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778B1 -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778B1
KR101640778B1 KR1020140116668A KR20140116668A KR101640778B1 KR 101640778 B1 KR101640778 B1 KR 101640778B1 KR 1020140116668 A KR1020140116668 A KR 1020140116668A KR 20140116668 A KR20140116668 A KR 20140116668A KR 101640778 B1 KR101640778 B1 KR 10164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k
storage tank
tank
bulk storag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113A (ko
Inventor
성상경
한성곤
이광민
전동수
김필근
최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1Arrangements for handling drilling fluids or cuttings outside the borehole, e.g. mu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양 시추 구조물에서 시추 작업에 사용되는 벌크를 저장탱크로부터 서지탱크 등과 같은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선체 내부에 이송 탱크 및 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와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과 밸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저장 탱크 상부에 메인 데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Bulk Handling Apparatus for Offshore Drilling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양 시추 구조물에서 시추 작업에 사용되는 벌크를 저장탱크로부터 서지탱크 등과 같은 정해진 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작업을 위해서는 시추공의 내측을 채워주기 위한 드릴링 머드가 필요하다. 이러한 드릴링 머드는 시추작업 시 드릴 비트(drill bit)에 대한 윤활 작용을 하고, 시추작업 동안 발생하는 암석 부스러기(cutting)를 제거하며, 시추고의 압력을 안정시켜서,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이 시추고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세이프티 베리어(safety barrier)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드릴링 머드는 분말 상태의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bentonite) 및 각종 화학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물질을 벌크(bulk)라고 한다. 시추에 주로 사용되는 벌크에는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bentonite), 시멘트(cement) 등의 물질이 있는데, 이러한 물질들은 비중이 크기 때문에 다량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시추선은 OSV(Offshore Supply Vessel)를 이용하여 벌크를 보급받아 저장탱크에 저장한다. 벌크를 포함한 저장탱크는 그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시추선의 바닥으로 내려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벌크는 필요에 따라 서지탱크(surge tank)로 보내지고, 물과 혼합하여 드릴링 머드로 제조된다.
시추선에서 저장탱크로부터 서지탱크로의 이송을 위해서는, 고압의 벌크에어(bulk air)를 사용하므로 저장시설 및 배관라인은 모두 4 ~ 5 bar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바라이트/벤토나이트용 벌크 저장탱크와, 다수의 시멘트용 벌크 저장탱크와, 각 저장탱크의 빈 공간에 고압의 벌크 에어를 분사하는 장치와, 벌크의 이송을 콘트롤하는 장치 등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벌크의 저장탱크 각각은 고압에 견디기 위한 압력용기로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벌크의 저장탱크에 대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836호의 시추 구조물의 벌크 유동화 장치와 유동화용 노즐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벌크의 저장탱크는 고압에 견디기 위하여 압력용기로 제작됨으로써 제작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고압에 견디기 위하여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제작됨으로써 배치 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에 대한 공간 활용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벌크는 고압의 벌크에어를 이용하여 배관을 따라 이송되는데, 이송 중에 발생하는 분진(dust)은 분진 수집기(dust collector)를 이용하여, 제거 내지 회수됨으로써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데, 이를 반영하기 위한 복잡한 벌크 이송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벌크의 저장탱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고, 저장탱크의 배치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뛰어나도록 하며,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이송 탱크 및 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와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과 밸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저장 탱크의 상부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가 상기 선체 내부의 격벽에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가 선체에 설치된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옮겨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이고, 