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647B1 -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 Google Patents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647B1
KR101262647B1 KR1020120088879A KR20120088879A KR101262647B1 KR 101262647 B1 KR101262647 B1 KR 101262647B1 KR 1020120088879 A KR1020120088879 A KR 1020120088879A KR 20120088879 A KR20120088879 A KR 20120088879A KR 101262647 B1 KR101262647 B1 KR 10126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natural gas
transfer pipe
ngh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낙원
강호근
고병욱
김동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사단법인 한국선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사단법인 한국선급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스티엑스종합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88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08Dock- or bumper-se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3/00Gaseous fuels;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 C10L3/06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C10G, C10K3/02 or C10K3/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10/00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other details of the feed stream
    • F25J2210/62Liquefied natural gas [LNG]; Natural gas liquids [NGL]; Liquefied petroleum gas [LP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NGH를 적재함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쉽고 간편한 유지보수성과 높은 적재 효율을 갖는 NGH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GH의 적재 부두에 배치되며, 이송배관을 탑재한 상태에서 적재 부두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배관의 수평 위치를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이송배관의 수직 위치(높이) 또한 조절하는 이송배관 탑재수단; 일 끝단은 NGH 생산시설로부터 적재 부두로 NGH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고 타 끝단은 NGH 수송선의 화물창 연결구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몸체 내부 공간에는 회전하는 버킷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킷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적재 부두로 이송되어 온 NGH를 끌어들이고 타 끝단을 통해서는 NGH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NGH를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적재하는 이송배관 및;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NGH를 화물창 내부로 받아들이는 작용을 하되, 이 경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의 연결 과정에서 화물창 내부의 천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화물창 연결구;를 포함하는, NGH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natural gas hydrate 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natural gas hydrate, 이하 ‘NGH’라고 함)를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적재하는 방식은 적재되는 NGH의 상태에 따라 도 1의 표와 같이 구분할 수 있는바, NGH의 특성상 가스 상태로의 적재는 불가능하며, 고체 또는 슬러리 상태로의 적재만이 가능하다.
먼저,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은 화물창 내에 NGH를 고체 상태 그대로 적재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한 기존의 적재 방식은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스크류, 고압가스 발생기와 같은 적재 장치를 NGH 수송선에 설치하여 NGH를 화물창으로 이송하는 것인데, 이 때 적재 장치의 고장 시 사용할 수 있는 예비 장치가 없기 때문에 적재 장치의 가용도에 치명적인 흠결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적재 방식에 따르면, 적재 장치의 유지보수 시 NGH로부터 해리된 천연가스의 폭발성 때문에 유지보수 기간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즉, NGH의 적재 장치가 고장 날 경우, 적재 장치 내부는 폭발성이 높은 천연가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수리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화물창 및 적재 장치의 모든 연결된 구역 내부를 불활성 가스로 가열시켜 NGH와 천연가스를 모두 제거하고 공기를 주입시켜 수리가 가능한 작업조건을 만들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적재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각종 장비들도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NGH 수송선의 건조 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기존의 특허들을 살펴보면, 상당수의 특허가 일본에서 출원되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은 근본적으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특허가 현실화되기는 매우 힘들다. 이하, 이와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첫 번째 특허는 일본 특허출원 제2001-372495호의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용 하역 장치”(도 2 참조)로, 고압가스로 고체 상태의 NGH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고압가스의 위험성이 있으며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두 번째 특허는 한국 특허출원 제2004-0070678호의 “천연가스 수송수단”(도 3 참조)으로, 고체 상태의 NGH를 컨테이너에 충전하여 컨테이너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대량의 NGH를 적재 또는 하역하기에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세 번째 특허는 한국 특허출원 제2003-7016049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도 4 참조)으로, 고체 상태의 NGH를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스크류로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컨베이어 벨트 또는 스크류 등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네 번째 특허는 일본 특허출원 제2002-091534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팰릿 수송선”(도 5 참조)으로, 고체 상태의 NGH를 컨베이어 스크류로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컨베이어 스크류 등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다섯 번째 특허는 일본 특허출원 제2002-091116호의 “해상에 있어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팰릿 저장 설비”(도 6 참조)로, 고체 상태의 NGH를 컨베이어 스크류로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컨베이어 스크류 등의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은 NGH 펠릿을 슬러리 모액과 함께 배관을 통해 적재하는 방식이다.