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35A -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35A
KR20160004635A KR1020140083216A KR20140083216A KR20160004635A KR 20160004635 A KR20160004635 A KR 20160004635A KR 1020140083216 A KR1020140083216 A KR 1020140083216A KR 20140083216 A KR20140083216 A KR 20140083216A KR 20160004635 A KR20160004635 A KR 2016000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storage tank
blow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상경
이광민
전동수
김필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635A/ko
Publication of KR2016000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1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36Arrangements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벌크의 저장탱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저장탱크의 배치에 대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이고,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크의 저장탱크를 압력용기가 아닌 일반 탱크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장탱크를 사각 박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산 먼지가 없도록 하여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Bulk Handling System for offshore drill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양 시추 구조물에서 시추 작업에 사용되는 벌크를 저장탱크로부터 서지탱크 등과 같은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작업을 위해서는 시추공의 내측을 채워주기 위한 드릴링 머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드릴링 머드는 시추작업 시 드릴 비트(drill bit)에 대한 윤활 작용을 하고, 시추작업 동안 발생하는 암석 부스러기(cutting)를 제거하며, 시추고의 압력을 안정시켜서,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이 시추고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세이프티 베리어(safety barrier)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드릴링 머드는 분말 상태의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bentonite) 및 각종 화학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물질을 벌크(bulk)라고 한다. 시추에 주로 사용되는 벌크에는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bentonite), 시멘트(cement) 등의 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비중이 크기 때문에 다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시추선은 OSV(Offshore Supply Vessel)를 이용하여 벌크를 보급받아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벌크를 포함한 저장탱크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시추선의 바닥으로 내려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벌크는 필요에 따라 서지탱크(surge tank)로 보내지고, 물과 혼합하여 드릴링 머드로 제조된다.
OSV에서 저장탱크로부터 서지탱크로의 이송을 위해서는, 고압의 벌크에어(bulk air)를 사용하므로 저장시설 및 배관라인은 모두 4 ~ 5 bar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바라이트/벤토나이트용 벌크 저장탱크와, 다수의 시멘트용 벌크 저장탱크와, 각 저장탱크의 빈 공간에 고압의 벌크 에어를 분사하는 장치와, 벌크의 이송을 콘트롤하는 장치 등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벌크의 저장탱크 각각은 고압에 견디기 위한 압력용기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벌크의 저장탱크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836호의 시추 구조물의 벌크 유동화 장치와 유동화용 노즐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벌크의 저장탱크는 고압에 견디기 위하여 압력용기로 제작됨으로써 제작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고압에 견디기 위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됨으로써 배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에 대한 공간 활용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벌크는 고압의 벌크에어를 이용하여 배관을 따라 이송되는데, 이송 중에 발생하는 분진(dust)은 분진 수집기(dust collector)를 이용하여, 제거 내지 회수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데, 이를 반영하기 위한 복잡한 벌크 이송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크의 저장탱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저장탱크의 배치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하며,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벌크가 저장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되, 벌크에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벌크이송부;를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탱크는, 내측에 벌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corrugated wa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측면이 평면인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두 개 이상의 저장탱크가 측면끼리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벌크이송부는, 상기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벌크에어가 내측으로 공급되는 에어공급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급구에 제 1 밸브가 설치되는 다수의 블로우탱크;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에 대한 벌크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우탱크 내의 벌크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라인; 및 상기 제 1 이송라인에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으로부터 벌크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제 3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크이송부는,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에 설치되는 제 4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에어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블로우 탱크를 포함하는 벌크 이송부가 마련되되, 저장탱크 하나당 2개의 블로우 탱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장탱크로부터 블로우 탱크로 벌크를 공급하여, 상기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에어에 의해 벌크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블로우 