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422A -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422A
KR20160004422A KR1020140082323A KR20140082323A KR20160004422A KR 20160004422 A KR20160004422 A KR 20160004422A KR 1020140082323 A KR1020140082323 A KR 1020140082323A KR 20140082323 A KR20140082323 A KR 20140082323A KR 20160004422 A KR20160004422 A KR 20160004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measurement data
measuring
point
de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883B1 (ko
Inventor
박종구
김호정
원석희
표진휘
박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2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8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4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는 제 1 계측 점이 형성된 제 1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 제 2 계측 점이 형성된 제 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 제 1 구조물의 형상과 제 2 구조물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는 구조물 합치부; 및 구조물 합치부를 통해 합치된 제 1 구조물의 제 1 계측점의 계측 정보와 제 2 구조물의 제 2 계측점의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비교하여,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변형 계측 도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measurement data of structure}
본 발명은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방법은 구조물이 대부분 사람의 신장의 두 세배 이상의 높이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해 작업자가 필수적으로 사람의 신장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고소 작업을 수행해야만 했었다.
그런데, 종래 고소 작업은 구조물의 치수 품질 측정을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었지만, 작업자의 작업 자세와 피로도에 따라 구조물의 치수 품질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하기 위한 계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고소 작업은 구조물의 치수 품질 측정을 위해 필수적인 작업이었지만, 작업 위치가 사람의 신장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고소 작업에 대해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하는데에 한계가 있었으므로,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줄이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소 작업에 대해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고소 작업 없이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 데이터를 통해 손쉽게 계측함으로써,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개선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변형된 구조물을 손쉽게 인지하고,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 구조물의 정상적인 상태로 설계함으로써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개선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일예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4658호(2012.05.08 공개)는 블록 세팅 시뮬레이터(123)에서 복수개의 블록을 세팅하고, 실시간 계측 관리부(124)에서 복수개의 블록을 계측하며, 블록 세팅 시뮬레이터(123)에서 블록 제작 정보와 3차원 캐드 블록 정보 및 설계 정규값과 계측값 정보를 입력받아 블록의 제작에 따른 변형 데이터와 변형 추론식을 이용하여 블록 용접시의 수축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수축량을 고려하여 블록 형상에 반영함으로써 블록 계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공개한 바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4658호(2012.05.08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는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계측 점이 형성된 제 1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 제 2 계측 점이 형성된 제 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 제 1 구조물의 형상과 제 2 구조물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는 구조물 합치부; 및 구조물 합치부를 통해 합치된 제 1 구조물의 제 1 계측점의 계측 정보와 제 2 구조물의 제 2 계측점의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비교하여,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변형 계측 도출부를 포함할 수가 있다.
이때, 변형 계측 도출부는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과 자중에 의한 처짐 변형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변형 계측 도출부에서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하는 역 변형 형상 도출부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의 제 1 구조물의 형상과 제 2 구조물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변형 계측 도출부를 통해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의 제 1 구조물의 형상과 제 2 구조물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제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변형 계측 도출부를 통해 제 1 구조물과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는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1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104) 및 구조물 합치부(106)와 변형 계측 도출부(108)를 포함한다.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102)는 제 1 계측 점(AP1 내지 AP5)이 형성된 제 1 구조물(A)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구조물(A)은 소형블록으로 제공되고, 소형블록에 제 1 계측 점(AP1 내지 AP5)이 형성되어 소형블록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104)는 제 2 계측 점(BP1 내지 BP5)이 형성된 제 2 구조물(B)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2 구조물(B)은 N개의 소형블록으로 제공되고, N개의 소형블록에 제 2 계측 점(BP1 내지 BP5)이 형성되어 소형블록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구조물 합치부(106)는 제 1 구조물(A)의 형상과 제 2 구조물(B)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C)의 형상을 제작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1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104) 및 구조물 합치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CAD 프로그램(미도시)에 설정되어 작업자의 CAD 작업에 따라 제 1 구조물(A)의 형상과 제 2 구조물(B)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C)의 형상을 제작할 수가 있다.
변형 계측 도출부(108)는 구조물 합치부(106)를 통해 합치된 제 1 구조물(A)의 제 1 계측점(AP1 내지 AP5)의 계측 정보와 제 2 구조물(B)의 제 2 계측점(BP1 내지 BP5)의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CAP1 내지 C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CBP1 내지 C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비교하여, 제 1 구조물(A)과 제 2 구조물(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하도록 제공된다.
