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112A -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112A
KR20160007112A KR1020140087292A KR20140087292A KR20160007112A KR 20160007112 A KR20160007112 A KR 20160007112A KR 1020140087292 A KR1020140087292 A KR 1020140087292A KR 20140087292 A KR20140087292 A KR 20140087292A KR 20160007112 A KR20160007112 A KR 20160007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rm
support
coupled
cctv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800B1 (ko
Inventor
박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인스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14008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4800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지주브라켓; 상기 지주브라켓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중간부분에 암지지공이 형성된 회동 브라켓; 및 상기 회동 브라켓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암은 상기 암지지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지지부재; 상기 암지지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및 상기 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CCTV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COUPLED WITH A HOLDING ASSEMBLY FOR CCTV}
본 발명은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에 결합되는 지주브라켓과 상기 지주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암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이 구비되어, 도로의 상측과 같이 CCTV의 설치위치에 따라 설치 및 수리가 곤란한 경우, 회동브라켓의 회동에 의해 암(arm)에 설치되는 CCTV가 인도쪽으로 회동됨으로써, CCTV의 설치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암에 설치된 CCTV가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CCTV를 지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에 의지하는 사다리 하나만으로도 CCTV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에 기존의 암 구조를 결합하고, 지주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우수한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주와 지주에 설치되는 암은 차도와 보도를 포함하는 도로, 공원, 골목길에 설치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가로등, 신호등, 전주 및 표시판 등이 설치되어 사용된다.
지주와 암은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설치되는데, 이때, 지주는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까지 돌출 형성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지주에 설치되는 암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일정 높이에 설치됨으로써, CCTV, 가로등 및 신호등과 사람 및 차량의 간섭을 최소화한다.
또한 지주에 설치되는 암은 도로나 인도 등의 통행로 상측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암에 설치되는 다양한 CCTV, 가로등 및 신호등 등의 유지 보수를 위해서 크레인이나 사다리차 등과 같은 고소작업차가 사용된다.
그러나 암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고소작업차를 사용하는 경우, 고소작업차를 도로위에 위치시켜 놓고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통행로를 막게 되어 교통체증 및 혼잡을 야기시키며, 작업자의 안전상 문제와 소요 경비 및 소요 인원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지주에 설치되는 암을 회전시켜 안전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폴대 장치가 개발되었다.
폴대 장치 중 하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92308호에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가 기재되었다.
도 1은 위에 기재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볼트삽입홀(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폴대의 후면을 감싸기 위한 후면브라켓(20); 일측에 암의 끝단이 삽입되어 암 회전시 가이드하기 위한 폴대회전가이드홈(11)과, 상기 폴대회전가이드홈(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암에 형성된 고정대를 삽입하기 위한 폴대고정대삽입홈(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대(10); 볼트삽입홀(3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암의 끝단과 고정대를 삽입하여 암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브라켓회전가이드홈(32)이 형성되어 있는 전면브라켓(30); 및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폴대고정대삽입홈(12)에 삽입시키기 위한 고정대(41)가 구성되며, 타측에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가 설치 구성되는 암(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는 작업자가 간단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카메라 폴대 장치의 암(40)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함으로,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는 유지 보수시 카메라 폴대 장치의 암(40)을 좌우 회전시켜 작업자가 있는 위치로 가져와서 작업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나, 암(4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후면브라켓(20)과 전면브라켓(30)을 고정하고 있는 회전방지볼트를 어느 정도 풀어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전면브라켓(30) 내의 브라켓회전가이드홈(32)을 통해 암(40)이 180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암(40)은 폴대(10)의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설치되는데, 회전방지볼트에 의해 결합된 후면브라켓(20)과 전면브라켓(30)의 결합을 느슨한 상태로 두면, 암(40)의 하중에 의해 폴대(10)로부터 암(40)이 아래로 쳐지거나 분리되어 작업상 안전에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암(40) 회전시 암(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40)에 고정대(41)를 구비하여 폴대(10)와 암(40)의 결합력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암(40)이 회전되기 위해서는 고정대(41) 역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암(40)의 하중을 견딜지 의문스러우며, 이에 폴대(10)로부터 암(40)이 분리되려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암(40)에 설치되는 카메라는 렌즈가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는데, 종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는 유지 보수를 위해 암(40)을 회전시키고, 작업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암(40)의 원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암(40)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감지방향이 틀어져 최초 감지하고자 하는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2308호(2013.07.2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주에 결합되는 지주브라켓과 상기 지주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암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이 구비되어, 도로의 상측과 같이 CCTV의 설치위치에 따라 설치 및 수리가 곤란한 경우, 회동브라켓의 회동에 의해 암(arm)에 설치되는 CCTV가 인도쪽으로 회동됨으로써, CCTV의 설치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암에 설치된 