」은, 단부(43a)들이 완전히 평행하게 되어 있는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 비평행으로 되어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LED 광원 모듈(44)의 기판(43)은, 모두 동일 형상 및 동일 면적으로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43)의 내주단의 형상은, 기판(43)의 외주단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혹은 유사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개의 판형상의 기판 소재로부터 절취하여 복수의 기판(43)을 제작할 때에, 이 기판(43)을 기판 소재 상에 늘어 세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여, 폐기하는 부분이 적어 제조 수율이 좋아지므로, 바람직하다. 기판(43)은, 또한 원주 방향의 대응하는 양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비평행 단부(43b)를 가진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원주 방향의 비평행 단부(43b)들을 대향시킴과 더불어, 배선 부품(45)을 사용하여 접속된다. LED 광원 모듈(44)은, 비평행 단부(43b)들을 대향시켜 접속함으로써, 원환상을 이룬 광원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원환상」은, 광원부(41)의 외형 형상이 진원형으로 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형 등과 같이 진원에 유사한 형상을 포함한다. 배선 부품(45)은, 오목부(25)에 대응하는 위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부(25)의 하방 위치)에 배치된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수용부(23)의 직경 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4개의 나사 부재(49)로 광원 부착부(22)에 부착되어 있다. LED 광원 모듈(44)은, 전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전원부(3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LED 광원 모듈(44)은, 기판(43)의 실장면의 이면이 각 광원 부착부(22)의 광원 부착면부(22a)에 맞닿아 고정되므로, 각 LED 광원 모듈(44)이 발열했을 때에는, LED 광원 모듈(44)의 열이 기구 본체(21)에 전달된다. 기구 본체(21)에 전달된 열은, 기구 본체(21)의 온도보다도 주변 온도가 낮은 경우, 기구 본체(21) 주변의 공기로 전해진다. 기구 본체(21)에 전해진 열은, 각 광원 부착면부(22a)를 통하여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으로 방열된다.
또한, 각 LED 광원 모듈(44)은, 열 전도성 시트(도시하지 않음)나 방열 그리스를 통하여 광원 부착부(22)에 부착되어도 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더욱 높은 방열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으로서 표면 실장형의 LED 소자를 이용했는데, 광원의 종류는 LED 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COB형 발광 모듈이나 유기 EL 소자(OLED) 등이어도 실현 가능하다. 「COB」는 chip on board의 약칭이다. 「OLED」는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의 약칭이다.
광원부(41)는, 복수의 LED 소자(42)가, 광원 부착부(22)의 광원 부착면부(22a)의 조사면측에 적어도 배치된다. 이는, 기판(43) 상에 실장된 LED 소자(42)가 발열원이 되므로, 적어도 LED 소자(42)를 광원 부착면부(22a)의 영역 내에 배치함으로써 방열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LED 광원 모듈(44)의 평면에서 봐서의 크기·형상과, 광원 부착면부(22a)의 평면에서 봐서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발열원인 LED 소자(42)를 기판(43)을 통하여 광원 부착면부(22a)의 영역 내에 배치하면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판(43)의 외주연부 등의 기판(43) 상에 LED(42)가 실장되지 않은 부분은, 광원 부착면부(22a)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배치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LED 광원 모듈(44)의 원주 방향의 양 단부가, 광원 부착면부(22a)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오목부(2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등갓(51)은, 기구 본체(21)의 조사면측을 덮도록 부착되고, 광원부(41)로부터의 광을 반사 및 확산시키면서, 외부로 배광하는 부재이다. 전등갓(51)은,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전등갓(51)의 전체 형상은, 평면 형상이 원형이며, 하면측에 완만하게 돔형상으로 부풀어 있다. 