이때, 변형 계측 도출부(108)는 제 1 구조물(A)과 제 2 구조물(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과 자중에 의한 처짐 변형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일예로, 변형 계측 도출부(108)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AT1 내지 AT5, BT1 내지 BT5)중 하나의 변형(AP4')에 대한 계측 정보(AT4)를 살펴보면,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오차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오차,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오차가 발생됨을 도출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4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400)은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4) 및 구조물 합치 단계(S406)와 변형 계측 도출 단계(S408)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2)는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도1의 102)에서 제 1 계측 점(도2의 AP1 내지 AP5)을 형성하여 제 1 구조물(도2의 A)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4)는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도1의 104)에서 제 2 계측 점(도2의 BP1 내지 BP5)을 형성하여 제 2 구조물(도2의 B)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구조물 합치 단계(S406)는 제 1 구조물(도2의 A)의 형상과 제 2 구조물(도2의 B)의 형상을 구조물 합치부(도1의 106)에서 합치하여 제 3 구조물(도2의 C)의 형상을 제작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변형 계측 도출 단계(S408)는 구조물 합치부(도1의 106)를 통해 합치된 제 1 구조물(도2의 A)의 제 1 계측점(도2의 AP1 내지 AP5)의 계측 정보와 제 2 구조물(도2의 B)의 제 2 계측점(도2의 BP1 내지 BP5)의 계측 정보를 변형 계측 도출부(도1의 108)에서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도2의 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도3의 CAP1 내지 C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도3의 CBP1 내지 C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비교하여, 변형 계측 도출부(도1의 108)에서 제 1 구조물(도2의 A)과 제 2 구조물(도2의 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변형 계측 도출 단계(S408)는 변형 계측 도출부(도1의 108)에서 제 1 구조물(도2의 A)과 제 2 구조물(도2의 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과 자중에 의한 처짐 변형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할 수가 있다.
일예로, 변형 계측 도출 단계(S408)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중 하나의 변형(도3의 AP4')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4)를 살펴보면,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오차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오차,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오차가 발생됨을 변형 계측 도출부(108)에서 도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 및 그 관리 방법(400)은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1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104) 및 구조물 합치부(106)와 변형 계측 도출부(108)를 포함하여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404) 및 구조물 합치 단계(S406)와 변형 계측 도출 단계(S408)를 수 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 및 그 관리 방법(400)은 작업 위치가 사람의 신장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고소 작업에 대해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고소 작업 없이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 데이터를 통해 손쉽게 계측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100) 및 그 관리 방법(400)은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 구조물(A, B, C)의 상태를 계측 데이터를 통해 손쉽게 계측할 수가 있으므로, 변형된 구조물(A, B, C)을 손쉽게 인지할 수가 있어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도1의 100)와 동일하게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5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504) 및 구조물 합치부(506)와 변형 계측 도출부(5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도1의 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는 역 변형 형상 도출부(510)를 더 포함한다.
즉, 역 변형 형상 도출부(510)는 변형 계측 도출부(508)에서 제 1 구조물(도2의 A)과 제 2 구조물(도2의 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도3의 AP1 내지 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측 점(도3의 BP1 내지 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도3의 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도3의 CAP1 내지 C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도3의 CBP1 내지 C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하도록 제공된다.
일예로, 역 변형 형상 도출부(510)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중 하나의 변형(도3의 AP4')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4)에 있어서, 변형 계측 도출부(508)에서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오차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오차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오차가 발생됨을 도출할 때에,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도3의 AP1 내지 AP5)중 하나의 계측 점(도3의 AP4)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도3의 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도3의 CAP1 내지 CAP5)중 하나의 기준 계측 점(도3의 CAP4)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추도록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인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설계 범위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설계 범위,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설계 범위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6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600)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도1의 1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도4의 400)과 동일하게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6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604) 및 구조물 합치 단계(S606)와 변형 계측 도출 단계(S608)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도1의 1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도4의 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를 이용한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방법(600)은 변형 계측 도출 단계(S608) 이후에, 역 변형 형상 도출 단계(S610)를 더 수행한다.
즉, 역 변형 형상 도출 단계(S610)는 변형 계측 도출부(도5의 508)에서 제 1 구조물(도2의 A)과 제 2 구조물(도2의 B)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를 도출할 때에, 역 변형 형상 도출부(도5의 5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도3의 AP1 내지 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측 점(도3의 BP1 내지 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도3의 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도3의 CAP1 내지 CA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CBP1 내지 CBP5)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한다.
