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429A -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429A
KR20150028429A KR20130106949A KR20130106949A KR20150028429A KR 20150028429 A KR20150028429 A KR 20150028429A KR 20130106949 A KR20130106949 A KR 20130106949A KR 20130106949 A KR20130106949 A KR 20130106949A KR 20150028429 A KR20150028429 A KR 20150028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powder
dust
separating
air
powder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175B1 (ko
Inventor
성상경
장재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1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에서 머드와 같은 물질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벌크분말 또는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분말성물질을 간단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 이송 방식을 통해 분말성물질을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에 포함된 분말성물질을 이송받는 수용 탱크; 상기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말성물질과 공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분말성물질을 상기 수용 탱크로 회수시키는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분말성물질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 라인을 포함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POWDER MATERIALS TRANSFER SYSTEM AND DUST RECOVERY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에서 머드와 같은 물질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벌크분말 또는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분말성물질을 간단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어 있다.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ship)이 개발되어 해저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군소 유전 개발을 위해서는 그 위치를 자주 옮겨야 하는 작업 조건에 따라, 이런 드릴쉽은 예인선 없이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드릴쉽은 그 중심부에 라이저(riser) 및 드릴 파이프(drill pipe)가 상하 이동하는 문풀(moon pool)이 형성되고, 드릴쉽의 갑판에는 각종 시추장비가 집약되는 데릭(derrick)이 설치된다. 그리고 드릴 파이프의 단부에는 드릴비트가 설치되고, 드릴비트의 드릴링작동에는 드릴링유체(drilling fluid)로서 리퀴드 머드(liquid mud)가 이용된다. 이러한 리퀴드 머드는 머드탱크(mud tank) 내에 저장되어 머드펌프(mud pump)에 의해 순환한다.
리퀴드 머드는 바라이트(barite), 벤토나이트(bentonite)를 주성분으로 기름과 물을 섞어 반죽한 드릴링유체로서 머드 플로우(flow)가 없으면 마치 시멘트와 같이 굳게 된다.
드릴쉽(drill ship) 또는 세미-리그(semi-rig)는 드릴링 머드를 석유 또는 가스 등의 해저자원을 시추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드릴링 머드는 시추 과정에서 드릴 비트에 유압 동력을 전달하고 시추 후의 암석들을 시추 설비인 케이싱 파이프와 드릴 파이프 사이를 통해 이송시키며, 시추홀 주변의 포어 압력과 파괴 압력 사이에서 시추홀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케이싱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추홀 부분이 붕괴되거나 또는 블로우 아웃되는 것과 같은 사고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드릴링 머드 제조 시스템은 벌크 분말 저장탱크, 드릴링 머드 저장 탱크, 머드 믹서, 더스트 포집기 및 더스트 사이클론 등을 포함한다. 벌크 분말 저장탱크에는 드릴링 머드를 만드는데 필요한 바라이트(또는, 중정석; barite)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 등의 벌크 분말이 저장된다. 벌크 분말 저장탱크 내의 벌크 분말은 머드 믹서로 이동되어 벌크 믹서 내에서 드릴링 머드로 만들어져 드릴링 머드 저장 탱크에 저장된다. 이때 전술한 벌크 분말은 공압 컨베이어 시스템(conveying system)에 의해 이송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량의 더스트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벌크 분말 더스트의 처리를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1691 호에는 드릴링 머드 제조용 벌크 분말의 더스트 처리장치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벌크 분말의 더스트 처리 시스템은 더스트 포집기(또는Dust collector)를 포함하고 더스트 포집기에서 다시 벌크 분말 저장탱크 등으로 바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 등의 벌크 분말을 보내기 위한 많은 양의 파이프와 밸브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와 같은 설비의 분말성물질 이송 시스템에서 머드와 같은 물질 생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벌크분말을 간단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고, 복잡하고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거하여 전체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압 이송 방식을 통해 분말성물질을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에 포함된 분말성물질을 이송받는 수용 탱크; 상기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말성물질과 공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분말성물질을 상기 수용 탱크로 회수시키는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분말성물질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 라인을 포함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또는 바이패스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 분말성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수단은 블로어 또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은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을 포함하는 해양플랜트에서 머드를 생성하기 위한 분말성물질을 공압 이송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벌크분말 저장탱크;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로부터 분말성물질을 이송유로를 통해 이송받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탱크; 상기 각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벌크분말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의 상부 측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더스트 공기 바이패스 유로(dust air bypass path);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 또는 