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10U - 휴대용 화로 - Google Patents

휴대용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10U
KR20160003710U KR2020150002505U KR20150002505U KR20160003710U KR 20160003710 U KR20160003710 U KR 20160003710U KR 2020150002505 U KR2020150002505 U KR 2020150002505U KR 20150002505 U KR20150002505 U KR 20150002505U KR 20160003710 U KR20160003710 U KR 201600037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leg
portable
le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977Y1 (ko
Inventor
김응주
Original Assignee
김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주 filed Critical 김응주
Priority to KR2020150002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7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7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화로는 내부에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개방된 화로 본체와, 상기 화로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사용위치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화로 본체쪽으로 접근된 미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다리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화로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재가 상기 사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미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다리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화로{Portable brizier}
본 고안은 휴대용 화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캠핑장 등 야외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휴대용 화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주 5일제 근무의 영향으로, 많은 직장인들이 남는 시간을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인적인 발전을 위한 공부나, 건강을 위한 운동 등을 행하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주중에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지 못하는 시간을 상쇄하고자 가족들과 여가 시간을 보내고자하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주말을 가족과 함께 보내기 위해, 조용하고 한적한 장소에서의 캠핑 문화가 점차로 확산되고 있다. 현재의 캠핑 문화는 단순히 야외에서 식사하고 잠을 잔다는 예전의 개념과 달리, 일시적으로 야외에 새로운 주거공간을 형성하여 안락하게 쉰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캠핑 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텐트, 조리용 기구, 야외용 침구 등 여러 캠핑용 도구들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조리용 기구는 버너와 코펠만으로 이루어지는 종전과는 달리, 다양한 버너 장치와 코펠 이외의 다른 식기와, 그리고 다양한 조리용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야외에서 단순한 식사만을 하기보다는 다양한 구이, 즉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닭 등을 굽거나 훈제하여 요리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야외용 화로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로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8449호 등 다양한 특허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제안된 화로들은 휴대성이 떨어지거나 또는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8449호(발명의 명칭 : 휴대용 화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용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화로는 내부에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개방된 화로 본체와, 상기 화로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사용위치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화로 본체쪽으로 접근된 미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화로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재와, 일단부는 상기 다리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화로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재가 상기 사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미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다리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화로 본체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다리부재가 결합되는 상단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가 상기 상단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서 지지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서 지지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화로의 휴대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화로를 사용하는 도중 화로의 다리부재가 접혀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로의 사시도로, 도 1은 휴대용 화로를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휴대용 화로를 분리하여 휴대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리부재가 체결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화로 본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조리용 철망, 숯 받침판, 지지링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로의 사시도로, 도 1은 휴대용 화로를 사용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휴대용 화로를 휴대할 때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다리부재가 체결판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화로 본체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조리용 철망, 숯 받침판, 지지링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로(100)는 화로 본체(10)와, 다리부재(20)와,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화로 본체(10)는 내부에서 연료, 예를 들어 숯 등을 연소하기 위한 것으로, 화로 본체의 내부에는 연소공간이 마련되며, 그 상단부는 개방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화로 본체(10)는 상단부재(11)와, 중간부재(12)와, 하단부재(13)를 포함한다.