일예로, 역 변형 형상 도출 단계(S610)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도3의 AP1' 내지 AP5', BP1' 내지 BP5')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1 내지 AT5, BT1 내지 BT5)중 하나의 변형(도3의 AP4')에 대한 계측 정보(도3의 AT4)에 있어서, 변형 계측 도출부(도5의 508)에서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오차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오차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오차가 발생됨을 도출할 때에, 역 변형 형상 도출부(도5의 5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도3의 AP1 내지 AP5)중 하나의 계측 점(도3의 AP4)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도3의 C)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도3의 CAP1 내지 CAP5)중 하나의 기준 계측 점(도3의 CAP4)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추도록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인 X축방향으로 +1mm 정도의 설계 범위와, Y축방향으로 +5mm 정도의 설계 범위, 및 Z축방향으로 -4mm 정도의 설계 범위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 및 그 관리 방법(600)은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5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504) 및 구조물 합치부(506)와 변형 계측 도출부(508) 및 역 변형 형상 도출부(510)를 포함하여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602)와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 단계(S604) 및 구조물 합치 단계(S606)와 변형 계측 도출 단계(S608) 및 역 변형 형상 도출 단계(S61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 및 그 관리 방법(600)은 작업 위치가 사람의 신장보다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고소 작업에 대해 작업자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고소 작업 없이 구조물의 상태를 계측 데이터를 통해 손쉽게 계측할 수가 있으므로, 작업자의 생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 및 그 관리 방법(600)은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 구조물(A, B, C)의 상태를 계측 데이터를 통해 손쉽게 계측할 수가 있으므로, 변형된 구조물(A, B, C)을 손쉽게 인지할 수가 있어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500) 및 그 관리 방법(600)은 변형된 구조물(A, B, C)이 발생할 경우, 변형된 구조물(A, B, C)의 계측 데이터를 기초로 기준이 되는 계측 정보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하므로,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에 구조물(A, B, C)의 정상적인 상태로 설계할 수가 있어 실제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의 상승을 더욱 억제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3)

  1. 제 1 계측 점이 형성된 제 1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계측 데이터 생성부;
    제 2 계측 점이 형성된 제 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 계측 데이터 생성부;
    상기 제 1 구조물의 형상과 상기 제 2 구조물의 형상을 합치하여 제 3 구조물의 형상을 제작하는 구조물 합치부; 및
    상기 구조물 합치부를 통해 합치된 상기 제 1 구조물의 상기 제 1 계측점의 계측 정보와 상기 제 2 구조물의 상기 제 2 계측점의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구조물과 상기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변형 계측 도출부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계측 도출부는,
    상기 제 1 구조물과 상기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용접에 의한 수축 변형과 자중에 의한 처짐 변형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하는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계측 도출부에서 상기 제 1 구조물과 상기 제 2 구조물이 합치될 때에 발생하는 변형에 대한 계측 정보를 도출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를 기준이 되는 제 3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에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기준 계측 점에 해당하는 계측 정보에 맞춰 역 변형 설계될 형상을 도출하는 역 변형 형상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KR1020140082323A 2014-07-02 2014-07-0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KR10162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3A KR101625883B1 (ko) 2014-07-02 2014-07-0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323A KR101625883B1 (ko) 2014-07-02 2014-07-0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422A true KR20160004422A (ko) 2016-01-13
KR101625883B1 KR101625883B1 (ko) 2016-06-01

Family

ID=5517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323A KR101625883B1 (ko) 2014-07-02 2014-07-02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8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83B1 (ko) * 2006-10-20 2008-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정도관리 방법
KR20120044658A (ko) 2010-10-28 2012-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세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2146262A (ja) * 2011-01-14 2012-08-02 Toshiba Corp 構造物計測システム
KR101312851B1 (ko) * 2012-06-28 2013-09-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측 변위를 이용한 구조물의 변형 형상 추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583B1 (ko) * 2006-10-20 2008-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건조를 위한 정도관리 방법
KR20120044658A (ko) 2010-10-28 2012-05-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세팅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2146262A (ja) * 2011-01-14 2012-08-02 Toshiba Corp 構造物計測システム
KR101312851B1 (ko) * 2012-06-28 2013-09-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계측 변위를 이용한 구조물의 변형 형상 추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준호 외3인, '한정된 계측 변위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형상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3권 제4호, 2013.07, pp.1295-13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883B1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5223B2 (en) Repair method for the additive repair of a component
CN102909728B (zh) 机器人工具中心点的视觉校正方法
Nojedeh et al. Tool path accuracy enhancement through geometrical error compensation
CN103901852B (zh) 一种飞机装配结合面数字化加垫方法
US20210197396A1 (en) Method for measuring pose of robotic end tool
TW201525633A (zh) Cnc加工調機系統及方法
CN103769953A (zh) 加工弧形件的变形补偿方法
JP2016175404A (ja) 積層造形装置を用いた積層造形方法
CN106023237B (zh) 一种双目摄像机定位校准方法
KR101625883B1 (ko) 구조물의 계측 데이터 관리 장치
CN106482648B (zh) 基于不动点的远距离面内小位移绝对监测装置及方法
JP2017037460A (ja) 加工システム及び加工方法
CN112035925B (zh) 一种监测装配式建筑的装配精度的方法和装置
CN105278457B (zh) 基于分步体对角线测量法的空间误差补偿方法
CN103273292A (zh) 一种细长复杂t型零件变形的控制及补偿方法
CN106403809A (zh) 一种部件数字化柔性装配高速动态测量方法
KR101247763B1 (ko) 블록 정합 방법
CN109016534B (zh) 用于以介质的自调节的施用来连接至少两个构件的方法
KR101468032B1 (ko) 지점별 좌표의 오류를 보정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105320813A (zh) 一种实际相贯线截面生成的方法及装置
CN107063157A (zh) 一种汽车钣金件基准坐标系的建立方法
CN102285597A (zh) 起重机吊臂的臂间定位方法和结构、起重机吊臂和起重机
DeFisher Metrology for manufacturing of freeform optical surfaces with UltraSurf
CN103673962A (zh) 轮廓线自动量测系统及方法
KR20130029883A (ko) 작업 조인트를 이용한 레이저비전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