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625A -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625A
KR20160004625A KR1020140083192A KR20140083192A KR20160004625A KR 20160004625 A KR20160004625 A KR 20160004625A KR 1020140083192 A KR1020140083192 A KR 1020140083192A KR 20140083192 A KR20140083192 A KR 20140083192A KR 20160004625 A KR20160004625 A KR 20160004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terminal
product
customer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태영
Original Assignee
신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영 filed Critical 신태영
Priority to KR102014008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625A/ko
Publication of KR20160004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송 관리 서비스가 연계되어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상품들을 배송한다. 이를 위해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지역별로 설정된 배송 영역의 중심부에 개설된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송 관리 서비스를 연계하여 상품을 배달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복합 배달 서비스 시장을 창조할 수 있으며, 상품의 주문 및 배송에 따른 선순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THE DISTRICT INTEGRATED DELIVERY SERVICE SYSTEM USING TEAM PLAY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송 관리 서비스를 연계해서 상품을 주문 및 배달하기 위하여,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마트 등의 업체에서 이용하는 주문 및 배달 시스템은 주문자가 전화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업체로 직접 주문 정보를 제공하면, 해당 업체에서는 그에 따라 음식을 조리하여 배달하거나, 상품을 준비하여 배달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배달 방법은 음식 또는 상품을 주문하기 위하여, 주문자가 반드시 해당 업체의 전화 번호 등의 연락처를 알고 있어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활용한 예약 주문 배달 사이트나 중계 사이트가 등장하여, 인터넷 상에서 음식이나 상품 주문을 주문 및 배달하도록 중계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트는 전국적으로 가맹점 또는 제휴업체의 수가 적어서, 실질적으로 음식 또는 상품의 주문을 중계한다고 보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특히, 음식업체에서 조리된 음식과 관련된 모든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및 관계자들은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과 배달하는 사람의 고충보다는 최종 소비자인 고객의 마음에만 들기 위하여, 주문 접수와 결제 혜택 등 고객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굉장히 빠르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배달 시간은 배달 직원의 업무량과 조리사의 업무량에 따라 언제 도착할지 모르는 운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주문이 증가할수록 배달 직원은 반복 이동으로 많은 시간을 도로에서 낭비하게 되고, 낭비된 시간의 손실을 고객과 업주가 부담하여 물품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
또 배달 서비스는 신속하게 배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주문이 증가하면 할수록 배달 직원이 도로에서의 낭비 시간이 증가하여, 주문 접수는 빠르지만 배달은 배달 직원이 도로에서 낭비하는 시간만큼 계속해서 지연되므로, 고객 불만의 주범으로 인식되어, 빠른 배달을 위해 배달 직원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난폭 운전, 과속, 신호 위반의 주범이 되는 등 서비스가 악순환된다. 결국 이러한 현상은 고객의 불만을 야기시키므로 단골 확보가 어렵고, 배달 직원의 정신적 스트레스의 증가로 이직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또 음식업체의 입장에서는 일괄적으로 음식이 주문되어 한번에 조리하면, 주문받은 음식을 빠르고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지만, 실시간으로 주문이 갱신되어 들어오면, 단위 시간 동안 많은 음식을 조리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조리사의 음식 조리에 대한 집중력 약화, 맛의 일관성 상실 및, 포장 실수 유발 등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업체를 위한 실시간 주문 접수 시스템은 주문 건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최고의 시스템이 되지만, 주문량이 늘어날수록 낭비 시간의 비약적 상승으로 최악의 시스템이 되어, 피크 시간 등 주문이 연속으로 발생하였을 때 후발로 주문한 소비자는 기대 만족도가 현저히 떨어지고, 재주문 확율이 낮아져서 실시간 주문 건수가 증가할수록 악순환의 연속 발생 확률이 극대화되어 배달 서비스 문화 발전의 거대한 걸림돌이 된다. 또한 주문량이 증가하여도 실시간 서비스가 최상의 상태가 되려면, 고객 주문량을 소화할 만큼 많은 배달 직원 및 조리 직원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는 배달 직원 및 조리 직원에 대한 인건비를 부담해야만 하므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와 반대로 일괄 주문 접수 시스템은 주문이 증가할수록 음식을 준비하는 사람과 배달을 수행하는 사람에겐 불필요한 시간 낭비와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최고의 시스템이지만, 고객의 입장에서는 배송 시간이 정확하다는 장점 하나뿐인 시스템이 되어 주문 접수에 걸리는 시간을 기다릴 만한 가치를 부여하지 못하여 기다리는 행동이 손해라고 생각하여 외면받는 현실이고, 그 결과 반쪽 짜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전락하여 음식과 관련된 주문 및 배달 서비스에서는 버림받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4703호(공개일 2006년 12월 28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61712호(공개일 2006년 06월 08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9016호(공개일 2006년 03월 03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4887호(공개일 