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2632B1 -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2632B1
KR101562632B1 KR1020140073487A KR20140073487A KR101562632B1 KR 101562632 B1 KR101562632 B1 KR 101562632B1 KR 1020140073487 A KR1020140073487 A KR 1020140073487A KR 20140073487 A KR20140073487 A KR 20140073487A KR 101562632 B1 KR101562632 B1 KR 101562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lighting
main body
vehi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효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선전기 filed Critical (주)효선전기
Priority to KR102014007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8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search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의 상부에 엔진을 이용한 발전기 및 배전반이 내장된 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회전되는 조명대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조명대의 선단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엘이디 조명등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까지의 운반은 물론 목적지에서의 짧은 이동을 통해 최적의 설치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고, 최소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기동 및 보관과 운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자가발전과 동시에 조명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조명시설을 위한 별도의 설치 및 해체와 연결 작업이 불필요한 것이고, 자가발전 장치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전기장치의 운용 및 조명시설의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야간 작업이나 스포츠 또는 군사작전 등 전기와 조명을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Trailer-type self-generation LED floodlight equipment}
본 발명은 차량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한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을 이용한 발전기가 장착된 차량용 트레일러의 본체에 엘이디 투광조명장비를 세우거나 눕혀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엘이디 투광 조명장비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발전기를 통해 야외에서의 안정적인 전원의 사용은 물론 야간 조명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야간 작업이나 군사 작전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이나 어두운 야외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조명을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조명수단에 대한 전원이 상시 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접속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나, 전력선이 가설되지 않은 지역이나 주변으로부터 전원 사용의 허락을 받을 수 없는 장소에서는 별도의 발전장치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야외 및 야간 작업을 위한 발전차량은 주로 영화촬영이나 군사작전 또는 기타 다양한 작업이나 스포츠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인데, 상기의 발전차량은 2000년 특허출원 제021100호 및 2006년 특허출원 제026996호와 같이 안출된 바 있다.
이러한 발전차량은 자동차의 화물 적재공간에 발전장치 및 적재공간을 구비하여 상기의 발전차량을 통해 다양한 장소 및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탑재된 상태의 발전장치를 이용하여 야간 활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야간 작업이나 작전을 위한 조명기구의 경우 상기의 발전차량과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발전차량의 이동 및 조명기구의 설치를 통해 원하는 장소에서 충분한 전원 및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발전차량은 차량 자체의 부피가 매우 크고 잘 만들어진 도로를 따라 이동할 수 밖에 없어 현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발전차량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조명등 또는 전기장치 등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전차량으로부터 무수히 많은 전원선을 연결 및 사용하여야 하므로 주변이 매우 혼잡하고 복잡하며 이들 전원선으로 인해 이동에 지장을 받게 됨은 물론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수시로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비교적 넓은 범위 및 장소에서 야간 작업이나 운동 또는 군사작전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발전차량으로부터 무수히 많고 긴 전원선을 이용하여 해당 지점으로 전원을 분기한 후 이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전원 및 전력선의 가설 및 이를 운용하는데 상당한 혼잡함과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원거리의 경우에는 부득이 추가로 발전차량을 배치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전원선 및 보조 설치 기구 등이 오염 및 훼손되면서 비정기적으로 혹은 수시로 관련 장비 및 접속 장치 등을 수리 및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발전차량을 이용하여 조명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발전차량을 적합한 장소에 주차시킨 후 조명시설을 원하는 위치에 세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의 발전차량과 조명시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야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조명시설의 설치 및 가동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소요되는 것은 물론 이들을 다시 해체하기 위한 과정 및 시간 역시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기동성 및 효율성의 측면에서 매우 불합리한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트레일러의 상부에 엔진을 이용한 발전기 및 배전반이 내장된 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회전되는 조명대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조명대의 선단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엘이디 조명등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차량을 이용하여 트레일러를 목적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최적의 장소에서 합리적으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본체로부터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조명대에 의해 빠르고 신속하게 엘이디 투광조명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안전성 및 효율성을 겸한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상부에 본체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발전기와 배전반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세우거나 눕혀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엘이디 조명대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트레일러는 전방의 견인고리와 지지대 및 후측의 