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859A - Expansion path of road - Google Patents

Expansion path of ro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859A
KR20160006859A KR1020140086141A KR20140086141A KR20160006859A KR 20160006859 A KR20160006859 A KR 20160006859A KR 1020140086141 A KR1020140086141 A KR 1020140086141A KR 20140086141 A KR20140086141 A KR 20140086141A KR 20160006859 A KR20160006859 A KR 2016000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road
fastening
horizont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1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혁
김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40086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6859A/en
Publication of KR2016000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8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otbridge for extending a ro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otbridge to extend the width of a road, the footbridge for extending a road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arranged at intervals, of which one end is fixated to a slope of a road and has a closed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which are disposed i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members to mee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members at right angles, wherein at least one opening part to allow a nut member to be inserted is penetrated one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s to be fixated while coming in surface-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s; and at least one bottom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to cross the horizontal member.

Description

도로 확장용 인도교{Expansion path of road}Expansion path of road

본 발명은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편심하중에 의한 비틀림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본적인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작업이 편리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for extending a ro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idge for supporting a road by supporting a bottom plate through a support member having a closed end face, thereby improving torsional ability by eccentric load, And is capable of reducing construction costs.

일반적으로 차량이 운행하는 제방도로 등의 경우 도로 폭이 매우 좁아 별도의 보행로가 없는 실정이고, 제방도로 등의 갓길로 걷는 보행자의 경우 항상 교통사고에 노출되어 있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bank road on which a vehicle runs, the width of the road is very narrow and there is no separate walkway. In case of a pedestrian walking on a bank road, the road is always exposed to a traffic accident.

이에 따라, 제방도로와 같이 도로 폭이 좁은 도로에 보행로를 확장하여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보행로를 확보하도록 도로폭을 확장하는 구조를 도로에 적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ccordingly, there is disclosed a technique of extending a walkway to a road with a narrow road width, such as a banking road, so as to extend a road width so as to secure a walkway in order to protect pedestrians from the risk of a traffic accid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40982호에는 폭이 좁은 도로의 폭을 확장하여 보행로를 확보할 수 있는 캔틸레버식 확장형 보도 및 자전거 도로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40982 discloses a cantilever-type expanding type sidewalk and bicycle road capable of extending a width of a narrow road to secure a walkway.

즉, 종래의 확장형 보도는 도로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연장프레임의 단부가 고정설치되고 연장프레임의 상부에 커버를 고정하여 보도를 형성하고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expanding sidewalk, the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frame for extending the width of the road is fixedly installed, and the cov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ension frame to form the sidewalk.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확장형 보도는 연장프레임이 I빔으로 구비되어 도로의 측변에 고정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커버를 지지하는 브라켓이 편심하중에 의한 비틀림을 견디지 못하고 휘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며, 단면이 I자 형태이므로 기본적인 내하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extended-type sidewalk is provided with the I-beam a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road, the bracket supporting the cover may be bent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orsion due to eccentric loa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asic load-bearing capacity is reduc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편심하중에 의한 비틀림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본적인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시공작업이 편리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uckling structure for a buckling bucket, which can support a bottom plate through a support member having a closed end face, And to provide a road bridge for road expansion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도로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인도교에 있어서, 일단부가 도로의 법면에 고정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하부면이 볼트부재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면접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일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ridge for extending the width of a road, comprising: a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a surface of a road; a plurality of spaced- At least one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nut member so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bolt member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rough which openings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at least one bottom pl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so as to intersect with the horizontal member.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는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결합플랜지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를 매개로 상기 도로의 법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는 상기 체결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축보다 더 낮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2체결공으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coupling flange extending outward along the rim, and is fixed to a surface of the road through a fastening bolt, and the coupling flange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central axis of the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제1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개수가 상기 제2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수보다 더 많은 개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may be greater than the number of 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has a wid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이때,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면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member.

이때,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ning may be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bolt member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는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마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open end.

이때, 상기 마감부재는 'ㄷ'자형 채널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osing member may be provided as a 'C' shaped channel or a 'C' shaped channel.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는 하나의 마감부재를 통하여 동시에 개방된 단부가 밀폐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can be sealed at the end that is opened at the same time through one closing member.

