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867B1 -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 Google Patents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867B1
KR102360867B1 KR1020200103696A KR20200103696A KR102360867B1 KR 102360867 B1 KR102360867 B1 KR 102360867B1 KR 1020200103696 A KR1020200103696 A KR 1020200103696A KR 20200103696 A KR20200103696 A KR 20200103696A KR 102360867 B1 KR102360867 B1 KR 10236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tove
stand
low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10202001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02Ranges specially adapted for trav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드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서,더욱 상세하게는 캠핑 등과 같이 양외활동 시에 휴대가 간편하도록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며, 취사하는 경우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하부 둘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유입공이 형성된 로어아우터;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고, 하부 바닥면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1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로어이너;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로어아우터에 적층되는 어퍼아우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에 적층되어 상기 어퍼아우터 내측에 위치하되, 상부 둘레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2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어퍼이너; 상기 로어이너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이너를 상기 로어아우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너스탠드; 및 상기 로어이너와 상기 이너스탠드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하는 에어컨트롤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Detachable double-burning stove with adjustable firepower}
본 발명은 우드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 등과 같이 양외활동 시에 휴대가 간편하도록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며, 취사용으로 사용 시에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낚시나 캠핑 또는 레포츠 등의 다양한 레저문화의 확산으로 야외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음식을 조리하고 체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스토브, 버너 등의 다양한 가열용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인들은 레저활동을 즐기기 위해 직접 차량에 필요한 기구들을 구비하여 이동하는 경우가 다수이며,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가스렌지 등을 가열용 제품으로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이러한 레저활동 증가에 따라 캠핑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차량과 함께 각종 캠핑을 위한 기구를 구비하는 캠핑이 보편화됨에 따라 야외에서 취사가 가능하도록 코펠, 바비큐 그릴 등 다양한 캠핑용품들이 출시되었다.
캠핑에서는 주로 화로가 가열용 제품으로 사용되며, 화로는 내부에 숯, 차콜, 또는 나무 등과 같은 연료를 넣어 사용하는 장비로써 고기 및 야채와 같은 식재료를 구울 때 사용하나, 사용 시에 연기가 많이 발생하고 화력조절이 어려우며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캠핑시에 화로와 같은 가열용 제품을 구비하는 사용자들은, 화로 사용으로 발생한 재로 인한 자동차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를 사전에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공보 제10-1671308호는 연소통의 둘레의 상부와 하부 및 저면과 중앙공급관에 다수의 통공이 구비된 '캠핑용 난로'에 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주지된 바와 같이, 목재 데크 및 잔디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난로 아래에 그을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장소가 한정되어있으며, 부피가 크기 때문에 캠핑카가 아닌 승용차와 같은 일반차량에서 휴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17-0002517호는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화력을 높일 수 있는 '고체연료용 화로'에 대한 기술을 공지한 바 있으나, 화로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으나, 손잡이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화로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없기에 불을 끄지 않고 옮길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로 사용시에 발생하는 재를 처리하기 위한 재받이가 구비되어있으나, 재받이와 고체연료가 투입되는 연소통 사이에 다리체가 설치되어 다리체의 높이만큼 이격되어있음에 따라 바람에 의하여 재가 모이지 않고 날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난로 기능은 물론, 취사용으로 사용 시에 화력조절을 할 수 있으며, 야외 레저활동에 휴대하여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며, 발생한 재를 처리하기 간편한 분리형 스토브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1308호 (2016.10.2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2517호 (2017.07.1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어 휴대가 가능함은 물론,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어 자동차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료로 사용되는 장작 및 펠릿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2중의 이동경로를 가지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우터스탠드를 구비하여 목재 데크 및 잔디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포터를 구비하여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어 조리가 용이한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하부 둘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유입공이 형성된 로어아우터;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고, 하부 바닥면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1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로어이너;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로어아우터에 적층되는 어퍼아우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에 적층되어 상기 어퍼아우터 내측에 위치하되, 상부 둘레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2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어퍼이너; 상기 로어이너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이너를 상기 로어아우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너스탠드; 및 상기 로어이너와 상기 이너스탠드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하는 에어컨트롤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공기가 상기 로어아우터의 상기 외부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로어이너의 하면의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이동하여 스토브의 내부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의 1차 이동경로와, 상기 로어아우터의 상기 외부 유입공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호 이격된 아우터와 이너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어퍼이너의 상기 제2 통공으로 배출되어 스토브의 내부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의 2차 이동경로의 2중의 이동경로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스탠드의 중앙에는 제1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중앙에도 제2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이너의 하부 바닥면에도 제3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중앙 돌출홈, 상기 제2 중앙 돌출홈, 상기 제3 중앙 돌출홈이 적층됨에 따라, 상기 로어아우터와 상기 로어이너 사이 및 상기 어퍼아우터와 상기 어퍼이너 사이가 상호 이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어퍼아우터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제1 