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22U - 박스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22U
KR20160003622U KR2020150002314U KR20150002314U KR20160003622U KR 20160003622 U KR20160003622 U KR 20160003622U KR 2020150002314 U KR2020150002314 U KR 2020150002314U KR 20150002314 U KR20150002314 U KR 20150002314U KR 20160003622 U KR20160003622 U KR 201600036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main housing
stacked
uni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780Y1 (ko
Inventor
정인조
김상철
Original Assignee
동성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기계(주) filed Critical 동성기계(주)
Priority to KR2020150002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8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1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ory or oscillatory lifting and holding or grip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들을 다층으로 적재한 후 소정의 높이까지 승강시키고, 승강된 박스더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되,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박스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박스 적재장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박스가 투입되는 박스투입부와, 상기 메인하우징 상에서 승강되며 투입된 박스를 상승시키는 박스승강부 및 상기 박스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박스를 지지하는 박스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승강부는 상승된 박스의 하부에 다음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적층이 완료된 박스더미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 적재장치{APPARATUS FOR STACKING BOXES}
본 고안은 박스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들을 다층으로 적재한 후 소정의 높이까지 승강시키고, 승강된 박스더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되,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박스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현장에서는 생산된 제품들의 납품, 판매, 보관 등을 위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각각의 제품을 단품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비용 및 소요시간의 측면에서 매우 부적합할뿐만 아니라 제품끼리 접촉되어 외관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박스를 이용하여 박스 내부에 제품을 수용한 후 컨베이어 등을 이용해 박스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박스들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다층으로 적재된 후 별도의 장소로 이동되는데, 제품의 중량과 부피가 큰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적재하기 매우 어려우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특히,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를 높이가 다른 장소로 이동해야하는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박스를 하나씩 이동시키기에는 생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일 예로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를 수송차량에 싣어야 하는 경우 대부분 차량의 적재공간이 지면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박스를 하나씩 들어서 싣어야 하며, 이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속도가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들을 다층으로 적재한 후 소정의 높이까지 승강시키고, 승강된 박스더미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되,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박스 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는 메인하우징과,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박스가 투입되는 박스투입부와, 상기 메인하우징 상에서 승강되며 투입된 박스를 상승시키는 박스승강부 및 상기 박스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박스를 지지하는 박스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승강부는 상승된 박스의 하부에 다음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적층이 완료된 박스더미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층이 완료되어 상기 박스승강부로부터 승강된 박스더미를 상기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박스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이동부는 박스더미의 최하단에 위치한 박스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박스더미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지지부는 적층된 박스더미 중 최하단의 박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박스승강부 및 박스지지부에 의해 적층되는 박스의 적층수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승강부는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적층수로 박스가 적층되면 최하단의 박스를 지지하여 박스더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여 다양한 장소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둘째, 본 고안은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해온 각각의 박스들을 자동으로 적재함으로써 작업속도 및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셋째, 본 고안은 적재된 박스를 설정된 높이로 승강시킨 후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처음 박스가 공급된 위치로부터 높이가 다른 장소까지 손쉽게 적재 및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요부구성인 박스승강부 및 박스지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지지프레임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요부구성인 제1중심프레임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요부구성인 제2축회전실린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의 요부구성인 박스이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의 도면번호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박스 적재장치에 관한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에 대한 형상 및 크기 등은 대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고정된 것이 아니며, 동일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1)는, 메인하우징(100), 박스투입부(200), 박스승강부(300) 및 박스지지부(400)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00)은 후술하는 박스투입부(200), 박스승강부(300) 및 박스지지부(400)가 구비되는 곳으로, 적층된 박스더미가 승강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를 가진다. 메인하우징(100)의 외측으로는 승강된 박스더미의 배출시 지지하기 위한 보조하우징(150)이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하우징(150)은 메인하우징(100)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며 메인하우징(100)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별도의 래크피니언(152)과 기어드모터(153)을 이용하여 보조하우징(150)과 메인하우징(100)의 높이를 동시에 변경시키거나 보조하우징(150)과 메인하우징(100)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며, 보조하우징(150)과 메인하우징(100)의 높이 조절시하중을 보조로 지지하는 하우징실린더(15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보조하우징(150)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후술하는 박스이동부(500)는 메인하우징(100)이 아닌 보조하우징(150)에 구비되어 보조하우징(150)과 함께 높이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박스지지부(400) 또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보조하우징(150)은 적층된 박스더미를 수송차량에 적재하거나 특정 위치에 적재하는 경우 박스더미의 이동 및 적재가 용이하게 한다. 일 예로 수송차량의 적재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보조하우징(150)의 상면을 위치시킨 후 후술하는 박스승강부(300)와 박스지지부(400), 박스이동부(500)를 이용해 박스더미를 적재하여 보조하우징(150)의 상면에 이동시키면 작업자가 박스더미를 그대로 수평방향으로 밀어서 트럭에 적재하면 된다.