전등갓(51)은, 전등갓(51)의 내부의 청소나 기구 본체(21)의 부품 교환 등을 위해서 기구 본체(21)에 대하여 장착 및 제거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전등갓(51)의 상면측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전등갓(51)을 기구 본체(21)가 가지는 유지부(29)에 부착하기 위한 피유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등갓(51)의 형상은 일예이며, 돔형상 외, 원통형이나 각통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기구 본체(21)에는, 전등갓(51)의 피유지부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 금구인 유지부(29)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생략하는데, 전등갓(51)을 기구 본체(21)의 부착 위치에 배치하여 전등갓(51)의 둘레 방향의 한쪽으로 회동시키면, 전등갓(51)의 피유지부가 기구 본체(21)의 유지부(29)에 유지되어 전등갓(51)이 기구 본체(21)에 부착된다. 또한, 전등갓(51)이 기구 본체(21)에 부착된 상태에서 전등갓(51)을 둘레 방향의 다른 쪽으로 회동시키면, 전등갓(51)의 피유지부가 기구 본체(21)의 유지부(29)로부터 벗어나, 전등갓(51)을 기구 본체(2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전원 커버(61)는, 전원부(31)를 덮는 부재이다. 전원 커버(61)는, 일단이 개방된 편평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전원부(31) 및 접속부(71)가 부착되는 부재이다. 또한, 「원통형」은, 단면 형상이 완전한 진원형인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과 같이 진원형에 유사한 형상인 원통형을 포함한다. 또한, 원통형은, 일부에 개구를 가지는 형상을 포함한다. 전원 커버(61)는, 기구 본체(21)가 가지는 수용부(23)의 부착면측에 부착된다. 또한, 전원 커버(61)의 내부에는, 어댑터를 부착하기 위한 접속부(71)가 부착된다. 전원 커버(61)는, 부착 구멍(62), 주연부(63), 천판부(64), 주벽부(65) 및 플랜지부(66)를 가지고 있다.
부착 구멍(62)은, 조명 기구(11)를 천정에 부착할 때, 인괘 실링 어댑터(ceiling hook adaptor) 등의 배선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삽입 통과시키는 원형의 개구 부분이다. 부착 구멍(62)은, 전원 커버(61)의 직경 방향 중심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주연부(63)는, 부착 구멍(62)의 주연 부분이며, 접속부(71)가 가지는 배선 부품 접속부(72)의 일단(상단)이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분이다. 주연부(63)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환상의 면이다. 주연부(63)에는, 배선 부품 접속부(72)를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부착하기 위한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64)는, 주연부(63)의 주위에 원환상으로 형성된 평탄 부분이다. 천판부(64)에는, 평면에서 봐서 반정도의 면적이 되는 영역에 스페이서(40)를 통하여 전원부(31)가 배치된다. 또한, 「반정도의 면적」은, 천판부(64) 면적의 50% 면적에 한정되지 않고, 50%에 가까운 값이면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주벽부(65)는, 천판부(64)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는 원통형의 부분이다. 플랜지부(66)는, 주벽부(65)의 하단의 외주연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원환상의 부분이다. 플랜지부(66)는, 전원 커버(61)를 기구 본체(21)에 부착했을 때에, 기구 본체(21)에 맞닿는 부분이다. 플랜지부(66)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기구 본체(21)에 부착된다.
전원 커버(61)는, 내부에 전원부(31) 및 접속부(71)를 부착한 상태에서, 이 접속부(71)의 하단측을 수용부(23) 내에 수용하고, 플랜지부(66)가 기구 본체(21)에 맞닿아 부착된다. 전원 커버(61)가 수용부(23)의 부착면측에 부착됨으로써, 전원 커버(61)와 수용부(23)에서 원주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전원부(31), 접속부(71), 및 수광부(81) 등을 수용하기 위한 높이 및 폭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원주형상」은, 단면 형상이 완전한 진원형인 원주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과 같이 진원형에 유사한 형상인 원주형상을 포함한다.
접속부(71)는, 어댑터 및 수광부(81)를 부착하는 부분이다. 접속부(71)는, 어댑터 접속부(72), 수광부 접속부(73)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71)는,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전원 커버(61)가 가지는 주연부(63)에 부착된다.