걸림턱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어퍼아우터의 상부에 상기 로어아우터가 적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큼에 따라, 상기 로어아우터가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부에 수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는 상기 로어이너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1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컨트롤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컨트롤공의 단부 위치가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1차 연소량을 제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퍼이너 상부의 바람을 막아 화력을 모으도록, 상기 어퍼이너의 상단부에 외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장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직경이 큰 파이어콜렉터링;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갈고리형상의 절곡부가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어아우터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손잡이공에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링형상 상하부에 요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상기 로어아우터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토브를 이격시키는 아우터스탠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퍼이너 상부는 상기 어퍼이너와 이격되되, 조리도구가 거치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분리형으로 제조되어 무게가 가벼우며, 조립 및 분해가 간편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을 이점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2중의 공기 이동경로를 가짐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여 연료로 사용되는 장작 및 펠릿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아우터스탠드를 구비하여 목재 데크 및 잔디에서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서포터를 구비하여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어 조리가 용이한 것을 이점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부피가 작게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화로와 같이 내부에 고체연료를 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여기서, 고체연료는 고체 형태로 된 펠릿, 화목, 숯 또는 활성탄과 같은 다양한 연료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위에 열거된 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브(100)는 로어아우터(110), 로어이너(120), 어퍼아우터(130), 어퍼이너(140), 이너스탠드(150),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 파이어콜렉터링(170), 아우터스탠드(180), 손잡이(190)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아우터(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하부 둘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유입공(112)이 형성되어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유입공(112)은 상기 로어아우터(110)를 관통하는 통공으로 하부 측면에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상기 로어아우터(110) 내부 즉, 상기 스토브(100) 내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단부에는 제1 걸림턱(114)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제1 걸리턱(114)은 상기 제1 걸림턱(114)에 대응하도록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걸림걸이(134)에 체결되어 상기 어퍼아우터(130)가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부에 적층 결합된다.
상기 제1 걸림턱(114)은 상기 로어아우터(110) 외주면 보다 큰 직경으로 외주면을 따라 외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턱(114)은 상기 로어아우터(110) 상단부 외주면에'ㄴ'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걸이(134)는 상기 제1 걸림턱(114)에 대응되도록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하단부에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턱(114)에 상기 제1 걸림걸이(134)가 안착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바닥면에는 원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턱(115)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턱(115)에는 이너스탠드(150)가 장착되어 로어이너(120)를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로어아우터(110)는 바닥면 하부에 홈(116)이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홈(116)은 상기 스토브(100)가 구비하는 아우터스탠드(180)가 삽입되어 상기 스토브(100)를 지면과 이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홈(116)은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바닥면 하부에 상기 아우터스탠드(180)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형으로 소정의 깊이로 홈(116)이 파여져 있으며, 상기 아우터스탠드(180)가 상기 홈(116)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브(100)는 상기 아우터스탠드(180) 상부에 적층되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외주면에는 손잡이공(118)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브(100)가 구비하는 손잡이(190)가 상기 손잡이공(118)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공(118)은 상기 로어아우터(110)를 관통하도록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2개가 형성되며, 손잡이(180)가 상기 손잡이공(118)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80)는 갈고리형상의 절곡부가 하방으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어아우터(110)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상기 손잡이공(118)에 장착이 가능한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가 하방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손으로 잡는 부분이 상기 절곡부와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80)의 탈착이 용이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브(100)를 옮기기 용이하도록, 상기 손잡이(180)는 손으로 잡는 부분이 상기 절곡부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로어이너(120)는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고, 하부 바닥면에 제1 통공(122)이 형성되어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어이너(120)는 내부가 빈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있으며, 하부 바닥면에는 상기 로어이너(120)를 관통하는 상기 제1 통공(122)이 다수개 형성되어있으며, 중앙에는 삽입공(123)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1 통공(122)은 상기 로어이너(120)의 하부 바닥면에 중심을 기준으로소정의 간격으로 바닥면 전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제1 통공(122)은 상기 로어이너(120)의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기 외부유입공(112)으로부터 유입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통로이며, 유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스토브(100)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삽입공(123)은 상기 로어이너(120)의 하부 바닥면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공(123)에 이너스탠드(150)의 중앙지지부(153)가 삽입되어 상기 로어이너(120)와 상기 로어아우터(110)를 견고하게 이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로어이너(120)는 상단부 외주면에 제2 걸림턱(124)이 상기 로어이너(120)의 외주면을 따라 외방으로 상기 로어이너(120) 외주면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턱(124)에 대응되도록 상기 어퍼이너(140)의 하단부에 함입되어 형성된 제2 걸림걸이(144)가 체결되어, 상기 로어이너(120)의 상부에 상기 어퍼이너(140)가 적층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어퍼아우터(13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로어아우터(110)에 적층된다.