박스투입부(200)는 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여 박스(10)가 투입되는 곳으로, 박스(10)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가진다. 이러한 박스투입부(200)의 측방향에는 박스(10)가 투입되는 유입구(210)가 형성되며, 박스(10)가 이동해오는 컨베이어(12)와 유입구(210)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입구(210)의 전방에는 컨베이어(12)를 통해 이동해온 박스(10)를 순차적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씩 박스투입부(200)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후술하는 박스승강부(300)의 작동시 박스(10)의 유입을 정지시키는 박스인입유닛(미도시)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박스투입부(200)의 내측에는 메인하우징(100) 상에서 승강되며 투입된 박스(10)를 상승시키는 박스승강부(300)가 구비된다. 이러한 박스승강부(300)는, 유입구(210)를 통해 투입된 박스(10)가 위치하며 박스(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10)와, 메인하우징(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피스톤로드의 끝단부가 지지플레이트(310)와 연결되는 승강부실린더(320)와, 메인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일단부가 지지플레이트(310)와 연결되며 승강기어(330)의 회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승강체인(340)을 포함한다.
즉, 박스투입부(200)로 투입된 박스(10)는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승강부실린더(320)와 승강기어(330)가 동시에 작동하여 지지플레이트(310)를 상승시킴으로써 박스(10)의 위치 또한 상승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박스승강부(300)는, 유입구(210)를 통해 박스(10)가 들어오면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후술하는 박스지지부(400)에 의해 박스(10)가 지지되도록한 후 다시 하강하고, 다음 박스(10)가 유입되면 다시 상승시켜 바로 전에 상승시켰던 박스(10)의 하부에 다음 박스(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박스(10)의 적층이 완료되면 박스더미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박스승강부(300)의 승강 높이는 별도의 위치감지센서(미도시) 또는 엔코더(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박스승강부(300)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유입구(210)와 반대방향에 위치한 메인하우징(100)의 일측에 하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박스의 양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지지부(400)는 박스승강부(300)에 의해 상승된 박스(10)가 다시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박스(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그립홈(11) 내에 제1걸림프레임(413) 및 제2걸림프레임(423)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승된 박스(10)가 제1걸림프레임(413)과 제2걸림프레임(423)에 걸려 더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제1걸림프레임(413)에는 박스(10)가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박스(10)의 적재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프레임(417)을 구비하였으며, 적용되는 상황에 따라서 제2걸림프레임(423)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지지부(400)는, 후술하는 박스이동부(500)에 의해 배출되는 방향에서 박스(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제1박스지지부(410)와, 이와 대향되는 방향에서 반대면을 지지하는 제2박스지지부(4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층당 2개의 박스(10)를 적재하였기에 제1박스지지부(410)와 제2박스지지부(420)를 메인하우징(100)의 양측에 한 쌍씩 구비하였지만 한 층을 이루는 박스(10)의 수가 달라진다면 제1박스지지부(410)와 제2박스지지부(420)의 수량 및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제1박스지지부(410)는 메인하우징(100)의 일측 중 박스(10)가 배출되는 방향 측에 y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1중심프레임(411)과, 메인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의 끝단부가 제1중심프레임(411)과 연결되는 제1축회전실린더(414)와, x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중심프레임(411)에 끝단부가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1지지프레임(412)과, 제1중심프레임(411)에 구비되어 피스톤로드의 끝단부가 제1지지프레임(412)과 연결되는 제2축회전실린더(415)와, 제1지지프레임(412) 상에 구비되어 메인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박스(10)의 그립홈(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걸림프레임(413)을 포함한다.