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은 하이드레이트만 이송시키지만 이 방식은 하이드레이트와 슬러리 모액을 함께 이송시키기 때문에 이송 효율이 떨어지며, 에너지도 많이 소모된다. 또한 특수한 슬러리 모액이 필요하며 이 모액은 지속적으로 소모되기 때문에 NGH 수송선 운용 시 추가적으로 큰 비용이 발생한다.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기존의 특허들을 살펴보면, 상당수의 특허가 일본에서 출원되었다. 하지만 앞에서 언급했듯이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 역시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마찬가지로 근본적으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 특허가 현실화되기는 매우 힘들다.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대표적인 특허는 일본 특허출원 제2001-370202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하역방법 및 장치”(도 7 참조)로, 고압가스로 슬러리 상태의 NGH를 적재 또는 하역하는 방식을 기재하고 있다. 하지만 본 특허의 경우 고압가스의 위험성이 있으며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NGH를 적재함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쉽고 간편한 유지보수성과 높은 적재 효율을 갖는 NGH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NGH의 적재 부두에 배치되며, 이송배관을 탑재한 상태에서 적재 부두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배관의 수평 위치를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이송배관의 수직 위치(높이) 또한 조절하는 이송배관 탑재수단;
일 끝단은 NGH 생산시설로부터 적재 부두로 NGH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고 타 끝단은 NGH 수송선의 화물창 연결구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몸체 내부 공간에는 회전하는 버킷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킷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적재 부두로 이송되어 온 NGH를 끌어들이고 타 끝단을 통해서는 NGH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NGH를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적재하는 이송배관 및;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NGH를 화물창 내부로 받아들이는 작용을 하되, 이 경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의 연결 과정에서 화물창 내부의 천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화물창 연결구;
를 포함하는, NGH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GH 수송선의 외부에 설치된 적재 장치로 직접 NGH 수송선의 화물창 안으로 NGH를 적재하기 때문에, NGH를 적재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비를 NGH 수송선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로 인해 NGH 수송선의 선가 및 유지보수비가 감소한다. 또한 NGH 수송선의 화물창 형상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NGH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 부두에 적재 장치를 2~3기정도 설치하는 경우 각 화물창 별로 동시다발적으로 NGH를 적재할 수 있어 그 작업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만약 대기 중인 적재 장치가 있다면 고장 난 적재 장치를 대체하여 즉시 NGH 적재 작업을 재개할 수 있으며, 고장 난 적재 장치는 즉시 NGH 수송선과 분리되어 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NGH 수송선의 화물창에 NGH를 적재하는 방식의 구분.
도 2는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1-372495호의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용 하역 장치”.
도 3은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한국 특허출원 제2004-0070678호의 “천연가스 수송수단”.
도 4는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한국 특허출원 제2003-7016049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
도 5는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2-091534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 팰릿 수송선”.
도 6은 고체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2-091116호의 “해상에 있어서 가스 하이드레이트 팰릿 저장 설비”.
도 7은 슬러리 상태의 NGH 적재 방식과 관련한 일본 특허출원 제2001-370202호의 “가스 하이드레이트의 하역방법 및 장치”.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NGH 적재 장치의 개념.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GH 수송선의 화물창 연결구와 이송배관의 연결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NGH 적재 장치의 개념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GH 수송선의 화물창 연결구와 이송배관의 연결 구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은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에 NGH(60)를 적재함에 있어서 기존에 비해 쉽고 간편한 유지보수성과 높은 적재 효율을 갖는 NGH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배관 탑재수단(10), 이송배관(20) 및 화물창 연결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NGH(60)의 적재 부두(50)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이송배관(20)을 탑재한 상태에서 적재 부두(50)를 따라 이동하므로 이에 따라 이송배관(20)의 수평 위치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NGH 수송선(40)이 적재 부두(50)에 접안하면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이 이송배관(20)을 탑재한 상태로 NGH 수송선(40) 쪽으로 이동하여 NGH(60)의 적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적재 부두(50)의 다른 위치에 NGH 수송선(40)이 접안하더라도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이송배관(20)은 이송배관 탑재수단(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송배관 탑재수단(10)과 함께 이동할 수도 있지만,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이 해당 NGH 수송선(40)의 접안 위치에 도착한 후 따로 이송배관 탑재수단(10)에 탑재될 수도 있다.
한편,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NGH(60)의 적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송배관(20)의 수직 위치(높이)를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송배관(20)은 타 끝단(20a)이 NGH 수송선(40)의 화물창 연결구(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화물창(41) 내에 NGH(60)를 적재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이송배관(20)의 수직 위치(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이 보다 용이하게 화물창 연결구(30)에 삽입되거나(도 9) 화물창 연결구(3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한다(도 8). 이 때 이송배관 탑재수단(10)은 예를 들면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자체의 키를 늘이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이송배관(20)의 수직 위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8 ↔ 도 9).