상기 어퍼아우터(130)는 하부에 제1 걸림걸이(134)가 형성되어있으며, 상기 제1 걸림걸이(134)는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하부에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내방으로 함입되어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걸림걸이(134)는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걸림턱(114)에 대응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걸림걸이(134)는 상기 어퍼아우터(130)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함입된 형상이며, 상기 제1 걸림턱(114)은 상기 로어아우터(110) 보다 큰 직경으로 외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어아우터(110) 상부에 상기 어퍼아우터(130)가 견고하게 적층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퍼아우터(130)는 상단부에 상기 어퍼아우터(13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외방으로 제3 걸림턱(136)이 형성되어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퍼이너(14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120)에 적층되어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어퍼이너(140)의 상부 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어퍼이너(140)를 관통하는 제2 통공(142)이 형성되어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퍼이너(140)의 하단부에는 상기 어퍼이너(140) 하단부 외주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내방으로 함입된 제2 걸림걸이(144)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외방으로 돌출부(146)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2 걸림걸이(144)는 상기 제2 걸림걸이(144)에 대응하도록 상기 로어이너(120)의 상부에 형성된 'ㄴ'자 형상을 지닌 제2 걸림턱(124)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상기 어퍼이너(140)가 상기 로어이너(120)의 상부에 적층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146)는 상기 어퍼이너(140) 상단부에 대각선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46)의 단면은 등변사다리꼴을 뒤집어 놓은 형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너스탠드(150)는 상기 로어이너(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이너(120)를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이너스탠드(150)는 원뿔형상으로 원뿔 부분 즉, 상부에는 하부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중앙지지부(15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앙지지부(153)의 외주면에 평평한 부분인 중앙밀착부(154)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로어이너(120)를 보다 밀착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스탠드(150)는 하부가 상기 이너스탠드(150)의 하부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바닥 상면에 형성된 상기 중앙턱(115)에 안착되며, 상부가 상기 로어이너(12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123)에 삽입되어, 상기 로어이너(120)를 상기 로어아우터(110)로부터 견고하게 이격시킨다.
다음으로,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는 상기 로어이너(120)와 상기 이너스탠드(150) 사이에 장착되며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 통공(1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하며, 화력 조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는 원형판 형상으로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중앙지지부(153)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너스탠드(150)의 상부에 삽입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는 바닥면 중앙에 상기 중앙지지부(153)에 대응되는 크기로 중앙통공(163)이 형성되어, 상기 이너스탠드(150)의 상기 중앙지지부(153)가 상기 중앙통공(163)에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며 스토브(100)가 이동하는 경우에 이중벽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브(100)는 파이어콜렉터링(17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브(100) 사용시에 바람을 막음으로써 화력을 모을 수 있어 상기 스토브(100)의 화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의 직경 보다 하부의 직경이 큰 원통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불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줄여 화력을 잘 모을 수 있다.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은 상기 어퍼이너(140)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46)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146)에는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하부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탈방지턱(14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은 상기 돌출부(146)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46)의 이탈방지턱(147)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스토브(100)를 사용하다 이동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치우침 및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스토브(100)를 이동시키는 사람의 화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하부에는 외방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176)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돌출부(176)는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이 상기 돌출부(146)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146)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이 장착되는 상기 돌출부(146)에는 이탈방지턱(147)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에는 하부돌출부(176)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브(100)의 상부에 장착된 파이어콜렉터링(17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스토브(1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불의 치우침으로 발생 가능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돌출부(176)는 파이어콜렉터링(170)을 돌출부(146)에 내화성을 가지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보다 밀착하여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브(100)는 상기 스토브(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아우터스탠드(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스탠드(180)는 링형상을 지니며 링형상의 상하부에 요철(18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철(182)은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하면에 형성된 홈(116)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토브(100)를 이격시킨다.