이때,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railing for preventing fall may be provide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난간은 하부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결합부를 매개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로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ailing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the low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through a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members, which connects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부재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채널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마감부재 및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losing member and is provided as a 'C' -shaped channel or a '-shaped channel so as to cover the closing member, and through the at least one fastening bolt, Can be simultaneously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member.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개방된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채널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마감부재 및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C' -shaped channel or the '-shaped' channel so as to cover the open end of the support member and is disposed inside the closure member, and through the at least one fastening bolt, The engaging portion can be simultaneously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바닥판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편심하중에 의한 비틀림 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본적인 내하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ttom plate is supported through the support member having the closed end fa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wisting ability by the eccentric load can be improved and the basic load-bear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서 지지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서 난간과 지지부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서 지지부재의 고정단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에서 지지부재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가 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road bridge for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ad bridge for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oad bridge for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upport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in a road bridge for a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 between a rail and a support member in a road bridge for a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xed end of a support member in a road bridge for a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various shapes of a support member in a bridge for a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adway extension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urved surface. FIG.
9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bridge for road exten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100,2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법면(C)에 설치되어 바닥판(13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10)가 각관 또는 강관과 같은 폐단면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도로의 법면(C)과 폐단면으로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제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1 to 9, a supporting member 110 for supporting a bottom plate 130 is installed on a curved surface C of a road, (C) and a closed end face of the road,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member and improv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and the workability.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 확장용 인도교(100,200)는 지지부재(110), 수평부재(120,220) 및 바닥판(130)을 포함한다.The pedestrian bridges 100 and 2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upport member 110,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and a bottom plate 130.

상기 지지부재(110)는 각관 또는 강관과 같은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형의 부재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member 110 is made of a hollow member having a constant length such as a pipe or a steel pipe.

이러한 지지부재(110)는 복수 개가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단면, 사각다면 또는 사다리꼴 단면 등 다양한 형상의 폐단면을 갖는 부재로 구비된다.A plurality of such support members 110 are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nd are provided with members having closed ends of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ection, a square section or a trapezoid section as shown in FIG.

이에 따라, 지지부재로 'I'자형을 사용하던 종래와는 달리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110)를 사용함으로써 내하력 및 강성이 증가되어 설치 갯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using the support member 110 having a closed end surfac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using the 'I' shape as the support member, the load-bearing capacity and the rigidity are increased, and the number of the installation can be reduced.

더불어, 고정단부가 폐단면구조로 설치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편심하중에 의한 비틀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xed end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with the closed end surfac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orsional ability due to the eccentric load.

여기서, 도면에는 지지부재가 삼각단면, 사각단면 또는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폐단면을 갖는 다양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Here, although the support member is shown as having a triangular cross-section, a square cross-section, or a trapezoidal cross-sectional shape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shapes having a closed end surface can be used.

이와 같은 지지부재(110)는 일단부에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결합플랜지(112)를 매개로 도로의 법면과 같은 설치면에 고정설치된다.The supporting member 110 is fixed to a mounting surface such as a curved surface of a road via a plate-like coupling flange 112 extending outward along a rim at one end.

즉, 상기 결합플랜지(112)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형성되어 체결볼트(114)를 통해 상기 설치면에 고정된다.That i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flange 112 to be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through fastening bolts 114.

이때, 상기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지지부재(110)의 중심축(O)보다 더 낮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2체결공으로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by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1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center axis O of the support member 110 Respectively.

여기서, 서로 이웃하는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은 상기 결합플랜지(112)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폭방향을 따라 지지부재(110)의 상,하부 측에 각각 배치된다.Here, the first fastening holes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on the horizontal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ngagement flange 112. That is,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arrang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 member 1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1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지지부재(110)의 상부측에서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한 체결볼트(114a,114b)의 인발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ulling resistance of the fastening bolts 114a and 114b due to the moment generated when the load is applied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can be increased.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14a)의 전체 개수는 상기 제2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14b)의 전체 개수보다 더 많은 개수를 갖도록 구비된다.6, the total number of the fastening bolts 114a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is grea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he fastening bolts 114b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Respectively.

이는,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직접적인 인발력을 받는 상부측에 체결볼트(114a)의 설치 개수를 늘려줌으로써 발생 모멘트에 의한 앵커 인발 저항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fastening bolts 114a provided on the upper side which receives the direct pulling force by the load acting on the upper side, thereby more effectively increasing the anchor pulling resistance due to the generated moment.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도 7d),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도 7a, 도 7b) 더불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비되고 일부는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7, the support member 11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a who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IG. 7D) or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Figs. 7A and 7B)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some of them are provid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nd some of them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is gradually decreased.