이송배관(20)은 NGH(60)를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에 최종 적재하는 배관 형태의 장치이다. 이송배관(20)의 일 끝단(20b)은 NGH 생산시설로부터 적재 부두(50)로 NGH(6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와 연결되고, 타 끝단(20a)은 NGH 수송선(40)의 화물창 연결구(30)에 삽입되어 연결된다(도 9). 이송배관(20)의 몸체 내부 공간에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버킷(21)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킷(21)의 작용으로 인하여, 이송배관(20)은 일 끝단(20b)으로부터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의해 적재 부두(50)로 이송되어 온 NGH(60)를 끌어들이고 타 끝단(20a)을 통해서는 NGH(60)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NGH(60)를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에 적재하게 된다(도 9).
이 경우, 이송배관(2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절(22)로 이루어져 있어 몸체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자유롭게 굴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NGH 수송선(40)과 이송배관(20) 간의 상대적 위치가 수시로 변하더라도 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NGH(60)의 적재 작업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화물창 연결구(30)는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에 설치되며,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과 연결되어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을 통해 배출되는 NGH(60)를 화물창(41) 내부로 받아들이는 작용을 한다. 이 경우, 화물창 연결구(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 상단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NGH(60)가 화물창(41)에 적재될 때, 원뿔 모양으로 쌓이기 때문에 화물창(41) 형상도 원뿔 모양으로 하여 NGH(60)의 적재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도 9).
한편, 화물창 연결구(30)와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이 서로 연결될 때, 화물창(41)과 이송배관(20) 내부의 NGH(60)로부터 해리된 천연가스가 외부로 빠져 나오거나 화물창(41)과 이송배관(2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들어와서는 안 된다. 만약 천연가스가 누출되어 공기와 혼합된다면 화재 또는 폭발의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화물창 연결구(3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창 연결구(30)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는 제 1 차단 밸브(31)와 제 2 차단 밸브(32)를 화물창 연결구(30)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순서대로 각각 구비한다. 이 경우, 화물창 연결구(30)는 먼저 제 1 차단 밸브(31)를 열어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이 화물창 연결구(30) 내부로 1차 진입하도록 하며(물론 이 경우 제 2 차단 밸브(32)는 닫혀 있는 상태이다)(도 10), 이 상태에서 제 2 차단 밸브(32)의 외부 공간에 질소를 일정 시간 공급하여 가득 채움으로써 외부의 공기에 의한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다음, 마지막으로 제 2 차단 밸브(32)를 열어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이 화물창(41)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도록 한다(도 11). 이상의 과정에 따라 이송배관(20)의 타 끝단(20a)이 화물창 연결구(30)에 연결되는 경우, 화물창(41) 내부의 천연가스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물론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화물창 연결구(3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측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실링 튜브(sealing tube)(33)를 더욱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실링 튜브(33)는 화물창 연결구(30)에 삽입된 이송배관(20)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 화물창(41) 내부의 천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나아가, 화물창 연결구(30)는 상기 실링 튜브(33)의 표면에 실링 오일(sealing oil)을 더욱 공급한다(도 10 및 도 11). 이 경우 실링 오일은 이송배관(20)과 실링 튜브(33)가 보다 잘 밀착되어 천연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송배관(20)이 작업 중 화물창(41) 밑으로 내려가야 하는 경우 잘 미끄러져 내려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NGH 수송선(40)의 외부에 설치된 적재 장치로 직접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 안으로 NGH(60)를 적재하기 때문에(도 10), NGH(60)를 적재하기 위한 추가적인 장비를 NGH 수송선(40)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이로 인해 NGH 수송선(40)의 선가 및 유지보수비가 감소한다. 또한 NGH 수송선(40)의 화물창(41) 형상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NGH(60)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 부두(50)에 적재 장치를 2~3기정도 설치하는 경우 각 화물창(41) 별로 동시다발적으로 NGH(60)를 적재할 수 있어 그 작업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만약 대기 중인 적재 장치가 있다면 고장 난 적재 장치를 대체하여 즉시 NGH(60) 적재 작업을 재개할 수 있으며, 고장 난 적재 장치는 즉시 NGH 수송선(40)과 분리되어 수리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이송배관 탑재수단 20 : 이송배관
20a : 이송배관의 타 끝단 20b : 이송배관의 일 끝단
21 : 버킷 22 : 관절
30 : 화물창 연결구 31 : 제 1 차단 밸브
32 : 제 2 차단 밸브 33 : 실링 튜브
40 : NGH 수송선 41 : 화물창
50 : 적재 부두 60 : NGH

Claims (8)

  1.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의 적재 부두에 배치되며, 이송배관을 탑재한 상태에서 적재 부두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배관의 수평 위치를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이송배관의 수직 위치(높이) 또한 조절하는 이송배관 탑재수단;
    일 끝단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생산시설로부터 적재 부두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되고 타 끝단은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화물창 연결구에 삽입되어 연결되며, 몸체 내부 공간에는 회전하는 버킷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버킷의 작용으로 인하여 일 끝단으로부터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적재 부두로 이송되어 온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끌어들이고 타 끝단을 통해서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다시 배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화물창에 적재하는 이송배관 및;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화물창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를 화물창 내부로 받아들이는 작용을 하되, 이 경우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과의 연결 과정에서 화물창 내부의 천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화물창 연결구;