상기 요철(182)은 상기 아우터스탠드(180)에 형성되어있어 스토브(1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아우터스탠드(180)는 상기 요철(182)이 대칭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기 스토브(100)는 상기 아우터스탠드(180)가 구비되어 상기 스토브(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잔디, 목재 및 데크에서 스토브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되는 그을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스탠드(180)에 형성된 상기 요철(182)을 통해 열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부피가 작게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100)는 이중벽을 형성하도록 아우터와 이너로 구성되며, 상기 아우터와 이너는 로어아우터(110), 로어이너(120), 어퍼아우터(130), 어퍼이너(140)로 구성되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스토브(100)는 바람직하게,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큼에 따라, 상기 로어아우터(110)가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내부에 수납된다.
또한, 상기 어퍼이너(140)의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로어이너(120)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큼에 따라, 상기 로어이너(120)가 상기 어퍼이너(140)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토브(100)는 상기 어퍼아우터(130)에 상기 로어아우터(110)가 수납되며, 상기 로어아우터(110)에 상기 어퍼이너(140)가 수납되며, 상기 어퍼이너(140)에 상기 로어이너(120)가 수납된다.
구체적으로, 스토브(100)는 상기 어퍼아우터(130)에 상기 로어아우터(110)가 수납되며, 상기 로어아우터(110)에 상기 어퍼이너(140)가 수납되며, 상기 어퍼이너(140)를 수납 후, 아우터스탠드(180)를 수납시키고, 이너스탠드(150)를 로어아우터(110)의 하면에 장착 후, 이너스탠드(150)의 중앙지지부(153)를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중앙통공(163)에 삽입하여 장착 후, 상기 로어이너(120)를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위에 올리며, 파이어콜렉터링(170)을 뒤집어서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하부돌출부(176)가 상기 로어이너(120)의 상면에 뒤집어서 수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브(100)는 수납시에 상기 어퍼아우터(130)의 제3 걸림턱(136)에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제1 걸림턱(114)에 걸려 수납되며,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부에 상기 어퍼이너(140)의 돌출부(146)가 지지되어 수납되며, 상기 어퍼이너(140)의 하부 내주면에 밀착되게 상기 아우터스탠드(180)를 삽입하여 수납시키며,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하부에 형성된 홈인 중앙턱(115)에 상기 이너스탠드(150)를 장착하며, 상기 이너스탠드(150)의 중앙지지부(153)에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중앙통공(163)을 삽입하여 장착 후, 상기 로어이너(120)를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위에 올리며, 파이어콜렉터링(170)을 뒤집어서,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의 하부돌출부(176)를 상기 로어이너(120)의 제2 걸림턱(124)에 걸어 수납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공기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본 발명에 따른 스토브(100)는 외부공기가 2중의 이동경로를 가진다.
상기 2중의 이동경로는 외부공기가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기 외부유입공(112)으로 유입되고 상기 로어이너(120)의 하면의 상기 제1 통공(122)을 통해 이동하여 스토브의 내부로 이동하는 1차 이동경로와, 외부공기가 상기 로어아우터(110)의 상기 외부유입공(112)으로 유입되어 상호 이격된 아우터와 이너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어퍼이너(140)의 상기 제2 통공(142)으로 배출되어 스토브(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2차 이동경로이다.