2002년 02월 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일괄 주문 접수와 팀플레이를 활용한 배달 서비스가 결합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 상품 주문 및 배송이 가능하도록 팀플레이를 활용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역별 제휴업체들의 상품 배송을 위해 팀플레이를 활용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상품들을 일괄 주문 및 배송 가능하도록 팀플레이를 활용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역 통합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상품의 주문 접수와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를 연계하여 처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지역 통합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송 관리 서비스를 연계하여 상품을 배달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복합 배달 서비스 시장을 창조할 수 있으며, 상품의 주문 및 배송에 따른 선순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지역 통합 배송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주문 접수 서버 및;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제휴업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배송 지역에 대한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고, 상기 배송 루트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원의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여,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제휴업체로부터 상품을 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의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배송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접수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한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에 대한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업체 관리부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이 주문되면,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는 주문 접수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배송 영역을 설정하는 고객 위치 설정부와; 상기 배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배송 루트 설정부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이 준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품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휴업체 확인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가 주문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휴업체 확인부가 상품이 준비되었는지 확인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을 수령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 복수 개의 제휴업체들의 상품들을 주문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송 단말기의 배달원이 상품들을 수령받아서 상품을 분배하거나 재조합하여 상품을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배송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주문 접수 서버와 연계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을 제공하는 제휴업체 단말기로 전달하여 주문된 상품을 고객에게 배달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에 접속되어 상품을 주문받는 단계와; 상기 주문 접수 서버가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품의 주문 내역을 상기 배송 관리 서버와 해당 제휴업체의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들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배송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배송 영역에 따른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설정된 상기 배송 루트를 포함하는 배송 영역을 담당하는 배송원이 가지고 있는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결정된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과, 상기 배송 루트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단말기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 간에 상품 준비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이 준비 완료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 수령을 하도록 하는 단계 및; 수령된 상품을 상기 배송 루트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배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상품의 주문 내역이 복수 개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 수령을 하도록 하는 단계이 후, 상품별, 고객별로 상품을 분배 또는 재조합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품을 분배 또는 재조합하면,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동일한 상품을 각각의 고객 단말기에 대해 분배하거나, 동일한 고객 단말기에 대해 복수 개의 상품을 재조합하여 상품을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지역별로 설정된 배송 영역에 상기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달 영역을 지역별로 설정하고, 설정된 배달 영역의 중심부에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를 개설하여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송 관리 서비스를 연계하여 상품을 배달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복합 배달 서비스 시장을 창조할 수 있으며, 상품의 주문 및 배송에 따른 