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043A -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043A
KR20160006043A KR1020140085385A KR20140085385A KR20160006043A KR 20160006043 A KR20160006043 A KR 20160006043A KR 1020140085385 A KR1020140085385 A KR 1020140085385A KR 20140085385 A KR20140085385 A KR 20140085385A KR 20160006043 A KR20160006043 A KR 20160006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outer rail
slider
inner rai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842B1 (ko
Inventor
홍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Priority to KR102014008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8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2088/401Slides or guides for wire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6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at drawer front via latch means or locking lev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물품이 적재되는 받침선반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내측 레일부재; 캐비티의 레일홈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레일부재; 상기 내측 레일부재를 외측 레일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접속하는 베어링접속부재(130); 상기 외측 레일부재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레일부재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가 캐비티에 자동 고정되므로 적재선반 및 내측 레일부재의 원활한 인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 SLIDER FOR DRAWER }
본 발명은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때에 내측 레일부재의 전후이송을 지지하는 외측 레일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나 오븐 등에서는 식기나 조리식품 등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적재선반이 인출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적재선반은 세척공간이나 조리공간인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마련된 레일홈에 삽입 설치되며,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장착레일홈이 마련된 경우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게 된다.
즉,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장착레일홈이 마련된 경우 적재선반을 캐비티의 외부로 완전히 인출한 후에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상하방향으로 마련된 다수의 장착레일홈 중의 어느 하나에 적재선반을 삽입 결합하게 되면 적재선반의 설치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재선반을 세척하거나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에도 캐비티에서 적재선반을 분리해야 한다.
한편, 동일한 설치위치에서 적재선반을 계속 사용할 때에는 굳이 적재선반을 캐비티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이 적재선반의 일부를 캐비티의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적재선반에 적재된 물품을 꺼내거나 새로운 물품을 적재하게 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상기 적재선반에 장착되어 적재선반의 전후이송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적재선반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내측 레일부재;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설치되어 내측 레일부재의 전후이송을 지지하는 외측 레일부재; 상기 내측 레일부재와 외측 레일부재를 접속하는 베어링접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에 있어서 외측 레일부재는 캐비티의 내부 양측면에 마련되는 장착레일홈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고, 내측 레일부재는 적재선반의 양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동시에 베어링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외측 레일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를 캐비티에 설치한 후에 적재선반을 인출하게 되면 적재선반의 양측에 고정 설치된 내측 레일부재가 함께 인출되는데, 내측 레일부재의 인출과정에서 내측 레일부재의 전후이송을 지지하는 외측 레일부재 및 장착브라켓트가 관성력에 의해 내측 레일부재와 함께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랙 어셈블리는 오븐실의 내부에 장착되는 장착랙; 상기 장착랙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오븐실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인출랙; 상기 인출랙이 상기 장착랙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하게 하는 레일부; 상기 장착랙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랙이 상기 오븐실의 내부에 기설정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지지리브; 및 상기 장착랙의 양단부에 구비되고, 적어도 상기 인출랙이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랙이 상기 오븐실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특헌문헌 1의 랙 어셈블리는 오븐실에 착탈할 수 있게 되고, 물품이 적재되는 인출랙을 오븐실에 지지되는 장착랙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4384호(2010년 7월 26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랙 어셈블리를 비롯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때에 관성력에 의해 외측 레일부재 및 장착브라켓트가 유동되어 적재선반의 원활한 인출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캐비티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이 캐비티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물품이 적재되는 받침선반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내측 레일부재; 캐비티의 레일홈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레일부재; 상기 내측 레일부재를 외측 레일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접속하는 베어링접속부재(130); 상기 외측 레일부재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레일부재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상기 록킹부재와 외측 레일부재의 사이에 록킹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상기 스프링이 굴곡 와이어 형태이고,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가 외측 레일부재의 상단 절곡부의 하부에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가 록킹부재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는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부위가 힌지접속핀을 통해 외측 레일부재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록킹부재의 하단 후방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에 의하면,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가 캐비티에 자동 고정되므로 적재선반 및 내측 레일부재의 원활한 인출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에 의하면 내측 레일부재가 외측 레일부재에 완전 수납되었을 때에 외측 레일부재의 캐비티 고정상태가 자동 해제되므로 외측 레일부재를 캐비티 외부로 인출하여 적재선반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이나 고장수리, 세척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내측 레일부재의 수납상태의 요부 측면도,
도 3b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내측 레일부재의 인출상태의 요부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100)는 내측 레일부재(110), 외측 레일부재(120), 베어링접속부재(130), 록킹부재(140)를 포함한다.
