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223A - 전기레인지 - Google Patents

전기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223A
KR20160004223A KR1020150094627A KR20150094627A KR20160004223A KR 20160004223 A KR20160004223 A KR 20160004223A KR 1020150094627 A KR1020150094627 A KR 1020150094627A KR 20150094627 A KR20150094627 A KR 20150094627A KR 20160004223 A KR20160004223 A KR 20160004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generating
electric range
heating
cooking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훈 filed Critical 이승훈
Priority to KR1020150094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223A/ko
Publication of KR2016000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2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다중의 발열판(발열히터)를 구비하여 조리 용기의 크기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리용 발열판을 구비하는 전기레인지로서, 상기 조리용 발열판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로 구비되고, 상기 제1 발열부(110) 및 제2 발열부(120)는 안쪽에 다중의 조리를 가능하도록 구획 형성되는 발열 조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레인지{Electric range}
본 발명은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레인지에 다중의 발열판(발열히터)를 구비하여 조리 용기의 크기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기히터나 별도의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기레인지가 많이 보급되어지고 있다. 전기레인지의 가장 큰 장점은 불꽃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으로서, 불꽃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실내 공기오염과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레인지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인덕션 방식과 열선 방식의 히터로 구분되며, 인덕션 방식은 전자유도의 원리로서 조리 용기에 자력을 가해 조리 용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고, 열선 방식은 발열 히터의 복사열을 이용하는 원리로 히터 자체에서 열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기기이다.
최근 주방기구등의 미적 감각 및 공간활용률의 극대화를 위하여 싱크대가구 내부로 각종 주방기구 등에 매립형으로 설치하는 빌트인 방식이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더불어 생활의 편리함을 위하여 이동식 전기레인지를 사용하여 언제 어디에서나 조리 용기를 가열하고 음식을 조리하거나 용기를 가열하는 전기레인지가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전기레인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전기레인지의 화구를 구성하는 발열판(2)(3)의 하부에는 발열코일이 설치되고, 상기 발열코일은 발열판(2)(3)의 하부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발열판에 열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발열코일에는 전원스위치(4)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스위치(4)로부터 전기가 발열코일에 인가되면 발열코일에서 열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발열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은 발열판(2)(3)에 인가됨으로써 발열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용기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기레인지의 동작 원리이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레인지는 발열판(2)(3)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용기를 가열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발열판(2)(3)의 넓이보다 큰 면적의 용기를 가열할 시에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레인지는 발열판의 개수 및 크기가 다양하게 변형되어 생산되고 사용자는 자신에 맞는 전기레인지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발열 히터인 발열판의 개수 및 크기가 다양하더라도 실제 요리를 하는 경우에는 발열판 화구의 크기와 조리 용기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화구에 비하여 조리 용기가 작은 경우, 조리 용기에 접촉하지 않는 히터부의 경우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구에 비하여 조리 용기가 큰 경우에는 조리 용기에 접촉하는 히터부의 발열판이 작아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데 전력 소모와 조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A 10-2006-0122144 (2006. 11. 3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레인지에 다중의 발열판을 제공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소형 조리 용기부터 대형 조리 용기까지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발열판을 전기레인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조리를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레인지의 다중 발열판에 감지센서를 제공하여 조리 용기의 크기 및 조리 용기가 놓이는 곳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 발열판을 구비하는 전기레인지로서, 상기 조리용 발열판은 그 내부가 2개 이상 구획되고, 구획되는 상기 발열부별로 발열되도록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를 개시한다.
상기 2개 이상 구획되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원형이되, 그 내부에 보다 크기가 작은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구획되는 발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내부 발열부를 포함하여, 가열의 대상이 되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내부 발열부만을 가열하거나, 상기 내부 발열부를 둘러싼 외부 발열부와 상기 내부 가열부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에는 조리 용기가 놓이는 것을 김지하는 센서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발열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내부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내부 발열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측에 전기레인지의 전원케이블을 감아 보관하도록 하는 케이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몸체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을 감아 보관하는 때에는 인출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감긴 전원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부 발열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내부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내부 발열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발열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발열부 내에서 2개의 상기 내부 발열부로 각각 가열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발열부와 상기 2개 이상의 내부 발열부는 각각 켜고 끄는 것을 할 수 있어, 모두 켜는 때에는 전체적으로 넓은 발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발열부를 끈 상태에서 상기 내부 발열부를 각각 켜고 끄는 때에는 2개 이상의 분리된 발열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다중의 발열판을 