CCTV가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CCTV를 지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에 의지하는 사다리 하나만으로도 CCTV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에 기존의 암 구조를 결합하고, 지주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우수한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는 지주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지주브라켓; 지주브라켓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중간부분에 암지지공이 형성된 회동 브라켓; 및 회동 브라켓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암은 암지지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지지부재; 암지지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및 바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CCTV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주에 결합되는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이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브라켓에 결합되는 암이 인도쪽으로 회동됨으로써, 암에 설치되는 CCTV의 설치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에 설치된 CCTV가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CCTV를 지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에 의지하는 사다리 하나만으로도 CCTV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에 기존의 암 구조를 결합하고, 지주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우수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브라켓은 고정된 상태에서 암이 고정되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이 회동되도록 하여, 암을 회전시켜 작업한 후 암의 최초 원위치로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암에 설치되는 CCTV 감지범위의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암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암의 측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암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바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는 CCTV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폐쇄회로 텔레비전은 CCTV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는 지주에 결합되는 지주브라켓과 상기 지주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측에 암이 결합되는 회동브라켓이 구비되어, 도로의 상측과 같이 CCTV의 설치위치에 따라 설치 및 수리가 곤란한 경우, 회동브라켓의 회동에 의해 암(arm)에 설치되는 CCTV가 인도쪽으로 회동됨으로써, CCTV의 설치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암에 설치된 CCTV가 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CCTV를 지주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주에 의지하는 사다리 하나만으로도 CCTV의 점검 또는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지주브라켓과 회동브라켓을 포함하는 브라켓에 기존의 암 구조를 결합하고, 지주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우수한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는 지주(100)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브라켓(200) 및 암(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200)은 일측은 지주(100)에 결합되며, 타측은 후술되는 암(30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지주브라켓(210), 회동브라켓(220) 및 힌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브라켓(210)은 지주(10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내측면이 곡선 형태를 이루며, 외측으로는 후술되는 회동브라켓(220)이 결합되는 것으로, 지주결합공(211), 체결부재(212) 및 암지지공(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주브라켓(210)의 내측면은 지주브라켓(210)이 설치되는 지주(100)의 외측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지주의 가로측 단면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지주브라켓(210)의 내측면은 단면이 육각형인 지주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3개의 면 또는 2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주결합공(211)은 지주브라켓(210)이 지주(10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지주(100)에 지주브라켓(21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은 지주결합공(211)을 통해 나비앙카 또는 앵커볼트 등 다양한 볼트의 조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주결합공(21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지주(100)와 지주브라켓(2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주브라켓(210)의 양끝단 중 일단에 고정설치되며 지주(100)에 지주브라켓(2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지주(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 후 지주브라켓(210)의 타단에 체결되는 밴드(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100)에 지주브라켓(210)이 설치되는 경우, 지주브라켓(210)의 내주면은 지주(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밴드를 지주(100)의 외주면 일부를 감싼 후 지주브라켓(210)의 끝단에 체결함으로써, 지주(100)에 지주브라켓(210)이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재(212)는 후술되는 회동브라켓(220)이 회동되어 닫힌 상태가 되거나 또는 열린 상태가 되는 경우, 회동브라켓(220)에 체결되어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을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암지지공(213)은 지주브라켓(21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중간부분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암(300)이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회동브라켓(220)은 지주브라켓(21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외측으로는 후술되는 암(300)이 결합되어,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에 의해 지주(100)로부터 암(300)이 회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홈(221) 및 암지지공(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홈(221)은 지주브라켓(210)과 회동브라켓(220)이 면접촉된 경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12)가 회동되어 체결홈(221)에 삽입된 후 체결됨으로써,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을 단속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212)와 체결홈(22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브라켓(220)을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체결부재(212)의 손잡이(도면부호 미표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회동브라켓(220)의 외측으로 회동시키면 체결부재(212)와 체결홈(221)이 상호 이격되어 회동브라켓(2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을 단속하고자 하는 경우, 체결부재(212)를 체결홈(221) 측으로 회동시켜 삽입되도록 한 후, 손잡이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홈(221)에 체결부재(212)가 체결됨으로써,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을 단속하게 된다.