배선 기구 접속부(72)는, 편평한 원통형이며, 수용부(23)가 가지는 개구부(23c)보다 소경의 제1 원통부(72a), 개구부(23c)보다 외형이 대경인 제2 원통부(72b)를 가지고 있다. 또한, 「원통형」은 단면 형상이 완전한 진원형인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형상이 타원형 등과 같이 진원형에 유사한 형상인 원통형을 포함한다. 제2 원통부(72b)에는, 전원부(31)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커넥터(3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공(72c)이 형성되어 있다. 수광부 접속부(73)는, 배선 기구 접속부(72)의 측부에 설치되어, 수광부(81)를 부착하는 부분이다. 수광부 접속부(73)는, 수용부(23)의 수광 구멍(23d)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명 기구(11)를 천정에 부착하는 경우는, 조명 기구용의 천정 배선 기구(인괘 실링 보디)에 인괘 실링 어댑터 등의 배선 부품을 부착하고, 전원 커버(61)가 가지는 부착 구멍(62)에 배선 부품을 꽂아넣음과 더불어, 그 배선 부품을 제1 원통부(72a) 내에 끼워 맞춘다.
수광부(81)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외선)를 수광하는 부분이다. 수광부(81)는, 수용부(23)가 가지는 수광 구멍(23d)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수광부(81)는, 전원부(31)에 접속된다. 수광부(81)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리모콘으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를 전송 매체로 한 리모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콘을 조작하여 수광부(81)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LED 광원 모듈(44)(LED 소자(42))의 점등, 소등, 조광 등을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보호 부재(91)는, 기구 본체(21)와 전등갓(51)의 사이에 있어서, 광원부(41)를 덮도록 배치되는 부재이다. 보호 부재(91)는, 복수의 보호 커버(92)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 커버(92)는, 투광성을 가지고 있고,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가지는 수지 시트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보호 커버(92)는 투명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ED 광원 모듈(44)에 대응하여 4매의 보호 커버(92)를 가지고 있고, 각 보호 커버(92)는, 광원 부착부(22)에 배치된 각 LED 광원 모듈(44)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보호 커버(92)의 형상은, LED 광원 모듈(44)을 덮을 수 있는 소정폭을 가지는 원호상이다. 보호 커버(92)는, LED 광원 모듈(44)을 덮을 수 있도록, 각 LED 광원 모듈(44)의 실장면의 면적보다도 조금 큰 투영 면적을 가진다. 보호 커버(92)는, 외주연부가 수용부(23)의 외주 근방 및 돌출부(26)의 하단에 복수의 나사 부재를 사용하여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부(31)가 전원 커버(61) 내에 수용되고, 전원 커버(61)가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에 부착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조명 기구(11)에서는, 배선 기구와 접속하는 접속부(71)가 전원 커버(61) 내에 부착되고, 전원 커버(61)가 기구 본체(21)의 부착면측에 부착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또한, 조명 기구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전원부(31)나 접속부(71)가 부착된 유닛이 되는 전원 커버(61)와, 광원부(41) 등이 부착된 유닛이 되는 기구 본체(21)를 나누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명 기구의 조립 공정의 분업화를 가능하게 하여,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부(71)를 기구 본체(21)에 부착하는 경우, 접속부(71)는 기구 본체(21)의 LED 광원 모듈(44)과는 반대측의 면에 부착하는 경우가 많고, 기구 본체(21)의 양면에 대하여 부착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잡해진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접속부(71)를 전원 커버(61)에 부착하는 구성의 경우, 접속부(71)는 전원 커버(61)에 있어서의 전원부(31)와 동일면측에 부착하고, 기구 본체(21)에는 접속부(71)를 부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접속부(71)와 LED 광원 모듈(44)과 전원부(31)의 부착 작업은, 기구 본체(21)와 전원 커버(61) 각각의 한쪽의 면에서만 행하면 되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전원부(31)가 스페이서(40)를 통하여 전원 커버(61)에 부착되고, 그 전원 커버(61)와 전원부(31)의 사이에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전원부(31)(전원 기판(33))와 전원 커버(61)의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 절연 거리(예를 들면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기판(33)은, 스페이서(40)를 사용하여 직접 전원 커버(61)에 부착되므로, 전원 커버(61)와의 사이에 전기적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전원 커버(61)에 부착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종류의 부품(스페이서(40))으로 전기적 절연 거리의 확보와 전원 기판(33)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고, 전원 기판(33)을 전원 커버(61)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원부(41) 및 전원부(31)가 평면에서 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광원부(41) 및 전원부(31)가 각각 발생하는 열이 서로 전파하지 않고, 각각이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기구 본체(21)가 광원부(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그 광원부(41)의 외주측에 복수의 돌출부(26)를 가지고, 또한 그 외주측에 전등갓 부착 금구인 유지부(29)를 가진다. 