이동륜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측부에 개폐문이 구성되며, 상기 조명대는 선단에 엘이디 조명등이 결합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위치까지의 운반은 물론 목적지에서의 짧은 이동을 통해 최적의 설치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고, 최소의 면적을 차지하므로 기동 및 보관과 운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자가발전과 동시에 조명시설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조명시설을 위한 별도의 설치 및 해체와 연결 작업이 불필요한 것이고, 자가발전 장치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전기장치의 운용 및 조명시설의 사용이 가능하여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며, 야간 작업이나 스포츠 또는 군사작전 등 전기와 조명을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합리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또 다른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내부를 보인 측면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전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조명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조명부 작동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측면 전체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또 다른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내부를 보인 측면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의 전면 전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삭제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에 있어 트레일러는 견인수단을 갖는 자동차에 연결 및 장착하여 이를 통해 목적하는 장소로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트레일러(10)는 철골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측 끝단에는 자동차의 견인장치와 연결되게 하는 견인고리(11)가 형성되어 있고 트레일러(10)의 전방 일측에는 지지대(12)가 수직 방향으로 고정 형성되어 있으며, 트레일러(10)의 후측으로는 양측에 이동륜(13)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견인고리(11)를 통해 차량과 연결하여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견인 차량과의 연결 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의 지지대(12)를 이용하여 트레일러(10)가 안정적으로 지상에 세워져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지지대(12)에는 하단에 보조바퀴(14)가 결합된 상태의 승강대(15)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승강대(15)는 지지대(12)로부터 상,하 승상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승강대(15)와 지지대(12)를 서로 나사 결합하여 승강대(15)의 회전을 통해 승강되게 하거나 상기 지지대(12)로부터 승강대(15)가 래크 및 피니언 구조를 통해 결합되게 함에 따라 이들의 상호 치합 작용을 통해 승강대(15)의 상,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는 것으로, 트레일러(10)의 이동 중에는 승강대(15)를 상승시켜 지면과 보조바퀴(14)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트레일러(10)를 지면에 세워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대(15)를 하강시켜 보조바퀴(14) 및 이동륜(13)에 의해 트레일러(10)가 수평 혹은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지상에 세워져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트레일러(10)의 상부에는 박스 형태로 된 본체(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본체(20)는 일측 혹은 양측에 개폐문(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개폐문(23)은 선단이 본체(20)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개폐문(23)이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에 따라 본체(20)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본체(20) 내부에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2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발전기(21)와 연결된 배전반(22)이 위치하고 있어 상기 배전반(22)을 통해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배전반(22)과 연결된 상태의 조명수단을 작동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체(20)에는 전면부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세워진 한 쌍의 안내대(31)(31')가 고정되어 있고 이들 안내대(31)(31')의 사이에는 별도의 조명대(30)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조명대(30)와 안내대(31)(31')는 이들을 서로 관통하여 삽입된 상측의 힌지핀(32)과 하측의 고정핀(33)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측의 고정핀(33)을 제거하면 상측 힌지핀(32)을 축점으로 하여 조명대(30)의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의 조명대(30)는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명대(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전기한 고정핀(33)이 이들 조명대(30)와 안내대(31)(31')를 관통하여 삽입되게 하면 상측의 힌지핀(32)과 하측의 고정핀(33)에 의해 상기의 조명대(30)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지는 조명대(30)는 본체(20)의 상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안치대(34) 상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안치대(34)는 눕혀지는 조명대(30)가 본체(2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치대(34) 상에 조명대(3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트레일러(10)의 이동성 및 보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안치대(34)에 별도의 고정수단 즉, 조명대(30)가 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수단 등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명대(30)의 더욱 안정적인 고정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조명대(30) 선단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티바(35)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티바(35)는 조명대(30)의 선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하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들 조명대(30)와 티바(35)는 상호 고정수단을 통해 다양한 길이 조절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인데, 전기한 상호 고정수단이라 함은 예컨데, 티바(35)에 반복하여 형성된 조절공(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과 조명대(3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높이조절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높이조절핀을 제거한 상태에서 티바(35)에 대한 길이 조절을 수행한 후 다시 높이조절핀을 삽입하여 조명대(30)에 대한 티바(35)의 길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길이 조절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티바(35)에는 복수 개의 엘이디 조명등(40)(40')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엘이디 