상단부재(11)는 환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단부재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111)가 마련된다. 또한, 상단부재(11)에는 복수의 관통공(112)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재에는 체결판(40)이 결합된다. 체결판(40)은 후술하는 다리부재(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40)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단부재(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40)에는 2개의 관통홀(41)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41)은 상단부재의 관통공(112)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체결판(40)에는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는 한 쌍의 끼움공(42)이 관통 형성된다.
중간부재(12)는 환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단부재(11) 보다 작은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중간부재(12)의 상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1플랜지부(121)가 마련되며, 중간부재의 하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제2플랜지부(122)가 마련된다.
하단부재(13)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평판부(131)와, 이 평판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132)를 가진다. 이때, 측면부(132)는 상측 단부로부터 하측 단부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부(132)의 상측 단부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321)가 마련된다. 또한, 하단부재의 측면부(132)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의 통풍구(1322)가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화로 본체(10)에 있어서, 상단부재(11)의 내부로 중간부재(12)를 삽입하면, 중간부재의 제1플랜지부(121)가 상단부재의 플랜지부(111)에 걸려서 지지된다. 그리고, 중간부재(12)의 내부로 하단부재(13)를 삽입하면, 하단부재의 플랜지부(1321)가 중간부재의 제2플랜지부(122)에 걸려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화로 본체(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구조로 결합되게 된다.
다리부재(20)는 화로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다리부재(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바(21)와, 한 쌍의 지지바의 일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를 가진다. 그리고, 각 지지바의 타측 단부는 외측 방향(즉,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재(20)에는 후술하는 스프링을 걸기 위한 고리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붉은색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바의 절곡부(23)가 체결판의 끼움공(42)에 삽입되면 다리부재(20)가 체결판(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참고로, 한 쌍의 지지바(21)에 내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지지바(21) 사이의 간격을 좁힌 다음, 절곡부(23)를 끼움공(42)의 위치에 맞춘 후 인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지지바(21) 사이의 간격이 다시 벌어지면서 절곡부(23)가 끼움공(42)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합된 다리부재(20)는 사용위치와 미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이때, 사용위치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로 본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다리부재(20)가 펴진 상태를 의미하며, 미사용위치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가 접혀져 화로 본체(10)에 접근(밀착)된 상태를 의미한다.
탄성부재는 다리부재(20)가 사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미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로는 스프링(30)이 채용된다. 스프링(30)의 일단부는 체결판의 관통홀(42)에 걸려서 결합되고, 스프링의 타단부는 다리부재의 고리부(24)에 걸려서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가 펴진 상태(즉, 사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프링(30)이 고리부(24)를 잡아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다리부재(20)가 접히게 되는 것(즉, 미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화로는 조리용 철망(50), 숯 받침판(60), 지지링(70)을 더 포함한다.
조리용 철망(50)은 음식 조리시 음식을 놓는 곳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 형상으로 형성된다. 휴대용 화로를 사용할 때에는, 조리용 철망(50)을 화로 본체(10)의 상측에 올려놓고 음식을 조리한다.
숯 받침판(60)은 연료, 예를 들어 숯 등을 담기 위한 것이다. 숯 받침판(60)에는 통풍을 위한 복수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다. 지지링(70)은 숯 받침판(60)을 걸기 위한 것이다. 지지링(70)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링(70)을 화로 본체의 내부로 삽입하면, 지지링이 하단부재의 플랜지부(1321)에 걸려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숯 받침판(60)을 화로 본체(10)의 내부로 삽입하면, 숯 받침판(60)의 상단부가 지지링(70)에 걸려서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화로에 있어서, 화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재(11), 중간부재(12), 하단부재(13), 조리용 철망(50), 숯 받침판(60), 지지링(70)을 크기에 따라 차례로 겹쳐서 포개고, 다리부재(20)를 접음으로써 휴대용 화로의 부피를 작게함으로써, 용이하고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화로를 사용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재(20)를 펴고 사용하면 된다. 이때, 다리부재(20)를 편 상태에서는 스프링(30)이 다리부재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다리부재가 의도치 않게 접히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참고로, 스프링이 없는 경우에는 휴대용 화로를 사용하는 도중에, 휴대용 화로에 측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지면(즉, 사람이 지나가다가 발로 건드리거나 또는 물건을 옮기다가 부딪히는 등), 휴대용 화로가 옆으로 살짝 미끄러지고, 이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다리부재가 접히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다리부재가 접히면 휴대용 화로가 한쪽으로 넘어지면서 화재 등이 발생할 위험성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이 다리부재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작은 충격 등에 의해 의도치 않게 다리부재가 접히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휴대용 화로 10...화로 본체
11...상단부재 12...중간부재
13...하단부재 20...다리부재
30...스프링 40...체결판
50...조리용 철망 60...숯 받침판
70...지지링