바이패스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벌크분말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 및 상기 수용 탱크에 연결되어 분말성물질을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로 회수 유로를 포함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는 벤토나이트 또는 바라이트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은 사이클론(cyclone)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탱크는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유입되는 벌크분말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을 포함하는 해양플랜트에서 머드를 생성하기 위한 벤토나이트 또는 바라이트를 포함하는 벌크분말을 공압 이송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방법에 있어서, 벌크분말을 이송시켜 수용하는 수용 단계; 상기 수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벌크분말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으로 직접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단계; 상기 바이패스되어 들어온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벌크분말을 상기 벌크 분말을 수용하는 단계로 재유입시키고 분리된 청정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회수 단계; 및 상기 수용 단계에서 수용된 벌크 분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 단계를 포함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분리회수 단계는 사이클론(cyclone) 분리 회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단계는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 회수 방식에 의해 분리되어 유입되는 벌크분말의 역류 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분말성물질을 이송하여 머드와 같은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고, 종래 별도의 더스트 포집기 및 이와 관련된 파이프와 밸브 그리고 제어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벌크 분말을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아 벤트라인 근처에서 작업하는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고가의 벌크 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하며, 시스템 전체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스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은, 드릴링 리그(drilling rig)나 드릴쉽(drillship) 등 유전시추 설비 및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분말성물질의 이송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은, 분말성물질을 이송하여 머드와 같은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고, 종래 별도의 더스트 포집기 및 이와 관련된 파이프와 밸브 그리고 제어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머드 생성 과정에서 바라이트(barite) 또는 벤토나이트(bentonite)와 같은 벌크 분말을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아 벤트라인 근처에서 작업하는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고가의 벌크 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하며, 시스템 전체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스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은, 공압 이송 방식을 통해 분말성물질을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분말성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이송받는 수용 탱크; 상기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말성물질(더스트)과 공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더스트를 상기 수용 탱크로 회수시키는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유로;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또는 바이패스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 및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분말성물질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은 분말성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접선방향으로 유입시켜 더스트는 원심력에 의해 내벽에 부딪혀 낙하시켜 포집하고, 청정 공기는 중앙부에서 상승하여 상측 중앙부의 벤트 라인(vent line)으로 유출시키는 사이클론(cyclon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 수단은 터보블로어와 같은 송풍기나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 이하에서는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에서 머드(mud)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벤토나이트나 바라이트와 같은 벌크분말을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될 벌크 탱크는 벌크 서지 탱크 및 벌크 스토리지 탱크 모두를 통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머드를 만드는데 필요한 벤토나이트나 바라이트와 같은 분말성물질을 액화물로 만들기 위해, 공압 이송 방식을 통한 분말성물질의 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분말 더스트)를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아래의 설명에서는 드릴쉽에서 머드(mud)를 만드는데 이용되는 분말성물질의 이송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분말 저장탱크(100)로부터 분말성물질을 이송유로(210)를 통해 공압 컨베이어 이송방식으로 이송받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탱크(200); 상기 각 수용 탱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벌크분말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300);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20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300)의 상부 측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더스트 공기 바이패스 유로(dust air bypass path)(400);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300) 또는 바이패스 유로(4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200) 내의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바이패스 유로(400)를 통해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미도시); 및 상기 수용 탱크(200)에 연결되어 분말성물질을 벌크분말 저장탱크(100)로 회수하는 회수 유로(500)를 포함한다.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100)는 머드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또는 바라이트나 시멘트와 같은 벌크 분말이 저장된다.