이때, 상기 지지부재(110)가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넓은 단면적을 갖는 단부측이 상기 설치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support member 110 is provid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the end portion having a relatively wide cross-sectional area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moment due to the load appli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shearing force do.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110)가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부면은 수평면을 갖도록 구비되고 하부면이 경사면 및 곡면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의 상부측에 수평부재(120,220) 및 바닥판(13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ing member 110 is provided so as to gradually de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horizontal members 120, 130 can be easily installed.

한편,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에 설치되는 경우 보다 적은 갯수의 지지부재(110)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이웃하는 지지부재(110)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10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even if a smaller number of the support members 110 are used than in the curved surface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effect of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support members 110 can be obtained.

상기 수평부재(120,220)는 최상부 측에 배치되는 바닥판(13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부재(1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평부재(120,220)는 일정길이를 갖는 각관 또는 강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복수 개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110 for installing the bottom plate 130 disposed on the uppermost side.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 pipe or a steel pi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그리고, 수평부재(120,220)의 하부면은 볼트부재(123)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면에 면접한 상태로 고정된다.The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10 in an interviewed state via the bolt member 123.

이를 위해, 상기 수평부재(120)의 하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재(123)가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폐단면으로 구비되는 수평부재(120)는 상기 볼트부재(123)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재(124)를 수평부재(120)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22a)가 마련된다.At least one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to allow the bolt member 123 to pass there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120 provided at the closed end face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22a for inserting the nut member 124 for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bolt member 123 into the horizontal member 120.

즉, 상기 수평부재(120)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너트부재(124)가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재(123)를 수평부재(120)의 외부로부터 체결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120)가 지지부재(1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That is, by fastening the bolt member 123 from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while the nut member 124 is assembled in the horizontal member 1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1, The horizontal member 1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110.

이때, 상기 너트부재(124)는 용접 등을 통하여 상기 수평부재(120)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보조부재(125)를 통하여 가고정 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nut member 124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or may be temporarily fixed through a separate auxiliary member 125 as shown in FIG. 4B.

여기서, 상기 보조부재(125)는 일면에 상기 너트부재(12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25a)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재(120)의 내부면과 접하는 하부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자석부재(125b)가 매립설치됨으로써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부재(120)의 내부면에 가고정 되도록 한다.The auxiliary member 125 includes a receiving groove 125a for receiving the nut member 124 on one side and a lower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At least one magnet member (125b) is buri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by using a magnetic force.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122a)를 통하여 너트부재(124)를 관통공(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한 후 외부에서 볼트부재(123)를 관통공(121) 측에 체결함으로써 수평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너트부재(124)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다.The operator inserts the nut member 124 into the through hole 121 through the opening 122a and then fastens the bolt member 123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21 from the outside, And the nut member 124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이때, 상기 개구부(122a)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20)의 하부면 상에서 관통공(121)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일정면적을 갖도록 개구형성된다.4A and 4B, the opening 122a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be positioned around the through hole 12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As shown in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부(122a)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10)와의 결합시 개구부(122a)가 지지부재(110)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The opening 122a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10 so that the opening 12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10 when the supporting member 110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member 110. [ Thereby preventing exposure to the outside.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122a)를 통하여 너트부재(124)를 수평부재(120)의 내부로 삽입하고, 용접이나 상기 보조부재(125)를 통해 관통공(121) 측에 가고정시킨 후 볼트부재(123)를 통해 수평부재(120,220)를 지지부재(110)의 상부면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The operator inserts the nut member 124 into the horizontal member 120 through the opening 122a and fixes the nut member 124 to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21 through welding or the auxiliary member 125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can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member 110 through the bolt member 123. [

또한, 상기 개구부(122b)는 도 4c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220)의 상부면 상에 일정면적을 갖추어 개구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개구부(122b)는 상기 관통공(121)과 대응되는 상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122b)를 통하여 너트부재(124)를 삽입하여 관통공(121) 측에 위치시킨 후 너트부재(124)를 가고정할 필요없이 상기 관통공(121) 측으로 볼트부재(123)를 삽입함으로써 너트부재(124)를 통해 볼트부재(123)를 체결할 수 있다.The opening 122b may have a predetermined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220 as shown in FIG. 4C. In this case, the opening 122b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21. [ Accordingly, the operator inserts the nut member 124 through the opening 122b, places the nut member 124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21, and does not need to tighten the nut member 124, The bolt member 123 can be fastened through the nut member 124 by inserting the bolt member 123.