Claims (3)

  1. 내부에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개방된 화로 본체;
    상기 화로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로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사용위치와, 상기 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화로 본체쪽으로 접근된 미사용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다리부재; 및
    일단부는 상기 다리부재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화로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다리부재가 상기 사용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미사용위치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상기 다리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 본체는,
    환형으로 형성되며, 일측면에 상기 다리부재가 결합되는 상단부재와,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가 상기 상단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서 지지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측 단부가 상기 중간부재의 하단부에 걸려서 지지되는 하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화로.
KR2020150002505U 2015-04-17 2015-04-17 휴대용 화로 KR200482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05U KR200482977Y1 (ko) 2015-04-17 2015-04-17 휴대용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505U KR200482977Y1 (ko) 2015-04-17 2015-04-17 휴대용 화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10U true KR20160003710U (ko) 2016-10-26
KR200482977Y1 KR200482977Y1 (ko) 2017-03-23

Family

ID=5723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505U KR200482977Y1 (ko) 2015-04-17 2015-04-17 휴대용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14B1 (ko) * 2020-11-04 2021-06-15 이성진 캠핑용 우드 스토브
KR102360867B1 (ko) * 2020-08-19 2022-02-08 김동규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027U (ko) * 1978-10-14 1980-04-23
KR860001762Y1 (ko) * 1984-04-13 1986-08-13 구원상 취사용 화로
JPH0662854U (ja) * 1991-11-11 1994-09-06 日本装備株式会社 家具の支脚折りたたみ装置
JP3008271U (ja) * 1994-08-26 1995-03-07 有限会社ルーツ 本堂用お詣り机
KR20130118449A (ko) 2012-04-20 2013-10-30 최진홍 휴대용 화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271B2 (ja) * 1997-09-06 2000-02-14 オークス株式会社 水切りカ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0027U (ko) * 1978-10-14 1980-04-23
KR860001762Y1 (ko) * 1984-04-13 1986-08-13 구원상 취사용 화로
JPH0662854U (ja) * 1991-11-11 1994-09-06 日本装備株式会社 家具の支脚折りたたみ装置
JP3008271U (ja) * 1994-08-26 1995-03-07 有限会社ルーツ 本堂用お詣り机
KR20130118449A (ko) 2012-04-20 2013-10-30 최진홍 휴대용 화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0867B1 (ko) * 2020-08-19 2022-02-08 김동규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KR102265314B1 (ko) * 2020-11-04 2021-06-15 이성진 캠핑용 우드 스토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77Y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535B1 (ko) 휴대용 화로
KR101655959B1 (ko) 캠핑용 접이식 그릴 구조
US10598384B2 (en) Collapsible cooking stove
US20090020491A1 (en) BBQ Grill
KR101619440B1 (ko) 야외 캠핑용 스토브
KR200482977Y1 (ko) 휴대용 화로
US8304700B1 (en) Heater warming rack
KR200432974Y1 (ko) 일회용 숯불구이기
US11181278B2 (en) Gas collapsible cooking stove
KR101904470B1 (ko) 휴대용 바비큐 그릴
EP4069045A2 (en) Modular, collapsible food preparation assembly
KR200495625Y1 (ko) 캠핑용 테이블
KR200473713Y1 (ko) 휴대용 그릴
KR200457675Y1 (ko) 휴대용 숯불 구이기
US20140251316A1 (en) Collapsible Grill
KR101718905B1 (ko) 구이장치
CN108968715A (zh) 一种户外灶具
KR20060083068A (ko) 고기구이용 구이판
KR200292912Y1 (ko) 고기 구이판용 숯판부재
KR200476244Y1 (ko) 복사열로 조리할 수 있는 캠핑용 화로대
KR101459632B1 (ko) 휴대용 구이장치
KR20090003465U (ko) 이종요리가 가능한 쿠킹장치
TWM639661U (zh) 快拆式烤爐組合裝置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20080003038U (ko) 캠핑용 다용도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