제공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소형 조리 용기부터 대형 조리 용기까지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발열판을 전기레인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조리를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체형 상판 구조 내에 다수의 발열판이 용기의 크기에 따라 자동 동작하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러 종류의 조리 용기 크기에 따라 발열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발열판을 전기레인지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조리를 한 번에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기레인지의 다중 발열 감지센서를 제공하여 조리 용기의 크기 및 조리 용기가 놓이는 곳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대형 조리 용기의 가열에 있어서 조리 용기의 크기에 맞게 자동적으로 감지 작동함으로써, 면적이 큰 조리 용기를 더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외부 발열부를 이용하여 넓은 발열부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발열부를 끈 상태에서는 분리된 여러 개의 발열부를 각각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개략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 도 3a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에 다양한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개략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는 조리용 발열판(100)을 구비하는 전기레인지로서, 상기 조리용 발열판(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제1 발열부(110) 및 제2 발열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리용 발열판(100)은 전기레인지의 장치들이 설치되는 하우징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는 평판형의 발열판으로 세라믹글라스 또는 주철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리용 발열판(100)은 일측에 전원 및 발열량을 조절하는 전원제어부(10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원제어부는 일반적인 터치센서를 이용한 전자시스템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10)는 박스 형태로서, 내부에는 다수의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히터모듈(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히터유닛은 조리용 발열판(100)에 열을 인가하는 발열코일로서 발열판의 저면부에 다수개의 히터유닛이 모듈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모듈은 다수개의 히터유닛이 연결 결합되어 형성하는 발열코일로서, 전원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을 공급받고 동작하는 발열장치이다.
상기 히터유닛이 연결 형성되는 히터모듈에 의하여 발열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는(101)는 전자 제어패널로서, 상기 전기레이지의 모든 상황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발열판의 전원 공급과 자동 제어를 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열부(110)는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단계별로 구분되는 발열 조리부(111)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조리부(111)는 조리 용기의 크기에 따라 단계별 가열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단계별 원형라인으로 이루어지는 발열 조리부(111)는 중심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원형라인이 단계별로 구분되어 조리에 맞는 조리 용기를 선택적으로 올려 놓고 조리할 수 있다.
아울러, 크기가 큰 조리 용기를 이용한 조리 선택시에는 상기 발열 조리부(111)의 원형라인 전체를 모두 가열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열부(110)의 내부 히터유닛은 원형으로 결합되는 히터 모듈로서 독자적으로 전원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열판(110)에 조리 용기가 놓이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원제어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히터모듈을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발열부(110)는 중/대형 면적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히터모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열부(120)는 안쪽에서 1개 이상 선별되는 발열 조리부(121)(122)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조리부(121)(122)에는 전원제어부(101)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조리 용기가 놓이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발열부(120)은 중/소형 면적의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발열 조리부(121)(122)는 각각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유닛을 포함하는 히터모듈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발열 조리부에서 동시에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어 다양한 작은 용기를 데우거나 즉석 식품 등을 신속하게 데워 조리하는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조리 시간 및 전력 소비 또한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조리용 발열판(100)은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 이외의 면적에 일자형 히터모듈을 구성하여 조리용 발열판 전체를 모두 가열 사용하도록 하여 대형의 조리 용기나 가열 조리를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리용 발열판 전체는 외부 발열부가 되고, 제1 및 제2 발열부는 내부 발열부가 되는데, 상기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는 분리되어 있어서, 상기 외부 발열부를 끈 상태에서는 각자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경우 조리용 발열판 모든 부위를 가열하는 것으로 전원제어부에 통한 전체 선택 모드로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및 도 3a는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와 케이블 걸림부가 구비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부호 100이 본 발명의 외부 발열부가 될 수 있으며, 도면부호 110이 도면번호 100의 내부에서 각각 분리되어 있는 내부 발열부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용 발열판(100)을 구비하는 전기레인지는 일측 내부에서 자동 인출되어 전기레인지의 전원케이블(103)을 감아 보관하도록 하는 케이블 걸림부(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P는 전원 공급부)
또한, 상기 케이블 걸림부(130)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보관된 전원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 방지턱(1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1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튀어 나오도록 반 자동 또는 작동제어부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발열판이 구비된 전기레인지 단계별 또는 구획되는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에 의해 조리 용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소형 조리 용기부터 대형 조리 용기까지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리를 가능하게 함은 물론, 조리에 따른 전력 소모와 조리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리용 발열판
110 : 제1 발열부
111 : 발열 조리부
120 : 제2 발열부
121, 122 : 발열 조리부
130 : 케이블 걸림부
131 : 이탈 방지턱