탱크는 2개 이상으로서, 상기 블로우 탱크 중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고,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벌크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크의 저장탱크를 압력용기가 아닌 일반 탱크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장탱크를 사각 박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산 먼지가 없도록 하여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100)은 저장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벌크(bulk)를 벌크에어(bulk air)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벌크이송부(120)가 마련되되, 벌크이송부(120)에 의해 벌크에어(bulk air)가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10)는, 내측에 벌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이동수단은 이송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100)은 시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추 구조물로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 또는 드릴쉽(drillship)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시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100)은 벌크이송부(120)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되기 위한 벌크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내측에 벌크가 저장되고, 하부에 배출구(111)가 마련되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내측에 벌크를 배출구(111)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루(112)가 이송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벌크는 예컨대 시추에 사용되는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bentonite), 시멘트(cement) 등의 물질이 해당될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벌크 종류 또는 처리 용량 등으로 인해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탱크(110)는 상부에 벌크가 공급되는 공급구(114)와 에어를 배기시키는 배기구(115)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배기구(115)에 빈 벤트 필터(bin vent filter; 11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10))는 벌크이송부(120)에 의해 벌크에어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고압 탱크일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압은 대기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1ba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10)는 일반적인 가압식 탱크의 형상인 횡단면이 원형인 원형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나,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측면이 평면인 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측면이 평면이 형상의 저장탱크(110)는 그 횡단면이 사각형인 사각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각 기둥 형상의 저장탱크(110)를 사용할 경우, 둘 이상의 저장탱크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할 수 있어, 배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00)는,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corrugated wa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측 벽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을 경우 저장탱크(100) 상부의 공급부(114)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가 저장탱크(10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벽면에 붙어 하부로의 이동이 정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저장탱크(100)의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일 경우 벌크가 저장탱크(100)의 코러게이트 월에 붙어 하부로의 이동이 정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벌크이송부(120)는 저장탱크(110)의 배출구(111)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에어(bulk air)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되, 벌크에어가 배출구(111)를 통해서 저장탱크(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벌크이송부(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의 블로우탱크(blow tank; 121), 제 2 밸브(122), 제 1 이송라인(123) 그리고 제 3 밸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우탱크(121)는 저장탱크(110) 측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탱크(110)로부터 벌크를 공급받는 역할과, 저장탱크(110) 측이 차단된 상태에서 내측의 벌크를 외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벌크에어를 공급받는 역할을 각각 분담함으로써, 저장탱크(110) 측으로 벌크에어의 압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다수, 예컨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로우탱크(121)는 저장탱크(110)의 배출구(111)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벌크에어가 내측으로 공급되는 에어공급구(121a)가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에어공급구(121a)에 제 1 밸브(121b)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공급구(121a)는 벌크의 이송에 필요한 고압의 벌크에어가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로우탱크(121)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블로우탱크(121)는 4 ~ 5bar 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가압 탱크로서, 그 용량은 5 ~ 10㎥ 이며, 상기 저장탱크(110)는 상압을 견딜 수 있는 일반 탱크로서, 그 용량은 200㎥ 일 수 있다. 즉, 블로우탱크(121)는 그 용량이 저장탱크(110)의 1/40 ~ 1/20에 불과하다.
제 2 밸브(122)는 저장탱크(110)의 배출구(111)로부터 블로우탱크(121) 각각에 대한 벌크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고, 본 실시례에서처럼 블로우탱크(121)의 상부와 배출구(111)를 연결시키는 연결라인(121c)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저장탱크(110) 측으로 벌크에어가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하여, 일례로 제 1 밸브(121b)와는 반대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블로우탱크(121)로부터 외측으로 벌크 이송을 위하여 제 1 밸브(121b)의 개방에 의하여 벌크에어가 블로우탱크(121)로 공급시, 이에 앞서 제 2 밸브(122)는 차단되고, 블로우탱크(121)의 내측으로 벌크가 공급되기 위하여 제 2 밸브(122)가 개방시, 이에 앞서 제 1 밸브(121b)는 차단된다.