상기 수용 탱크(200)는 벌크 분말(더스트)이 공압 이송 방식에 의해 공기에 혼입되어 유입되는 것으로, 이 수용 탱크(200) 내에는 다량의 벌크분말 더스트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 탱크(200)의 유입되는 공기나 후술할 분리·회수수단에 의해 재주입되는 벌크 분말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즉, 체크밸브(check valve))가 구비된다.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300)은 벌크 분말이 혼입된 공기를 접선방향으로 유입시켜 더스트는 원심력에 의해 내벽에 부딪혀 낙하 포집되어 수용 탱크(200)로 재 주입되고, 공기만 중앙부에서 상승하여 상측 중앙부의 벤트 라인(vent line)(310)으로 유출시키는 사이클론(cyclon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패스 유로(400)는 수용 탱크(200) 내에서 더스트를 포함한 공기를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300)(즉, 사이클론)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로이다.
상기 수용 탱크(200) 내의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바이패스 유로(400)를 통해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은 터보블로어와 같은 송풍기나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수 유로(500)는 수용 탱크(200) 내에 수용된 벌크분말을 벌크분말 저장탱크(100)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로이다.
미설명부호 600은 수용 탱크(200)와 회수 유로(500)에 벌크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 주입 유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해양 구조물의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작동을 보면, 벌크분말을 수용하는 수용 탱크(200)는 벌크분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벌크 분말을 포함하는 더스트가 수용 탱크(200)로 유입된다.
이렇게 수용 탱크(200)로 유입되는 더스트는 종래 별도의 포집기와 분리기를 각각 거쳐야 하였던바, 본 발명에서는 수용 탱크(200)내의 더스트를 바이패스 유로(400)를 통해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사이클론)(300)으로 바로 유입시켜 벌크분말과 공기를 분리하게 한다.
분리된 벌크분말은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사이클론)에서 아래로 떨어져 다시 수용 탱크(200)로 재 유입되고, 공기는 벤트 라인(3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용도로 이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은, 공기 이송 방식을 통해 벤토나이트나 바라이트와 같은 벌크분말을 수용하는 수용 단계; 상기 벌크분말을 수용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으로 바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단계; 상기 바이패스되어 들어온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벌크분말을 상기 벌크 분말을 수용하는 단계로 재유입시키고 분리된 청정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회수 단계; 및 상기 수용 단계에서 수용된 벌크 분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로 반출되는 공기나 벌크분말은 분말성물질의 이송 과정에 재이용되거나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을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은, 공압 이송 방식에서 대량 발생하는 벌크분말 더스크를 별도의 분리 단계와 포집 단계로 이송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더스크가 발생하는 구성부에서 바로 공기와 벌크분말로 분리하는 구성부로 유입시켜 분리 회수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고 짧은 기간에 더스트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더스트와 공기를 분리시킬 수 있는, 예를 들면 드릴 리그나 드릴쉽에서의 머드나 시멘트 생산 과정, 또는 다른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분말성물질의 이송 과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은, 분말성물질을 이송하여 예를 들어 드릴쉽과 같은 해양플랜트에서 머드 등의 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고, 종래 별도의 더스트 포집기 및 이와 관련된 파이프와 밸브 그리고 제어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설비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라이트 또는 벤토나이트와 같은 벌크 분말을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지 않아 벤트라인 근처에서 작업하는 승무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며, 고가의 벌크 분말을 재활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하며, 시스템 전체를 단순화할 수 있어 시스템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벌크분말 저장탱크
200: 수용 탱크
210: 이송유로
300: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
310: 벤트 라인(vent line)
400: 더스트 공기 바이패스 유로(dust air bypass path)
500: 회수 유로

Claims (8)

  1. 공압 이송 방식을 통해 분말성물질을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공기에 포함된 분말성물질을 이송받는 수용 탱크;
    상기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분말성물질과 공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분말성물질을 상기 수용 탱크로 회수시키는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에 연통되는 바이패스 유로; 및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분말성물질을 외부로 송출하는 송출 라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 또는 바이패스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 분말성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유입수단은 블로어 또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은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4.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을 포함하는 해양플랜트에서 머드를 생성하기 위한 분말성물질 또는 건설현장에서의 분말성물질을 공압 이송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벌크분말 저장탱크;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로부터 분말성물질을 이송유로를 통해 이송받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탱크;