상기 바닥판(130)은 상기 수평부재(120,22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사람이나 자전거 등이 통행할 수 있는 도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바닥판(13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부재(120,220)의 상부측에 고정된다.The bottom plate 13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to form a road through which people, bicycles, etc. can pass. The bottom plate 130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members 120 and 220.

여기서, 상기 바닥판(130)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서로 인접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도 있고,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경계선 상에는 실리콘과 같은 별도의 밀봉부재가 구비되어 빗물이나 하수 등이 하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Here, the bottom plates 13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adjacent to each other, or may be formed of one member.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sealing member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 separate sealing member such as silicone may be provided on the boundary line to prevent rainwater, sewage, etc. from falling downward.

한편,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 측에는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마감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a closing member 140 for closing the opened end portion may be provided.

이러한 마감부재(140)는 'ㄷ'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의 채널로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개방된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losing member 140 may be provided as a channel having a "C" shape or a "B" shape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open end of the support member 110.

이때, 상기 마감부재(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일정길이를 갖는 하나의 마감부재를 통하여 복수 개의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가 동시에 밀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losure member 140 may be individually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110, but the free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10 may be closed at the same time through one closur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이를 통해, 설치면에 일단부가 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부재(110)는 하나의 마감부재(140)를 통해 자유단부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바닥판(130)을 통해 복수 개의 지지부재(110)에 서로 다른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하중을 분담하여 항상 동일한 레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1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10 through the bottom plate 130 by connecting the free ends of the support members 110 through the one closing member 140, Even if other loads are applied, the load is shared so that the same level can always be maintained.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가 개방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가 밀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재(140)가 밀폐된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Here,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110 is shown as being ope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upport member 110 may have a free end in a closed state, Lt; RTI ID = 0.0 > 110 < / RTI >

한편,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 측에는 상기 바닥판(130)을 통해 통행하는 통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난간(1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난간(150)은 하부측이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152)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부재(152)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154)로 구비된다.Meanwhile, a railing 150 may be provided on a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to protect a passer who passes through the bottom plate 130. [ The handrail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152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110 and at least one crossbar 154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152 .

이때, 상기 수직부재(152)의 하부단에는 결합부(153)를 매개로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 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153)는 'ㄷ'자형 또는 'ㄱ'자형의 채널로 구비되어 상기 마감부재(14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152 is coupl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via a coupling part 153. The coupling portion 153 is provided in a C-shaped or A-shaped channel and is engaged with the free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110 in the same manner as the closing member 140.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53)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마감부재(1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부재(14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지지부재(110)와 마감부재(140)를 동시에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155)를 통하여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볼트(15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1, the engaging portion 153 is disposed outside the closing member 140 for connecting the free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ing members 110 to surround the closing member 140 And can be fixed at the same time through at least one fastening bolt 155 passing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110 and the closing member 140 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155 may be provided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53)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 측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즉, 'ㄷ'자형 또는 'ㄱ'자형의 채널로 구비되는 결합부(153)는 상기 마감부재(14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 측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마감부재(140)는 상기 결합부(153) 또는 지지부재(110)의 자유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와 마감부재(140)를 동시에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155)를 통하여 동시에 고정된다. 이러한 체결볼트(155)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153)가 마감부재(140)에 의해 외부로의 노출이 방지된다.9, the engaging part 153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In this case,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153 provided in the 'C' shape or the 'A' shape channel may be disposed inside the closure member 140 and directly coupled to the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110. In this case, the closing member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member that simultaneously passes through the supporting member 110 and the closing member 140 while being arranged to surround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unit 153 or the supporting member 110 The fastening bolts 155 are fastened together.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155 may be provided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Accordingly, the engaging portion 153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closing member 14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is readily known.

100,200 : 도로 확장용 인도교
110 : 지지부재 112 : 결합플랜지
114a,114b : 체결볼트 120,220 : 수평부재
121 : 관통공 122a,122b : 개구부
123 : 볼트부재 124 : 너트부재
125 : 보조부재 125a : 수용홈
125b : 자석부재 130 : 바닥판
140 : 마감부재 150 : 난간
152 : 수직부재 153 : 결합부
154 : 가로대 155 : 체결볼트
100,200: Footbridge for road extension
110: support member 112: engagement flange
114a, 114b: fastening bolts 120, 220:
121: Through holes 122a, 122b:
123: bolt member 124: nut member
125: auxiliary member 125a: receiving groove
125b: magnet member 130: bottom plate
140: Closing member 150: Railing
152: vertical member 153:
154: cross bar 155: fastening bolt