내측 레일부재(110)는 물품이 적재되는 받침선반(미도시)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측 레일부재(12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11)가 마련된 형태이다.
외측 레일부재(120)는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의 전후이송을 지지하는 것으로, 캐비티(미도시)의 내부 양측면에 마련된 레일홈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브라켓트(미도시)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외측 레일부재(120)는 상단부와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1)가 마련된 형태이다.
베어링접속부재(130)는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를 외측 레일부재(120)에 접속한다.
상기 베어링접속부재(1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구성요소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록킹부재(140)는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외측 레일부재(120)의 내측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40)는 전방부위가 힌지접속핀(141)을 통해 외측 레일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록킹부재(140)은 하단 후방에 록킹홈(142)이 형성되고, 하단 전방에 내측 절곡부(143)가 마련된다.
상기 록킹부재(140)와 외측 레일부재(120)의 사이에는 록킹부재(13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100)에서 상기 스프링(150)은 굴곡 와이어 형태이다.
상기 스프링(150)는 일단부가 외측 레일부재(120)의 상단 절곡부(121)의 하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록킹부재(140)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144)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50)의 탄성지지력은 록킹부재(140)의 후방부위를 하부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3a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내측 레일부재의 수납상태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3b는 동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의 내측 레일부재의 인출상태의 요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100)는 내측 레일부재(110)가 외측 레일부재(120)의 내부에 완전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측 레일부재(110)의 하단 절곡부(111)가 록킹부재(140)의 하단부를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의 수납상태에서는 도 3a와 같이 록킹부재(140)의 하단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외측 레일부재(120)의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수납상태의 내측 레일부재(110)가 적재선반과 함께 캐비티 외부로 인출되면 도 3b와 같이 스프링(150)의 탄성지지력이 작용하는 록킹부재(140)가 힌지접속핀(14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외측 레일부재(120)의 하단으로 돌출되며, 록킹부재(140)의 하단 후방에 형성된 록킹홈(142)이 캐비티에 고정 설치된 록킹브라켓트(210)에 삽입된다.
따라서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110)가 캐비티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외측 레일부재(120) 및 장착브라켓트가 록킹부재(1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내측 레일부재(110)와 함께 캐비티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의 인출상태에서 다시 적재선반과 함께 내측 레일부재(110)가 캐비티 내부로 수납되는 과정에서는 후진하는 내측 레일부재(110)의 하단 절곡부(111)가 록킹부재(140)의 하단부를 들어올리게 되어 록킹부재(1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록킹부재(140)의 록킹홈(142)이 록킹브라켓트(210)에서 분리된다.