또한 제1지지프레임(412)은 제1걸림프레임(413)의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제1지지프레임(412)이 하중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자유회전하게 되고, 제1걸림프레임(413)의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경우 회전이 방지되며, 제1지지프레임(412)의 회전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원복된다.
즉, 제1지지프레임(412)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는 약 0°~ 90°정도가 되며, 평소에는 0°를 유지하다가 외력에 의해 회전한 후 탄성력에 의해 다시 0°가 되도록 원복된다. 제1지지프레임(412)의 회전각이 0°일때 제1걸림프레임(413)이 그립홈(11)에 삽입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제2축회전실린더(415)는 에어라인(416)을 통해 공급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된다. 즉, 제2축회전실린더(415)에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함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인위적으로 신장/수축시키거나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신장/수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박스지지부(420)는 메인하우징(100)의 일측 중 제1박스지지부(410)와 반대방향 측에 구비되는 제2중심프레임(421)과, x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제2중심프레임(421)에 끝단부가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제2지지프레임(422)과, 제2지지프레임(422) 상에 구비되어 메인하우징(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박스(10)의 그립홈(1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걸림프레임(423)을 포함한다.
제1박스지지부(410)의 경우 적재가 완료된 박스(10)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인위적으로 x축 회전 및 y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2박스지지부(420)의 경우 박스(10)가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위치하므로 y축 회전 기능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2지지프레임(422)의 경우 제1지지프레임(412)과 동일하게 박스(10)의 상승에 의해 x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박스승강부(300)가 상승하여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하면과 박스(10)가 접촉되면 제1,2걸림프레임(413, 423)에 하방향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 제1,2지지프레임(412, 422)이 소정의 회전을 하게 되며, 이때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은 탄성력에 원복되려고 하기 때문에 박스(10)의 외측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박스승강부(300)가 더 상승하여 그립홉(11)의 위치가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위치까지 상승되면 탄성력에 의해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이 그립홈(11) 내로 삽입되며, 박스승강부(300)가 다시 하강하면서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상면과 그립홈(11)의 상측면이 접촉되어 박스더미가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박스(10)에 형성된 그립홈(11) 내로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인위적인 하중을 가하지 않고 박스더미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박스(10)에 그립홈(11)이 없는 경우라면 박스(10)의 외측을 그립하거나 박스(10)의 하면을 지지하는 박스지지부(400)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지지부(400)는 다단으로 적층된 박스(10) 중 최하단의 박스(10)를 지지함으로써 박스더미 전체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단의 박스(10)를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구성이 매우 복잡해질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1)는 박스이동부(500) 및 제어부(600)를 더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이동부(500)는 적층이 완료되어 박스승강부(300)로부터 승강된 박스더미를 메인하우징(100)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메인하우징(100)의 측면 중 박스더미의 배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다.