선순환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일괄 상품의 주문이 가능하므로, 제휴업체의 조리 직원이 미리 주문 현황을 파악하고 준비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시간의 비약적 단축 및 대량 조리가 가능하고, 맛의 일관성과 정확성이 향상되어, 조리 직원의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배송 직원이 도로에서 낭비되는 시간이 최소화되어 난폭, 과속, 신호 위반이 필요가 없고, 배송 직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제휴업체에서 배달 직원의 고정 비용이 제거되므로, 그에 따른 상품의 가격 인하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보다 많은 고객분에게 선택받기 위해 맛과 서비스에 더욱 충실할 수 있으며, 고정 비용 문제로 배달을 하고 싶어도 못하였던 업체들에게 새로운 매출의 날개를 달수 있고,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입장에서는 다양한 업체를 서비스할 수 있어서 새로운 신규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 입장에서 다양한 업체를 부담없이 이용 가능해지면서 신규 고객층의 발생 및 최소 구매액으로 다양한 제품을 주문할 수 있어서 가격에 대한 부담이 덜고, 골라 먹는 즐거움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아서 서비스 만족도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업체 입장에서 기존의 배달 시장이 아닌 새로운 배달 서비스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레드오션이 아닌 블루오션에 진출되어, 다양한 배달 서비스 문화를 창조하여 모두가 즐겁고 여유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배달 문화의 스마트한 진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팀플레이를 활용하여 상품을 배송하기 위한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를 구비한다.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달 서비스를 연계해서 상품을 주문 및 배달하도록 제공된다.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배달 영역을 설정하고, 배달 영역에 따른 지역별로 개설된다. 예를 들어,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배달 영역의 중심부에 개설된다.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각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제휴업체들과 계약을 체결하여, 상품 주문 접수 및 배송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웹페이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일괄 주문하는 주문 접수 서버와, 주문 접수 서버와 연계해서 상품을 일괄 배달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 서버를 구비한다.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개설된 지역의 배달 영역 내에 위치하고 배달이 필요한 업체들 예를 들어, 음식점, 마켓, 마트 등과 상품 주문 및 배달 대행 서비스를 제휴하는 계약을 체결한다.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증가할수록 배달 영역 내에서 배달 위치가 가깝거나 배달 시간이 짧아지도록 여러 상품을 한번에 배달할 수 있는 배송 루트를 설정하고, 배송 루트에 의해 상품들을 신속히 배달하여, 이동 시간에 소모되는 낭비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므로, 단위 시간당 보다 많은 상품의 배달을 안정적으로 수행 가능하다. 그에 따른 수익 상승으로 제휴업체와 고객에게는 서비스 이용에 대한 수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제휴업체에는 예를 들어, 음식, 반찬 등과 같이, 조리가 필요한 상품을 제공하는 메인 제휴업체나, 농수산품, 공산품, 생활용품 등과 같이 조리가 필요없는 상품을 제공하는 서브 제휴업체가 포함된다.
메인 제휴업체의 경우, 조리를 해야 하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주문 접수 현황을 파악하고, 상품(음식)을 위한 기본적인 세팅을 미리 준비하여 조리에 집중하도록 함으로써, 약속된 시간 안에 상품을 준비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제휴업체는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를 통하여 일정 시간 동안 주문을 접수 및 통합하여, 상품에 대한 주문 내역을 전송받음으로써, 주문이 많아도 불필요한 시간 낭비없이 많은 양의 상품(음식)을 정확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맛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추구하고, 최적의 시간에 포장되도록 신경을 쓸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 제휴업체는 조리 시간이 필요 없이 즉시에 가까운 시간 내에 상품이 준비되는 업체로, 메인 제휴업체가 조리하는 시간 동안에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배송팀 또는 지원팀이 상품을 수령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메인 및 서브 제휴업체는 고객이 주문한 상품들을 준비하여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배송팀에게 전달하고,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나열하여, 메인 및 서브 제휴업체의 상품들을 분배 및 재조합하여 고객에게 배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휴업체는 기존에 배달에 의해 발생되는 비용 문제로 인해 배달 서비스를 시행할 엄두를 못내거나, 1 일에 배달 건수가 기대량에 미치지 못하는 업체 등 다양한 분야의 포함된 업체이다. 그러므로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제휴업체들과 합리적으로 제휴를 맺음으로써,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의 서비스를 부여할 수 있으며, 업체에는 일괄 주문 접수 및 배달 대행 서비스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고객은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상품을 일괄적으로 주문 접수하고,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로부터 상품을 일괄적으로 배송받을 수 있다. 고객은 상품 주문 또는 상품 수령 시, 배달 수수료를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로 지불한다. 또한 고객은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음으로써, 재주문율이 상승되고, 서비스의 만족도에 따라 블로그, 카페 또는 쇼셜 네트워크 등을 이용하여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대한 서비스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최고의 영업 사원으로 변신이 가능하다.
