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619U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619U
KR20160003619U KR2020150002311U KR20150002311U KR20160003619U KR 20160003619 U KR20160003619 U KR 20160003619U KR 2020150002311 U KR2020150002311 U KR 2020150002311U KR 20150002311 U KR20150002311 U KR 20150002311U KR 20160003619 U KR20160003619 U KR 201600036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nclined portion
cover member
side wall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2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076Y1 (ko
Inventor
오언식
우범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2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7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6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6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 및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방되어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고, 양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수평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트레이부재; 상기 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부재;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부재;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측벽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기 트레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경사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클램프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S}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은 선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경우에 통행로 확보, 미관 등을 고려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된 케이블을 낙하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 트레이에는 케이블 트레이 커버가 클램프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 커버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추가 포설 작업 시에 케이블 트레이에서 일시적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 트레이에 용접 등을 통하여 영구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5652호(2014. 11. 06, 케이블 트레이)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개방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 및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방되어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고, 양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수평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트레이부재; 상기 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부재;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부재;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측벽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기 트레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경사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클램프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측벽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1 볼트; 및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제1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기 트레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는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 볼트가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홀은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경사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2 볼트; 및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클램프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과 상기 경사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경사부를 상기 지지부에서 상향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고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함으로써 낙하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클램프부재를 통해 트레이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데, 클램프부재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의 추가 포설 작업 시에 제2 너트가 트레이부재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용이하게 커버부재를 트레이부재로부터 분리하거나 트레이부재에 재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 1의 II - I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 1의 I - 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를 도 1의 II - II´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는 트레이부재(100), 클램프부재(200), 커버부재(300), 제1 고정부재(400) 및 제2 고정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부재(100)는 상면 및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부재(100)의 내부에는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의 양단을 가로질러 케이블(20)이 포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은 트레이부재(100)에 포설되는 케이블(2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것으로 본다.
트레이부재(100)는 복수 개의 가로바(110) 및 한 쌍의 측벽(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110)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블(20)을 지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로바(110)는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측벽(120, 130)은 복수 개의 가로바(1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가로바(110)의 일단은 제1 측벽(120)의 하부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로바(110)의 타단은 제2 측벽(130)의 하부에 동시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제1 측벽(120)과 제2 측벽(130) 사이의 공간에서 복수 개의 가로바(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측벽(120, 130)의 상단에는 연장부(140) 및 지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40)는 측벽(120, 130)의 상단에서 측벽(120, 130)의 외측으로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50)는 연장부(1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연장부(14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측벽(120, 130)의 내측까지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즉, 지지부(150)는 측벽(120, 130)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수평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140) 및 지지부(150)는 측벽(120, 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지지부(150)는 연장부(140) 없이도 측벽(120, 130)의 상단에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클램프부재(200)는 하부에서 측벽(120, 13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부에서 커버부재(3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부재(300)는 클램프부재(200)를 통해 트레이부재(100)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부재(200)는 양 측벽(120, 130)에 각각 결합되도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프부재(200)는 결합부(210) 및 경사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측벽(120, 130)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로 제1 고정부재(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210)의 하부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부(210)의 상부는 측벽(120, 13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220)는 결합부(210)의 상단과 경사부(230)의 하단을 연결하고, 경사부(230)를 지지부(150)로부터 상향 이격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연결부(220)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230)는 지지부(150)의 상측에 배치되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사부(230)는 트레이부재(100)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경사부(230)는 측벽(120, 130)의 외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제2 고정부재(500)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편한 자세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고, 지지부(150)와 경사부(23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여 너트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20)는 경사부(230)에 의해 형성된 지지부(150)와 경사부(230) 사이의 공간을 추가 확장시킴으로써 너트 조임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양 측벽(120, 130)에서 경사부(23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300)는, 커버부재(300)의 일단이 제1 측벽(120)에서 경사부의 상면에 안착되고 커버부재(300)의 타단이 제2 측벽(130)에서 경사부의 상면에 안착됨으로써, 트레이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하물 사고 위험 지역이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 영역에만 국한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300)가 트레이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의 일부만을 폐쇄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커버부재(300)의 길이는 트레이부재(10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300)의 양단은 경사부(230)에 대응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중앙부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부재(400)는 결합부(210) 및 측벽(120, 130)에 동시에 결합되어 클램프부재(200)를 트레이부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00)는 제1 볼트(410) 및 제1 너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트(410)는 결합부(210) 및 측벽(120, 130)을 동시에 수평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210)에는 제1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측벽(120, 130)에는 수평 관통하여 위치결정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볼트(410)는 제1 관통 홀 및 위치결정 홀(160)에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너트(420)는 트레이부재(100)의 내측에서 제1 볼트(410)에 결합되어 클램프부재(200)를 트레이부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너트(420)의 조임 작업은 커버부재(3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너트(420)가 트레이부재(100)의 내측에서 제1 볼트(410)에 결합되더라도 작업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한편, 커버부재(300)가 트레이부재(100)의 개방된 상면의 일부만을 폐쇄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클램프부재(20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위치결정 홀(16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홀(160)은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500)는 커버부재(300) 및 경사부(230)에 동시에 결합되어 커버부재(300)를 클램프부재(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재(500)는 제2 볼트(510) 및 제2 너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볼트(510)는 커버부재(300) 및 경사부(230)를 동시에 경사지게 관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300)에는 제2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경사부(230)에는 제3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볼트(510)는 제2 관통 홀 및 제3 관통 홀에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너트(520)는 경사부(230)의 하측에서 제2 볼트(510)에 결합되어 커버부재(300)를 클램프부재(2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너트(520)의 조임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 너트(520)는 경사부(230)의 하면에 부착되거나 클램프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너트(520)의 조임 작업이 커버부재(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더라도 제2 볼트(510)만 조여주면 되므로 작업에 어려움이 없게 된다.
지지부재(600)는 트레이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고정부재(500)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서 지지부(150)와 경사부(2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지지부(150)의 상면에 안착되어 경사부(230) 또는 연결부(220)와 경사부(230)를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커버부재(300)에 충돌하는 낙하물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클램프부재(200), 특히 연결부(220) 및 경사부(230)가 변형 내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600)는 클램프부재(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케이블 트레이 20: 케이블
100: 트레이부재 110: 가로바
120, 130: 측벽 140: 연장부
150: 지지부 160: 위치결정 홀
200: 클램프부재 210: 결합부
220: 연결부 230: 경사부
300: 커버부재 400: 제1 고정부재
410: 제1 볼트 420: 제1 너트
500: 제2 고정부재 510: 제2 볼트
520: 제2 너트 600: 지지부재