    를 포함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 탑재수단은 유압을 이용한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여 자체의 키를 늘이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상기 이송배관의 수직 위치(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배관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어 소정의 각도로 굴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연결구는 상기 화물창 연결구를 개폐하는 작용을 하는 제 1 차단 밸브와 제 2 차단 밸브를 상기 화물창 연결구의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는 순서대로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연결구는 먼저 상기 제 1 차단 밸브를 열어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이 상기 화물창 연결구 내부로 1차 진입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단 밸브의 외부 공간에 질소를 일정 시간 공급하여 가득 채움으로써 외부의 공기에 의한 화재 및 폭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한 다음, 마지막으로 상기 제 2 차단 밸브를 열어 상기 이송배관의 타 끝단이 화물창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연결구는 내부 측벽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실링 튜브를 구비하는바, 상기 실링 튜브는 상기 화물창 연결구에 삽입된 상기 이송배관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감싸 화물창 내부의 천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연결구는 상기 실링 튜브의 표면에 실링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 연결구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수송선의 화물창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KR1020120088879A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KR10126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9A KR101262647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879A KR101262647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647B1 true KR101262647B1 (ko) 2013-05-08

Family

ID=48665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879A KR101262647B1 (ko) 2012-08-14 2012-08-14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6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2098A (zh) * 2013-06-27 2016-03-30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船舶的装货方法及船舶的卸货方法
US10138930B2 (en) 2014-11-27 2018-11-2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Natural gas hydrate tank container loading system enabling automated connection of electric power line and boil-off gas pipe
US10246166B2 (en) 2014-11-27 2019-04-02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Natural gas hydrate tank container loading system enabling self-powered power generation and boil-off gas treat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891A (ja) 2001-12-06 2003-06-17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ハイドレート輸送船用荷役装置
JP2003343798A (ja) 2002-05-30 2003-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天然ガスの保管方法、輸送方法および輸送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891A (ja) 2001-12-06 2003-06-17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ハイドレート輸送船用荷役装置
JP2003343798A (ja) 2002-05-30 2003-12-03 Mitsubishi Heavy Ind Ltd 天然ガスの保管方法、輸送方法および輸送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2098A (zh) * 2013-06-27 2016-03-30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船舶的装货方法及船舶的卸货方法
US10138930B2 (en) 2014-11-27 2018-11-27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Natural gas hydrate tank container loading system enabling automated connection of electric power line and boil-off gas pipe
US10246166B2 (en) 2014-11-27 2019-04-02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Natural gas hydrate tank container loading system enabling self-powered power generation and boil-off gas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420B2 (en) Offshore systems and methods for liquefied gas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o reduce and prevent damage
KR101262647B1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적재 장치
RU2589811C2 (ru) Судн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жатого газа
WO2024098703A1 (zh) 一种船用lng燃料罐箱系统
KR101262623B1 (ko)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 하역 장치
WO2014207863A1 (ja) 船舶、船舶の積み荷役方法、及び船舶の揚げ荷役方法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KR20170054135A (ko) 액화가스 이송장치
AU2015329208A1 (en) Liquefied hydrogen transferring system
KR101167150B1 (ko) Lng 운반선 화물창의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20110007450A (ko) 이산화탄소 수송용 선박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1363507B1 (ko) 액체 화물 운송선
CN113818856B (zh) 压裂作业船
KR101623159B1 (ko) 시프트 연동 로딩암 장치
US20200189692A1 (en) A process system and a fluid transfer system comprising such a process system
CN104386210B (zh) 一种新型船用自动化散装化工粉料链板输送系统
JP5944780B2 (ja) 船舶、船舶の積み荷役方法、及び船舶の揚げ荷役方法
KR101623100B1 (ko) 로딩암이 구비된 lng 운반선
CN104590494B (zh) 一种无码头油轮近岸输油方法
CN112082086A (zh) 增压式液化烃装卸残液回收系统及回收方法
KR101589251B1 (ko) 컨테이닝 시스템
KR101640778B1 (ko) 해양 시추 구조물의 벌크 핸들링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03780748U (zh) 一种新型船用自动化散装化工粉料链板输送系统
CN112082088B (zh) 液化烃装卸残液回收系统及回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