또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는 센터의 제반 업무를 총괄하는 센터장과, 다수의 배달 직원으로 구성되는 배송팀 및, 센터장과 배송팀을 보조하는 지원팀으로 구성된다. 예컨대, 센터장은 배달 수요가 활발할 것이라 예상되는 지역을 시장 조사하여, 그 중심 지역에 센터를 개설한다. 배송팀은 배달 직원 한 명 당 메인 제휴업체와 서브 제휴업체를 담당하여, 일괄 처리 주문 방식으로 접수된 주문 중에 자신이 담당하는 제휴업체의 주문을 파악하고, 해당 제휴업체로부터 상품을 수령한 후, 센터로 복귀한다. 배송팀은 각 배달 직원이 수령한 상품을 고객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센터에서 분배하거나 재조합하여 상품을 셋팅하고, 셋팅된 상품을 해당 고객에게 배달한다. 배송팀은 직원이 많을수록 다양한 제휴업체를 새롭게 유치하여, 새로운 고객층 발생 및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고, 배송 루트를 세밀화하여 배달시의 낭비 시간을 대폭 감소시켜서, 주어진 배달 시간 내에 더욱 많은 배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배송팀은 가격 경쟁력의 상승을 확보하여, 제휴업체와 고객에게 비용 부담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지원팀은 센터장을 보조하고, 배송팀이나 제휴업체에 문제가 발생되면, 업무를 지원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구비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은 센터장, 지원팀 및 배송팀을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일괄 주문 접수 시스템과 연계하여 새로운 배달 서비스 문화를 제공하고, 고객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외면받던 일괄 주문 접수 및 배달 대행 서비스를 이용할 동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배달 서비스와 차별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새로운 고객층의 확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배달 최고의 업체인 치킨업체의 경우, 기존의 시스템으로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업체는 보통 1 층에 매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권리금, 보증금, 인테리어 비용, 인건 비용, 임대료 및 공과 잡비 등 엄청난 초기 비용이 발생한다. 그로 인하여 제품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며, 매월 발생하는 엄청난 임대료, 인건비 및 공과 잡비 등으로 수익이 발생하여도 손익 분기점 및 순수익으로 전환하는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배달 시스템으로 치킨 매장을 운영할 경우, 흔히 말하는 번화가, 목좋은 1 층 등의 불필요한 낭비가 없이, 한적한 위치에서 임대료가 저렴한 2 층 이상의 공간에 매장을 최소한의 인테리어와 인력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초기 투자 비용이 대폭 감소하고, 월별로 발생하는 임대료, 인건비 및 공과 잡비 등이 최소화되어 손익 분기점 및 순수익으로 전환하는 시간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즉, 기존 배달 시스템의 경우에는 매출의 약 40 %를 고정 인건비 및 홍보비로 소모된다. 구체적으로 보통, 건물의 1 층이나 번화가에 위치하는 치킨 매장을 오픈하는 경우, 약 2 ~ 3 억의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 발생하고, 월임대료 또한 약 500 만원 가량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불필요한 인건비의 증가로 한달에 약 2 천만원 이상의 고정 비용이 발생되어, 치킨 1 마리의 가격이 15,000 원대로 형성되는 원인이 된다.
하루 약 백 마리의 치킨을 판매한다면, 한달에 약 4,500 만원의 매출이 발생되고, 이 중 약 40 %의 재료비를 제외하면, 약 2,700 만원의 기대 수익이 발생하지만, 실질적으로 월임대료 약 500 만원과, 한 명 당 약 300 만원의 직원을 최소 매장에 2 명, 배달 직원으로 3 명이상 있어야 가능하므로 불필요한 인건비 약 1,500 만원과, 공과 잡비 약 100 만원 등, 총 약 2,100 만원의 고정 비용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총 매출액에서 고정 비용을 제외하면, 한달 기대 수익은 약 600 만원 미만이고, 쉬는 날이나 매출이 저조한 날을 감안하면 기대 수익은 더욱 더 감소하는 실정이다. 그 결과, 약 2 ~ 3 년간 지속적인 매출이 발생되어야, 손익 분기점이 돌파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배달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영할 경우, 매출의 약 10 % 내외로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모든 직원을 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인기가 많은 업체일 수록 엄청난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배송팀이 10 명일 경우, 단위 시간당 약 20 건의 일괄 주문 접수 시, 최대 20 건의 선택을 받을 수 있으며, 20 건을 기존 시스템으로 수행하려면 엄청난 인력과, 고정 비용 등으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지만, 새로운 배달 