Claims (10)

  1. 조리용 발열판을 구비하는 전기레인지로서,
    상기 조리용 발열판은 그 내부가 2개 이상 구획되고,
    구획되는 상기 발열부별로 발열되도록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 구획되는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원형이되,
    그 내부에 보다 크기가 작은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구획되는 발열부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내부 발열부를 포함하여,
    가열의 대상이 되는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내부 발열부만을 가열하거나,
    상기 내부 발열부를 둘러싼 외부 발열부와 상기 내부 가열부를 동시에 가열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조리 용기가 놓이는 것을 김지하는 센서감지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발열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내부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내부 발열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레인지는 일측에 전기레인지의 전원케이블을 감아 보관하도록 하는 케이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몸체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을 감아 보관하는 때에는 인출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전기레인지의 몸체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걸림부는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감긴 전원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발열부는 2개 이상이고,
    상기 내부 발열부 중 어느 하나는 다른 상기 내부 발열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발열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외부 발열부 내에서 2개의 상기 내부 발열부로 각각 가열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발열부와 상기 2개 이상의 내부 발열부는 각각 켜고 끄는 것을 할 수 있어,
    모두 켜는 때에는 전체적으로 넓은 발열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발열부를 끈 상태에서 상기 내부 발열부를 각각 켜고 끄는 때에는 2개 이상의 분리된 발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KR1020150094627A 2015-07-02 2015-07-02 전기레인지 KR20160004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27A KR20160004223A (ko) 2015-07-02 2015-07-02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27A KR20160004223A (ko) 2015-07-02 2015-07-02 전기레인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286 Division 2014-07-02 2014-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223A true KR20160004223A (ko) 2016-01-12

Family

ID=5517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27A KR20160004223A (ko) 2015-07-02 2015-07-02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2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93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61029B2 (ja) 加熱調理器
KR20170069186A (ko) 다(多) 구획 분할 전기레인지
CN103070608B (zh) 一种三合一多用锅
CN211961814U (zh) 一种多功能烤箱
KR20160004223A (ko) 전기레인지
JP2015055382A (ja) 加熱調理器
JP2019192421A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誘導加熱調理器システム
JP2008311001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3059351U (zh) 一种三合一多用锅
KR20130000624U (ko) 휴대용 조리기구
JP6480547B2 (ja) 加熱調理器
JP2010167109A (ja) 被加熱調理容器
KR102438930B1 (ko) 푸드 워머 및 그 동작 방법
JP2007299579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05386076U (zh) 便捷式多功能电饭煲
KR100985257B1 (ko) 가열조리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6417980B2 (ja) 調理装置
CN103705134A (zh) 一种智能化恒温餐台
JP5264579B2 (ja) 加熱調理器
CN210673089U (zh) 加热平台和烹饪器具
CN213371393U (zh) 电加热锅和电加热锅体
JP4925529B2 (ja) 電磁調理器
JP6000105B2 (ja) 加熱調理装置
CN203571812U (zh) 一种电磁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