상기 스토브(100)는 2중의 이동경로를 가짐에 따라, 외부공기가 상기 스토브(100)의 하부에서 1차 이동경로를 통해 1차적으로 연소되며, 상기 스토브(100)의 상부에서 2차 이동경로를 통해 상부에서 2차적으로 연소되어 이중으로 연소시킬 수 있음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여 연료로 사용되는 장작 및 펠릿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브(100)는 상기 로어이너(120) 상부에 파이어콜렉터링(170)을 장착하는 경우, 외부공기가 제2 통공(142)을 통해 이동하는 2차 이동경로를 연장시킴에 따라 외부공기가 스토브(100)의 내부로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장작 및 펠릿 등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화력을 키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의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는 일측에 구비된 상기 조절걸이(164)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컨트롤공(16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는 로어이너(120)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120)의 제1 통공(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컨트롤공(1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걸이(164)는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일측에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지니도록 외방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일측 하부에'ㄴ'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손잡이(190)의 갈고리형상의 절곡부(192)를 삽입하여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를 회전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상기 컨트롤공(162)과 상기 제1 통공(122)의 위치가 일치하여 공기가 많이 유입되며, 도 5(b)는 상기 컨트롤공(162)의 단부가 상기 제1 통공(122)의 개폐정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도 5(a)의 상태와 대비하여 공기의 유입량이 작다.
도 5(a) 내지 (b)의 상태는 조절걸이(164)를 이용하여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160)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컨트롤공(162)의 단부 위치가 상기 제1 통공(122)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1차 연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브(100)는 조리도구를 거치할 수 있는 서포터(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200)는 상기 어퍼이너(14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서포터(200)의 상부에 조리도구를 거치함으로써 상기 어퍼이너(140)와 조리도구를 이격시키며,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터(200)는 스토브에 대응하는 원형판의 형상으로 상기 어퍼이너(140)와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지지체(202)가 구비되며, 상부에 조리도구가 장착되어 조리도구를 상기 어퍼이너(140)와 이격시킨다.
또한, 상기 서포터(200)는 상기 어퍼이너(140)의 상부에 안착되며, 상기 어퍼이너의 상부에 장착되어 흔들리거나 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200)가 장착되는 상기 어퍼이너(140)의 상부에는 상기 파이어콜렉터링(170)이 안착되어있어, 상기 서포터(200)의 지지체(202)는 상기 어퍼이너(140)의 돌출부(146)에 파이어콜렉터링(170)이 안착된 형상에 대응하는 하부가 다각형의 형상을 지니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서포터(200)는 조리도구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조리도구는 웍과 같은 하부가 둥근 조리도구와, 프라이팬과 같은 하부가 평평한 조리도구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서포터(200)가 필요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200a)는 밑면이 둥근 웍과 같은 조리도구를 거치하기 적합하도록 중앙에 평평한 부분이 마련된 'M'자형의 형상을 지닌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포터(200b)는 밑면이 평평한 프라이팬과 같은 조리도구를 거치하기 적합하도록 평평한 원판에 지지체(202)가 구비되어,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형상을 지닌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20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스토브 150: 이너스탠드
110: 로어아우터 153: 중앙지지부
112: 외부유입공 154: 중앙밀착부
114: 제1 걸림턱 160: 에어컨트롤플레이트
115: 중앙턱 162: 컨트롤공
116: 홈 163: 중앙통공
118: 손잡이공 164: 조절걸이
120: 로어이너 170: 파이어콜렉터링
122: 제1 통공 174: 콜렉터턱
123: 삽입공 176: 하부돌출부
124: 제2 걸림턱 180: 아우터스탠드
130: 어퍼아우터 186: 요철
134: 제1 걸림걸이 190: 손잡이
136: 제3 걸림턱 192: 절곡부
140: 어퍼이너 200: 서포터
142: 제2 통공 202: 지지체
144: 제2 걸림걸이
146: 돌출부
147: 이탈방지턱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하부 둘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유입공이 형성된 로어아우터;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고, 하부 바닥면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1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로어이너;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로어아우터에 적층되는 어퍼아우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에 적층되어 상기 어퍼아우터 내측에 위치하되, 상부 둘레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2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어퍼이너;
    상기 로어이너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이너를 상기 로어아우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너스탠드; 및
    상기 로어이너와 상기 이너스탠드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하는 에어컨트롤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로어아우터가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어퍼아우터 내부에는 상기 로어아우터, 상기 어퍼이너, 아우터스탠드, 상기 이너스탠드,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 상기 로어이너 및 파이어콜렉터링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수납되되,
    상기 이너스탠드는 수납 시, 상기 로어아우터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가 상기 이너스탠드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이너를 수납하며,
    상기 파이어콜렉터링은 상부보다 하부가 직경이 큰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수납 시, 뒤집어서 상기 어퍼아우터 내부에 수납하여,