시스템은 합리적 비용과 정해진 배송 시간에 정확히 배달이 가능해짐으로서, 엄청난 효율과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비번화가, 건물의 1 층이 아닌 2 층 이상 또는 지하의 장소에 매장을 설립 가능하므로, 초기 권리비, 보증금 및 인테리어 비용 등이 대폭 감소하여, 초기 투자 비용이 약 2 ~ 3 천만원 정도로 매장의 오픈이 가능하고, 매월 고정 발생하는 월임대료 역시 약 50 만원 내외로 저렴하게 임대가 가능하여, 최소의 투자로 최고의 효율을 낼 수 있으므로, 치킨 한 마리 만 원, 반 마리 오천 원 등으로 판매가 가능하여 가격 경쟁력 상승 및 재주문률 대폭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루 약 백 마리의 치킨을 판매한다면, 한 달 약 3,000 만원의 매출이 발생되고, 이 중 약 40 % 재료비를 제외하면, 약 1,800 만원의 수익이 기대되며, 배달 대행 업체의 수수료로 약 10 %인 약 300 만원을 제외하면, 약 1,500 만원의 기대 수익이 발생되며, 매장 직원 2 명이면 하루 백 마리의 치킨을 충분히 조리 가능하므로, 인건비 약 600 만원과, 월임대료 약 50 만원 그리고 공과 잡비 등을 포함하여도 월 약 700 만원의 최소한의 고정 비용이 발생되므로, 매달 약 800 만원 가량의 기대 수익이 발생되어 약 3 개월 정도이면 손익 분기점을 돌파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도, 기존 배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치킨, 피자, 족발 등 단가가 높은 제품에 배달 서비스 비용까지 포함되어 많은 양을 주문할수록 지불해야 하는 배달 비용이 대폭 증가하므로, 고객의 부담이 가중되며, 요즘같은 일인 가구, 핵가족화 시대에 어울리지 않음으로써 재주문률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새로운 배달 시스템을 이용하면, 약 3 천원의 배달 서비스 비용이 발생하지만, 제품 가격에 대한 거품이 제거될 수 있으며, 다양한 업체에 소량 주문이 가능해짐으로써, 치킨 반 마리, 도너츠 한 두 개, 마트에서 맥주 한 캔, 과일 가게에서 과일 한 두 개 등의 다양한 제품을 원하는 시간에 동시에 서비스 받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새로운 배달 서비스를 이용하여, 고객이 음식 배달 서비스 뿐만 아니라, 세탁물을 맡기거나 찾거나, 책을 대여하거나 반납하는 배달 서비스를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의 배송팀에게 위탁이 가능하고, 택배를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대신 보관하고 받고 싶은 시간에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받을 수 있음으로서, 단순 음식 배달이 아닌 복합 문화 배달 서비스로 진화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소비자가 아닌 손재주가 좋아서 고객 호응이 좋은 제품을 생산하거나 지역 특산물 등을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에 위탁 판매하여, 모든 홍보, 마케팅 및 배달 서비스를 10 % 대의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 가능함으로서, 고객 입장에서는 부업 및 전업을 통한 수익 발생을 기대할 수도 있다.
따라서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는 고객 호응이 좋은 업체 및 개인이 증가할수록 고객의 배달 서비스 이용율이 증가하고, 신규 고객이 창출되며, 팀플레이 배달 서비스 센터 및 새로운 배달 서비스에 대한 신뢰도와 평판이 좋아짐으로서,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며, 선순환의 배달 시스템을 완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달 대행 서비스가 연계되어 지역 통합적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하여 복수 개의 고객 단말기(400), 복수 개의 제휴업체 단말기(200) 및 복수 개의 배송 단말기(300)들과 상호 연결된다.
통신망은 예컨대 유선, 무선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 등을 이용한 인터넷망 또는 전화 통신망으로 구비된다. 통신망은 고객 단말기(400)와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일 또는 복합의 통신망으로 구비된다. 또 통신망은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과 제휴업체 단말기(200) 및 배송 단말기(300)들 간에 전화 통화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고객 단말기(400)는 통신망을 통하여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검색 및 주문하기 위한 장치로,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타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된다. 고객 단말기(400)는 웹 브라우저나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배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등록한다.
제휴업체 단말기(200)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제휴업체에 구비된다. 제휴업체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전화, 포스(POS)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비된다.