    상기 각 수용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벌크분말과 공기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
    일단은 상기 수용 탱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의 상부 측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더스트 공기 바이패스 유로(dust air bypass path);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 또는 바이패스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탱크 내의 벌크분말 더스트가 포함된 공기를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더스트 분리·회수수단으로 유입시키는 유입 수단; 및
    상기 수용 탱크에 연결되어 분말성물질을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로 회수 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벌크분말 저장탱크는 벤토나이트 또는 바라이트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은 사이클론(cyclone)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 탱크는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사이클론으로부터 유입되는 벌크분말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 밸브를 구비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입 수단은 블로어나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7. 드릴링 리그나 드릴쉽을 포함하는 해양플랜트에서 머드를 생성하기 위한 벤토나이트 또는 바라이트를 포함하는 벌크분말 또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분말성물질을 공압 이송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방법에 있어서,
    벌크분말을 이송시켜 수용탱크에 수용하는 수용 단계;
    상기 수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벌크분말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벌크분말 분리·회수수단으로 직접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단계;
    상기 바이패스되어 들어온 더스트를 벌크분말과 공기로 분리하는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벌크분말을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시키고 분리된 청정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회수 단계; 및
    상기 수용탱크에 수용된 벌크 분말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 단계; 를 포함하는 분말성물질 이송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분리회수 단계는 사이클론(cyclone) 분리 회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단계는 유입되는 공기 및 상기 사이클론 분리 회수 방식에 의해 분리되어 유입되는 벌크분말의 역류 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성물질 이송방법.
KR1020130106949A 2013-09-06 2013-09-06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KR10208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949A KR102087175B1 (ko) 2013-09-06 2013-09-06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949A KR102087175B1 (ko) 2013-09-06 2013-09-06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429A true KR20150028429A (ko) 2015-03-16
KR102087175B1 KR102087175B1 (ko) 2020-03-10

Family

ID=5302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949A KR102087175B1 (ko) 2013-09-06 2013-09-06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1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076A (ja) * 1991-11-13 1993-06-01 Nkk Corp 廃棄物分離機における閉塞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8076A (ja) * 1991-11-13 1993-06-01 Nkk Corp 廃棄物分離機における閉塞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175B1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677B1 (en) Rig storage system
US7828084B2 (en) Use of cuttings tank for slurrification on drilling rig
US20140246054A1 (en) Use of cuttings vessel for tank cleaning
CN101506464A (zh) 用于制备回注到钻井中的钻屑的方法和设备
KR101392892B1 (ko)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CN107542431B (zh) 一种天然气水合物海底气-液-固多相流化分离的方法
JP2003193787A (ja) ガスハイドレート掘削回収方法及び掘削回収システム
US74906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rilling cuttings during offshore drilling
CN104747107A (zh) 钻井废弃泥浆一体化处理方法
KR102394955B1 (ko) 벌크 이송 시스템 실험 장치 및 방법
KR20150028429A (ko)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CN105545279B (zh) 一种天然气水合物的管输装置
US20220219794A1 (en) Method to install, adjust and recover buoyancy material from subsea facilities
KR101922025B1 (ko) Ubd 시스템이 구비된 해양구조물
Loong et al. Upgrade of spar topsides with comprehensive facilities sand management system
US20070175667A1 (en) Method for processing drilling cuttings in an oil recovery operation
WO2012156742A2 (en)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31680A (ko) 머드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CN114033322B (zh) 一种深水油气钻井与二氧化碳利用封存一体化的装置及方法
EP2310618A1 (en) Separation of drill cuttings from drilling fluid on a seabed
WO2014176601A1 (en) Offshore drilling unit having drill cuttings storage for an entire wellbore
US20070172337A1 (en) Containment of drilling waste material
KR101519532B1 (ko) 해양구조물의 드릴링 절단물 처리시스템
KR101637452B1 (ko) 드릴 커팅 처리시스템
KR101567881B1 (ko) 해양구조물의 벌크 수송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