이러한 박스이동부(500)는 박스더미 중 최하단에 위치한 박스(1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접촉플레이트(520)와, 메인하우징(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피스톤로드의 끝단부가 접촉플레이트(520)와 결합되는 배출실린더(510)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실린더(51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장되면 접촉플레이트(520)가 박스(10) 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접촉플레이트(520)가 박스(10)와 접촉되어 박스(10)를 메인하우징(10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어부(600)는 박스승강부(300) 및 박스지지부(400)에 의해 적층되는 박스(10)의 적층수를 설정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박스승강부(300)는 제어부(600)에 설정된 적층수로 박스(10)가 적층되면 박스이동부(500)에 의해 박스더미가 배출될 수 있도록 최하단의 박스(10)를 지지하여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킨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보조하우징(150)과 메인하우징(100)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박스승강부(300)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박스 적재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제어부(600)를 통해 적층하고자 하는 박스(10)의 적층수를 설정한 후 유입구(210)를 통해 박스투입부(200)로 박스(10)를 투입한다. 투입된 박스(10)는 박스승강부(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면에 위치되며,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박스(10)가 하나의 층으로 투입 완료된 후 승강기어(330)와 승강부실린더(32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플레이트(310)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된다.
지지플레이트(310)의 상승과 함께 박스(10)의 상측이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하면과 접촉되며, 제1,2지지프레임(412, 422)이 x축을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자유회전하게 된다.
박스(10)의 그립홈(11)의 위치가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의 위치까지 상승되면 제1,2지지프레임(412, 422)이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원복되어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이 그립홈(11) 내로 삽입되며 지지플레이트(310)가 다시 하강한다.
지지플레이트(310)가 하강하면 박스(10) 또한 하강하게 되며, 그립홈(11)의 상측이 제1,2걸림프레임(413, 423)과 접촉되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되며, 박스(10)는 제외하고 지지플레이트(310)만 지속적으로 하강하여 투입부의 바닥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첫 번째 박스(10)의 적재가 완료된다.
지지플레이트(310)의 하강이 완료되면 유입구(210)를 통해 다음 박스(10)가 공급되며, 승강부실린더(320) 및 승강기어(330)의 작동에 의해 지지플레이트(310)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지지플레이트(310)의 상승시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면에 위치한 두 번째 박스(10)가 앞서 상승된 첫 번째 박스(10)의 하면과 접촉되며, 지지플레이트(310)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해 두 번째 박스(10)가 첫 번째 박스(10)를 들어올리게 된다.
두 번째 박스(10)가 첫 번째 박스(10)를 들어올리면 제1,2걸림프레임(413, 423)과 첫 번째 박스(10)가 접촉되어 제1,2지지프레임(412, 422)이 회전하게 되며, 두 번째 박스(10)와 제1,2지지프레임(412, 422)이 접촉된 후 제1,2걸림프레임(413, 423)이 두 번째 박스(10)의 그립홈(11)에 삽입된다.
이후 지지플레이트(310)가 다시 하강하면 제1,2걸림프레임(413, 423)에 의해 두 번째 박스(10)가 지지되며, 지지플레이트(310)는 다음으로 공급되는 세 번째 박스(10)를 상승시켜 두 번째 박스(10)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설정된 박스(10)의 층만큼 적재를 하며, 적재가 완료된 후 지지플레이트(310)가 상승하면서 최하단의 박스(10) 하면을 들어올리게 된다. 지지플레이트(310)가 최하단의 박스(10)를 들어올리면 그 위로 적재된 박스(10) 또한 함께 상승하게 되며, 설정된 높이로 지지플레이트(310)가 상승된 후 정지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310)의 위치는 박스더미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보조하우징(150)의 상면과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2축회전실린더(415)가 공압에 의해 작동하여 제1지지프레임(412)을 x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걸림프레임(413)이 그립홈(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제1축회전실린더(414)가 작동하여 제1중심프레임(411)과 제1지지프레임(412)을 y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1지지프레임(412)이 박스더미의 이동경로를 가리지 않도록 한다.