광원부(41)와 유지부(29)의 사이에는 돌출부(26)를 가지지 않는 부분을 가진다. 간헐하여 돌출부(26)를 설치함으로써, 보호 부재(91)를 부착한 상태여도 돌출부(26)의 간헐 부분으로부터 침입한 벌레나 먼지 등을 제거하기 쉽다. 또한, 광원부(41)의 주위에 있어서 유지부(29) 근방을 제외한 다른 부분이, 돌출부(26)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사용자가 LED 광원 모듈(44)에 접촉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광원부(41)가 원호 형상의 모듈 기판인 기판(43)을 가지고, 그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양 단부가 평행한 직선 형상의 단부(43a)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1개의 판형상의 기판 소재로부터 절취하여 복수의 기판(43)을 제조할 때에, 그 기판(43)의 형을 기판 소재 상에 늘어세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1매의 기판 소재로부터 효율적으로 기판(43)을 절취하는 것이 가능해져, 폐기하는 부분이 적어 제조 수율이 좋아지므로, 제조 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또한, 「평행한 직선 형상」은,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양 단부가 완전히 평행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 비평행으로 되어 있는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평행한 직선 형상」은,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양 단부가 완전히 직선으로 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약간 만곡해 있는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수용부(23)가 수광부(81)와 LED 광원 모듈(44)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23e)을 가지고, 관통공(23e)은 수광부(81)와 LED 광원 모듈(44)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23)의 수광 구멍(23d) 부근에 배선을 인출하기 위한 관통공(23e)을 형성함으로써, 평면에서 봐서 그 관통공(23e)의 위치를 인식하기 쉬워,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조명 기구(11)에서는, 복수의 LED 광원 모듈(44)이 원호 형상의 기판(43)을 가지고, 그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을 따른 비평행 단부(43b)를 가진다. 복수의 LED 광원 모듈(44)의 비평행 단부(43b)들을 대향시켜, 배선 부품(45)을 사용하여 인접하는 기판(43)을 접속하고, 그 배선 부품(45)이 오목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각 LED 광원 모듈(44)의 비평행 단부(43b)가 근접한 상태로 배치되어도, 적절한 절연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LED 광원 모듈(44)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평행한 단부(43a)와 직경 방향을 따른 비평행 단부(43b)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은, 기판(43)의 원주 방향의 단부를 직경 방향을 따른 단부만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인접하는 LED 광원 모듈(44)에 있어서 가장 근접하는 단부의 대향 면적이 작다. 이 때문에, 기판(43)이 LED 소자(42)가 발하는 열 등에 의해서 열팽창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기판(43)의 형상은, 기판(43)끼리의 접촉량을 작게 하여 기판(43)에 관련된 스트레스를 억제하거나, 기판(43)의 열팽창이 원인으로 배선 부품(45)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조명 기구(11)는 환형으로 했지만, 각형이나 그 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링 라이트 외, 팬던트 라이트 등에 적용해도 된다. 팬던트 라이트의 경우, 접속부는, 예를 들면 배선 케이블 등에 상당한다. 또한, 천정면에 배치된 덕트 레일에 접속 가능한 팬던트 라이트의 경우, 접속부는, 예를 들면 배선 덕트 플러그 및 그에 접속되는 배선 케이블 등에 상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속부는, 조명 기구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넓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구 본체(21)의 형상은 일예이며, 본 실시 형태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명 기구(11)의 형상이 환형 이외의 각형이나 그 외의 형상인 경우에는, 그에 따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구 본체(21)의 형상은, 광원부(41)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접속부(71)는, 본 발명의 접속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원부(41)는, 본 발명의 광원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부(31)는, 본 발명의 전원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구 본체(21)는, 본 발명의 기구 본체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원 커버(61)는, 본 발명의 전원 커버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지부(29)는, 본 발명의 유지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돌출부(26)는, 본 발명의 돌출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LED 소자(42)는, 본 발명의 광원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판(43)은, 본 발명의 모듈 기판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지부(23)는, 본 발명의 수용부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관통공(23e)은 본 발명의 관통공의 일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25)는 본 발명의 오목부의 일예이다.