    상기 어파아우터 내부에 안전하게 보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2.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가 상기 로어아우터의 상기 외부유입공으로 유입되고 상기 로어이너의 하면의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이동하여 스토브의 내부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의 1차 이동경로와,
    상기 로어아우터의 상기 외부 유입공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상호 이격된 아우터와 이너 사이로 이동하여 상기 어퍼이너의 상기 제2 통공으로 배출되어 스토브의 내부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의 2차 이동경로의 2중의 이동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스탠드의 중앙에는 제1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중앙에도 제2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로어이너의 하부 바닥면에도 제3 중앙 돌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중앙 돌출홈, 상기 제2 중앙 돌출홈, 상기 제3 중앙 돌출홈이 적층됨에 따라,
    상기 로어아우터와 상기 로어이너 사이 및 상기 어퍼아우터와 상기 어퍼이너 사이가 상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어퍼아우터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로어아우터의 제1 걸림턱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음에 따라,
    상기 어퍼아우터의 상부에 상기 로어아우터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는 상기 로어이너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되, 제1 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컨트롤공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컨트롤플레이트의 회전반경에 따라 상기 컨트롤공의 단부 위치가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1차 연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이너 상부의 바람을 막아 화력을 모으도록, 상기 어퍼이너의 상단부에 외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장착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부보다 하부가 직경이 큰 파이어콜렉터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8. 제 1항에 있어서,
    갈고리형상의 절곡부가 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어아우터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절곡부에 대응되는 손잡이공에 탈착식으로 구비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9. 제 1항에 있어서,
    링형상 상하부에 요철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요철은 상기 로어아우터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스토브를 이격시키는 아우터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이너 상부는 상기 어퍼이너와 이격되되, 조리도구가 거치되는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KR1020200103696A 2020-08-19 2020-08-19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KR10236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96A KR102360867B1 (ko) 2020-08-19 2020-08-19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696A KR102360867B1 (ko) 2020-08-19 2020-08-19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867B1 true KR10236086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696A KR102360867B1 (ko) 2020-08-19 2020-08-19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887A (ko) * 2022-07-26 2024-02-02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701U (ko) * 1988-03-29 1989-10-04
KR101328507B1 (ko) * 2012-09-06 2013-11-13 (주)조이쿡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KR20150133109A (ko) *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노나메기 캠핑용 난로
KR20160003710U (ko) * 2015-04-17 2016-10-26 김응주 휴대용 화로
KR20170002517U (ko) 2015-12-30 2017-07-11 김종근 고체연료용 화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4701U (ko) * 1988-03-29 1989-10-04
KR101328507B1 (ko) * 2012-09-06 2013-11-13 (주)조이쿡 화력조절이 용이한 숯불구이장치
KR20150133109A (ko) * 2014-05-19 2015-11-27 주식회사 노나메기 캠핑용 난로
KR101671308B1 (ko) 2014-05-19 2016-11-01 주식회사 노나메기 캠핑용 난로
KR20160003710U (ko) * 2015-04-17 2016-10-26 김응주 휴대용 화로
KR20170002517U (ko) 2015-12-30 2017-07-11 김종근 고체연료용 화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4887A (ko) * 2022-07-26 2024-02-02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KR102652988B1 (ko) * 2022-07-26 2024-03-28 장성현 이중연소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074B2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US10758084B2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US11092342B2 (en) Non-gas fire pit
US20150068512A1 (en) Table and accessories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10598384B2 (en) Collapsible cooking stove
KR20170139237A (ko) 캠핑용 그릴장치
KR102360867B1 (ko)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
KR20170002517U (ko) 고체연료용 화로
US6189530B1 (en) Portable outdoor cooker with convex cooking surface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CN105411414A (zh) 一种铁板烧煮锅一体炉
US6799567B1 (en) Barbeque grill construction
US11181278B2 (en) Gas collapsible cooking stove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US10667650B2 (en) Charcoal grill apparatus and method
CN205215047U (zh) 一种铁板烧煮锅一体炉
KR101632247B1 (ko) 숯불용 화로
KR102652988B1 (ko) 이중연소 화로
US11988388B1 (en) Wood-burning reduced smoke indoor-outdoor moveable fire pit
KR102637190B1 (ko) 캠핑용 화목 난로
KR102660047B1 (ko) 고기 구이 기능을 갖는 난로
CN218820519U (zh) 一种多功能炉具
CA1081571A (en) Outdoor, wood burning stove
KR20190001219U (ko) 로스터용 숯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