즉 체결부재(212)가 체결홈(221)에 체결됨으로써, 지주(100)에 암(3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암지지공(222)은 회동브라켓(22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중간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암지지공(222)은 지주브라켓(210)에 형성된 암지지공(213)과 상호 연통되며, 암(300)이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암지지공(213, 222)은 브라켓(200)이 설치되는 지주(100)의 내부와도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암지지공(213)이 위치되는 지주(100)의 외측에 내측과 연통되는 통공(도면에 미표시)을 형성함으로써, 지주(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케이블(110)을 상기 통공과 암지지공(213, 222)을 통해 암(300)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주브라켓(210)에 형성된 암지지공(213)은 회동브라켓(220)에 형성된 암지지공(22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후술되는 암지지부재(310)는 암지지공(213, 222) 모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회동브라켓(220)이 회동되면 암지지부재(310)는 암지지공(222)에 설치된 채로 회동된다.
즉 회동브라켓(220)이 회동되면 암지지부재(310)의 일부는 암지지공(222)을 관통하여 지주브라켓(210) 측으로 일부 돌출되게 되는데,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브라켓(220)의 회전반경에 의해 암지지부재(310)의 돌출 부분이 암지지공(213)에 걸리게 되어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힌지부재(230)는 지주브라켓(210)과 회동브라켓(220)을 상호 회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힌지부재(230)는 플로어힌지, 피봇힌지, 가네모힌지 및 오토힌지 등과 같이 다양한 힌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212)의 잠금을 해제하여 힌지부재(230)를 중심으로 회동브라켓(220)을 회동시키는 경우, 암지지홈(222)에 삽입되어 설치된 암(300)의 하중에 의해 힌지부재(230)가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한다. 즉 힌지부재(230)는 회동브라켓(220)과 상기 회동브라켓(220)에 설치되는 암(3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암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암의 측면측 단면도이고, 도 6은 암의 정면측 단면도이다.
암(300)은 지주(100)에 결합되는 브라켓(200)에 설치되어 지주(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암지지부재(310), 보호가이드(320), 바(330), CCTV연결부(340) 및 갓(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암지지부재(310)는 암지지공(213, 222)에 삽입되어 암(300)이 브라켓(20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은 암지지공(213, 222)의 내주면에 면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암지지부재(310)는 회동브라켓(220)에 형성된 암지지공(222)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회동브라켓(220)의 회동시 암지지공(222)에 삽입되어 설치된 암(300)도 같이 회동되도록 한다.
이때, 암지지부재(310)와 암지지공(222)이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은 용접 또는 볼트의 체결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암지지부재(310)는 암지지공(213, 222)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케이블관통공(311)이 형성되어 케이블(11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암지지공(222)의 내주면이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암지지부재(310)의 외주면도 이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암지지부재(310)가 암지지공(222)에 삽입되는 경우, 상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보호가이드(320)는 암지지부재(3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후술되는 바(330)와 CCTV연결부(34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가이드(320)는 하측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케이블관통공(321)이 형성되어 케이블(11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보호가이드(320)의 양측벽은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로 이루질 수 있다.