조명등(40)(40')은 엘이디를 광원으로 적용하는 것이고 사용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하여 야외 및 우천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방수 설계가 동반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특히, 상기의 엘이디 조명등(40)(4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티바(35)로부터 각도조절구(50)를 통해 다양한 각도로 조절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각도조절구(50)는 티바(35)에 일측에 고정되는 제1부재(51)와 엘이디 조명등(40)(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부재(52)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들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서로 힌지 결합함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등(40)(40')은 티바(35)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힌지 결합하되, 상기 힌지부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서는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힌지부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나사를 일시적으로 풀어 상호 고정력이 느슨해지면 각도 조절을 수행한 후 다시 나사를 강력하게 조여 각도 조절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는 이동성 및 기동성의 향상과 소형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조명수단을 함께 구비하고 있어 야간 작업이나 다양한 군사 작전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소형인 동시에 발전을 통해 전원 사용이 가능하므로 야간은 물론 산간 지역이나 기타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장소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트레일러 11 : 견인고리
12 : 지지대 13 : 이동륜
14 : 보조바퀴 15 : 승강대
20 : 본체 21 : 발전기
22 : 배전반 23 : 개폐문
30 : 조명대 31,31' : 안내대
32 : 힌지핀 33 : 고정핀
34 : 안치대 35 : 티바
40,40' : 조명등
50,50' : 각도조절구 51 : 제1부재
52 : 제2부재

Claims (6)

  1. 트레일러(10)의 상부에 본체(2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발전기(21)와 배전반(22)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20)의 일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된 조명대(3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트레일러(10)는 전방의 견인고리(11)와 지지대(12) 및 후측의 이동륜(13)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0)는 측부에 개폐문(23)이 구성되며, 상기 조명대(30)는 선단에 조명등(40)(40')이 결합되고,
    상기 조명대(30)의 선단에는 조명대(30)로부터 삽탈되어 길이 조절되게 한 티바(35)를 고정 설치하며, 상기 티바(35)에는 복수 개의 조명등(40)(40')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티바(35)의 길이 조절을 통해 조명등(40)(40')의 높낮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한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에 있어서,
    상기 티바(35)와 조명등(40)(40')은 각도조절구(50)에 의해 서로 결합 형성되게 하되, 상기 각도조절구는 티바(35)에 고정되는 제1부재(51)와 조명등(40)(40')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2부재(52)로 이루어져 상기 제1부재(51)와 제2부재(52)를 서로 힌지 고정함에 따라 티바(35)에 대한 조명등(40)(4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73487A 2014-06-17 2014-06-17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KR101562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87A KR101562632B1 (ko) 2014-06-17 2014-06-17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487A KR101562632B1 (ko) 2014-06-17 2014-06-17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632B1 true KR101562632B1 (ko) 2015-10-26

Family

ID=5442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487A KR101562632B1 (ko) 2014-06-17 2014-06-17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070A1 (ko) * 2018-02-22 2019-08-29 한국전력공사 폴딩형 전주 및 이를 갖는 폴딩형 전주 설치 장치
KR20200002405U (ko) * 2019-04-23 2020-11-02 임영신 이동식 조명타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189A1 (en) * 2002-05-20 2005-03-24 George Ossolinski Mobile lighting system
WO2010104787A1 (en) * 2009-03-12 2010-09-16 Sharpley Bryan P Portable solar light to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189A1 (en) * 2002-05-20 2005-03-24 George Ossolinski Mobile lighting system
WO2010104787A1 (en) * 2009-03-12 2010-09-16 Sharpley Bryan P Portable solar light tow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070A1 (ko) * 2018-02-22 2019-08-29 한국전력공사 폴딩형 전주 및 이를 갖는 폴딩형 전주 설치 장치
KR20200002405U (ko) * 2019-04-23 2020-11-02 임영신 이동식 조명타워
KR200492950Y1 (ko) * 2019-04-23 2021-01-08 임영신 이동식 조명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740B2 (en) Expandable light towers and methods of using
US7387414B2 (en) Light bar for mounting to a vehicle
US5272609A (en) Portable lighting unit
WO2005072303A2 (en) Surveillance apparatus
KR101562632B1 (ko) 자가발전 트레일러형 엘이디 투광조명장비
CN205881186U (zh) 一种智能型拖挂式一体化太阳能信号灯
US20240150980A1 (en) Traffic Control, Site Observation, and Data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Including a Remotely-Controllable Arm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1315085B1 (ko) 도로 표지판 조명장치
KR100994575B1 (ko) 엘이디를 사용한 통행 유도장치
JP2010034190A (ja) 移動式ソーラーシステム
KR20200131980A (ko) 자력으로 이동하는 cctv 장치
US7478915B1 (en) Maintenance enhanced illumination assembly
AU2009100659A4 (en) Traffic Signal Lantern Housing
KR101155974B1 (ko) 횡단보도용 집중조명기
RU2764959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устанавливаемая на подня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20090004195U (ko) 가로등의 안전장치
JP3202623U (ja) 組立式照明装置
WO2013030587A2 (en) Improved lighting system
KR20200131983A (ko) 자력으로 이동하는 cctv 장치
KR102249968B1 (ko) 활선 상태에서 도심지역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20190044336A (ko) 신호 바의 착탈이 가능한 다목적 도로표지장치
KR20130077720A (ko) 선택적으로 도로의 진입을 차단하는 도로 차단장치
KR102342460B1 (ko) 임시 신호등
KR101254753B1 (ko) 횡단보도 설치용 보행자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