상기 이송 탱크는 압력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벽은 메인 데크이거나 메인 데크 하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평평한 데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벌크가 저장되는 벌크 저장 탱크; 및 상기 벌크 저장 탱크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저장 탱크에 저장된 벌크를 공급받아 서지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선체 내부의 격벽에 고정되며,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탱크는 압력 탱크로 이루어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에서 상기 이송 탱크로 벌크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로터리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내측에 벌크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측면이 평면일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저장탱크가 하나의 측면을 공유하거나 측면끼리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의 상부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벌크 저장 탱크 내부에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옮겨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크의 저장탱크를 압력용기가 아닌 일반 탱크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장탱크를 사각 박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산 먼지가 없도록 하여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례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100)는 벌크(bulk)가 저장되는 벌크 저장 탱크(110)와 벌크 저장 탱크(110)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벌크를 공급받아 서지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탱크(120)를 포함하되, 벌크 저장 탱크(110)는 선체 내부의 격벽에 고정되며,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탱크(120)는 압력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벌크 저장 탱크(110)로부터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 에어(bulk air)에 의해 서지 탱크로 이송시키는 이송 탱크(120)가 마련되며, 이송 탱크(120)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 밸브(113)에 의해 벌크 에어가 벌크 저장 탱크(1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벌크 저장 탱크(110)는 내측에 벌크가 저장되고, 하부의 이송 탱크(120)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배출 배관(111)이 마련되며, 제 1 배출 배관(111)에는 벌크 저장 탱크(110)에서 공급되는 벌크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로터리 밸브(rotary valve, 112)가 설치되며, 이송 탱크(120)의 벌크 에어가 벌크 저장 탱크(11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하는 제어 밸브(11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벌크 저장 탱크(110)는 내측에 벌크를 배출 배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이동수단은 이송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벌크는 예컨대 시추에 사용되는 바라이트/벤토나이트(barite/ bentonite), 시멘트(cement) 등의 물질이 해당될 수 있다. 벌크 저장 탱크(110)는 벌크 종류 또는 처리 용량 등으로 인해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100)는 시추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추 구조물로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홈, 또는 드릴쉽(drillship)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시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물이 포함될 수 있다.
벌크 저장 탱크(110)는 상부에 벌크가 공급되는 공급구(114)와 에어를 배기시키는 배기구(115)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배기구(115)에 벤트 필터(vent filter; 11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배출 배관(111)에 설치된 제어 밸브(113)에 의해 벌크 에어가 벌크 저장 탱크(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고압 탱크일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상압은 대기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1ba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크 저장 탱크(1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벌크 저장 탱크(110)는 일반적인 가압식 탱크의 형상인 횡단면이 원형인 원형 기둥 형상일 수도 있으나,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측면과 상부면은 평면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과 상부면이 평면인 형상의 벌크 저장 탱크(110)는 그 횡단면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사각 형상의 벌크 저장 탱크(110)를 사용할 경우, 둘 이상의 저장탱크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할 수 있어, 배치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벌크 저장 탱크(110)는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corrugated