Claims (6)

  1. 상면 및 길이 방향의 양단이 개방되어 케이블 포설이 가능하고, 양 측벽의 상단에는 상기 측벽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수평 연장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트레이부재;
    상기 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부재;
    상기 경사부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트레이부재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부재;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측벽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기 트레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경사부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클램프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측벽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1 볼트; 및
    상기 트레이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제1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프부재를 상기 트레이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너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길이는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 볼트가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위치결정 홀은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케이블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경사부를 동시에 관통하는 제2 볼트; 및
    상기 경사부의 하측에서 상기 제2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클램프부재에 고정시키는 제2 너트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상단과 상기 경사부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경사부를 상기 지지부에서 상향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고정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경사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경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20150002311U 2015-04-10 2015-04-10 케이블 트레이 KR200483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11U KR200483076Y1 (ko) 2015-04-10 2015-04-10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2311U KR200483076Y1 (ko) 2015-04-10 2015-04-10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619U true KR20160003619U (ko) 2016-10-19
KR200483076Y1 KR200483076Y1 (ko) 2017-03-31

Family

ID=5723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311U KR200483076Y1 (ko) 2015-04-10 2015-04-10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23B1 (ko) * 2018-11-27 2019-03-26 주영일 케이블 수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13Y1 (ko) * 2002-11-02 2003-02-07 김병수 케이블 트레이나 닥터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체결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13Y1 (ko) * 2002-11-02 2003-02-07 김병수 케이블 트레이나 닥터를 구성하는 본체 및 덮개의체결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76Y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4666B2 (en) Bracket for electrical devices
CA2503614A1 (en) Grounding clamp for a raised floor
JP2007130320A (ja) テーブル
KR200483076Y1 (ko) 케이블 트레이
US10249858B2 (en) Battery support structure
JP6655980B2 (ja) 屋根用挟持金具
JP2016165363A (ja) デスク装置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JP2013121871A (ja) 産業車両又は建設車両の電装品、電気配線及び油圧配管の固定具
KR20140002573U (ko) 래더형 케이블 트레이의 클램프
JP6541402B2 (ja) 被保持物の結束装置、被保持物の固定装置、被保持物の結束構造、被保持物の固定構造、被保持物の結束方法、被保持物の固定方法、結束具用の抑制部材、およびベースセット
JP2015196962A (ja) ソーラーパネル取付金具
KR101576611B1 (ko) 전기·통신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
KR101966590B1 (ko)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KR101864387B1 (ko) 고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리어
JP4539516B2 (ja) 機器
KR20140042278A (ko) 케이블 포설 장치
JP6638154B2 (ja) テーブル
JP613534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ベース体
JP6747773B2 (ja) 照明器具本体及び照明器具
KR20140005636U (ko) 선박용 소화기 보관대
JP5826312B2 (ja) 筐体取付け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取付け具
JP6704634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箱の基台増設構造
KR200448211Y1 (ko) 스페이서 댐퍼 취부용 보조장치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