배송 단말기(300)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센터에 소속된 배달 직원들 각각에 구비된다. 배송 단말기(300)는 상품 배송을 위하여 통신망을 통해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으로부터 배송하도록 결정되면,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주문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른 제휴업체를 확인한다. 배송 단말기(300)는 제휴업체 단말기(200)와 상호 연결되어 상품의 준비 상태를 확인한다. 배송 단말기(300)는 제휴업체에서 상품이 준비 완료되면, 상품을 수령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일괄 주문 접수 서비스와 배달 대행 서비스가 연계되어 지역 통합적인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설정된 배송 영역의 중심부에 개설된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 센터에 구비된다.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하여 주문 접수 서버(110)가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상품을 주문받아서, 제휴업제 단말기(200)와 배송 관리 서버(130)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한다. 또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기(40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고객에 대한 정보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에 회원 가입 시, 등록된 이름, 연락처, 주소 등의 회원 정보, 제휴업체에 대한 정보는 제휴업체의 취급 상품이나 메뉴 및 가격, 제휴 시 등록된 업체 정보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와, 네트워크부(104)와, 주문 접수 서버(110) 및 배송 관리 서버(130)를 포함한다.
제어부(102)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한다. 제어부(102)는 예컨대,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또는, 웹서버 등과 같은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02)는 주문 접수 서버(110)와 배송 관리 서버(130)가 연계되어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상품을 주문 접수받고, 제휴업체 단말기(200)와 배송 관리 서버(130)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도록 처리한다.
네트워크부(104)는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400)와 연결되어, 고객 단말기(400)와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또 네트워크부(104)는 제휴업체 단말기(200) 및 배송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상품을 주문 및 배송 처리하도록 상호 데이터 통신 또는 전화 통화가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주문 접수 서버(110)는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400)와 접속되고, 상품 주문 및 배송을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 접수한다. 주문 접수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상품의 주문 내역을 배송 관리 서버(13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이 실시예에서 주문 접수 서버(110)는 고객 단말기(400)들에 대한 회원 정보, 거래 내역 정보 등을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112)와, 제휴업체에 대한 업체 정보, 제휴업체의 취급 상품 및 메뉴, 가격 등을 관리하는 제휴업체 관리부(114)와,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상품 주문을 접수하고,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상품이 주문되면,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는 주문 접수부(116) 및, 배송 관리 서버(130)와 위치 파악된 제휴업체 단말기(200)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송 관리 서버(130)는 주문 접수 서버(110)로부터 상품의 주문 내역이 전달되면, 고객 단말기(40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고객 단말기(400)의 위치와 제휴업체 단말기(200)들의 위치를 통해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한다. 이 때, 배송 루트는 고객 단말기(400)의 배송 지역에 대한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으로 설정된다. 배송 관리 서버(130)는 고객 단말기(400)의 위치로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원의 배송 단말기(300)를 결정하여, 제휴업체 단말기(200)와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한 상품의 준비 여부를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또 배송 관리 서버(130)는 배송 단말기(300)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여, 배송 루트에 대응하여 고객 또는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 센터로 수령된 상품을 배송하도록 처리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송 관리 서버(130)는 고객 단말기(400)의 회원 정보나 고객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고객의 위치를 파악하여 배송 영역을 설정하는 고객 위치 설정부(132)와, 배송 영역에서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배송 루트 설정부(134)와, 제휴업체 단말기(200)와 연결하여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상품 준비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상품 준비가 완료되면 배송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제휴업체 확인부(136) 및,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배송 단말기(300)를 결정하고, 상품의 분배 또는 재조합에 따라 수령된 상품을 고객 또는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 센터로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부(13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주문 접수 서버(110)로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하여, 고객 단말기(400)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배송 관리 서버(13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로 전달하면, 배송 관리 서버(130)가 고객 단말기(40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여, 고객 또는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 센터로 수령된 상품을 배송하도록 처리한다. 그러므로, 팀플레이 배송 서비스 센터로 수령된 상품 중 동일한 상품은 고객들 각각에 대응하여 분배하거나 동일한 고객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상품들을 조합하여 배송 처리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계 S150에서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기(400)가 주문 접수 서버에 접속되어 상품을 주문하면, 이를 접수한다. 이 때, 고객 단말기(400)의 사용자들 각각은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단계 S152에서 주문 접수 서버(110)는 상품을 주문한 고객 단말기(400)들의 위치와, 각 고객에 의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한다. 여기서 주문 접수 서버(110)는 하나의 고객 단말기(400) 또는 복수 개의 고객 단말기(400)들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복수 개의 상품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상품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제휴업체들을 확인한다.
