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24U -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24U
KR20160004424U KR2020150003924U KR20150003924U KR20160004424U KR 20160004424 U KR20160004424 U KR 20160004424U KR 2020150003924 U KR2020150003924 U KR 2020150003924U KR 20150003924 U KR20150003924 U KR 20150003924U KR 20160004424 U KR20160004424 U KR 201600044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backrest
lumbar
us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준
Original Assignee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준 filed Critical 박경준
Priority to KR2020150003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424U/ko
Publication of KR20160004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받침부와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등받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와; 상기 등받이의 배면에 결합되며, 다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결합공과 대응되도록 상부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장공의 수직방향 어느 하나의 위치와 결합공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와, 이 고정볼트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바와; 상기 등받이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요추받침대가 수직바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와 요추받침대를 결합구성하는 매개체를 탄성부재 하나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형과 앉은 자세 및 습관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요추받침대가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탄력적으로 요추를 받쳐줄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게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Lumbar Support Structure for Chair}
본 고안은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의자에 앉아 등을 기댈 때 좌, 우 등판이 착석자의 체형에 맞추어 지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락함은 물론 척추 및 요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체결수단을 견고하게 하는 의자 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 등받이는 접촉면식으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쿠션과 등 부위를 받쳐주는 등받이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쿠션과 등받이를 분리한 후 등받이는 쿠션의 후방으로 일정각도 조절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들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주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요추받침대의 한 예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97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둔부와 등의 상부 부분만이 밀착됨으로써, 둔부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는 등허리의 요추 부분은 등받이와 이격된 상태로 놓이기 때문에 등받이가 안정적으로 요추를 받쳐주지 못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등 부위가 쉽게 피로해질 수밖에 없게 되어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여기서,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추 부분에 해당하는 등받이 부분을 돌출시킨다면, 사용자의 체형이 각각 다르고, 사용자마다 요추의 위치가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기 때문에 획일적으로 요추 부분에 해당하는 등받이 부분을 돌출시키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10)의 등받이(1)에 요추받침대(3)를 결합시키되, 이 요추받침대(3)가 상, 하부로 이동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요추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되면서 요추받침대(3)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등받이(1)와 요추받침대(3) 사이에는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5)이 장착되어 요추받침대(5)가 사용자의 요추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스프링(5)은 단순하게 요추받침대(5)가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주는 과정에서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에 의해 요추를 받쳐주기만 하는 기능에 제한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상기 등받이(1)와 요추받침대(3)를 결합시키거나 연결시키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고정부재(7)와 이 고정부재(7)에 삽입되어 왕복동하는 이동부재(9)의 결합구조에 의한 것이고, 이 이동부재(9)의 왕복동은 스프링(5)의 탄성력과 탄성복원력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5)은 이동부재(9)의 직선 왕복동만을 유도하므로, 종래의 요추받침대(3)는 사용자의 앉은 자세나 체형, 습관 등에 의한 상, 하, 좌, 우 방향으로의 치우침, 떨림, 편중됨에 대하여 탄력대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3973호 (2013.07.03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상기 스프링이 등받이와 요추받침대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담당하면서도 요추받침대를 탄력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형, 앉은 자세 및 습관에 따른 상, 하, 좌, 우방향으로의 치우침, 떨림, 편중됨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착석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의 양단이 등받이와 요추받침대에 체결되는 체결구조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여 간편한 조립작업으로 작업공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받침부(102)와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104)가 구비된 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4)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분리부(106)와; 상기 등받이(104)의 배면에 결합되며, 다수 개의 결합공(108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08)과; 상기 고정브라켓(108)의 결합공(108a)과 대응되도록 상부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10a)이 형성되며, 장공(110a)의 수직방향 어느 하나의 위치와 결합공(108a)으로 관통되는 고정볼트(112)와, 이 고정볼트(112)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14)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직바(110)와; 상기 등받이(104)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요추받침대(116)가 수직바(110)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은, 선재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는 서로 밀착되도록 권선되어 볼트체결부(122)를 형성하고, 내측의 일정길이는 압축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0)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단 볼트체결부(122)에 체결되도록 외경에 숫나사산(124a)이 형성되고, 내경에는 암나사산(124b)이 형성된 체결부재(124)와; 상기 요추받침대(116)의 배면에 돌출되도록 고정결합되어 탄성부재(12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126)와; 상기 수직바(110)의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27)과; 상기 통공(127)으로 