wa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벌크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이 평면으로 되어 있을 경우 벌크 저장 탱크(110) 상부의 공급부(114)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가 벌크 저장 탱크(1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벽면에 붙어 하부로의 이동이 정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벌크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이 코러게이트 월일 경우 벌크가 벌크 저장 탱크(110)의 코러게이트 월에 붙어 하부로의 이동이 정지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 플랫 바(flat bar), "ㄷ" 자형 채널 또는 원형의 보강재를 수직으로 덧대어서 보강하는 방법을 통해 벌크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을 보강하여 벌크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송 탱크(120)는 벌크 저장 탱크(110)의 제 1 배출 배관(111)를 통해 공급되는 벌크를 벌크 에어에 의해 서지 탱크로 이송시키되, 벌크 에어가 제 1 배출 배관(111)를 통해서 벌크 저장 탱크(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하나의 벌크 저장 탱크(110)에는 복수 개의 이송 탱크(12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처럼 두 개의 이송 탱크(121, 122)로 연결될 수 있어서, 본 실시례와 같이 벌크 저장 탱크(110)하부에 두 개의 배출 배관이 연결되고 각 배출 배관에는 이송 탱크(121, 12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벌크 핸들링 장치(100)가 작동할 시에 이송 탱크(120)에는 벌크가 이송되기 위한 압력이 가해져 벌크 저장 탱크(110)보다 압력이 높게 된다. 즉, 이송 탱크(120)는 4 ~ 5bar 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가압 탱크로서, 그 용량은 5 ~ 10㎥ 이며, 벌크 저장 탱크(110)는 상압을 견딜 수 있는 일반 탱크로서, 그 용량은 필요한 벌크 용량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이송 탱크(120)는 그 용량이 벌크 저장 탱크(110)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에서와 같이 상당한 크기를 가지는 벌크 저장 탱크를 가압하는 것보다 소형의 압력 탱크만을 가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공기를 사용해도 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벌크 저장 탱크(110)에는 내부의 벌크량을 확인하기 위해 레벨 트랜스미터(Level Transmitter, 117)를 설치할 수 있으며, 벌크가 균일하지 않게 쌓일 수 있으므로 여러 위치에 복수 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이송 탱크(120)에는 벌크의 무게를 계측하기 위해 로드셀(Load Cell)을 설치할 수 있으며, 벌크 저장 탱크(110)와 마찬가지로 벌크량을 확인하기 위한 레벨 스위치(12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 탱크(120)는 벌크 저장 탱크(110)로부터 벌크를 공급받는 역할과, 벌크 저장 탱크(110) 측이 차단된 상태에서 내측의 벌크를 서지 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에어 라인(Air line, 128)을 통해 벌크의 이송에 필요한 고압의 벌크 에어를 공급받는다. 벌크 에어는 에어 라인(128)과 연결되며, 이송 탱크(120)의 상부에 설치된 에어공급구(129)에 의해 이송 탱크(120)에 공급되게 된다. 벌크는 공급된 벌크 에어에 의해 이송 탱크(120)내에서 유동화되고 제 2 배출 배관(124)를 통해 서지 탱크에 연결된 이송 배관(130)을 따라 서지 탱크로 이송된다. 제 2 배출 배관(124)에는 벌크 에어가 이송 탱크(120) 내부에 들어가 압력이 일정수준(3 ~ 5bar)에 이를 때까지 이송 탱크(120)를 잠가두는 제 1 조절 밸브(1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송 탱크(120) 내로 벌크를 이동시킬 때 이송 탱크(120) 내부에 압력이 벌크 저장 탱크(110)보다 높으면 벌크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이송 탱크(120) 내부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하여 에어 배기 라인(125)이 벌크 저장 탱크(110)의 최상단에 연결된다. 에어 배기 라인(125)의 일단은 이송 탱크(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벌크 저장 탱크(110) 하부 측면을 통과하여 벌크 저장 탱크(110)의 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90% 이상 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에어 배기 라인(125)에는 에어의 배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조절 밸브(126)가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벌크 저장 탱크(110)는 그 용량의 90% 미만 정도를 벌크로 채우게 되므로, 이송 탱크(120)로부터 배기되는 에어를 벌크 저장 탱크(110) 하면을 기준으로 높이가 90% 이상되는 지점으로 배기하므로 벌크로 채워지지 않은 벌크 저장 탱크(110)의 내부로 에어가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벌크 저장 탱크(110) 내로 에어를 배기함으로써 이송 탱크(120) 내의 에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선체 공간(10) 바닥면에는 먼저 이송 탱크(120)가 설치된다. 이송 탱크(120)은 지지 부재(140)에 의해 고정되고, 서지 탱크로 벌크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을 설치한다.
다음 단계에는 이송 탱크(120) 상부에 벌크 저장 탱크(110)를 설치한다. 벌크 저장 탱크(100)는 별도로 제작되어 이송 탱크(120) 상부에 옮겨져 설치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벌크 저장 탱크(100)가 하나의 블럭으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벌크 저장 탱크(110)의 보강재는 선체의 보강 구조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작하도록 한다.