또한, 내측 레일부재(110)가 외측 레일부재(120)의 내부에 완전 수납되면 도 3a와 같이 내측 레일부재(110)의 하단 절곡부(111)가 록킹부재(140)의 하단을 받쳐주게 되어 록킹부재(140)의 하단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외측 레일부재(120)의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가 외측 레일부재(120)의 내부에 완전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록킹브라켓트(210)에 의한 외측 레일부재(12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므로 적재선반 및 내측 레일부재(110)와 함께 외측 레일부재(120)를 캐비티 외부로 인출하여 적재선반의 설치위치를 변경하거나 적재선반을 비롯한 다른 부룸을 세척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110 ; 내측 레일부재
120 : 외측 레일부재
130 : 베어링접속부재
140 : 록킹부재
150 : 스프링

Claims (4)

  1. 물품이 적재되는 받침선반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내측 레일부재(110);
    캐비티의 레일홈에 삽입 설치되는 장착브라켓트에 고정 설치되는 외측 레일부재(120);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를 외측 레일부재(120)에 전후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접속하는 베어링접속부재(130);
    상기 외측 레일부재(120)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 레일부재(11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 외측 레일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40)와 외측 레일부재(120)의 사이에 록킹부재(130)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50)은 굴곡 와이어 형태이고, 일단부가 외측 레일부재(120)의 상단 절곡부(121)의 하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록킹부재(140)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14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40)는 전방부위가 힌지접속핀(141)을 통해 외측 레일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하단 후방에 록킹홈(1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KR1020140085385A 2014-07-08 2014-07-08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KR10159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5A KR101598842B1 (ko) 2014-07-08 2014-07-08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385A KR101598842B1 (ko) 2014-07-08 2014-07-08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43A true KR20160006043A (ko) 2016-01-18
KR101598842B1 KR101598842B1 (ko) 2016-03-14

Family

ID=5530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385A KR101598842B1 (ko) 2014-07-08 2014-07-08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8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160A (zh) * 2018-05-09 2018-09-0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厨具中升降碗篮的升降锁死机构
KR20200029205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수납선반 슬라이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43U (ja) * 1992-03-11 1993-10-05 ユリウス・ブルム・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引出しガイド装置
JP2003009970A (ja) * 2001-06-27 2003-01-14 Cleanup Corp スライドレール機構
KR20100084384A (ko) 2009-01-16 2010-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110090729A (ko) * 2010-02-04 2011-08-10 (주)세고스 슬라이드 레일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2243U (ja) * 1992-03-11 1993-10-05 ユリウス・ブルム・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引出しガイド装置
JP2003009970A (ja) * 2001-06-27 2003-01-14 Cleanup Corp スライドレール機構
KR20100084384A (ko) 2009-01-16 2010-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20110090729A (ko) * 2010-02-04 2011-08-10 (주)세고스 슬라이드 레일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78160A (zh) * 2018-05-09 2018-09-04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厨具中升降碗篮的升降锁死机构
CN108478160B (zh) * 2018-05-09 2024-02-02 火星人厨具股份有限公司 一种厨具中升降碗篮的升降锁死机构
KR20200029205A (ko) * 2018-09-10 2020-03-18 주식회사 전한슬라이드 수납선반 슬라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842B1 (ko) 201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092B1 (en) Dishwasher
KR101703683B1 (ko) 받침선반 록킹장치
US20100109498A1 (en) System for moving a set of shelves of a refrigeration appliance and refrigeration appliance
US20070039913A1 (en) Hook-on type rail
US20130270987A1 (en) Freezer slide rack alignment
CN107000934B (zh) 自动货架卸载设备
PL1949817T3 (pl) Okucie do szafek narożnych
US10051963B2 (en) Sliding/pivoting mechanism of a shelf of a piece of furniture or of a domestic appliance, domestic, appliance, and piece of furniture
US20140021844A1 (en) Under cabinet drawer assembly
US20190167000A1 (en) Drawer Rack for a Cabinet
KR102160750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장치
JP2009189658A (ja) 棚構造
KR101598842B1 (ko) 물품 이송용 슬라이더
US11751750B2 (en)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same
KR101617352B1 (ko) 적재선반 슬라이드 장치
EP2820998B1 (en) Basket arrangement for a dishwashing machine
US10765203B2 (en) Apparatus for fitting a carrier element for articles in a body
US20210121042A1 (en) Domestic dishwasher
KR101561653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 장치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1968107B1 (ko) 가구용 서랍의 지지장치
EP1982633B1 (en) Dishwasher with rack mounted on rails and roller chains associated thereto
ATE546064T1 (de) Beschlag für einen eckschrank mit einem herausziehbaren einteiligen tablar
JP7011267B2 (ja) 昇降収納装置
EP2394563B1 (en) A shelf for dishwasher ra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