관통되어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으로 체결되는 제2결합부(128)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상기 등받이와 요추받침대를 결합구성하는 매개체가 압축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만으로 이루어지게 하되, 이 탄성부재의 양단에서 일정 구간 또는 일정 길이만큼은 서로 밀착된 구조로 권선되게 하고,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발휘하도록 된 압축구간은 내측에서 일정 길이 또는 일정 구간만큼 서로 이격되도록 권선시킴으로써, 체결부재가 탄성부재 양단의 체결부에 직접 체결되어 사용자의 체형과 앉은 자세 및 습관에 따른 요추받침대의 변화에 대하여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으로도 탄력적으로 요추받침대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요추를 편안하엑 받쳐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등받이에 요추받침대가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요추받침대가 의자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추받침대와 의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추받침대가 의자에 결합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요추받침대, 수직바, 탄성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받침부(102)와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104)가 구비된 통상의 의자(100)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주도록 된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자(100)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의자(100)의 구조에서는 등받이(104)와 받침부(102)는 'ㄴ'자의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둔부와 등허리 사이의 요추는 받침부(102)와 등받이(104) 중 어느 하나에도 밀착되어 받쳐줄 수 없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일체형으로 요추받침대(116)를 성형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요추받침대(116)를 성형하여 등받이(104)에 요추받침대(116)를 결합시킴으로써, 의자(100)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요추가 요추받침대(116)에 의하여 받쳐지게 하여 편안한 착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의자(100)의 등받이(104)에 결합되는 요추받침대(116)가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거나 받쳐주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등받이(104)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중앙분리부(10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앙분리부(106)는 하부 트임형 또는 상부 트임형 또는 상, 하부가 완전 분리된 듀얼타입(일반적으로 듀오백 의자로 명명되고, 첨부의 도면에 도시된 유형임)일 수도 있으며, 수직으로 길게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104)의 배면에는 다수 개의 결합공(108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08)이 결합되며, 이 고정브라켓(108)은 등받이(104) 전방에서 중앙분리부(106)를 통하여 노출되게 함으로써, 하술하게 될 탄성부재(120)가 용이하게 고정결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등받이(104)의 배면과 고정브라켓(108)의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바(110)가 설치되는바, 이 수직바(110)에는 상기 고정브라켓(108)의 결합공(108a)과 대응되도록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장공(110a)이 상부에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108)에 형성된 결합공(108a)으로 고정볼트(112)를 관통시키고, 이 고정볼트(112)가 길게 형성된 장공(110a)의 어느 한 곳으로 관통된 후, 고정너트(114)를 고정볼트(112)에 체결시키면 수직바(110)가 고정브라켓(108)에 고정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바(110)의 장공(110a)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성형된 것이므로, 고정볼트(112)의 위치가 장공(110a)의 상, 중, 하부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수직바(110)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결국, 사용자의 체형 등에 따라 요추받침대(116)의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한다면, 고정볼트(112)를 느슨하게 해체한 후, 고정볼트(112)와 장공(110a)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볼트(112)와 고정너트(114)를 조임으로써, 사용자에게 알 맞는 요추받침대(116)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등받이(104)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요추받침대(116)를 수직바(110)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시키기 위한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0)는 압축스프링의 기본구조에 기반을 두며, 이 탄성부재(120)의 양단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가 일정길이 또는 일정구역에서 나사선 사이가 서로 밀착되도록 권선함으로써, 볼트체결부(122)를 구성하고, 볼트체결부(122)의 내측의 선재는 압축력, 인장력, 및 비틀림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나사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권선구조를 가지는 코일스프링 구조로서, 360도의 전방향으로 병진 및 회전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20)는 수직바(110)와 요추받침대(116) 사이에 수직으로 상하 두 개가 설치되는 것이 수직바(110)가 세로로 길게 형성된 형태나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의 정도 등을 고려할 때에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단 볼트체결부(122)에는 외경에 숫나사산(124a)이 형성된 체결부재(124)가 체결되는바, 상기 체결부재(124)의 숫나사산(124a)은 탄성부재(120)의 볼트체결부(122)를 구성하는 선재의 두께와 대응되도록 성형하여 체결부재(124)를 회전시키면 볼트체결부(122)의 숫나사산(124a)이 탄성부재(120)의 볼트체결부(122)를 구성하는 선재를 따라 권선방향으로 리드되면서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20)의 볼트체결부(122) 내경의 크기는 체결부재(124)의 외경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비교적 작게 성형하여 체결부재(124)가 체결되면서 볼트체결부(122)의 내경에 회전에 의하여, 또는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게 함으로써, 탄성부재(120)의 볼트체결부(122)가 체결부재(124) 외경을 선재의 탄성복원력으로 조이는 작용을 하게 되어 체결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124)의 내경에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산(124b)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체결부재(124)의 내경은 암나사산(124b)이 형성되고, 체결부재(124)의 외경에는 숫나사산(124a)이 형성된 이중결합구조를 가지게 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24)는 유두형 구조 또는 무두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선택할 수 있으며, 유두형 체결부재일 경우에는 체결부재(124)를 체결하거나 해체할 때, 머리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지만, 무두형일 경우에는 체결부재(124)를 체결하거나 해체할 때 힘의 전달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24)의 내경에 암나사산(124b) 보다 내경이 크게 설정되도록 키홈(통상적으로 육각키홈)을 성형함으로써, 이 키홈을 이용하여 체결부재(12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결부재(124)는 유두형 체결부재(도시하지 않음)와 무두형 체결부재(124)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채택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추받침대(116)의 배면에는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에 체결되도록 제1결합부(126)가 돌출되게 결합되어 탄성부재(120)의 일단를 고정결합시킨다.