바(330)는 그 내부에 바중공부(331)가 형성되며, 보호가이드(320)의 하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케이블관통공(332), 걸림돌기(333) 및 이탈방지홈(3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바(33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보호가이드(320)의 내주면에 상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측은 양측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바(330)의 하측이 역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은 경사진 면 각각에 후술되는 스피커(335)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스피커(335)에서 방출되는 소리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관통공(332)은 보호가이드(320)에 형성된 케이블관통공(321)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11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걸림돌기(333)는 바(330)의 하측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후술되는 CCTV연결부(340)가 설치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탈방지홈(334)은 걸림돌기(333)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폭이 걸림돌기(333)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33)와 이탈방지홈(334)은 CCTV연결부(340)가 설치되어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되, CCTV연결부(340)가 슬라이딩 되도록 레일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바(330)에는 스피커(335) 및 조명부재(33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335)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30)의 하측 경사진 면 각각에 설치되며, 소리를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계조건에 따라, 스피커(335)에는 앰프(도면에 미표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335)를 울리기 위하여 필요한 저력을 증폭하여 만들어냄으로써, 음향을 증폭하여 방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재(336)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330)의 하측에 설치되되, 암(300)의 하측 방향을 빛을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조명부재(336)는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CCTV연결부(340)는 바(330)의 하측에 끼워져 설치되며, 바(3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하측에 CCTV(343)가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홈(341) 및 이탈방지돌기(3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CCTV연결부(340)에 설치되는 CCTV(343)는 돔형 또는 일자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지주(100)와 CCTV연결부(340)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및 이를 제어하는 도르레(도면에 미표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르레의 조작을 통해 CCTV연결부(340)의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다.
걸림홈(341)은 CCTV연결부(340)가 바(330)에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33)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탈방지돌기(342)는 이탈방지홈(334)에 끼워져 바(330)에 설치된 CCTV연결부(34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바(330)와 CCTV연결부(340)는 걸림홈(341)에 걸림돌기(333)가 끼워지며 이탈방지홈(334)에 이탈방지돌기(342)가 끼워짐으로써, 바(330)에 CCTV연결부(340)가 설치되어 이탈이 방지되되, CCTV연결부(340)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갓(350)은 바(33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암(300)의 지붕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갓(350)은 빗물 등이 암(3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가 비어있는 갓중공부(3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바(330)와 갓(35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됨에 따라, 이격공간에 케이블(1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갓중공부(351)는 그내부에 공기(air)가 충진되어 단열성을 증가시키고, 열 에너지의 전달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보호가이드(320), 바(330), CCTV연결부(340)의 외측에 커버(3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360)는 바(330)에 끼워져 슬라이딩되는 CCTV연결부(34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빗물 등이 바(330) 또는 CCTV(343)에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에서 바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되는 CCTV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CTV연결부(340)는 롤러(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344)는 이탈방지홈(334)에 삽입되어 바(330)와 CCTV연결부(340)가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CCTV연결부(340)를 바(3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는 지주에 결합되는 브라켓(200)의 구성에 의해 지주(100)로부터 암(30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며, 암(300)의 길이방향으로 CCTV(343)가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주브라켓(210)과 회동브라켓(220)을 포함하는 브라켓(200)에 기존의 암 구조를 결합하고, 지주(100)에 설치할 수 있음으로 사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피커(335)와 조명부재(336)가 더 구비되어 안내 방송 및 야간 감시가 가능하며, 조명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2 내지 도 7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 지주 110 : 케이블
200 : 브라켓 210 : 지주브라켓
211 : 지주결합공 212 : 체결부재
213, 222 : 암지지공 220 : 회동브라켓
221 : 체결홈 230 : 힌지부재
300 : 암 310 : 암지지부재
311, 321, 332 : 케이블관통공 320 : 보호가이드