선체에는 벌크 저장 탱크(110)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체(200)와 상부지지체10)가 설치되며, 하부지지체(200)은 벌크 저장 탱크(110)의 전체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부지지체(210)는 별도로 설치하여 벌크 저장 탱크(110)의 상부에서 지지하여 하중을 분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별도로 제작된 벌크 저장 탱크(110)는 선체 공간(10)으로 옮겨져 선체 격벽에 볼팅이나 용접 또는 끼움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단계에는 이송 탱크(120)과 벌크 저장 탱크(110)을 배관으로 연결하고 밸브를 설치한 후 벌크 저장 탱크(110)의 상부벽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는 벌크의 저장탱크를 압력용기가 아닌 일반 탱크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저장탱크를 사각 박스 등으로 구현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시추 구조물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비산 먼지가 없도록 하여 분진 수집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벌크의 이송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0 : 벌크 저장 탱크 111 : 제 1 배출 배관
112 : 로터리 밸브 113 : 제어 밸브
114 : 벌크 공급구 115 : 배기구
116 : 벤트 필터 117 : 레벨 트랜스미트
118 : 상부 탱크 119 : 하부 탱크
120, 121, 122 : 이송 탱크
123 : 제 1 조절밸브 124 : 제 2 배출 배관
125 : 에어 배기 라인 126 : 제 2 조절밸브
127 : 레벨 스위치 128 : 에어 라인
129 : 에어 공급구 130 : 이송 배관
140 : 지지부재 200 : 하부지지체
210 : 상부지지체

Claims (14)

  1.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체 내부에 이송 탱크 및 배관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송 탱크와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과 밸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벌크 저장 탱크의 상부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탱크와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연결하기 위한 배관과 밸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벌크 저장 탱크의 상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관을 설치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가 상기 선체 내부의 격벽에 고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상기 벌크 저장 탱크를 설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가 선체에 설치된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옮겨져 설치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이고,
    상기 이송 탱크는 압력 탱크로 이루어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은 메인 데크이거나 메인 데크 하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평평한 데크로 이루어지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설치 방법.
  7. 벌크가 저장되는 벌크 저장 탱크; 및
    상기 벌크 저장 탱크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벌크 저장 탱크에 저장된 벌크를 공급받아 서지 탱크로 이송하는 이송 탱크를 포함하되,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선체 내부의 격벽에 고정되며, 상압에서 사용이 가능한 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탱크는 압력 탱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 탱크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벌크 저장 탱크의 상부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벌크 저장 탱크 내부에 배출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에서 상기 이송 탱크로 벌크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로터리 밸브를 더 포함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내측에 벌크를 배출 배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이송스크루, 빈 액티베이터(bin activator), 에어패드(air pad), 에어노커(air knocker), 바이브레이터(vibrator) 및 셀 피더(cell feed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측면이 평면인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저장탱크가 하나의 측면을 공유하거나 측면끼리 마주보며 나란히 배치된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13. 삭제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벌크 저장 탱크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이송 탱크 상부에 옮겨져 설치되는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KR1020140116668A 2014-09-03 2014-09-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64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68A KR101640778B1 (ko) 2014-09-03 2014-09-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668A KR101640778B1 (ko) 2014-09-03 2014-09-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13A KR20160028113A (ko) 2016-03-11
KR101640778B1 true KR101640778B1 (ko) 2016-07-19

Family

ID=5558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668A KR101640778B1 (ko) 2014-09-03 2014-09-03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3421B1 (ko) * 1997-03-07 1999-06-15 윤만호 시멘트용 에어 송출식 벌크 사일로
KR101185517B1 (ko) * 2010-11-11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운반선 및 그 건조 방법
KR20130136263A (ko) * 2012-06-04 2013-12-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머드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113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2428B2 (en) Proppant transfer system
EA00312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материала
US8741072B2 (en) Use of cuttings vessel for tank cleaning
EP2115266B1 (en) Use of cuttings tank for in-transit slurrification
US20100084190A1 (en) Rig storage system
EA022044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20140341657A1 (en) Large subsea package deployment methods and devices
EP2388189B1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EA024657B1 (ru) Способы перемещения нейтрализующего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640778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101640776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EP3911835B1 (en) Modular riser section storage and handling system
US20130236286A1 (en) Boat installation frame for transportation tanks
KR20160004634A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262647B1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KR20170057897A (ko) 벌크 및 lp 머드 시스템용 테스트 설비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20160004635A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707495B1 (ko) 기체주입방법을 적용한 리그선의 밸러스트 시스템
CN113818856B (zh) 压裂作业船
KR20130001590U (ko) 벌크 탱크를 구비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분체 이송 장치
US20200056434A1 (en) Pneumatic conveying unit, method and system for conveying drill cuttings in onshore drilling rigs
Bergenstock et al. Pneumatic material handling systems for cement terminals
KR102608689B1 (ko) 벌크 이송장치 및 방법
KR102087175B1 (ko)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 및 그 분말성물질 이송시스템의 더스트 회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