단계 S154에서 주문 접수 서버(110)는 상품의 주문 내역을 배송 관리 서버(130)와 해당 제휴업체들에 구비되는 제휴업체 단말기(200)들로 전달한다.
단계 S156에서 배송 관리 서버(130)는 주문 접수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최적의 배송 루트를 설정한다. 배송 루트는 예컨대, 해당 지역에서 고객들의 위치와 제휴업체들의 위치를 파악하여,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으로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된다.
단계 S158에서 배송 관리 서버(130)는 설정된 배송 루트를 포함하는 지역을 담당하는 배송원을 결정한다. 배송 관리 서버(130)는 결정된 배송원이 가지고 있는 배송 단말기(300)로 상품의 주문 내역과, 배송 루트와, 고객의 위치 및 제휴업체의 위치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160에서 배송 단말기(300)와 제휴업체 단말기(200) 간에 상품 준비 상태를 확인하고, 상품이 준비 완료되면, 단계 S162로 진행하여 제휴업체로부터 상품을 수령한다.
단계 S164에서 상품의 주문 내역이 복수 개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상품별, 고객별로 상품을 분배 또는 재조합하는지를 판별한다. 즉, 동일한 고객이 주문한 복수 개의 상품들을 하나로 묶어서 포장하거나, 동일한 상품들을 각각의 고객에게 나누어 포장한다.
단계 S166에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분배 또는 재조합하여 상품을 셋팅하고, 이어서 단계 S168에서 수령 또는 셋팅된 상품을 배송 루트에 따라 고객의 위치로 배송한다. 즉, 배송팀이 각 제휴업체들로부터 수령된 상품들을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100)의 센터로 가지고 와서, 복수 개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른 순서대로 상품들을 나열하고, 동일한 상품을 각각의 고객들로 분배하거나, 각각의 고객이 주문한 상품들을 하나로 재조합하여 배송할 수 있도록 상품을 셋팅한다. 배송팀은 세팅이 완료된 상품부터 배송을 시작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102 : 제어부
104 : 네트워크부
110 : 주문 접수 서버
130 : 배송 관리 서버
200 : 제휴업체 단말기
300 : 배송 단말기
400 : 고객 단말기

Claims (7)

  1.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고객 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주문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주문 접수 서버 및;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기의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와 상기 제휴업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배송 지역에 대한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고, 상기 배송 루트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상품을 배송하는 배송원의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여,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제휴업체로부터 상품을 받아서 상기 고객 단말기의 고객에게 상품을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상기 배송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접수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대한 회원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 관리부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에 대한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제휴업체 관리부와;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상품이 주문되면,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는 주문 접수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고객 단말기의 지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을 전달하는 주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 서버는;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배송 영역을 설정하는 고객 위치 설정부와;
    상기 배송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배송 루트 설정부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로 상품이 준비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상품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전달하는 제휴업체 확인부 및;
    상기 고객 단말기가 주문한 상품의 주문 내역에 대응하여 상기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휴업체 확인부가 상품이 준비되었는지 확인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을 수령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송 관리부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 복수 개의 제휴업체들의 상품들을 주문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배송 단말기의 배달원이 상품들을 수령받아서 상품을 분배하거나 재조합하여 상품을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배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5. 주문 접수 서버와 연계해서 고객 단말기로부터 주문된 상품을 제공하는 제휴업체 단말기로 전달하여 주문된 상품을 고객에게 배달하도록 처리하는 배송 관리 서버를 구비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에 접속되어 상품을 주문받는 단계와;
    상기 주문 접수 서버가 주문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품의 주문 내역을 상기 배송 관리 서버와 해당 제휴업체의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들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상기 주문 접수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품의 주문 내역을 확인하여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배송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배송 영역에 따른 최단 거리 또는 최단 시간의 배송 루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설정된 상기 배송 루트를 포함하는 배송 영역을 담당하는 배송원이 가지고 있는 배송 단말기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관리 서버가 결정된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의 주문 내역과, 상기 배송 루트와,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의 위치를 포함하는 배송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배송 단말기와 상기 제휴업체 단말기 간에 상품 준비 상태를 확인하여, 상품이 준비 완료되면,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 수령을 하도록 하는 단계 및;
    수령된 상품을 상기 배송 루트에 따라 상기 고객 단말기의 위치로 배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상품의 주문 내역이 복수 개의 상품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송 단말기로 상품 수령을 하도록 하는 단계이 후, 상품별, 고객별로 상품을 분배 또는 재조합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품을 분배 또는 재조합하면, 상품의 주문 내역에 따라 동일한 상품을 각각의 고객 단말기에 대해 분배하거나, 동일한 고객 단말기에 대해 복수 개의 상품을 재조합하여 상품을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방법은;
    지역별로 설정된 배송 영역에 상기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의 처리 방법.