330 : 바 331 : 바중공부
333 : 걸림돌기 334 : 이탈방지홈
335 : 스피커 336 : 조명부재
340 : CCTV연결부 341 : 걸림홈
342 : 이탈방지돌기 343 : CCTV
344 : 롤러 350 : 갓
351 : 갓중공부 360 : 커버

Claims (5)

  1. 지주(10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지주브라켓(210);
    상기 지주브라켓(210)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며,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중간부분에 암지지공(222)이 형성된 회동 브라켓(200); 및
    상기 회동 브라켓(200)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암(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암(300)은
    상기 암지지공(22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암지지부재(310);
    상기 암지지부재(310)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330); 및
    상기 바(33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CCTV연결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브라켓(210)과 회동브라켓(220)은 힌지부재(23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힌지부재(23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플로어힌지, 피봇힌지, 가네모힌지 및 오토힌지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330)의 상측에는 하측이 개방된 'ㄷ' 형태의 보호가이드(3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가이드(320) 상측에는 하측이 개방된 삼각형 형태의 갓(3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갓(350)은 그 내부가 비어있는 갓중공부(3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330)에는 스피커(335)와 조명부재(33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20140087292A 2014-07-11 2014-07-11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159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92A KR101594800B1 (ko) 2014-07-11 2014-07-11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92A KR101594800B1 (ko) 2014-07-11 2014-07-11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112A true KR20160007112A (ko) 2016-01-20
KR101594800B1 KR101594800B1 (ko) 2016-02-17

Family

ID=5530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92A KR101594800B1 (ko) 2014-07-11 2014-07-11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4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922B1 (ko) * 2019-11-20 2021-04-27 주식회사 라온에이치씨 센싱영역 조절 기능을 구비한 차량 차단 장치
KR102263926B1 (ko) * 2020-09-25 2021-06-1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강성보강 가로등의 cctv 제어 분전반 착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214B1 (ko) 2017-09-04 2019-05-23 (주)아이지오 돌발 상황 녹화기능이 있는 태양광을 활용한 cctv 폴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489210Y1 (ko) 2019-01-14 2019-05-16 주식회사 위드텍 Cctv 마운팅을 위한 체인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102204632B1 (ko) * 2020-10-20 2021-01-18 조건행 위치 가변형 cctv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12B1 (ko) * 2009-06-30 2009-12-30 제디아 주식회사 전,후,좌,우방향의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292308B1 (ko) 2012-07-30 2013-08-01 (주) 휴스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712B1 (ko) * 2009-06-30 2009-12-30 제디아 주식회사 전,후,좌,우방향의 촬영이 가능토록 하는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한 씨씨티브이 시스템
KR101292308B1 (ko) 2012-07-30 2013-08-01 (주) 휴스 유지 관리가 용이한 카메라 폴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922B1 (ko) * 2019-11-20 2021-04-27 주식회사 라온에이치씨 센싱영역 조절 기능을 구비한 차량 차단 장치
KR102263926B1 (ko) * 2020-09-25 2021-06-11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강성보강 가로등의 cctv 제어 분전반 착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4800B1 (ko)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JP2020502768A (ja) 細長い構造体、街路ポール及び街路照明ポール
US10286740B2 (en) Expandable light towers and methods of using
KR101676633B1 (ko) 다기능 지주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JP2016090762A (ja) 高所点検装置
US10886595B1 (en) Outdoor Wi-Fi bollard
US10193320B1 (en) Integral terminal compartment with deployable terminal block
KR101436751B1 (ko) 가로등의 기(旗) 게양장치
US10465349B2 (en) Illuminated barrier apparatus
KR101006727B1 (ko) 가로등
KR101067013B1 (ko) 전자장비 이동을 위한 암을 구비한 지주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101350834B1 (ko) 점검구에 대한 보강구조를 갖는 가로등용 지주
ITRM20000172A1 (it) Torre faro dotata di stazione radio base per telefonia mobile.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1562632B1 (ko)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KR101531285B1 (ko) 지면 설치 가능한 램프 점등용 안전 표시구
AU2020381894A1 (en) Lamp trunking system and installation system thereof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20110013832A (ko) 가로등 지주 교체장비
KR20210060206A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승강용 기지국 안테나 폴
KR101664838B1 (ko) 휴대용 스마트 로드사인
KR100517956B1 (ko) 가로등의 안전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