Claims (13)

도로의 폭을 확장하기 위한 인도교에 있어서,
일단부가 도로의 법면에 고정되고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폐단면을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하부면이 볼트부재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과 면접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너트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일면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와 교차하도록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판;을 포함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In a footbridge to expand the width of the road,
A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lat surface of the road and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nd having a closed end surface;
At least one support member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nut member so that the lower surface thereof can be fix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rough the bolt member A plurality of horizontal members through which openings are formed on one surface; And
And at least one bottom pl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so as to intersect with the horizontal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부는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결합플랜지가 구비되어 체결볼트를 매개로 상기 도로의 법면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플랜지는 상기 체결볼트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체결공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지지부재의 중심축보다 더 낮은 위치에 관통형성되는 제2체결공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plate-like coupling flange extending outward along a rim and is fixed to a surface of the road through a fastening bolt, and the coupling flange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for inserting the fastening bolt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r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central axis of the support member. Forbidden Bridg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개수가 상기 제2체결공 측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의 수보다 더 많은 개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number of 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side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fastening bolts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부면이 하부면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has a wider area than the lower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면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at a position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and to b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수평부재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bolt member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는 개방된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closing member for closing the open en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ㄷ'자형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losing member is provided in a " C " or " A " -shaped channe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재는 하나의 마감부재를 통하여 동시에 개방된 단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re hermetically clos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one closing member.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 측에는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And a rail for preventing fall is provided on a free end side of the support memb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하부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결합부를 매개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수직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the low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via an engaging portion, and at least one transverse link connecting the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마감부재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마감부재 및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losing member and is provided in a 'C' or 'A' shape so as to cover the closing member, and the closing member and the engaging par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ree And is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foot bridge at the same tim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개방된 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ㄷ'자형 또는 'ㄱ'자형 채널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볼트를 통하여 상기 마감부재 및 결합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자유단부에 동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확장용 인도교.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upling part is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closing member and is provided in a 'C' shape or a 'shape channel so as to cover the open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closing member and the coupling part And is fixed to the free end of the support member at the same time.
KR1020140086141A 2014-07-09 2014-07-09 Expansion path of road KR201600068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41A KR20160006859A (en) 2014-07-09 2014-07-09 Expansion path of ro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141A KR20160006859A (en) 2014-07-09 2014-07-09 Expansion path of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859A true KR20160006859A (en) 2016-01-20

Family

ID=553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141A KR20160006859A (en) 2014-07-09 2014-07-09 Expansion path of ro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685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077A (en) * 2017-08-15 2017-12-19 李露青 A kind of people's car Integral type timesharing viadu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077A (en) * 2017-08-15 2017-12-19 李露青 A kind of people's car Integral type timesharing viaduct
CN107489077B (en) * 2017-08-15 2020-08-21 台州市荣创电子有限公司 Man-vehicle integrated time-sharing overp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37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20130082052A (en) Road for extending breadth of road on slope face
KR101203978B1 (en) upper structure of bridge
KR101353753B1 (en) Sidewalk for a bridge or a road
KR200432594Y1 (en) A constructed footpath of a bridge
KR20140001418A (en) A bridge extension structure
KR100932035B1 (en) Sectional Concrete Composite Prefabricated Lightweight Double Penetration Plate
JP5388318B2 (en) Bridg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bridge reinforcement method
KR101604640B1 (en) Footbridges footbridges installed by the installation method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029425B1 (en) Expanded footbridge
KR20180028216A (en) Checking way of Bridge
KR100945041B1 (en) Pavement members for bridge expansion and the bridge expansion method of construction for which this was used
KR20160006859A (en) Expansion path of road
KR100585619B1 (en) Cover for gutler in which length regulation is possible
KR100647223B1 (en) Deck plate
KR101801370B1 (en) Shearing stress with improved bicycle road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185431B1 (en) A constructed footway for bridge
KR20050118111A (en) Temporary bridge
KR102057323B1 (en) Attached or mounted extended footbridge
KR100608992B1 (en) Deck plate
KR101249007B1 (en) Wire type safety fence
KR101018638B1 (en) A constructed foodway
JP2019148156A (en) Drain ditch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97032B1 (en) Cover for road crossing gutler which a speed downer function possesses
KR20190012428A (en) Improved Waterproofing Structure for Bridge Expansion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