제1중심프레임(411)의 회전이 완료되면 배출실린더(510)가 작동하여 접촉플레이트(520)를 박스(10) 측으로 전진시키며, 접촉플레이트(520)가 박스(10)와 접촉되어 박스더미를 메인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100 : 메인하우징 150 : 보조하우징
200 : 박스투입부 300 : 박스승강부
400 : 박스지지부 410 : 제1박스지지부
420 : 제2박스지지부 500 : 박스이동부
600 : 제어부

Claims (5)

  1. 메인하우징;
    상기 메인하우징의 일측에 위치하며 박스가 투입되는 박스투입부;
    상기 메인하우징 상에서 승강되며 투입된 박스를 상승시키는 박스승강부; 및
    상기 박스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박스를 지지하는 박스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승강부는 상승된 박스의 하부에 다음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고, 적층이 완료된 박스더미를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이 완료되어 상기 박스승강부로부터 승강된 박스더미를 상기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박스이동부를 포함하는 박스 적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이동부는 박스더미의 최하단에 위치한 박스를 가압하여 상기 메인하우징 외측으로 박스더미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적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지지부는 적층된 박스더미 중 최하단의 박스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적재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승강부 및 박스지지부에 의해 적층되는 박스의 적층수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스승강부는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적층수로 박스가 적층되면 최하단의 박스를 지지하여 박스더미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적재장치.
KR2020150002314U 2015-04-10 2015-04-10 박스 적재장치 KR2004827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14U KR200482780Y1 (ko) 2015-04-10 2015-04-10 박스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14U KR200482780Y1 (ko) 2015-04-10 2015-04-10 박스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22U true KR20160003622U (ko) 2016-10-19
KR200482780Y1 KR200482780Y1 (ko) 2017-03-03

Family

ID=5723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14U KR200482780Y1 (ko) 2015-04-10 2015-04-10 박스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7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171B1 (ko) * 2017-05-31 2018-03-09 주식회사 유화기공 블록형 부재 적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29275B1 (ko) 2021-02-23 2021-11-18 임해미 가전제품 재고 관리를 위한 화물 적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233A (ja) * 1991-10-15 1993-04-27 Kanebo Ltd パツケージ積重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保管装置
JP2001328727A (ja) * 2000-05-22 2001-11-27 Towa Techno:Kk パレタイザ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5233A (ja) * 1991-10-15 1993-04-27 Kanebo Ltd パツケージ積重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保管装置
JP2001328727A (ja) * 2000-05-22 2001-11-27 Towa Techno:Kk パレタイ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80Y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6674B2 (en) Vertical storage system
KR101933346B1 (ko) 이송물 적재장치 및 적재방법
KR102092779B1 (ko) 알루미늄 압출재의 방향전환 및 이송장치
CN106081635A (zh) 一种横向提升码垛机
KR200482780Y1 (ko) 박스 적재장치
KR20160063830A (ko) 자동 이송대차
KR20100138329A (ko) 스크류 잭 방식의 리프터
CN111590815A (zh) 笔记本底壳上料定位设备
KR101213052B1 (ko) 판유리 수납장치
JPH0821113A (ja) 舞台用可搬式リフト
US4030618A (en) Semi-automatic palletizer
KR101812519B1 (ko) 계란 적층용 승강기
KR101084304B1 (ko) 상자 가압장치
KR101493609B1 (ko) 타이어 운반장치
CN110155856B (zh) 安葬工作系统及运载平台对位方法
EP3272682B1 (en) Pallet handling device, palletizing apparatus and pallet handling method
CN207329770U (zh) 手机液晶屏玻璃叠片设备的夹爪
JP5635062B2 (ja) パレット供給装置
JP2017030904A (ja) パレットリフターの昇降装置
CN206188018U (zh) 一种横向提升码垛机
KR101293170B1 (ko) 밸트, 롤러 컨베이어와 승강 장치를 이용한 판넬의 낙하식 적재장치
JP5866748B2 (ja) コンテナの段ばらし装置
CN109353829B (zh) 一种码垛设备
CN210277629U (zh) 安葬工作系统
CN108408107B (zh) 分膜装置和供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