연결라인(121c)은 분기된 끝단이 블로우탱크(12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밸브(122)는 연결라인(121c)의 분기된 끝단마다 설치됨과 아울러, 연결라인(121c)에서 분기된 끝단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밸브(121b,122)는 수동조작밸브로 이루어지거나, 벌크의 핸들링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나, 조작신호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정해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이송라인(123)은 블로우탱크(121) 각각에 연결되고, 블로우탱크(121) 내의 벌크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도록 한다. 제 1 이송라인(123)은 예컨대 끝단의 분기라인(123a) 각각이 블로우탱크(12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나머지 끝단이 서지탱크(surge tank)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밸브(124)는 제 1 이송라인(123)에 블로우탱크(121) 각각으로부터 벌크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고, 수동조작밸브는 물론 상기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어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밸브(124)는 제 1 이송라인(123)에서 분기라인(123a) 마다 설치될 수 있고, 분기라인(123a)의 전단에도 설치될 수 있다.
벌크이송부(120)는 블로우탱크(121) 각각으로부터 저장탱크(110)에 연결되는 배기라인(125)과, 배기라인(125)에 설치되는 제 4 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밸브(126)는 블로우탱크(121) 각각에 대응하도록 다수로 설치될 수 있고, 개방에 의하여 블로우탱크(121) 내측의 에어를 저장탱크(110) 측으로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기라인(125)이 저장탱크(110)에 연결되는 위치는, 저장탱크(110) 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90% 이상되는 지점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110)는 그 용량의 90% 미만 정도를 벌크로 채우게 되므로, 블로우탱크(121)로부터 배기되는 에어를 저장탱크(110) 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90% 이상되는 지점으로 배기하므로 벌크로 채원지지 않은 저장탱크(110)의 내부로 에어가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탱크(110) 내의 벌크로 에어를 배기할 때 발생하는 먼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10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110) 내의 벌크는 블로우탱크(121) 중에서 벌크에어의 공급이 차단되는 블로우탱크(121)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블로우탱크(121) 내의 벌크는 저장탱크(110) 측과의 연결이 차단된 상태에서 외측, 예컨대 서지탱크(surge tank)로 이송되며, 이로 인해 저장탱크(11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압력용기가 아닌 사각기둥 형태의 탱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예컨대 왼쪽에 위치하는 저장탱크(110)를 기준으로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벌크는 이송스크루(112)의 회전 동작에 의해 하부의 배출구(111) 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러한 벌크가 제 2 밸브(122)의 동작에 의해 오른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측에 공급된 상태에서, 저장탱크(110)와 오른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 간에 연결이 제 2 밸브(122)에 의해 차단되고, 오른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에 고압의 벌크에어가 제 1 밸브(121b)의 개방에 의해 공급됨으로써, 오른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로부터 제 1 이송라인(123)을 통해서 벌크가 서지탱크 측으로 이송된다.