11: 조명 기구 21: 기구 본체
31: 전원부 41: 광원부
42: LED 소자 44: LED 광원 모듈
61: 전원 커버 71: 접속부

Claims (8)

  1. 기구 부착면에 배치된 배선 기구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광원과 모듈 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에 급전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유지하는 기구 본체와,
    상기 전원부를 덮는 전원 커버를 구비하는 조명 기구로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전원부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커버에,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접속부가 부착되고,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커버는, 상기 기구 본체의 기구 부착면측에 부착되는, 조명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전원부는, 평면에서 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 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및 상기 전원부는, 평면에서 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 기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전등갓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구 본체는, 상기 광원부의 외주측을 따라 간헐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부와 상기 유지부의 사이에는, 적어도 상기 돌출부를 가지지 않는 부분을 가지는, 조명 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원주 방향의 양 단부에 있어서, 서로 평행한 단부를 가지는, 조명 기구.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수광부를 배치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광부와 상기 모듈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을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수광부와 상기 모듈 기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조명 기구.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본체는, 오목부를 가지고,
    복수의 상기 모듈 기판은, 배선 부품을 사용하여 접속되고,
    상기 배선 부품이 상기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명 기구.
KR1020140087341A 2014-07-11 2014-07-11 조명 기구 KR20160007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1A KR20160007129A (ko) 2014-07-11 2014-07-11 조명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341A KR20160007129A (ko) 2014-07-11 2014-07-11 조명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29A true KR20160007129A (ko) 2016-01-20

Family

ID=55307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341A KR20160007129A (ko) 2014-07-11 2014-07-11 조명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71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4684A (ja) 2009-12-25 2011-07-07 Sharp Corp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4684A (ja) 2009-12-25 2011-07-07 Sharp Corp 照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3136B2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5078604B2 (ja) 取付体、及びそれを備えてなる照明装置
JP6495966B2 (ja) 照明器具
JP5971469B2 (ja) 照明器具
JP2012138370A (ja) 照明器具
JP2006172893A (ja) 照明器具
JP6323780B2 (ja) 照明器具
JP6408268B2 (ja) 照明器具
JP5701429B1 (ja) 照明器具
JP6443697B2 (ja) 照明器具
JP5320563B2 (ja) 照明器具
JP6440058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2017183220A (ja) 照明装置
JP2014082068A (ja) 照明器具
JP2013251141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器具
KR20160007129A (ko) 조명 기구
JP2017188387A (ja) Led照明装置
KR20160125072A (ko) 조명 기구
JP2012146441A (ja) 照明器具
JP6606716B2 (ja) 照明器具
JP2015220226A (ja) 照明器具
JP6569935B2 (ja) 埋込型照明器具
TW201908658A (zh) 電源裝置、照明裝置及照明器具
JP2016076307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JP6220617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