아울러, 상기 수직바(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27)을 형성하고, 이 통공(127)으로는 제2결합부(128)가 관통된 후 탄성부재(120)의 타단에 체결된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으로 체결되어 수직바(110)에 탄성부재(120)가 고정결합되게 한다.
결국, 본 고안의 등받이(104) 배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8)에는 수직바(110)가 상, 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이 수직바(1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또는 다수 개의 탄성부재(120)가 제2결합부(128)에 의하여 체결고정되고, 제2결합부(128)에 체결고정되는 탄성부재(120)의 일단은 요추받침대(116)의 배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결합부(126)가 체결고정됨으로써, 요추받침대(116)와 수직바(110)는 탄성부재(120)에 의하여 연결 또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요추받침대(116)에 편중된 힘이 가해지거나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 따라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으로 거동하더라도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고 있던 요추받침대(116)는 탄성부재(120)의 탄성력, 탄성복원력, 휨력, 휨복원력에 의하여 지속적이고도 자유롭게 사용자의 요추를 받쳐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의자 102 : 받침부
104 : 등받이 106 : 절개부
108 : 고정브라켓 108a : 결합공
110 : 수직바 110a : 장공
112 : 고정볼트 114 : 고정너트
116 : 요추받침대 120 : 탄성부재
122 : 체결부 124 : 체결부재
126 : 제1결합부 127 : 통공
128 : 제2결합부

Claims (2)

  1.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받침부(102)와 등허리를 받쳐주는 등받이(104)가 구비된 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4)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중앙분리부(106)와;
    상기 등받이(104)의 배면에 결합되며, 다수 개의 결합공(108a)이 형성된 고정브라켓(108)과;
    상기 고정브라켓(108)의 전단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바(110)와;
    상기 등받이(104) 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탄력적으로 받쳐주는 요추받침대(116)가 수직바(110)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은
    선재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는 나사선 사이가 서로 밀착되도록 권선되어 볼트체결부(122)를 형성하고, 내측의 일정길이는 나사선 사이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압축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120)를 포함하여, 상기 볼트체결부(122)에 상기 요추받침배(116)와 상기 수직바(110)의 일단을 볼트 결합함으로써 상기 요추받침대(116)가 상기 수직바(110)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받침대의 탄성결합수단은,
    상기 탄성부재(120)의 양단 볼트체결부(122)에 체결되도록 외경에 숫나사산(124a)이 형성되고, 내경에는 암나사산(124b)이 형성된 체결부재(124)와;
    상기 요추받침대(116)의 배면에 돌출되도록 고정결합되어 탄성부재(120)의 양단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에 체결되는 제1결합부(126)와;
    상기 수직바(110)의 하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127)과;
    상기 통공(127)으로 관통되어 체결부재(124)의 암나사산(124b)으로 체결되는 제2결합부(12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KR2020150003924U 2015-06-16 2015-06-16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KR201600044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24U KR20160004424U (ko) 2015-06-16 2015-06-16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924U KR20160004424U (ko) 2015-06-16 2015-06-16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24U true KR20160004424U (ko) 2016-12-26

Family

ID=5770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924U KR20160004424U (ko) 2015-06-16 2015-06-16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4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1447A1 (en) * 2021-09-14 2023-03-16 Shenzhen Microtouch Ergonomic Technology Inc.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and chair u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73U (ko) 2011-12-23 2013-07-03 김선규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973U (ko) 2011-12-23 2013-07-03 김선규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1447A1 (en) * 2021-09-14 2023-03-16 Shenzhen Microtouch Ergonomic Technology Inc.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and chair us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299B2 (en) Chair with ergonomic motion features
EP1858372B1 (en) Chair back
US9301617B2 (en) One-piece office chair with an adjusting apparatus
KR20110043307A (ko)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US20150061336A1 (en) Chair with seat of adjustable length
KR20160004424U (ko) 의자용 요추받침대의 구조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US11419425B2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JP6684114B2 (ja) 椅子の背もたれ
KR101074490B1 (ko)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486333B1 (ko) 사무용 의자
KR200445660Y1 (ko) 의자
WO2015072395A1 (ja) 椅子
JP2017221667A (ja) 着座面用の調節可能な後部支持体
KR101069769B1 (ko) 의자
JP2013123453A (ja) 椅子の身体支持構造物の曲率変更機構
KR20120055217A (ko) 요추받침 기능을 갖는 의자용 등받이
US8613484B2 (en) Detachable chair
KR101052551B1 (ko) 의자
KR101730880B1 (ko) 허리지지부의 곡률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200314499Y1 (ko) 전후 경사 이동 가능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2014079492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