이와 동시에, 왼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측과 저장탱크(110)의 연결이 제 2 밸브(122)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저장탱크(110)로부터 왼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로 벌크가 공급된다. 이때 왼쪽에 위치하는 블로우탱크(121)는 제 1 밸브(121b)의 차단에 의해 벌크에어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블로우탱크(121)로의 벌크 공급과, 블로우탱크(121)로부터의 벌크 이송이 교번하여 실시됨으로써 저장탱크(110)를 상압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에서 저장탱크(110) 하나당 블로우탱크(121)가 두개 또는 그 이상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저장탱크(110)로부터 각 블로우탱크(121)로 공급하게 되는 벌크 분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만약, 저장탱크 하나당 블로우탱크가 하나씩 연결된 형태로 다수의 저장탱크와 블로우탱크 설치된다면 각 저장탱크 내에서의 벌크 계측의 일관성이 없을 수도 있고, 각 저장탱크에서 연결된 블로우탱크로 공급하게 되는 벌크의 양을 균등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장탱크로부터 블로우 탱크로 벌크를 공급하여, 상기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에어에 의해 벌크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로우 탱크는 2개 이상으로서, 상기 블로우 탱크 중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고,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벌크를 공급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방법에 의하면, 고압의 벌크 에어에 의한 벌크 저장 기능과 벌크 이송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던 가압식 저장탱크와는 달리, 저장탱크는 상압에 사용이 가능한 저장탱크를 사용하여 벌크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저장탱크의 하단에 블로우탱크를 연결하여 벌크에어에 의해 벌크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저장탱크 111 : 배출구
112 : 이송스크루 113 : 이송모터
114 : 공급구 115 : 배기구
116 : 빈 벤트 필터 120,220 : 벌크이송부
121 : 블로우탱크 121a : 에어공급구
121b : 제 1 밸브 121c : 연결라인
122 : 제 2 밸브 123 : 제 1 이송라인
123a : 분기라인 124 : 제 3 밸브
125 : 배기라인 126 : 제 4 밸브

Claims (12)

  1. 벌크가 저장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되, 벌크에어가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벌크이송부;
    를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내측에 벌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corrugated wall)로 이루어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측면이 평면인 기둥 형상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저장탱크가 측면끼리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된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이송부는,
    상기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고, 벌크에어가 내측으로 공급되는 에어공급구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에어공급구에 제 1 밸브가 설치되는 다수의 블로우탱크;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에 대한 벌크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블로우탱크 내의 벌크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라인; 및
    상기 제 1 이송라인에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으로부터 벌크의 배출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제 3 밸브;
    를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벌크이송부는,
    상기 블로우탱크 각각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에 연결되는 배기라인; 및
    상기 배기라인에 설치되는 제 4 밸브;
    를 더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10.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블로우 탱크를 포함하는 벌크 이송부가 마련되되,
    상기 저장탱크 하나당 2개 이상의 블로우 탱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11.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저장탱크로부터 블로우 탱크로 벌크를 공급하여, 상기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에어에 의해 벌크를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블로우 탱크는 2개 이상으로서,
    상기 블로우 탱크 중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에서 벌크를 벌크에어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고, 적어도 1개의 블로우 탱크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벌크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방법.
KR1020140083216A 2014-07-03 2014-07-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4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16A KR20160004635A (ko) 2014-07-03 2014-07-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216A KR20160004635A (ko) 2014-07-03 2014-07-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35A true KR20160004635A (ko) 2016-01-13

Family

ID=5517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216A KR20160004635A (ko) 2014-07-03 2014-07-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5266B1 (en) Use of cuttings tank for in-transit slurrification
EP2126274B1 (en) Use of cuttings tank for slurrification on drilling rig
EA004461B1 (ru) Способ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US8741072B2 (en) Use of cuttings vessel for tank cleaning
EP2150677B1 (en) Rig storage system
US8882428B2 (en) Proppant transfer system
US7040418B2 (en) Proppant recovery system
CN105443053B (zh) 海洋钻井岸基支持泥浆站系统
US9441429B2 (en) Modular rig design
KR101623094B1 (ko) 시추 선박의 벌크시스템
WO2019177681A1 (en) Handling fracturing materials & fluids
KR20160004635A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04634A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6994A (ko) 벌크 이송 시스템 실험 장치 및 방법
KR20170057897A (ko) 벌크 및 lp 머드 시스템용 테스트 설비
KR101640778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640776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US20080128173A1 (en) Drill Cuttings Transfer System and Related Methods
NO20161820A1 (en) Integrated automatic tank cleaning skip
CN105443055B (zh) 海洋钻井岸基支持泥浆站系统的操作工艺
KR101672448B1 (ko) 시추용 머드 샘플링 장치
US20200056434A1 (en) Pneumatic conveying unit,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drill cuttings in onshore drilling rigs
KR20150010114A (ko) 드릴쉽의 리퀴드 머드 제조장치
KR20160135489A (ko) 분쇄 장치
KR20150028429A (ko)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