KR1020140083192A 2014-07-03 2014-07-03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4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92A KR20160004625A (ko) 2014-07-03 2014-07-03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192A KR20160004625A (ko) 2014-07-03 2014-07-03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625A true KR20160004625A (ko) 2016-01-13

Family

ID=5517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192A KR20160004625A (ko) 2014-07-03 2014-07-03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62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165A (ko) * 2018-03-27 2019-10-08 성형주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 직거래 및 조리 중개 시스템
JP2019530935A (ja) * 2016-10-18 2019-10-24 ウーワ ブラザ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oowa Brothers Co., Ltd. デリバリー注文割当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44973A (ko) 2019-10-16 2021-04-26 이인우 통합배송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쇼핑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44974A (ko) 2019-10-16 2021-04-26 이인우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113762566A (zh) * 2020-09-17 2021-12-07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送达时间的方法和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0935A (ja) * 2016-10-18 2019-10-24 ウーワ ブラザ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Woowa Brothers Co., Ltd. デリバリー注文割当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90113165A (ko) * 2018-03-27 2019-10-08 성형주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농산물 직거래 및 조리 중개 시스템
KR20210044973A (ko) 2019-10-16 2021-04-26 이인우 통합배송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쇼핑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44974A (ko) 2019-10-16 2021-04-26 이인우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20220066881A (ko) 2019-10-16 2022-05-24 주식회사 카팅온 종합유통물류 통합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CN113762566A (zh) * 2020-09-17 2021-12-07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送达时间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58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business operations
US10600095B2 (en) Kiosk management system
US9984352B2 (en) Kiosk network in a kiosk management system
KR101839256B1 (ko)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모바일 거래
US200700502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ccess to decision critical information for food services supply chain management
CN107944834A (zh) 一种健身saas大数据一体化管理平台
US20150088698A1 (en) Mobile transactions with a kiosk management system
CN107301580A (zh) 一种铁路列车的在途消费实现方法及系统
US20140089061A1 (en) Mobile drive thru ordering system
US202302980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he provision of goods
KR20160004625A (ko) 팀플레이를 활용한 지역 통합 배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A2609835A1 (en) System, method and process for order and delivery of classified goods and services through an amalgamated drive-thru complex
CN108108968A (zh) 支付管理系统的实现方法、设备、系统及可读存储介质
US20170228837A1 (en) Digital Airport Shopping System
CN108038764A (zh) 一种基于物联网的一站式食材订购电子商务系统
JP2014002453A (ja) 販売システム、販売サーバ及び販売方法
CN108805638A (zh) 一种物联网购物平台及系统
JP2002342437A (ja) 料理提供支援システム、料理提供支援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806907B2 (ja) 旅行販売システム及び旅行販売方法
CN110473060B (zh) 一种b2b农产品交易系统
JP2002230340A (ja) 販売業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販売業者管理方法
JP2003223572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センタ装置
CN112184381B (zh) 外卖式购物的代购方法、装置、系统、设备和存储介质
AU2021202093A1 (en) A computer-enabl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managing the exchange between third parties of service contracts for the provision of a restaurant booking or other analogous service
JP2003030550A (ja) 受注システムおよび受注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